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곁굴염이 동반된 특발안와염의 임상양상

        이가현(Ka Hyun Lee),윤진숙(Jin Sook Yoon) 대한안과학회 2017 대한안과학회지 Vol.58 No.7

        목적: 특발안와염(idiopathic orbital inflammation, IOI)에서 코곁굴염이 동반된 경우의 임상양상을 밝힌다. 대상과 방법: 2009년 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IOI로 진단받은 환자들의 기록을 후향적으로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영상검사를 비롯한 의무기록이 존재하며, 12개월 이상 경과 관찰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은 코곁굴염의 유무에 따라 두 그룹으로 나뉘어 분석되었다. 결과: 101명의 IOI 환자 중 13명(12.9%)에서 코곁굴염이 확인되었다. 증상 중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가 코곁굴염이 동반된 경우(69.2%) 그렇지 않은 환자에서보다 더 많았다(25.0%, p=0.003). 재발은 코곁굴염이 동반된 경우 69.2%, 코곁굴염이 동반되지 않은 경우 34.1%로, 코곁굴염이 동반된 경우에 더 많았다(p=0.033). 추가적인 면역억제제나 방사선 치료가 필요했던 경우도 코곁굴염이 동반되지 않은 환자에서 9.1%, 동반된 환자에서 38.5%로, 코곁굴염이 동반된 경우 더 많았다(p=0.039). 결론: IOI 환자에서 코곁굴염이 동반된 경우 스테로이드 치료 후 재발하는 빈도가 더 높았다. IOI에서 코곁굴염이 동반된 경우에는 더욱 세심한 치료가 필요하며, 코곁굴염에 대한 적절한 치료가 도움이 될 수 있다. <대한안과학회지 2017;58(7):776-781> Purpose: To investig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idiopathic orbital inflammatory disease (IOI) with paranasal sinusitis. Methods: This study is a retrospective, comparative case series of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IOI between January 2009 and December 2016. This study included patients with available medical and radiologic data at diagnosis and who participated in follow-up for more than 12 months after treatment.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accompaniment of paranasal sinusitis and were compared. Results: Among 101 patients with IOI, 13 (12.9%) were identified to have paranasal sinusitis. The incidence of pain was higher in patients with sinusitis (69.2%) than in patients without sinusitis (25.0%, p = 0.003). More patients with paranasal sinusitis experienced recurrence after systemic steroid therapy (69.2%) than in the other group (34.1%, p = 0.033). Additional immunosuppressants and/or radiation therapy were needed only in 9.1% patients without sinusitis but in 38.5% patients with sinusitis (p = 0.039). Conclusions: IOI patients with sinusitis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recurrence rate. More careful follow-up of patients during steroid tapering and treatment of sinusitis might be helpful to prevent recurrence of IOI. J Korean Ophthalmol Soc 2017;58(7):776-781

      • 스마트 패션산업 발전을 위한 딥러닝 기반의 의류 이미지 분류 연구

        이가현 ( Ka-hyun Lee ),고지연 ( Ji-yeon Ko ),박주희 ( Ju-hee Park ),허종욱 ( Jong-uk Hou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2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9 No.2

        프로젝트 테마는 ‘CNN 딥러닝 모델을 기반으로 한 AI 가상 옷장’이다. 딥러닝 기술을 웹페이지에 적용시켜 사용자의 옷장 속에 있는 옷들을 자동으로 저장해서 관리해준다. 의류 이미지를 수집하고 딥러닝 모델을 통해 이미지를 학습시키고 분류하여 저장함으로써 사람들이 옷을 쉽게 찾을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한다.

      • KCI등재

        제국 일본의 남양 관련 문헌 : 야마다 기이치(山田毅一)의 『남양대관(南洋大觀)』(1934)을 중심으로

        이가현(Lee, Ka-hyun),김보현(Kim, Bo-hyun)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21 일본연구 Vol.36 No.-

