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07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체육과 평가 실태 분석

        이규일(Gyu Il Lee),허창혁(Chang Hyuk Huh)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1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18 No.4

        2007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은 체육과 교육과정의 내용과 형식을 혁신적으로 전환하였다는 의의를 갖지만, 현장의 실천 가능성 측면의 현실적인 문제를 안고 있다. 이에 따라, 어느 때보다 교육과정 문서의 현장 적용에 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 소재 98개 중학교를 대상으로 2007 개정 교육과정이 되는 1, 2학년의 체육교과 ``평가기준 및 계획`` 문서를 분석하여 2007 개정 교육과정이 중학교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많은 수(약 70%)의 학교가 2007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에 따라 수업을 진행하고 있었으나, 일부 학교에서는 제 7차 체육과 교육과정을 그대로 적용하고 있었다. 둘째, 평가 영역의 경우 지식, 기능, 태도의 범주를 벗어나지 못한 채, 그 비율 역시 27:64:9로 7차 교육과정의 적용시기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셋째, 많은 학교의 경우, 연간 6종목을 평가하고 있었으며, 전체 실기종목은 총65개였다. 넷째, 가치 영역별로는 여가활동과 건강활동 영역이 상대적으로 적게 평가 및 지도되고 있었으며, 교육과정의 문서의 선택예시와는 상관없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결국, 2007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문서는 형식적 수준에서 적용되고 있으며, 교육과정 개정의 취지가 학교 현장에 적극적으로 반영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향후 교육과정의 현장 적용력을 높이기 위한 연구 방향을 제안하였다. 2007 revis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converted innovatively the form and content of the existing PE curriculum. Much concern was being voiced about the practical possibility of the curriculum. These showed the gap between theoretical completion and practical possibility, therefore, the studies about school-application of the curriculum were important more than ever. To achieve this study, we analyzed the document, "physical education assessment standard and plan", of 98 middle school implemented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7-8th grade. As a result, first, a number of schools (approximately 70%) has taught on basis of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however, some of these still conducted the school-curriculum based o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Second, PE assessment didn`t get out of the category of knowledge, skill and attitude, the ratio also were showed as 27:64:9 in familiar to the past. Third, in many schools evaluated 6 items yearly, items that were used in practical tests were total 65. Fourth, as a result to analyze assessment status of each domain, leisure activity domain and health activity domain were relatively taught less than others, in many school were conducted regardless of the national curriculum. Eventually, 2007 revised curriculum was considerably applied formally in middle school, and didn`t applied properly. Lastly, I would provide the direction of study about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in future.

      • KCI등재

        SPARK 체력 초점 프로그램을 이용한 체육과 건강활동 수업 설계와 실천

        이규일 ( Gyu Il Lee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4 체육과학연구 Vol.25 No.1

        청소년 건강문제가 심각해지면서 건강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인 문제들로 건강활동 체육수업은 제대로 실천되지 않고 있으며, 연구 분야의 관심도 부족한 상황이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들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SPARK 프로그램 기반 건강활동 체육수업을 설계 및 실천하여, 체육과 건강활동 프로그램으로써 SPARK 프로그램의 타당성 및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질적연구 중심 혼합연구모형을 활용하였다. 3차원 가속도계와 FITNESSGRAM을 활용해 신체활동량과 체력 요인을 측정하였으며, 포토보이스와 면담 및 수업 녹화를 통해 경험 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수업의 설계와 실행 의미로 구분된다. SPARK 기반 건강활동 체육수업은, 첫째, 2009 개정에 따른 체육과 교육과정 건강활동 영역 목표와 내용 분석, 둘째, SPARK 프로그램에 근거한 수업 활동 분석을 토대로 설계되었으며, 신체활동량 및 동기 증진, 그리고 실천력 강화 등을 위한 교수 전략을 구체화하였다. 설계된 수업의 실행 결과는 신체활동량이 높은 수업, 참여와 성취가 있는 수업, 실천하는 수업으로 나타났으며,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SPARK 프로그램 기반 체육과 건강활동 수업의 타당성과 적용가능성을 논의하고, 향후 연구 주제를 제안하였다. The importance of a health problem is emphasized in youth. Unfortunately, healthy activity physical education is not well utilized and is not popularly being researched. In order to improve these problems,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the validity and applicability of SPARK program by designing and practicing the SPARK based P.E. classes. This study employed a mixed method research method based on a qualitative research strategy. Physical activity and physical fitness level were measured by accelerometers and FITNESSGAM. Additionally, empirical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y both Photovoice technique and recording. Findings of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designing and practicing perspectives. First of all, the PE classes based on SPARK program was designed by 2009 national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and studies associated with the SPARK program. Further, I attempted to specify teaching strategy for enhancing physical activity level, power of execution and motivation. Second, PE class which has higher physical activity level, more participation and achievement, and successful fulfillment were emerged as consequences. Based on the study results, I discussed the validity and applicability of Physical Fitness based SPARK program and propose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 KCI등재
      • KCI등재

