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성의 유치원 · 보육시설 및 사교육 선택유형 분석

        이경선(Gyeong-Seon Lee),김주후(Juhu Kim) 한국콘텐츠학회 200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9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의 유치원?보육시설 및 사교육 선택 유형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여성가족패널자료(KLoWF) 중에서, 만2세 이상 만6세 이하의 유아를 두고 있는 여성 1,810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유아대상 교육기관은 크게 세 가지(유치원, 보육시설, 사교육)로 구분하고 각각의 기관에 유아를 보내는 여성의 특성에 따른 관련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유아연령이 어릴수록 보육시설만을 이용하는 비율이 높고, 연령이 높을수록 유치원만 이용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유치원?보육시설 및 사교육의 중복선택은, 만6세에서 유치원과 사교육 함께 이용하는 항목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사교육과 유치원, 보육시설을 병행하는 비율은 연령이 높을수록 증가하나, 사교육을 병행하는 비율이 유치원과 보육시설만 이용하는 비율보다는 낮게 나타났다. 일자리유무와 일자리 유형에 관계없이 모두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연구가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women's selection pattern on kindergarten/child care centers and private tutoring for young children. For this purpose, 1,810 women whose young children's age was between 2 and 6 were selected from KLoWF data. After categorizing the education centers as daycare center, kindergarten, and private institute, it was investigated the women's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ir decision making for selection of the centers. The results of survey data analyses showed that younger children's mothers preferred to send their children to daycare centers, older children's mothers did to kindergarten. In terms of their dual selection on education centers, the frequency of 6-old-year children attending kindergarten and private institutes was very high. As the children's age was increasing, the frequency of women's multiple selection on daycare center, kindergarten and private institute was also increasing. In addition, regardless of the women's job pattern and existence, they preferred to send children to daycare centers. With these finding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ies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보육교사 관심사 발달단계에 따른 직무만족도 분석

        이경선 ( Gyeong Seon Lee ),윤정진 ( Jeong Jin Youn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2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9 No.1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관심사 발달단계에 따른 직무만족도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시에 소재하는 232명의 어린이집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보육교사의 관심사발달단계와 직무만족도를 조사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연령, 직책, 담당유아의 연령, 담당 유아의 수에 따라 관심사 발단단계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직책, 보육시설유형, 근무시간, 담당하는 유아의 수에 따라 직무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직무만족도는 보육교사의 관심사 발달단계에 따라 강화관심단계가 가장 높았으며, 성숙관심단계, 갱신관심단계, 생존관심단계 순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job satisfactions based on the developmental stages of concerns among caregivers. For this purpose, survey data measuring developmental stages of concerns and job satisfactions were collected from 232 day-care teachers in Busan. For analysing the collected data, frequency percentage, ANOVA, and t-test were computed using SPSS packag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day-care teachers` age, position, children`s age and children number of her class were significant. Secon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were day-care teachers` position, types of day care center, working hours, and the number of children. Third, job satisfaction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al stages of concerns was significant. It was revealed that the reinforcement concerns stage showed highest scores on job satisfactions. With these finding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ies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실습기관에서의 수업계획과정 및 실습지도교사의 지원 탐색

