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공공공간의 건축적 공공성에 대한 연구 경향 분석

        이경연(Lee, Gyeong-Yeon),오지은(Oh, Ji-Eun),하미경(Ha, Mi-Kyoung),변기동(Byun, Gi-Dong) 대한건축학회 2021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41 No.2

        Recently, with the emphasis on the role of publicness, various studies on publicness have been conducted in various areas of societ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rends in ’publicness of public space’ related studies conducted over the last two decades. To understand the contents of the study, we analyzed the frequency of the study by year, keywords in the paper, and subjects of the study. The analysis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public-related research has increased rapidly in the mid-2000s and continues steadily. Second, the publicness research perspective is expanding from an urban perspective to a user-centered perspective. Third, the subjects and subjects of the study are being materialized and diversified.

      • 도시 공공공간의 공공성 인식에 관한 기초연구 - 세대 간 인식 조사를 바탕으로 -

        이경연(Lee, Gyeong-Yeon),오지은(Oh, Ji-Eun),하미경(Ha, Mi-Kyoung),변기동(Byun, Gi-Dong) 대한건축학회 2022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42 No.1

        Publicness is a social value that requires empathy and consensus from members of society.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ublic awareness of urban public space targeting young people and the elderly with different socio-cultural backgrounds in growth. First, both groups consider strengthening publicness important i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individuals, the elderly consider more. Second, both groups recognized most effectively the improvement of publicness by improving the physical environment. Third, youth emphasized publicness in space for various activities, and the elderly are important i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Fourth, as "health" and "sustainability" have emerged as social values, both groups have recognized "sustainability" as an important factor in publicness.

      • KCI등재

        한국영화제에 나타난 여배우의 헤어스타일에 관한 연구

        이경은(Gyeong-eun Lee),도주(Ju-yeon Do)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2011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Vol.12 No.4

        As lifestyles have changed and the quality of life has improved in the 2000s, various types of parties are becoming a new cultural trend. This study provides useful data about party hair styles through a analysis of actresses’ hair styles at film festivals held in Korea. First, as a result of classifying hair styles appearing at film festivals by year into up style and open style, chignon and no parting slicked-back hair style (up style), which make dress stylish, have been mainly chosen by actresses. And for open style, natural wave long hair and left parting bang style were frequently present at the festival. Hair color is mostly dark both for up and open styles, and hair texture is mostly silky.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hair styles in terms of image, they are mostly graceful, cute, sexy and romantic at the same time in total coordination with make-up and clothes. Third, the study analyzed hair style coordination according to make-up. Most of the makeup styles are natural, romantic or smoky with the basis of three-dimensional natural, sheer makeup and clear skin tone. Natural volume up style, wave up style with braids on the nape, neat up style, straight long hair and chic short style are the hair styles that actresses typically use at the festivals. Fourth, esthetic values of the hair styles are classified as the romantic image with innocent sexiness, the natural image with gracefulness and the moderately chic neo-classic image.

      • KCI등재

        울릉도의 귀화식물 현황 및 특성

        이경연 ( Lee Gyeong-yeon ),남희정 ( Nam Hee-jung ),김나영 ( Kim Na-yeong ),김덕기 ( Kim Deok-ki ),류태복 ( Ryu Tae-bak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2023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Vol.26 No.6

        Field surveys were conducted at a total of 50 locations targeting naturalized plants on Ulleung-do. A total of 109 taxa were identified, including the list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preceding literature. The naturalized plants of Ulleung-do had a high proportion of Asteraceae, which appeared frequently in the habitat of the ruderal type. There were no naturalized plants that settled only on Ulleung-do, and all naturalized plants found on Ulleung-do first settled on the Korean Peninsula. This was proved by the high rates of epecophyten (90.8%) and the introduction period 2nd (70.6%). On the other hand, among ecosystem-disturbing species that have a great influence in the inland of the Korean Peninsula, Hypochaeris radicata and Rumex acetosella appeared in a limited area in Ulleung-do. On the other hand, Lapsana communis appeared in high density along the forest edge, requiring management of naturalized plants different from those in the Korean Peninsula. Naturalized plants on Ulleung-do showed a rapid increase in the 1990s after increased academic research, coastal road development, and other development projects. This highlights the necessity for continuous research on the pattern of naturalized plant occurrence after the completion of the Ulleung Airport, which is currently under construction.

      • 도시 공공공간의 공공성 평가지표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

        오지은(Oh, Ji-Eun),이경연(Lee, Gyeong-Yeon),하미경(Ha, Mi-Kyoung),변기동(Byun, Gi-Dong) 대한건축학회 2022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4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n evaluation index that can evaluate "publicity", an important value that determines the level of publicness of public spaces. To this end, the main evaluation index was prepared through a series of processes of literature search, analysis of existing evaluation factors, selection and definition of evaluation factors, and analysis of evaluation factors for each factor. By deriving publicity evaluation factors of public spaces and preparing evaluation indicators, we intend to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publicness of architectural and urban spaces.