        체육과 통합적 내용설계를 위한 “내용분석틀” 및 “수업내용” 탐구: 영역형 경쟁활동을 중심으로

        이규일 ( Gyu Il Lee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2 중등교육연구 Vol.60 No.4

        우리나라 체육수업은 통합을 지향한다. 그동안 통합적 접근은 방법적 접근을 시도해 왔다. 최근 수업설계론자들은 방법적 접근의 한계를 지적하며 교육내용 설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체육교과 분야에서도 다수의 연구 및 교육과정 문서(2007/ 2011 체육과 교육과정)를 통해 교육내용 설계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논의는 이론적 수준에 머물러 있어 실천적 한계를 안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영역형 경쟁활동의 통합적 내용설계를 위한 ‘내용분석틀’ 및 ‘수업내용’을 탐구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근거인 수업설계론의 의미와 여러 수업설계론 중 Reigeluth와 Carr-Chellman (Eds.)(2009)이 제안한 내용분류체제(이해, 수행, 정서)를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이를 근거로 교육과정 문서 수준의 내용요소를 수업 수준에서 분석할 수 있는 분석틀을 제시하였다. 4장에서는 분석틀에 따라 영역형 경쟁활동의 수업내용을 살펴보았으며, 5장에서는 연구의 시사점을 밝히며 향후 연구주제를 제시하였다. Physical education in Korea aimed for integrative P.E. instruction. Educational researchers in basis of theory of instructional design emphasized instructional content as criticized sharply instructional metho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revised lastly provided P.E. content domain as understanding, performance, attitude with an integrative perspective, but, content established in level of text had limits in level of practice. Therefor, I tried to explore instructional system and content for designing integrative physical education in basis of territorial competent activity in this study. In second chapter, I examined the meaning of theory of instructional design and the content classification system that Reigeluth & Carr-Chellman (Eds.)(2009) provided, and then, in third chapter, proposed content the framework for analysis to transform the content in level of P.E. curriculum made in writing into instructional content. In fourth chapter, I suggested instructional content of territorial competent activity, in the last chapter, suggestion of this study.

      • KCI등재

        해동대학교 학생들의 문화학습 과정에 관한 문화기술적 사례연구: 신입생 사례를 중심으로

        이규일 ( Lee Gyu-il ),전현욱 ( Jeon Hyun-wook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7 교육인류학연구 Vol.20 No.2

        우리는 이 연구에서 대학생활 적응과 문화와의 관련성, 그리고 문화는 학습된다는 사실에 주목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해동대학교 신입생들의 문화학습 과정과 그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5명의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여 2009년 9월에서 2010년 4월까지 면담을 주요 방법으로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 이후 잠정적 글쓰기 과정에서 드러난 부족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 2017년 3월, 추가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이를 반영하여 최종 보고서를 완성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참여자들의 문화학습 과정을 `이상한 문화 대면하기`, `새끼 해동인 되기`, `해동국 국민 되기`의 세 국면으로 나누어볼 수 있었다. 이 과정을 현상학적 실존체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적응 과정에서 연구 참여자들이 학습하는 문화적 요소는 특정한 네 개의 달, 해동대학교와 해동인에 대한 표현인 `우리`, 해동대학교의 대표적 상징물인 크림슨색과 호랑이, 그리고 선후배 관계에 대한 독특한 길들임과 의미화임을 알게 되었다. 이어 `공동체`와 `주름`, `탄성` 개념을 활용하여 그 과정을 비판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으며, 그 속에는 `공동체 형성`, `주름 펴기`의 의미가 함의되어 있을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끝으로 대학 문화를 `성공적으로` 학습하지 못한 신입생들을 연구에 참여시키지 못한 한계를 지적하면서 이 부분에 대한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aedong University freshman`s process of learning culture. To collect research data, we interviewed five participants in attendance at Haedong University from September 2009 to April 2010. However, we found that the collected data were insufficient for understanding the process, so we had an additional interview with a participant in March 2017. We tried to analyze the process with the perspective of, firstly, the relation between school life adjustment and individual culture, secondly, the assumption that individual culture is learned. The result shows that the process of learning culture are classified into `encountering a strange culture,` `becoming a Haedong baby,` `being a people of Haedong nation.` As we analyze the process through the phenomenological analysis framework, the cultural element that participants learned in adaption course showed `particular four months,` `WE as the symbol of Haedong people,` `dazzling color and tiger to symbolize Haedong University,` and `taming and signification` to represent the relationship between a senior and a junior. We interpreted the above results with three conceptual tools of `community,` `pli,` and `elasticity,` and then, we discussed the meaning of the process of learning culture as `community building` and `straightening the pli.` Lastly, we suggested limits of this study and a few follow-up studies.