        미크로네시아 지역은 과거 서구열강과 일본 등 많은 나라의 세력이 충돌하였던 곳으로, 1914년부터 태평양전쟁이 종결되는 1945년까지는 일본에 점령되어 ‘남양군도’라 불리었다. 일본의 ‘남양군도’에 대한 본격적인 이권 개입은 다이쇼 시대 때부터였으나, 일찍이 메이지 시대 때부터 이 지역과의 무역 가능성에 주목하여 경제적 이점에 중점을 둔 ‘남진론’이 주창되고 있었다. 다이쇼 시대 ‘남양군도’에 대한 일본의 이권 개입과 함께 ‘남진론’이 공론화되는 과정을 거쳐, 쇼와 시대에는 이 지역이 군사적 요충지로 부상하여 제국 일본의 ‘대동아공영권’ 구상과 함께 사유되었다. 이처럼 약 30년에 이르는 시기 동안, 일본의 ‘남양군도’에 대한 사회 제 분야의 관심과 인식, 정책 등은 다양한 문헌의 발간으로 표출되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논문은 제국 일본의 ‘남양’에 대한 정책과 인식의 변화를 메이지 시대부터 1945년까지 ‘남양’에 대한 주요 서적들의 출간 동향과 성격을 통해 도출하고자 한다. 그리고 ‘남양’에 대해 다수의 저서를 남긴 야마다 기이치(山田毅一)라는 인물에 주목하고자 한다. 야마다 기이치는 메이지 시대부터 쇼와 시대까지 ‘남양’ 관련 저서를 연속적으로 저작한 드문 인물이다. 그의 저서들은 ‘남양’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제 분야에 걸쳐 기술되어 있다. 따라서 일종의 ‘남양의 종합서’로 볼 수 있으며, 당시 이 지역에 대한 정보와 사실들을 폭넓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그의 저서들은 ‘남방관여’부터 ‘남진론’, ‘대동아공영권’과 같이 일련적으로 이루어진 일본의 ‘남양’에 대한 정책과 그의 ‘남양’ 인식의 변화를 동시에 살펴볼 수 있게 한다. 본고는 이러한 연구를 통해, 현재 국내의 ‘남양’에 대한 기초 연구의 공백을 채우고, 이 지역에 대한 개념을 명료하게 하고자 한다. 또한 다양한 문헌들의 조사, 연구를 통해 일본의 ‘남양’에 대한 정책을 어느 한 시대에 한정하지 않고 통시적으로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최종적으로는 ‘남양’에 관한 야마다의 저서를 통해 이 지역에 대한 일본인의 인식 변화를 입체적으로 밝혀내고자 한다. The Micronesia region was a region where many countries, including the Western Powers and Japan, clashed in the past, and was occupied by Japan from 1914 to 1945, when the Pacific War ended, and was called the “Nanyo Gunto (South Seas Islands)”. Japan’s full-fledged intervention in the “Nanyo Gunto” be-gan in the Taisho period(1912-1926), but since the Meiji period(1867-1912), the “Nanshin-ron (Southern Expansion Doctrine)” has been advocated, focusing on economic benefits by paying attention to trade possibilities with the region. After Japan’s involvement in the “Nanyo Gunto” during the Taisho period and the “Nanshin-ron” were publicized, the area emerged as a military hub during the Showa period(1926-1989) and was thought over along with the idea of “Greater East Asia Prosperity Sphere” by Imperial Japan. For about 30 years, various liter-ature has been published on the interests, perceptions, and policies of various so-cial fields of Japan’s “Nanyo Gunto”. With this background, this paper attempts to derive the change in policy and perception of “Nanyo (Southeast Asia)” in Imperial Japan based on the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major books on “Nanyo” from the Meiji period to 1945. Also,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Yamada Kiichi, who left many books on “Nanyo”. Yamada wrote a series of books related to “Nanyo” from Meiji to Showa, and his books cover various fields of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Therefore, it can be seen as a comprehensive book of “Nanyo”, and information and facts about the area at that time can be widely known. His book shows a series of Japanese policies toward “Nanyo”, such as “Nanpo kanyo(Involvement in the South Pacific)”, “Nanshin-ron” and “Greater East Asia Prosperity Sphere”, and his perception of “Nanyo”. Through these studies, this paper fills the gap in basic research on “Nanyo” and clarifies the concept of the region. In addition, through various literature research, Japan’s policy toward the “Nanyo” is not limited to one era, but also aims to pres-ent it throughout the time. Finally, Yamada’s book on “Nanyo” reveals the change in Japanese perception of the region, especially through Nanyo Taikan(1934).

