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일제강점기 ‘풀뿌리 식민자’의 조선 이주 - 구포 ‘향도(向島)’ 지역 이주 일본인의 생애를 중심으로

        이가연(Lee, Ga-Yeon)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20 동북아시아문화학회 국제학술대회 발표자료집 Vol.2020 No.07

        Since the annexation in 1910, the Japanese government has made numerous policies for colonial rule. In order to apply these policies to the colonies, the subject of action was essential. In the process, the Japanese who lived in Chosun became representatives of colonial power and faithfully performed their roles. Tadao Kuzume(葛目忠雄), an ordinary Japanese, moved to Chosun in 1912 with the determination that he would never go back to Japan. And he set up a base for his life in Gupo "Hyangdo", He mainly ran an orchard here. In 1927, he moved to Buam-ri, Seomyeon, Dongnae-gun and ran a grape farm. In 1939, 27 years after he moved to Chosun, he left Chosun and went to Manchuria to work in the automobile repair business. And when he heard that Japan lost the war, he left Manchuria on August 9, 1945 and returned to the port of Sasebo in Nagasaki on October 5, 1946. After that, he went around Nagasaki and Kumamoto to do business, and eventually resumed his grape business in Kumamoto. In the early and mid-20th century, Tadao Kuzume moved to Japan-Chosun-Manchuria following the expansion of the Japanese empire, and "successful" here, where he could stand superior as a colonial ruler. It was possible for him to "success" in the colony because of the background of the "Japanese Empire," although individual efforts were of course important.

      • 초기 성인기의 성인애착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기자비의 매개효과와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조절효과

        이가연 ( Lee Ga Yeon ) 한국인지행동치료상담학회 2021 인지행동치료상담연구 Vol.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초기 성인기의 성인애착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와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경기 지역에 거주하며 초기 성인기에 해당하는 17-40세의 남녀 430명을 대상으로 친밀관계경험 질문지, 자기자비 척도, 스트레스 대처전략 척도를 사용하여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 Win 21.0과 SPSS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독립표본 t검정, Pearson 상관관계분석, 단순회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자비는 성인애착과 우울 간의 관계에 대해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트레스 대처전략은 성인애착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 및 제한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tress coping strateg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depression in early adulthood. In this study, 430 men and women aged 17 to 40 living in Seoul and Gyeonggi-do were surveyed using intimacy experience questionnaires, self-compassion scales, and stress coping strategy scales. For data analysis, mean,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sample t-test,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ierarchical medium regression analysis, and bootstrapping were performed using SPSS Win 21.0 and SPSS PROCESS Macro.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lf-compassion was found to have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depression. Second, the stress coping strategy was foun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depres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subsequent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개항장 원산과 일본 상인의 이주

        이가연(Lee, Ga-Yeon)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20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63

        Wonsan was the second open port in Chosun. As a good port of Donghae, were able to obtain fish products, and it was a key point where agricultural products from Hamheung Plain and minerals from Gangwon Province could be traded at once. In the early days of Wonsan"s opening, few Japanese wanted to move to this place, where the climate and terrain were low. It was not a good condition for the Japanese to grow economically, because as merchants of the Qing Dynasty held commercial power until the outbreak of the Sino-Japanese War. However, as Wonsan became a the center of operations in the Sino-Japanese War, the Japanese in Wonsan were able to grow. The open port areas of Wonsan included Japanese residents’zones where lots of public agencies, financial institutions and autonomous bodies and early established in order to provide a variety of perks to the Japanese immigrants so that they could do economic activities without inconvenience and develop as capitalists in Chosun. Japanese people who developed as upper-class capitalists working in Wonsan had some aspects in common. First, they had already had commercial experiences before getting into the open port areas with thorough plans. Second, some of them who engaged in trading or brokerage business that tended to be very profitable from the onset were more successful. Third, they more often ran trading businesses, brokerage ones and the stores of miscellaneous goods to be a bigger capitalist. Fourth, they acquired rights and interests by actively collaborating with the Japanese military during the Sino-Japanese War and the Russo-Japanese War. Third, they set up their networks in order to firmly establish their position as upper-class capitalists by organizing a trade association or a chamber of commerce. Sixth, they got successors to maintain or expand their business keeping in connection with Chosun even after have been successful in the country. They were also willing to settle in Chosun by opening their offices in many places of the country in an effort to diversify their business.

