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동북아 평화체제와 다자안보협력: 필요성, 가능성, 그리고 발전경로

        이남주 ( Nam Ju Lee ) 조선대학교 동북아연구소(구 통일문제연구소) 2012 동북아연구 Vol.27 No.2

        냉전해체 이후 동북아에서는 안보딜레마를 완화시킬 수 있는 평화체제가 아직 형성되지 않고 있다. 현실주의적 접근은 중국의 부상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어렵고 안보딜레마를 더 심화시키고 있다. 경제적 상호의존도가 증가하고 있기는 하지만 영토갈등 등도 같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자유주의적 접근도 효과적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이러한 상황에서 다자안보협력이 동북아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유력한 대안으로 등장하고 있다. 이 논문은 동북아에서 다자안보협력의 실현가능성을 분석하고 그 발전경로를 제시했다. 다자안보협력의 발전에는 많은 장애가 있다. 주권국가는 안보정책에 대한 결정권을 다자협력기구에 양도하는 것에 부정적이다. 그러나 동북아에서 미국과 중국이 미래의 불확실성 때문에 다자협력에 점차 적극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다. 다른 어려움은 일본, 한국 등이 미국과의 군사동맹에 의존하고 있다는 점이다. 양자군사동맹은 다자협력과 충돌할 가능성이 높다. 동북아에서 양자군사동맹을 제거하는 것은 비현실적이기 때문에 양자동맹과 다자안보협력 사이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이 논문은 인식공동체의 형성에 기여할 수 있는 민간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Since the end of the Cold War, the peace framework that could ameliorate the impact of security dilemma in the northeast Asia has not emerged, yet. A realist approach could not cope with the rising China and is creating a bigger security dilemma in this region. A liberalist approach also seems ineffective because conflicts among states like territorial disputes are surging in this region despite the increase of economic mutual dependence. Against this backdrop, multilateral security co-operation is emerging as a viable solution to these problems. This article analyzes the feasibility of multilateral security co-operation in the northeast Asia and explores the path to this framework. Of course,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developing this framework. Especially, most sovereign states are reluctant to yield their rights of decision in the realm of security policy to multilateral co-operation system. But this article argues that because of uncertainties of their future China and US become to accommodate the idea of multilateral co-operation in this region. Another difficulty is the reliance of northeast Asian states on the military alliance with US. Bilateral military alliances may collide with the multilateral framework. But in northeast Asia eliminating bilateral alliances is not a realistic solution. So, this article argues that it is necessary to find out the way which can strike the balance between bilateral alliances and multilateral co-operation. In the conclusion, this article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civil society co-operation which could contribute to the construction of the epistemic community.

      • 국립부산과학관에서 현장학습의 효율적 활용 방안: 초등교육을 중심으로

        이남주 ( Nam Ju Lee ),백성혜 ( Seoung Hey Paik )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5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Vol.21 No.1

        본 연구는 부산지역 초등교사와 초등학생들의 과학관에 대한 경험과 신설될 국립부산과 학관의 현장학습 활용 방안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소재 4개 초등학교의 초등교사 127명과 초등학생 692명의 설문을 자료로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부산지역 과학관 방문횟수가 초등교사는 평균 8.7회, 초등학생은 2.3회로 나타났으며 과학관 현장학습의 필요성은 초등교사는 85.8%, 초등학생은 95.6%로 크게 느끼고 있었으나, 기존의 부산지역 과학관에 대한 기대는 높지 않았다. 현장학습의 사전학습은 충분히 공감하고 있으나, 사후 학습의 필요성은 초등교사 3.89에 비해 초등학생 2.54로 큰 차이와 유의미한 t값을 보여 학습방법에 있어 학생들의 충분한 이해를 얻기 위한 유연성이 필요함을 말해주고 있었다. 시사점으로 국립부산과학관은 다양한 과학 경험을 제공해주되 학교교육과정과 충분한 연계가 필요하다. 정선된 사후학습프로그램을 통한 피드백과, 해양·선박 중심이 되는 기존 부산지역의 여러 과학관과는 차별화된 전시·주제라는 학교현장의 제안과 바램을 국립부산과 학관이 경청하고 수용한다면 학교 밖 과학교 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experiences of science museum by teachers and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in Busan, and methods of the application to the field learning of National Busan science museum which is under establishment. To this end, the author used questionnaire survey made with 127 teachers and 692 students in four elementary schools in Busan. As the result, it was found that number of visit to science museum in Busan was average 8.7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2.3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necessity of field learning in science museum,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highly felt it even 85.8%, 95.6% respectively. However, expectation on existing science museum in Busan was not high. Preliminary learning for field learning received enough sympathy but necessity of after-learning was 3.89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2.54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s shows large difference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nd significant t- value. This means that it is necessary to have flexibility so that students can understand learning method enough. As implication, National Busan science museum should provide various scientific experiences while it is necessary to have enough connection with school curriculum. If National Busan science museum gives feedback through carefully selected after-learning program, and closely listens to and accepts suggestion and expectation from school field, that is, exhibition and experience theme differentiated from existing some science museums in Busan centered on marine and ship, it is expected that the science museum can build a new paradigm of science education outside school.