      • KCI등재

        三島文學における自己改造と女性像『美德のよろめき』論

        이가현 ( Lee Ka-hyun )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구 고려대학교 일본연구센터) 2017 일본연구 Vol.28 No.-

        本論文は、『美德のよろめき』を自己改造に着目して、節子の愛し方による精神改造と性交涉や中絶による肉體改造を通して表れる節子の自己形成過程を分析し、三島がいかに女性人物を通して自主的な人間を描いているのかについての檢討をおこなう。 1950年前後、自由な戀愛の定着にともなって文學界においては女性向けを中心とする中間小說が流行していた。こうした中間小說という作品群は男女の戀愛を主なテ一マとしており、文芸誌に發表された作品とは違って學問的な關心が向けられることがほとんどなかった。にもかかわらず、誰よりも熱心に『婦人公論』、『マドモアゼル』、『婦人朝日』など多くの女性誌に作品を發表した作家が三島由紀夫である。 1952年、三島は世界一周を契機に「自己改造」を試み、その一環として1955年から本格的な肉體鍛?、ボディビルをはじめる。三島が「自己改造」を揭げて肉體の改造に着目したのは、自分に欠如した肉體と過剩である精神のバランスを取るためであって、三島は肉體改造を通して精神と肉體の照應を目的とした自己を形成していく。本論文で注目したいのはこうした三島の自己改造、特に肉體改造が、彼の文學世界における登場人物の自己形成の過程と類似していることである。現實の三島が肉體改造の過程において得た「生きている人間」という感覺が、作品において登場人物が自己を探し求めていく過程で感じる人間としての主體性と重なるのである。 こうした三島の自己改造の過程にあったのが當時の社會的論点であるボディビルと中絶であり、三島は『美德のよろめき』においてそれらを用いて個人の自己形成過程を顯著に示し、作品の核として女性像を描いている。この觀点から分析をおこなうことで、節子の自己改造が、作家三島が描いている主體的な人間像とどのような關係にあるのかを明確にする。 This paper investigates Mishima Yukio’s novel Bitoku no Yoromeki (Misstepping of Virtue, 1957) focusing on the female protagonist Setsuko and her self-transformation. By analyzing how she transforms spiritually through love and physically through sexual intercourse and abortion, we examine how important female characters were to Mishima in his depictions of strong, independent people. Around 1950, with open acknowledgement of free love and extramarital and pre-marital affairs, Middlebrow Novel centering on women became prevalent in literary circles. These Middlebrow Novel mainly focused on romances between men and women, and, unlike works published in literary magazines, making it a hitherto largely unexplored. Nevertheless, Mishima Yukio enthusiastically published works in many women's magazines. In 1952, Mishima attempted “self-transformation,” triggered by the round of the world, and, as part of it, tried full-scale physical exercise and bodybuilding from 1955. Mishima focused on the remodeling of the body with “self-transformation” to balance the missing body and excessive spirit. Mishima started to set out to create a new self for mental and physical anaphora by transforming himself physically.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direct attention to the self-transformation of Mishima, especially physical remodeling, which is similar to the process of self-formation of characters in his literary world. The feeling of becoming "a living human being" in reality Mishima obtained through the process of physical remodeling, and this physical reality overlapped with the subjectivity of the human being who the character feels he is in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himself in his work. Bodybuilding and abortion, two hotly debated social issues at the time, were key in this process of self-transformation. In Bitoku no Yoromeki, too, Mishima makes remarkable use of these two concepts to present the transformation of an individual. Moreover, it is the woman who occupies a central position in this work. By approaching the novel from this angle, we can clarify how Setsuko’s self-transformation is related to Mishima’s depictions of independent human beings.

      • KCI등재

        노년기 부부의 관계만족도와 우울의 종단적 변화 사이의 관련성: 이자성장 행위자-상대방 상호의존 모형의 적용

        이가현 ( Ka-hyun Lee ),정성창 ( Seong-chang Jeong ),장승민 ( Seungmin Jahng ) 한국조사연구학회 2017 조사연구 Vol.18 No.4