      • KCI등재

        부산의 "식민자" 후쿠나가 마사지로 [福永政治郞(복영정치랑)]의 자본축적과 사회활동

        이가연 ( Ga Yeon Lee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5 石堂論叢 Vol.0 No.61

        부산의 ‘재계 4雄’ 중 한 사람이자 조선 ‘식민자’인 후쿠나가 마사지로는 1864년 1월 5일 일본 오우미 간자키군에서 태어났다. 그는 1886년 1월, 23세에 부산에서 다카세상점을 경영하고 있던 숙부 다카세 마사타로의 권유로 도선하여 50여 년을 부산의 대자본가로 군림하였다. 원래 일본으로부터 잡화를 소액으로 수입하여 판매했던 다카세상점은 후쿠나가의 권유로 면포의 수입 판매를 주 업무로 한 이후 엄청난 부를 축적하였다. 그는 다카세상점의 기초가 어느 정도 자리 잡힌 1900년대 중반부터 면화 재배를 시작하였고 아울러 1910년대에는 본격적으로 토지 매수와 간척사업을 진행하여 대지주가 되었다. 소작제 농장경영을 통한 면화와 미곡의 일본 유출과 판매는 총독부의 당시 시책과 어우러져 소강상태에 접어든 면포의 수입 판매 활동보다 훨씬 더 높은 수익을 보장하였다. 한편 후쿠나가는 부산상업회의소 특별의원, 부산일보사 대주주, 조선와사전기 대주주 등의 활동을 하면서 부산의 지역 원로로서 우월한 사회경제적 지위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그는 부산의 대표적 자본가 가시이 겐타로와 함께 부산상업실천학교를 설립하였고 종교적 신념을 바탕으로 부산 재조일본인사회 최초의 기부단체인 부산공생원 설립에 주도적 역할을 하였으며 활동영역을 경성으로까지 넓혀 화광교원 설립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그러나 그의 조선에서의 모든 활동은 ‘국가주의’의 실현이었고 활동의 결과는 ‘식민주의’와 분리될 수 없었다. 즉후쿠나가는 전형적인 ‘풀뿌리 식민자’의 모습을 하고 있었다. Considered as a ‘colonizer’ or ‘financial magnate’ in Busan, Fukunaga Masaziro, a Japanese colonial settler, was born in Oumi, 1864. He moved to Busan in 1886 when he became 23 by the recommendation of his uncle Takase Masaziro. In Busan, he started to build his foundation by Takase store. Originally, this store was a small store that sells general merchandise have imported from Japan, but he went ahead with business around and imported a cotton doth. And he also collected a land using the accumulated capital as well as another settler. Increased volume of business through a large land management and cotton doth boom, finally, Fukunaga changed a company sistem from just trader store into the corporation of Takase, and proceeded in earnest that plantations management and land reclamation project. Meanwhile, He was also an active in Busan as the special deputies in the chamber of Commerce(商業會議所), major shareholder of the Busan-Ilbo and the Chosun gas electricity, had a superiority the socio-economic status as elder statesman of Busan. And personal connections with local dignitaries that have been formed in the foundation the region of Busan, made him possible for a stable social activities. Fukunaga established the Busan Commercial Practice school(釜山商業實踐學校) with his friends Kasai Kentaro, he had a leading role in the establishment of Busan-Gongsengwon(釜山共生園) that was based on the Buddhism, and embarked in the establishment of Whagwangkyowon(和光敎園) in Kyungsung. At least, he wasn``t to simply capitalist in Chosun. He participated actively in Imperialist ideology under the ‘Chosun and Japan are One(內鮮一體)’ policy, he was keen to be ‘soothing’ the Chosun people. All his activities in Chosun was for realization of nationalism, result of his activity can``t separated with colonialism. Finally, Fukunaga was a typical “Grassroots colonizer.”

      • KCI등재

        부사「よく」의 평가용법의 의미론적 고찰

        이가연 ( Ga Yeon Lee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3 日語日文學硏究 Vol.87 No.1