      • 지하철 구조물 매립층에 대한 액상화 평가

        하명호 ( Ha Myung-ho ),송광종 ( Song Gwang-jong ),송현종 ( Song Hyun-jong ),이경연 ( Lee Gyeong-yeon ),김미나 ( Kim Mi-na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0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4 No.2

        느슨한 사질토 또는 매립지반에서는 지진파 같은 급속한 하중 발생시, 순간적으로 비배수상태가 되어 과잉 간극수압으로 인한 액상화 현상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고자 한다.

      • 제2분과 : 식물상 및 식생관리 ; 국가 식생보전등급 평가기법과 그 적용

        김종원 ( Jong Won Kim ),최병기 ( Byoung Ki Choi ),류태복 ( Tae Bok Ryu ),이경연 ( Gyeong Yeon Lee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3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3 No.1

        현존식생의 구조는 서식처의 역사성과 자연성을 정밀하게 반영하고 있다. 따라서 진단종을 통한 식생분류와 식생단위 체계화는 지역 생태계에서의 서식처에 대한 질적 양적평가를 가능하게 한다. 생태 선진 국가들이 국토관리를 위해서 식생정보를 활용하는 까닭이다. 우리나라에서도 1982년부터 녹지자연도(綠地自然度) 평가를 중심으로 생태자연도(生態自然圖)를 법적으로 고시하여 국토의 건전한 개발과 보전을 위한 근거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평가 수단은 그 평가 항목과 기준이 개념적 정의 수준에 그치고 있음으로써 연구자들 간의 상이한 평가기준 적용과 지역 간 생태자연도의 평가기준 불명확성이 발생하였다. 결과적으로 국가 식생자원의 다양성과 그 가치 평가의 궁극적인 목적을 성취하지 못하고 있음이 지적되어 왔다. 본 연구는 국가 식생자원 평가 수단의 궁극적인 목적을 성취할 수있는 객관적이고 논리적인 평가기법의 개발에 관한 2012년도 국립환경연구원 제4차전국자연환경조사 지침서개발 연구용역 수탁과제를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다항목식생평가기법」(Multicriterion-Matrix Method on Vegetation Assessment)으로부터 진화한「국가식생보전등급」(NVC: National Vegetation Class)의 정의와 범위 그리고 판정 기법이 개발되었으며, 2012년까지 기재된 신뢰도 (fidelity) 높은 단위식생 (syntaxa)을 이용하여 「국가주요식생자원」발굴을 시도하였다. 「국가식생보전등급」은 식생복합체 (상관식생형, 개개 식생조사구, 유형화된 단위식생, 삼림형 등)의 잠재성 요소 평가와 현존성 요소 평가의 조합 (combination)과 순차적 (ordinal)적용으로부터 생성된다. 잠재성 요소 평가는 평가대상 현존식생의 군락생태학적 내재 특성을 포함하는 식생 기원의 자연성 (vegetation origin)과 복원성 (resilience) 정보에 의존하고, 현존성 요소 평가는 평가 대상 현존식생의 보전생태학적 실체적 특성을 포함하는 희귀성 (rarity)과 종조성(weighted species) 정보에 의존한다. 1) 식생기원의 자연성은 잠재자연식생을 정보를 바탕으로 현존식생의 유지 및 발달에 인위적 영향 정도를 평가한다. 2) 복원성은 식생 발달과 회복능 (syndynamic and resilience)에 있어서 소요되는 시간적 길이 정보를 바탕으로 평가한다. 3) 희귀성은 식생의 수직적 (해발고도) 수평적 (위도) 지리분포 양상 정도(extent)를 평가한다. 4) 종조성은 목록화 된 국가 중요 식물종의 존재유무를 평가한다. 