      • KCI등재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을 위한 신체활동 기반 프로그램의 타당성 논증 및 운영 모델 개발

        이규일 ( Gyu Il Lee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2 체육과학연구 Vol.23 No.4

        1990년대 이후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에도 불구하고, 학교폭력 문제는 점점 더 심각해지고 있다. 최근 교육과학기술부는 학교폭력 문제의 대안으로 학교체육활동을 강화하고 있다. 그러나 신체활동과 폭력의 관계성 연구 및 신체활동 기반의 운영 모델에 관한 연구는 부재한 상황이다. 이 연구에서는 첫째, 이론적 기초 연구의 일환으로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을 위한 신체활동 기반 프로그램의 타당성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기존 학교폭력 정책 및 프로그램의 한계점을 밝히고 신체활동과 폭력의 논리 및 경험적 증거를 토대로 신체활동 기반 프로그램의 타당성을 논증하고자 한다. 둘째, 이를 기반으로 학교 현장에서 운영 가능한 운영 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연구 부문과 정부 부문에서 보고된 학교폭력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그 한계성을 밝힌 후, 폭력 문제에 대한 신체활동의 효과를 밝히고, 인과적 관계를 행동 수준(인성 교육 차원), 심리 수준(정서 순화 차원), 그리고 신경 수준(뇌 환경의 변화)에서 제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일반 학생의 폭력 예방 프로그램, 가해 학생의 교정 및 선도 프로그램, 피해 학생의 치료 프로그램의 설계 및 운영 모델 그리고 수업 실천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The government intervened in the problem of school violence since the late. However, the problem went from bad to worse gradually. Recently,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 Technology enforced a policy to tighten shool P.E. program as an alternative of school violence. The reseach to examine the relation of physical activity and school violence and a practical operation model was insufficie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ly, to prove the validity of physical activity based program for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For this, I will present a defect in the violence prevention program to be used in the school, and then I will demonstrate on the validity of activity based program through the theoretical and empirical-positive evidences. Secondly, I will provide an operational model available to practice in the schools.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 After I presented four flaws the violence prevention program, I provided the theoretical evidence in the level of behavior (character education), mentality (emotion education), and neuron (brain education), and then provided the results of research to exmine effectivenees of physical activity and educational program (Responsibility program, SPARK program) as empirical evidence. In the baisis of the results, I proposed the operational model of three programs, prevention program for all students, guidance program for delinquent students, program for victimized students. And, I suggested a few future task of research.

      • KCI등재

        중,고등학교 학생선수들의 중도탈락 원인 특성 및 개선 방안

        이규일 ( Gyu Il Lee ),허창혁 ( Chang Hyuk Huh ),류태호 ( Tae Ho Ryu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1 체육과학연구 Vol.22 No.3

        24% of all student athletes every year were dropped, in addition to, the degree that professional player became was only 10%. That is, 90% of all student athletes were dropped. If student athletes that have been lived in situation of ``one way process`` were dropped, they were compelled to experience the difficult of adaptation as student. However, the domain of research didn`t discuss concretely about educational ways. And, the phenomena in relation to the dropped showed a structural context of the group, accordingly, researches of the theme were needed to explore vigorously. Therefor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first, find dropped causes of drop-out student athletes and its traits, second, propose structural problem of school athletic club and alternative ways to solve the problem.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 First, the general traits as like, the time when was dropped, the person by whom was made a decision, the person with whom advised were provided. Second, the result that confirmed the degree of agreement about dropped causes was showed with athletic-in cause (2.57), athletic-out cause (1.71), individual-in cause (2.42), individual-out cause (1.71). And, third, the structure between of dropped causes was showed as directed causes and indirected causes. And, I explored the structural problem of the club and the phenomena with perspective of ``study``, ``support``, ``structure``, lastly, I suggested alternative ways of them. 매년 약 24% 가량의 학생선수들이 운동부에서 탈락되며, 전체 학생선수 중 직업 운동선수가 되는 비율은 10%를 넘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즉 90% 정도의 학생선수는 중도에 탈락된다는 것이다. 운동이라는 외길인생을 살아 온 학생선수들이 운동에서 탈락되면 이들은 다시 학생으로 적응하는데 어려움을 경험하게 된다. 그러나 현재까지 이들에 대한 교육적 방안은 구체적으로 논의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한 집단의 ``중도탈락`` 현상은 그 집단의 구조적 맥락을 드러내 주는 핵심 현상이라는 측면에서 이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양과 질의 혼합 연구를 통해 중도탈락 현상을 살펴보고, 첫째, 중도탈락의 원인 및 그 특성을 제시하고, 둘째, 이를 통해 학교 운동부의 구조적 문제 및 이에 대한 대안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 대상자들의 탈락 시점, 탈락 결정자, 탈락 시 상담자 등을 밝히며, 중도탈락 과정의 일반적인 특성을 살펴보았다. 둘째, 운동탈락 요인을 범주화하고 이에 대한 동의도를 알아 본 결과, 중고등학교 중도탈락 학생선수들은 운동내적, 운동외적, 개인내적, 개인외적 요인에 대해 각각 2.57, 1.71, 2.42, 1.71의 동의도를 보였다. 셋째, 면담 결과를 중심으로, 탈락 요인들의 특성을 살펴본 결과, 운동탈락 요인은 직접적(표면적) 요인과 간접적(내면적)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습, 지원, 구조의 측면에서 학교 운동부 및 중도탈락 현상의 구조적 문제를 살펴보았으며,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SPARK 기반 학교체육 프로그램의 청소년 건강(체력과 신체적 라이프스타일) 효과 및 경험적 의미 탐색