        현대일본어의 부사 ‘よく’의 평가용법은 빈도나 정도의 용법과는 기본적인성질부터 달리한다. 그에 대한 구체적인 검토를 위해 평가를 나타내는 ‘よく’의문장의 특징을 고찰하고 그를 바탕으로 의미적 특징을 밝히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선행연구를 통해서는 평가를 나타내는 ‘よく’에 적어도 두가지 의미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의문문이나 명령문 그리고 의지의 모달리티와는 공기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본고에서 다루고자 하는 구체적인 문장의 특징 및 두 가지 이상의 의미가 나타나는 이유에 대해 구체적으로 밝히고 있는 연구는 찾아볼 수 없었다. 연구방법으로는 같은 조건에서 용례를 수집했을 경우, 평가용법이 어느 정도의 비율을 차지하는지 확인하고 빈도, 정도의 용법과는 구별되는 특징이 무엇인지 검토하였다. 그 결과 전체용례 중 평가의 용법으로 사용된 예는 10%를 넘지않는 매우 적은 비율이었고, 문체에 따라 분류한 결과 대부분 회화문에 사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용례를 평가의 ‘よく’가 문장 안에서 어디에 위치하는지, 후속어를 동반하는지, 수수표현 및 가능표현과 공기하는지, 부정문으로 쓰이는지 라는 다섯개의 항목을 가지고 검토하였다 그 결과, 평가를 나타내는 ‘よく’는 문두지향성(文頭指向性)이 강하고, 후속어를 동반하는 용례는 100% 평가용법이었으며 수수표현 및 가능표현과의 공기가 빈번히 일어났다. 또한 대부분 긍정문에서만 사용되고 있었다. 그리고 의미에 따라 용례를 분류한 결과, <칭찬>,<환영>,<감탄>,<비난>의 의미로 분류되었는데, 네 가지 의미로 분류되는 것과는 상관없이 공통적으로 보이는 특징이 있었다. 그것은 모든 명제가 화자의 예상과 다를 경우에 ‘よく’가 등장한다는 사실이다. 결국 긍정적 평가든 부정적 평가든 모두 같은 내부구조를 가지고 있고 예상과 다른 명제가 실현된 것에 대한 화자의 평가를 나타내는 것이 ‘よく’의 특징이라 말할 수 있다. 또한 평가를 할 때 그 기준이 되는 것은화자의 인식 속에 있으며 평가라는 것 또한 화자의 판단이므로 평가를 나타내는 ‘よく’가 대부분 회화문에 나타나는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요컨데 평가를 나타내는 ‘よく’의 의미적 특징은 화자의 예상을 기준으로 예상외의 사태와 그에 대한 화자의 평가라고 말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ntence including “yoku” with the meaning of evaluation and to confirm the semantic characteristics based on that for the concrete consideration. The advanced research showed that there are at least two meanings in “yoku”. However, I could not find any research to determine about the reason why there are at least two meanings in that case and the detailed characteristics of the sentence that will be shown in my research. Firstly, as the way of the research, when an example was collected from the same conditions, I considered the percentage of the evaluative usage and the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s different from the usage to measure the frequency or the quantity. The result was that the proportion of the evaluative usage was under 10% out of all the samples, and I could confirm that they have been used in the colloquial literature in most cases. And I analyzed the samples with the 5 criteria. As a result, I could find that there is a tendency to come first in the sentence when “yoku” has the meaning of evaluation, and when it is cataphoric, the usage was always evaluation usage and frequently used together with benefactive expression or possibility expression. And in most cases, it was used only in the affirmative sentence.Categorizing by the meaning, “yoku” appears when all the propositions are different from the speaker’s expectation. Eventually it can be said that they have same internal structure and the characteristic of “yoku” is to show the speaker’s evaluation on when a proposition which is differ from the expectation comes true. It can be also said that the criteria of the evaluation is in the consciousness of the speaker and as the evaluation itself is a decision by the speaker so “yoku” with the meaning of evaluation appears in the colloquial literature in most cases.