여기서 국가 중요 식물종이란 i) 환경부 멸종위기야생동식물 I과 II급, ii) 산림청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 우선 보존대상식물, 멸종위기 보존 후보종, iii) 생태학적 종보전등급 6점 이상의 ‘절대감시 주요감시대상종’을 포함한다. 본 연구의 「국가식생보전등급」을 이용한 사례 분석에서 우리나라에 현존 분포하고, 정당하고 유효하게 기재되어 있는 식생자원으로부터 국가적 보호 식생자원 즉 「국가주요식생자원」총 268개가 일차적으로 발굴되었다. 본 연구에서 획득된 「국가주요식생자원」을 포함한 미등재 식생자원의 지속적인 발굴과 생태학적 정성화 (定性化) 그리고 이들에 대한 국가적 법제도적 관리전략의 성취가 후속과제로 남는다. 현재까지 국내에서 보고된 문헌자료 (국가기관보고서, 학회투고논문, 학위논문 등)를 활용하여 신뢰도 높은 모든 유형의 단위식생 (군락 및 군집수준; 하위단위 포함)을 추출, 다양성을 발굴하였다. 기재된 이들 단위식생들의 질적 속성을 고려하여 식생단위체계를 구분하였으며, 분류된 단위식생에 대해 「국가식생보전등급」(National Vegetation Class)을 적용하였다. 총 405개의 문헌자료에서 획득된 476개 단위식생을 활용하였다. 선행문헌의 분석 결과, 국내에 보고된 단위식생의 다양성은 12개 군계, 45개 상관식생형의 476개 단위식생형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대한 「국가식생보전등급」 평가 결과 「국가주요식생자원」으로 인정되는 절대감시 1급, 2급과 주요감시 1급, 2급의 식생자원이 발굴되었다. 절대감시 1급 국가식생자원은 해안식생, 습지 및 하천식생, 고산대·아고산대식생, 냉온대 삼림식생, 산지대 및 저산지대 암각지식생, 난온대 활엽수림 등에서 80개 단위식생 (17개 중복단위 식생 포함)이 기재되었으며, 절대감시 2급 국가식생자원은 해안식생, 해안 염습지식생, 습지 및 하천식생, 고산대·아고산대식생, 냉온대 삼림식생, 산지대 및 저산지대 암각지식생, 임연식생 및 관목식생, 난온대 활엽수림등에서 168개 단위식생 (67개 중복단위식생 포함)이 기재되었다. 주요감시 1급 국가식생자원은 해안식생, 해안염습지식생, 습지하천식생, 산지대 및 저산지대 초원식생, 고산대·아고산대식생, 냉온대 삼림식생, 산지대 및 저산지대 암각지식생, 임연식생 및 관목식생, 난온대 활엽수림 등에서 112개 단위식생 (84개 중복단위식생 포함)이 기재되었으며, 주요감시 2급 국가식생자원은 해안식생, 해안염습지식생, 습지하천식생, 산지대 및 저산지대 초원식생, 고산대·아고산대식생, 냉온대 삼림식생, 산지대 및 저산지대 암각지식생, 임연식생 및 관목식생, 인공조림식생 등에서 135개 단위식생 (59개 중복단위식생 포함)이 기재되었다. 본 연구는 생태자연도의 1차적 적용사안으로 고려되는 ‘식생보전등급’ 분류기준의 개념적 한계를 극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국가 식생 자원에 관한 연구가 삼림식생형에 편향적으로 이루어져 있음으로써, 식생형의 본질적 특성으로부터 본래부터 군락의 분포와 크기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는 특이식생형이 국가식생자원 평가에서 크게 누락되어 있음이 밝혀졌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인문역사와 자연역사를 반영하는 국가 식생자원에 대한 발굴이 중요 우선과제로 대두되었다.