      • KCI등재

        문익환의 통일 사상의 주요 쟁점과 현재적 의의

        이남주(Nam Ju Lee)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8 신학사상 Vol.0 No.181

        이 논문은 문익환의 통일 사상의 주요 쟁점을 검토하고 그 현재적 의의를 논한다. 문익환의 통일 사상에 대한 기존 연구는 그 역사적 발전 과정을 상세하게 해명했지만, 그 사상 체계에 대한 분석은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글은 문익환의 통일 사상을 변혁론, 통일 방법론, 실천론 등으로 나눠 설명했다. 문익환의 통일 사상은 변혁론에서는 민주와 통일의 병행 추진, 통일 방법론에서는 단계적 통일과 국가연합 단계의 도입, 실천론에서는 민이 주도하는 통일 과정을 핵심 내용으로 한다. 이 논문은 한반도가 대전환의 문턱에 서 있는 현 시점에서 문익환의 통일 사상이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다고 주장한다. 첫째, 한반도 대전환, 즉 분단 체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내부의 사회 개혁이, 즉 민주화가 동시에 진행되어야 한다. 둘째, 남북 협력을 안정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점진적이고 단계적인 남북 통합을 위한 방안에 대한 논의와 합의가 필요하다. 셋째, 남북 연합이 진전되면 민이 주도하는 통일 과정이 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민관이 협력적 혹은 상호 보완적 관계를 구축하고 민이 주도하는 합법적 남북 교류 공간이 확대되기 때문이다. This article analyzes key issues of Moon Ik Hwan’s thoughts on the Unification of Korea and discusses their implications for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Previous studies have mainly focused on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Moon’s thoughts regarding Unification and its theological background. But the system of Moon’s thought has not been studied seriously yet. Therefore, this article is trying to find out the system of Moon’s thought which it argues is based on a theory of social change, a theory of Unification, and a theory of practice for Unification. In the theory of social change, Moon empathized the importance of combining the task of Unification with democratization. In the theory of Unification, Moon was exploring the way to harmonize plans of Unification proposed by South Korea and North Korea. His theory is solely based on the interest of people in the Korean Peninsular. Moon proposed the Confederation of South and North as the first step of Unification. In the theory of practice for Unification, Moon argued the process of Unification has to be driven by public-private partnership and emphasized the leading role of people in this process. In conclusion, this article argues that Moon’s thought has very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Korean Peninsular that is standing on the threshold of a new era.

      • KCI등재

        메타인지를 활용한 초등과학 영재프로그램이 학습 몰입도와 언어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이남주 ( Nam Ju Lee ),백성혜 ( Seoung Hey Paik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3 초등과학교육 Vol.3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cientific program for gifted elementary students using metacognition on learning-flow and lingual interaction. For the purpose, the two classes for elementary science of P Institute for Gifted Education located in Pusan were assigned 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respectively. The experimental and controls groups received eight sessions applying a program for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using metacognition and same program without using it, respectively. The learning-flow test and the lingual interaction observed among students and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pre and post program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results shows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in experimental group, indicating that learning-flow is not a construct obtained by short-term using of metacognition. For the lingual interactions, however, the amounts of conversation and the ratio of high level conversation in experimental group were 1.6 and 1.5 times higher than those in control group. This suggests that the lingual interaction may be varied among classes even with same experiments, by instruction method. The lingual interaction is not active in control group where the experimental results may be obtained easily only with sincere attitude while, in experimental group, questions using metacognition and providing intellectual stimulation is continuously presented, leading to high level of lingual interaction,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program for gifted elementary students using these advantages is needed.