        이규일 ( Gyu Il Lee ),김진구 ( Jin Gu Kim ),김성운 ( Sung Woon Kim ),김경오 ( Kyung O Kim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4 체육과학연구 Vol.25 No.3

        최근 학교에서는 교육 당국 주도의 학교체육 강화 정책으로 다양한 체육활동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중-고강도 신체활동량 증진이 선결되지 않는다면 이러한 활동의 건강 효과는 크지 않다. 이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신체활동 증진 프로그램인 SPARK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다양한 학교체육 프로그램(정과 체육, 학교스포츠클럽활동 수업, 방과 후 체육활동, 토요스포츠데이 활동)을 설계 및 실천하여, 그 효과를 건강 개선 효과와 경험적 의미 측면에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이 연구는 혼합연구 설계 모형 중강점 상호보완 관점에 따른 결합(blending) 모형에 따라 설계되었다. 건강의 개선 효과는 양적 연구를 통해 확인되었다. 변인은 체력과 신체적 라이프스타일이었으며, 사전·사후 설계에 따라 각각 헬마스와 IPAQ/ 3차원 가속도계로 측정 및 분석되었다. 경험적 의미는 질적 연구 기법인 포토보이스와 면담 기법을 통해 수집 및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SPARK 기반 학교체육 프로그램은, 첫째, 건강 개선 효과 측면에서 전반적인 체력증진 및 신체적 라이프스타일 개선에 기여하였으며, 그러한 결과에서는 젠더 차이(여학생<남학생)가 나타났다. 둘째, 경험적 의미 측면에서, 신체적 성취, 공간 및 시간적 의미 변화, 사회적 관계 변화로 나타났으며, 그러한 의미는 학교 내 운동하는 문화 구축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SPARK 기반 학교체육 프로그램의 성과를 투입, 과정, 결과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젠더 차이를 극복하기 위한 교수방법적 대안 및 향후 연구 주제를 제안하였다. Recently, there have been diverse types of physical activities supported by government policy in S. Korea. However, these activities may not be effective if they do not reach to moderate to vigorous level. This study designed school physical education system based on SPARK program, which include traditional physical education, sports club based physical activity, after school physical activity, and Saturday physical activity, to evaluate its effectiveness associated with physical fitness and empirical meanings of physical activity. This study employed a mixed method research paradigm for better understanding. Among various mixed method paradigm stances, this study employed “blending strategy” for complementary analysis. First of all, the effectiveness in health condition was evaluated by quantitative data. Specifically, physical fitness and lifestyle were analyzed by Helmas, IPAQ, and Accelerometer respectively. Second, empirical meanings of physical activity were analyzed by both Photovoice and in-depth interview which ar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result of this study first showed that a specially designed school physical activity program based on the SPARK contributed to improve students`` physical fitness and lifestyle as well, however, there were important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Second, physical achievement, alteration of spatiotemporal meaning, and change of societal relationship emerged as important themes. Further, these themes showed that they played an important role to maintain students`` motivation in physical activity and consequently physical activity promotion was invigorated in school. Based on these results, we synthesized investment factors and process factors and outcome factors respectively. Finally, we suggested alternative teaching methods and suggestions for following research to overcome gender issu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