        이경선 ( Lee Gyeong Seon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8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5 No.4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실습에서의 수업계획과정을 알아보고, 실습지도교사의 수업지원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4년제 유아교육과 학생들이 보육 및 교육실습에서 전일수업을 준비하고 계획하는 과정과 실습지도교사의 지원내용에 관해 2년 동안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을 위한 활동주제와 내용은 지도교사와의 논의를 통해 선정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많은 경우는, 예비유아교사가 결정을 먼저 한 후 지도교사에게 점검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가 전일수업을 위한 활동을 계획할 때는 활동주제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고, 그 다음 중요한 순서는 영·유아의 발달수준, 흥미유발 순이었다. 그리고 예비유아교사가 수업계획에서 어렵게 생각하는 내용은 교사발문과 활동방법, 활동계획안 작성 순으로 어려워하였다. 셋째, 예비유아교사가 실행한 수업은 미술활동이 가장 많았으며, 이야기나누기, 음악, 동화 순으로 많은 활동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실습지도교사가 수업계획과 관련하여 지원한 내용은, 교육계획안 점검 및 수정에 관한 내용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일과운영, 유아에 대한 이해 순으로 지도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실습지도의 질적 향상을 위한 다각적인 방향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the nature of the discussions between student teachers and their cooperating teachers’support in teaching practice of ll day class. To accomplish this goal, practicum students were asked to response questionnaire after teaching practice for two year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159 responses of questionnaire about process of instructional plan and cooperating teachers’support. The results of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selection of topic and contents for teaching demonstrations was decided through discussion with cooperating teachers. Second, student teachers considered topic, understanding infants and children’s development, and motivation as important factor for instructional plan. Third, student teachers taught art, talking, music and fairy tale in order. Fourth, cooperating teachers gave guidance about writing lesson plans, daily operation, and understanding infants and children’s development.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코로나19 시대 빅데이터에 나타난 유아안전 의미연결망 분석

        이경선 ( Lee¸ Gyeong-seon ) 한국아동교육학회 2021 아동교육 Vol.30 No.4

        본 연구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유아안전에 관한 사회적인 인식을 빅데이터 분석 방법인 의미연결망 분석을 통해 살펴보고 향후 또 다른 감염병 등의 재난상황에서 효율적인 유아 안전 대응체계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코로나19+유아+안전’을 검색어로 하여 코로나가 발생한 시기인 2020년 1월 1일부터 연구시점인 2021년 6월 30일까지 18개월간 온라인 텍스트를 수집하였다. 웹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 솔루션인 텍스톰을 활용하여 테이터 수집과 2차례의 데이터 정제를 실시하였고, 최종 50개의 핵심 키워드를 선정하였다. 키워드의 TF-IDF와 빈도를 바탕으로 의미연결망을 구성하여 중심성 분석과 CONCOR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코로나’, ‘유아’, ‘안전’, ‘영아’, ‘유아교육기관’ 등의 키워드가 가장 큰 중요성과 영향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CONCOR 분석 결과 총 4개의 군집이 형성되었다. 군집별 키워드들의 내용을 참고하여 ‘유아교육기관의 대응과 정보’, ‘원격 수업’, ‘코로나 지원’, ‘영아’ 등으로 명명하였다. 이를 토대로 향후 자연재해나 전염병 확산 등의 재난상황에서 유아안전에 필요한 대응체계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keywords relatede to preschooler safety through informal big data. For this purpose, big data on preschooler safety were defined as a collection of web-based text documents via the online channel Naver and Daum for the COVID-19 period. Specifically, a total of 21,485 articles and blog texts were collected using the search terms ‘COVID-19+preschooler+safety’. Subsequently, the top 50 keywords were selected based on TF-IDF, formed a semantic network, and identified major keywords through centrality and CONCOR analysis through UCINET6 and NetDraw programs. The results show that the keywords with highest centrality was ‘COVID-19’, ‘safety’, ‘preschooler’, ‘early childhood education’, ‘infant’ etc.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e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related to preschooler safety. According to CONCOR analysis, four major keywords were identified: ‘information and respons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distance education’, ‘support for COVID-19’ and ‘infant’. Based on this, the plans for preschooler safety and policy improvement in the future disaster should be considered.

      • KCI등재

        아버지의 공동양육행동(coparenting) 관련 변인: 결혼생활의 질과 정서적 특성

        이경선 ( Lee Gyeong Seo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연구 Vol.37 No.4