        본 연구는 노년기 부부의 남편과 아내가 경험하는 부부관계 만족과 우울이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모형화하고, 부부관계 만족의 변화가 우울의 변화를 어떻게 설명하는지를 확인하였다. 분석에는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수집하는 고령화연구패널조사(KLoSA)의 1차(2006)부터 5차(2014)까지의 종단 짝 자료가 사용되었다. 본 연구는 남편과 아내의 상호의존성을 고려하여 ‘부부’를 분석 단위로 하는 통계모형을 적용하였다. 부부관계 만족과 우울의 변화 궤적에 대한 분석에는 이자성장모형(DGM)이 사용되었다. 이 변화 궤적들 사이의 상호의존적 관련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이자성장 행위자-상대방 상호의존 모형(DG-APIM)을 제안하고 이를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조사 기간 동안의 부부관계 만족의 평균은 남편이 아내에 비해 더 높았지만 관계 만족의 감소율도 더 높았다. 또한 남편의 우울은 아내에 비해 평균적으로 더 낮았지만 시간에 따라 더 크게 증가하였다. 남편과 아내의 우울 평균 수준은 배우자의 부부관계 만족의 평균 수준에 의해 설명되는 상대방 효과를 보였으며, 우울의 변화율의 크기는 자신의 관계 만족의 변화율의 크기에 의해 설명되는 자기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남편과 아내의 부부관계만족도와 우울 사이에 종단적 상호의존성이 존재한다는 것과 우울의 결혼 불화 모형이 종단적 변화에서도 지지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how elderly husbands and wives' marital satisfaction and depression change over time and examined how changes in marital satisfaction account for changes in depression between and within the dyads. The longitudinal dyadic data from the first wave(2006) to the fifth wave(2014)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KLoSA), collected by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were used for the analyses. Because husbands and wives are interdependent within couples, we applied statistical models for dyadic data. The dyadic growth model(DGM) was used to model the trajectories of marital satisfaction and depressive symptoms. In order to analyze the association of these growth factors, we proposed the dyadic growth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DG-APIM) and applied the model to the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on average the husbands’ marital satisfaction was higher but decreased faster over the course of the study than the wives’. It also showed that the average depression of the husbands was lower than that of the wives but the husbands’ depression increased faster than the wives’ over the course of the study. The variance of the averages of husbands’ (wives’s) depression was accounted for by that of wives’(husbands’) marital satisfaction, showing a partner effect. The variance of the slopes of husbands’(wives’) depression was accounted for by that of marital satisfaction of themselves, showing an actor effect.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is a longitudinal interdependence between husbands and wives’ marital satisfaction and depression and supported the marital discord model of depression.

      • KCI등재

        대중문화로 소비되는 <여성혐오>에 대한 고찰 ― 미시마 유키오(三島由紀夫)의 ‘중간소설’을 중심으로 ―

        이가현 ( Lee Ka-hyun ) 한국일본어교육학회 2021 日本語敎育 Vol.- No.97

        This paper analyzes Mishima Yukio's view of women through his Middlebrow Novels. By examining the fact that Mishma, who expressed “Misogynistic” remarks through numerous media, on the other hand portrays women as sexual actors on an equal level with men in many works through popular media, grasp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opular culture and women, this paper discusses the misogynistic ideas of Mishima. The characteristic of Mishima, which can be seen from its relationship with various popular magazine media, is that it depicts a lot of genres called “Middlebrow Novels” that appeared as a popular one, and mainly for women. However, the main themes of the Middlebrow Novels, “Love,” especially Shizumeru Taki (The Sunken Waterfall, 1955) and Bitoku no yoromeki (The Misstepping of Virtue, 1957), which are based on the popular theme of “Adultery”, were published not through women's magazines or popular magazines, but through Chuokoron and Gunzo, which are general magazines and literary magazines for the male elite. It can be seen that Mishima did not treat these works only as popular readings, but also consciously engaged in creative activities while assuming the reader base through the mass media called magazines. Contrary to Mishima’s view of women in misogynistic remarks and essays that assert women as inferior and are seen as subordinates of men, it is confirmed that women are portrayed as “subjects” with spirituality in the Middlebrow Novel works. In this way, Mishima’s abhorrent remarks about women are deliberately made under a negative stance and can be read as rather ironic.