      • KCI등재

        중국 경제엘리트의 특징과 국가(당)-경제엘리트 관계

        이남주(Lee Nam-ju)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1 아시아문화연구 Vol.21 No.-

        중국에서 시장경제화에 따라 경제적 합리성과 이익을 행동의 주요 기준으로 삼는 경제엘리트층이 형성되고 있다. 그리고 정치사회적 전환 과정에서 경제엘리트들의 역할이 점점 더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그렇지만 국가는 경제엘리트들의 자율성을 높이는 개혁을 추진하면서도 이들에 대한 조직적 통제를 포기하지 않고 있다. 이는 중국에서 국가와 경제엘리트 사이의 관계를 일반적인 시장경제 국가보다 복잡하게 만들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배경으로 이 논문은 중국에서 경제엘리트층의 구조, 국가(당)와 경제엘리트의 관계를 분석했다. 특히 중국에서 경제주체들의 자율성이 얼마나 증가하고 있는가, 국가(당)는 자율성을 증가시키고 있는 경제주체들과의 연계성을 어떤 방식으로 확보하려고 하는가, 그 과정에서 국가와 경제엘리트 사이에 자율성과 연계성이 균형을 이루고 있는가 등의 문제를 논의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기존 연구들은 주로 민영기업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나 중국에서 민영기업가들이 경제엘리트 중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낮기 때문에, 이러한 연구들은 중국의 경제엘리트 구조와 국가와의 관계를 총체적으로 보여주는 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경제관료와 국유기업 최고경영자까지 연구대상을 확장해 경제엘리트의 전체적인 구조를 파악하고자 했고 국가와 주요 국유기업(중앙기업)의 최고경영자 사이의 조직적 관계를 분석해 국가와 경제엘리트 사이의 역동적 상호작용을 종합적으로 보여주고자 했다. 이 논문은 중국에서 국가는 경제엘리트에 대해 강력한 조직적 통제를 유지하고 있으며, 연계성과 자율성의 균형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평가하기 어렵다는 결론을 내렸다. 앞으로 중국이 청말 이후 중국에서 등장한 바 있는 여러 국가주도 산업화 전략의 좌절을 반복할지 아니면, 중국이 자신의 특수성에 부합하는 새로운 경제발전모델을 만들어낼 수 있을지를 계속 주목할 필요가 있다. Under the planned economy, political considerations have overwhelmed economic rationale. However, economic elites have taken the greater autonomy in implementing economic policy since China adopted economic reform and openness policy. These changes complicate the relation between the state and economic elites. On the one hand, the former has to give more autonomy to vitalize economic activities. But on the other hand, it also has to keep its control lest they challenge the party-state system. The study analyzes the relations between these two groups in China. Studies on economic elites in China tend to focused on private enterprises. However, since these are small parts of economic elites, such approach could not explain the general figure of the relations between the two groups. The study begins with the examination of the composition of the whole economic elites including bureaucrats and CEOs in state owned enterprises. Then, it explores the way in which the state has maintained control and how the economic elites were able to influence the government policy. Focusing on the subject of how the Chinese state preserves the balance between the autonomy and its ties with elites, which brings to the conclusion that although the state maintains the control, some elites who have meaningful organizational networks in Chinese Communist Party and government institutions has the power to influence government policies. As the autonomy of economic elite’ increases, the interactions between them and the state becomes much more complicated.

      • 논증활동에 의한 과학영재학생들의 용해 개념 변화

        이남주 ( Nam Ju Lee ),백성혜 ( Seoung Hey Paik )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5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Vol.2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he effects of argumentation on the dissolution concept of science-talented student. The concept of dissolution,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aught to 20 elementary gifted students of a class for six sessions considering their level and participated in argumentation by groups. The results showed various level and progression in their dissolution concept and the increases in level of dissolution concept were observed in most of students. The students participated in argumentations actively when the concepts were understood or the level of difficulty was within their comprehension capacity. The students perceived that the instruction promoted argumentation and there was no restriction in argumentation, however, those perception changed when the difficulty level of instruction was perceived to be high. It is considered that the study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dissolution concept level of science-talented students and provide useful date to study investigating the correlation between dissolution concept and argumen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