        아버지의 양육행동에 영향을 주는 생태학적 맥락은 다양하다. 그러나 아버지의 공동양육행동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인에 대한 탐색은 어머니의 연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찾아보기 어렵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아버지의 공동양육행동에 영향을 주는 결혼생활의 질과 개인의 정서적 특성 변인들 즉, 결혼만족도, 부부갈등, 우울, 자아존중감, 행복감 등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7차)자료를 활용하여 평균 75.12개월의 유아가 있는 아버지 908명을 최종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의 공동양육행동과 결혼만족도 부부갈등, 우울, 자아존중감, 행복감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결혼생활의 질 관련 변인과 아버지의 정서적 특성 변인들은 공동양육행동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갈등적 양육행동유형은 결혼갈등과 자아존증감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속연구로는 아버지의 결혼생활의 질과 정서적 특성에 근거하여 구체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부모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제언한다. Despite the coparenting role of fathers has been increasingly emphasized in South Korea, little research has focused on fathers coparenting and exploring variables influencing it. This study aimed to answer two major questions. First, what kind of relationship does exist between fathers coparenting types and theirs psychological variables, marital satisfaction, marital conflict, depression, self-esteem and happiness. Second, how fathers psychological factors influence their coparenting type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responses of 908 fathers from 7th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Data analysis used in this study are frequencies, Pearson s R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major finding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fathers coparenting and five psychological variables generally showed a very close relationship. Second, fathers psychological factors influenced their coparenting types. Specifically, the variables influencing conflict coparenting type were marital conflict and self-esteem. The variables influencing affection coparenting type were happiness, marital satisfaction, depression and marital conflict. And the variables influencing integrated coparenting type were happiness, marital satisfaction, and marital conflict. These findings revealed that fathers coparenting have related with his emotional state. So psychologically positive state of father is very important to supportive coparenting and parent relationship quality in his family.

      • KCI등재

        유아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 연구

        이경선 ( Lee Gyeong Seon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7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4 No.1

        본 연구에서는 유아변인, 어머니변인, 아버지변인, 교사변인 중 유아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7차)자료를 활용하여 평균72.12개월의 유아가 있는 972가구와 유아교육기관의 교사 972명을 최종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변인 중에서 유아의 행복감을 설명하는 변인은 자아존중감, 학업능력(언어문해), 사회적유능감(주장성)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변인 중에서는 양육효능감, 애정적 부모간양육행동, 행복감, 통제적 양육행동, 통합적 부모간양육행동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버지변인 중에서는 양육스트레스, 행복감, 애정적 부모간양육행동이 유아의 행복감을 설명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사변인중에서는 유아의 기관에 대한 선호도가 주요 변인으로 나타났다. 후속연구로는 유아교육기관관련 변인들 중 유아의 행복감에 영향을 주는 변인에 대한 탐색연구를 제언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variables related to happiness of young children and to investigate magnitude of the association between the variables and the happiness of young children based on an ecological approach.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responses of 972 families from 7th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The variables defined in this study can be classified as four categories. First of all, young children`s variables included sex, birth order, number of private education, self-esteem, peer interaction, academic ability, social competence, school readiness. Second, the following factors were suggested as the mothers`s variables: age, educational level, occupational status, parenting efficacy, happiness, parenting stress, parenting behavior, coparenting, parent-child interaction, marital satisfaction, marital conflict, depression, self-esteem, happiness, family interaction. Third, a number of factors such as father`s age, educational level, parenting efficacy, parenting stress, happiness, parenting behavior, coparenting, parent-child interaction, marital satisfaction, marital conflict, depression, self-esteem, father`s happiness, family interaction, income level, residential areas were identified as fathers` variables. Fourth, teachers` variables included age, educational level, total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teaching efficacy, teacher-child interactions, type and preference for preschool institutions, The results of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young children`s variables, self-esteem, academic ability(literate language), social competence(assertiveness)were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explaining young children`s happiness. Second, the significant factors among mothers` variables were parenting efficacy, happiness, coparenting(affection, integrated), parenting behavior(control). Third, the significant factors among fathers` variables were parenting stress, happiness, coparenting (affection). Fourth, it was found that preference for preschool institutions were signigicant among teachers` variables.