      • KCI등재

        하구역 생태계 보전 및 관리강화를 위한 조사사업 개선방안

        임정철 ( Lim¸ Jeong-cheol ),안경환 ( Ahn¸ Kyung-hwan ),최병기 ( Choi¸ Byeong-ki ),이경연 ( Lee Gyeong-yeon ) 한국도서(섬)학회 2020 韓國島嶼硏究 Vol.32 No.4

        환경부는 2004년부터 자연성이 높은 하구역 보전을 위해 매년 2~3개 하구역을 정밀조사 하고 있다. 그러나 전국적 하구역 생태계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서 누적된 현황자료는 우리나라 전반의 하구역 현황과 환경 특성에 대한 궁금증뿐만 아니라 생태계가 우수한 하구역에 대한 보전 논리를 제시하기에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그동안 우리나라의 자연생태계 보전 및 관리에 대한 인식 발전에 비해 하구역이라는 생태적 공간에 대한 포괄적이고 체계적인 정보수집체계는 한계가 있었던 것이다. 실제로 하구역 생태계 관리의 정책 지원과 생태계 우수 하구역 보전이라는 근본적인 조사목적 달성이 미흡했던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최근 생태계 보전 및 관리의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앞으로 하구역 생태계 관리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어 자연성이 우수한 하구의 보전과 훼손된 하구역 복원 및 관리에 대한 적극적인 보전전략 제시가 필요할 가능성이 높다. 현재 전세계의 자연환경은 기후변화와 환경오염 등 다양한 요소에 의해 많은 변화를 겪고 있다. 물론 생태계 변화는 예측할 수 없는 변수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하지만 지속적인 현황 파악과 모니터링, 정밀조사 등이 이어지면서 적극적인 생태계 관리를 통한 완만한 변화를 예상할 수 있다. 이제 우리나라도 기후 변화에 따른 하구역 생태계 변화에 대비해야 한다. 그동안 한국의 자연생태계 보전 및 관리에 대한 인식은 크게 발전했지만 하구역에 대한 포괄적이고 체계적인 정보를 알지 못한 상태에서 일부 지역의 자료만으로 기후변화와 도시개발, 환경오염 등 생태계 변화 양상과 추이 등을 제대로 파악할 수 없었다. 앞으로 하구역 생태계 관리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어 자연성이 우수한 하구의 보전과 훼손된 하구역 복원에 대한 적극적인 보전전략 제시가 필요할 가능성이 높다. 우리나라 하구역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체계적인 조사 및 연구는 우리나라 생태계 보전 및 관리 정책을 질적으로 도약하는 기회가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그동안 이루어진 하구역 생태계 조사 현황을 점검하고 앞으로 하구역 생태계 조사의 발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로 다양한 환경조건의 영향을 받아 서서히 변화하는 생태계의 특성을 고려하여 내륙습지의 일부분으로서 타 조사사업과의 통합적인 관리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둘째, 현 조사체계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준전문가와 시민이 참여하는 새로운 조사체계의 도입을 제안하였다. 이상의 제안을 토대로 하구역 특성과 연계된 조사사업을 지금부터 철저하고도 체계적으로 준비할 것을 주장한다. 계획을 세우고 조 사를 실행하는 과정에서 어려움도 따르겠지만, 철저하고도 체계적인 준비를 통해 소중한 자연생태계의 훼손 방지와 보전을 위한 발전 기회로 삼아야 할 것이다. Since 2004, the Ministry of Environment has been surveying 2∼3 estuaries every year to preserve the estuaries with high ecological value. However, it is insufficient to present the preservation logic for the estuaries with excellent ecosystems as well as foster curiosity about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estuaries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Korea. Despite the increasing awareness of Korea's natural ecosystem conservation and management, the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information collection system for the estuaries was in a state of stagnation. In fact, it was evaluated that the achievement of the fundamental research objectives of supporting estuary ecosystem management policy and preserving estuaries was insufficient. Recently, the importance of ecosystem conservation and management is increasing. In the future, the importance of estuary ecosystem management will be more emphasized, and it will be necessary to present an active conservation strategy for the conservation of estuaries with excellent nature with solid plans for the restoration and management of damaged estuaries. This study attempted to propose a development plan by analyzing and evaluating the survey system for the estuary ecosystem. First, as part of the "Inland Wetland" scheme, it was proposed to systematically investigate estuaries by integrating them with other wetland research projects. Second,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survey system, it was proposed to introduce a new survey system involving semi-professionals and citizens. Based on the above proposal, it is strongly urged that preparing a thorough and systematic investigation project in connection with the characteristics of estuaries is established from now on. Although there may be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making and implementing a plan, it will be an opportunity to prevent and preserve the natural ecosystem through a thorough and systematic preparation.

      • KCI등재

        도시 내 습지의 식생구조 변화 모니터링

        김나영 ( Kim Na-yeong ),남종민 ( Nam Jong-min ),이경연 ( Lee Gyeong-yeon ),이근호 ( Lee Kun-ho ),송영근 ( Song Young-keun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2023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Vol.26 No.6

        Urban wetlands provide various ecosystem services and are subject to restoration and creation projects due to their increased value in the context of climate change. However, the vegetation structure of wetlands is sensitive to environmental changes, including artificial disturbances, and requires continuous maintenance.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vegetation survey of three wetlands created as part of a project to restore urban degraded natural ecosystems and monitored the quantitative changes in wetland vegetation structure us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The vegetation survey revealed 73 species in Incheon Yeonhui wetland, and the change in vegetation composition based on wetland occurrence frequency was 11.5% on average compared to the 2018 vegetation survey results. The vegetation survey identified 44 species in Busan Igidae wetland, and the proportion of species classified as obligate upland plants was the highest at 48.8% among all plants, while the proportion of naturalized plants accounted for 15.9% of all plants. The open water surface area decreased from 10% in May 2019 to 6.7% in May 2020. Iksan Sorasan wetland was surveyed and 44 species were confirmed, and it was found that the proportion of facultative wetland plant decreased compared to the 2018 vegetation survey results, and the open water surface area increased from 0.4% in May 2019 to 4.1% in May 2020.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wetlands with low artificial management intensity exhibited a tendency for stabilization of vegetation structure, with a decrease in the proportion of plants with high wetland occurrence frequency and a relatively small number of new species. Wetlands with high artificial management intensity required specific management, as they had a large change in vegetation structure and a partially high possibility of new invasion. We reaffirmed the importance of continuous monitoring of vegetation communities and infrastructure for wetlands considering the function and use of urban wetlands, and restoration stages. These research results suggest the need to establish a sustainable wetland maintenance system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long-term maintenance goals and monitoring methods that consider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vegetation composition of wetlan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