      • KCI등재

        자동차 음성인식 인터랙션의 안전감과 만족도 인식 영향 요인

        김지현(Ji-hyun Kim),이가현(Ka-hyun Lee),최준호(Jun-ho Choi)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8

        커넥티드카 시스템에서 인공지능 음성인식 인터페이스 기기를 통한 주행 안내 및 엔터테인먼트 서비스가 상용화되고 있다. 이 연구는 차량용 음성 에이전트의 개발사를 IT와 자동차 제조사로 구분하여, 운전자의 안전감과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에이전트의 퍼소나와 사용자 경험 속성들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자동차 시물레이터 주행 실험에서, 참가자들은 음성인식 에이전트를 통해 엔터테인먼트와 내비게이션 조작 과제를 수행하고 안전감과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안전감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선행요인은 에이전트 제조사의 신뢰도였으며, 퍼소나 요인은 따뜻함과 매력으로 나타났고, Ux요인에서는 효율성 과 배려로 나타났다. 만족도에서는 선행요인 중 에이전트 제조사의 일치 여부와 운전자 성별이, 퍼소나 속성은 거리감 적음, Ux 측면에서는 편리성, 효율성, 사용 용이성, 배려가 유의미한 영향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의의와 기여점은 자율주행 환경에서 대화형 VUI를 핵심 인터랙션 모드로 발전시키기 위해 어떤 요인들을 우선해야 할 것인지 선별한 실증적 결과를 제시한 데 있다. Services for navigation and entertainment through AI based voice user interface devices are becoming popular in the connected car system. Given the classification of VUI agent developers as IT companies and automakers, this study explores attributes of agent persona and user experience that impact the driver’s perceived safety and satisfaction. Participants of a car simulator experiment performed entertainment and navigation tasks, and evaluated the perceived safety and satisfaction.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credibility of the agent developer, warmth and attractiveness of agent persona, and efficiency and care of the Ux dimension showed significant impact on the perceived safety. The determinants of perceived satisfaction were unity of auto agent makers and gender as predisposing factors, distance in the agent persona, and convenience, efficiency, ease of use, and care in the Ux dimension. The contributions of this study lie in the discovery of the factors required for developing conversational VUI into the autonomous driving environment.

      • KCI등재

        실패한 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에서 내시경적 재개통술 시트리암시놀론을 적신 코충전물의 효과

        정영훈(Young Hoon Jung),이가현(Ka Hyun Lee) 대한안과학회 2017 대한안과학회지 Vol.58 No.5

        목적: 실패한 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 환자에서 트리암시놀론을 적신 코충전물로 내시경적 재개통술을 시행하여 효과적으로 치료한 증례가 있어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4명(4안)의 환자가 코 경유 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 후 눈물 흘림 증상이 재발하여 내원하였다. 국소마취 후 비강 내시경하뼈 구멍 주변의 육아종과 막성 조직을 제거하였으며, 술자의 판단에 따라 부가적으로 뼈 구멍을 확장하였다. 트리암시놀론을 적신 합성스펀지(Nasopore )로 코안 충전 후 수술을 마쳤다. 실리콘관은 술 후 12주 이상 경과 관찰 후 제거하였으며, 제거 후 시행한 관류 검사 및 비강 내시경 검사에서 특이 이상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고 눈물 흘림 증상 또한 없었다. 발관 이후 6개월 이상 지속적으로 경과 관찰하였고,4명 모두에서 눈물 흘림의 재발은 없었다. 결론: 실패한 코 경유 눈물주머니 코안연결에서 내시경적 재개통술이 필요한 경우, 부가적인 트리암시놀론을 적신 코충전물 활용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대한안과학회지 2017;58(5):586-590> Purpose: To evaluate the efficacy of endonasal revision using triamcinolone-soaked nasal packing in patients exhibiting recurrence of epiphora after endoscopic dacryocystorhinostomy. Case summary: Four patients (4 eyes) who presented with the chief complaint of recurrence of epiphora after endoscopic dacryocystorhinostomy underwent endonasal revision under local anesthesia. On nasal endoscopy, granulation tissue and membranous tissue around the osseous foramen was removed during endonasal revision. According to the operator’s judgement, the osseous foramen was additionally expanded. Following insertion of a silicone tube, triamcinolone-soaked nasal packing was used for intra-nasal packing. The silicone tube was removed after follow-up of more than 12 weeks. Immediately after removing the silicone tube, there was free passage of saline on lacrimal syringing as well as complete resolution of epiphora. At over 6 months of follow-up after tube removal, there was no recurrence of epiphora in any of the 4 patients. Conclusions: Triamcinolone-soaked nasal packing may be considered in patients with failed endoscopic dacryocystorhinostomy. J Korean Ophthalmol Soc 2017;58(5):586-590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