      • KCI등재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부모-자녀 상호작용 수준이 초등학교 학업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학습준비도 및 사회적 유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경선(Gyeong Seon Lee),김주후(Ju Hu Kim) 한국보육학회 2021 한국보육학회지 Vol.2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자녀와의 상호작용이 유아의 학습준비도와 사회적 유능감에 영향을 미치고, 그 결과 초등학교 입학 후 학업수행능력에 영향을 주는 인과모형을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3개년에 걸쳐 수집된 한국아동패널자료를 활용하여 그동안 횡단 연구들을 통해 논란이 되어 왔던 부모양육 및 유아발달의 장기효과를 검증하고, 나아가 두 가지 매개 변인이 초등학교 학업수행능력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5개 변인에 대한 상관관계 분석과 인과모형 검증을 위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연구에서 설정된 변인들 간의 관계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으며, 학업수행능력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인 변인은 학습준비도로 나타났다. 둘째, 경로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사회적 유능감, 학습준비도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학업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과 학업수행능력에 직접효과로 설정된 사회적 유능감의 경로계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고, 학습준비도의 영향은 유의미한 계수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부모관련 변인이 유아 발달에 영향을 미치지만,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자녀와의 상호작용이 아동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직접적인 장기 효과는 다각도로 논의해 보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child-rearing behaviors and parent-child interaction on academic abilities at primary school after considering two mediators (school readiness and social skills). Methods: To this end, a path analysis was conducted by utilizing longitudinal data of 866 children from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Results: The results of the analyses were as follows. First, the proposed model showed a good model fit showing a valid relationship among the selected variables. Specifically, the effects of parent-child interaction on social skills were found to be positive. Also, mother’s child-rearing behaviors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skills and school readiness. However, parent-child interaction and mother’s child-rearing behaviors did not show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academic abilities. Besides, school readiness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predictor of academic abilities.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e importance of the indirect effects of parent-related variables. In other words, although parents’ contribution to young children’s development is significant, that does not mean that parents’ behaviors and interactions with young children directly impact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at primary school.

      • KCI등재

        유아의 사교육비 지출에 대한 가구특성별 분석

        이경선 ( Gyeong Seon Lee ),김주후 ( Ju Hu Kim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0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private tutoring expenses for young children by family characteristics. Specifically, family variables(children`s age, number of children, annual income, living place) were utilized for the analysis. In addition, it was also examined whether the ratio of private tutoring expenses to monthly living cost varied by income level.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responses of 660 families whose children`s age was below 6-year-old from a nationally collected data set, Korean Welfare Panel Study(KWPS) 2007. The results of analysis were as followed. First, in terms of children`s age and number of children by family, families who have older children and less number of children spend more money for private tutoring. When it comes to the expenses by number of children, families who have higher number of children showed low ratio of participation in private tutoring. Second, private tutoring expenses by family characteristics showed that family holders` educational background(except graduate-level) and annual income were strongly associated with the ratio of participation in private tutoring. However, the expenses didn`t differ by their living place. Finally, the ratio of private tutoring expenses to annual incom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y family income level. 본 연구는 가정의 배경요인(자녀의 연령, 자녀수, 소득수준, 거주지역 등)에 따른 사교육비 지출은 어떤 추이를 보이는지, 생활비중 사교육비가 차지하는 비율은 소득수준에 따라 어떠한지 등에 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2007년 자료를 활용하여 6세 이하의 유아를 두고 있는 660가구를 최종분석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구별 평균 유아 연령 및 수에 따른 사교육 추이를 살펴보면, 연령이 높고 유아 수가 적을수록 사교육 참여율과 사교육비 지출규모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가구별 특성에 따른 사교육 추이를 보면, 대학원졸업을 제외하고 가구주의 학력과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사교육을 실시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생활비 중 사교육비가 차지하는 비율을 소득수준별로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들은 전국규모의 자료에서는 대도시가 아닌 군 지역에 거주하거나 낮은 소득의 가구라 할지라도 사교육비 지출수준이 결코 낮지 않다는 사실을 보여주며, 소득이 높은 가구나 낮은 가구나 비슷한 비율(생활비 중 사교육비가 차지하는 비율)의 사교육비를 사용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