      • KCI등재

        호주장로교의 부산지역 의료선교 : 맥켄지의 부산나병원 운영과 부산부의 나환자 대책을 중심으로

        이가연(Lee, Ga-Yeon) 부산경남사학회 2021 역사와 경계 Vol.121 No.-

        호주장로교 선교부는 선교지 분담협정에 따라 부산·경남 지역에서 활동 하면서 부산, 진주, 마산, 거창, 통영에 선교지부를 개설하고 전도, 교육, 의료, 구제, 자선사업 등을 시행하였다. 특히 1902년부터 시작한 의료선교는 당시 조선인들이 서양과 기독교에 대해 가지고 있던 편견을 일소시키기에 충분하였다. 이들이 관심을 가진 의료선교 분야는 나환자들의 구료 활동이었다. 1909년 미국 북장로교 선교사 어을빈이 현 부산광역시 남구 감만동에 상애원(부산나병원)과 상애교회를 건립하였고 1910년 정식으로 개원하였다. 이듬해부터 호주장로교 선교사들이 이 곳을 인계받아 운영하였는데, 1912년 맥켄지가 원장으로 부임한 이후 시설이 계속해서 확장되었다. 이곳의 환자들은 ‘격리 수용’되어 있었지만, 그 속에서 일반 사회와 다름없는 작은 공동체 생활을 하였다. 맥켄지의 구료 활동과 부산나병원의 상황이 소문이 나자 이 부근에는 치료를 받기 위한 환자들의 행렬이 끊이지 않았다. 그러나 병원이 모든 나환자들을 다 수용할 수는 없었다. 따라서 이들은 근처에서 공동생활을 하거나 부랑 나환자로 살아가야만 했다. ‘문둥이’라고 불리며 공공연하게 사회적 혐오의 대상이 된 나환자 및 이들의 집단 거주를 바라보는 부산부민들의 시선은 불안과 공포에 휩싸여 있었다. 부산나병원의 이전, 부랑 나환자에 대한 강력한 단속 요구는 일제강점기 내내 끊임없이 요구되었다. 그러나 부산부에서는 부산나병원의 시설을 확충할만한 예산을 확보하지 못하였고, 부랑 나환자에 대해서도 단속 후 훈방 조치를 하거나, 소록도 자혜의원이 확장되고 나서는 그곳으로 일부 환자를 송환하는 것 외에 별다른 대책을 마련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나환자에 대한 편견, 차별, 혐오는 계속해서 깊어져 갔고 이러한 부정적 인식은 해방 이후 비교적 최근까지 이어지게 되었다. The Australian Presbyterian Church"s medical mission, which began in 1902, eliminated the Koreans had against Christianity at the time. In particular, they were interested in treating leprosy. In 1909, a missionary of the North Presbyterian Church in USA, established Sangaewon and Sangae church, and officially opened in 1910. And next year, this operated by missionaries of the Presbyterian Church of Australia, and the facilities have been expanded since 1912 when Mackenzie was appointed as the director. The patients here were "isolated", but they lived in a small community, just like the general community. This Hospital became popular, there was a constant procession of patients around here to receive treatment. But the hospital couldn"t accommodate all the lepers. Therefore, they had to live in a community near the hospital or as a vagrant leper. Busan citizens were anxious and terrified as they looked at the patient, who was subject to social hatred. Throughout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relocation of hospitals and a strong crackdown on vagrant lepers were required. However, the Busan Government did not have enough budget to expand the facilities of the hospital. It also stopped short of taking disciplinary measures against patients with vagaries and leprosy after cracking down on them. However, Sorokdo Jahye Hospital was expanded and some patients were repatriated there, but no other measures were taken. In this situation, prejudice, discrimination, and hatred of leprosy continued to deepen, and this negative perception continued until relatively recently after liberation.

      • 라즈베리파이를 이용한 IoT 기반 스마트 도어락 개발

        이가연(Ga-Yeon Lee),박용범(Yong-Beom Park),이동수(Dong-Su Lee),김진술(Jin-Sul Kim) 한국정보기술학회 2019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19 No.6

        이 연구는 디지털 도어락에 IoT기술을 접목한 ‘스마트 도어락’의 개발이다. 본 연구에서 구현한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도어락의 기능에 사물인터넷의 특징을 융합하였다. 근거리에서 통신할 수 있으며 서버로 데이터를 주고받도록 하였다. 보안을 강화하는 동시에 터치 한 번으로 작동 할 수 있는 편리성까지 고려하였다. 스마트 도어락의 본체는 라즈베리파이를 사용하였으며 키패드, 진동 센서, 서브 모터, 카메라, 피에조부저, 버튼을 부착하였다. 도어락에서 수집된 정보는 Firebase를 사용하여 어플리케이션으로 실시간 전송하도록 만들었다. 어플리케이션은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사용하여 제작하였다. In this research, "smart door lock" have been developed that incorporates IoT (Internet of Things) technology into digital door lock. The system implemented in this study have combined the features of the IoT with the functions of the door lock. Smart door lock has the ability to communicate at close range and both send and receive data to and from the server. Meanwhile, we considered the convenience of being able to operate with a touch while enhancing security features. The main body of the smart door lock used a Raspberry Pi with attached keypad, vibration sensor, sub-motor, camera, piezo buzzer and button. The information collected in the door lock was then sent to the application in real time using Firebase cloud technologies. The application for this smart door lock was developed with Android studio.

      • KCI등재

        심장 동종이식편 혈관병증에 대한 심장 재이식 1예

        이수연 ( Su Yeon Lee ),최진오 ( Jin-oh Choi ),김유진 ( Yu Jin Kim ),최재신 ( Jae Shin Choi ),이가연 ( Ga Yeon Lee ),김정선 ( Jung-sun Kim ),전은석 ( Eun-seok Jeon ) 대한내과학회 2016 대한내과학회지 Vol.91 No.3

        Cardiac allograft vasculopath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auses of poor long-term survival after heart transplantation. The condition tends to be diffuse, usually affecting the mid-to-distal portions of the coronary artery. Reperfusion therapy is ineffective. Everolimus, an inhibitor of proliferation signaling, has been reported to prevent development of the condition; however, the efficacy thereof has not yet been fully accepted. The only definitive treatment for cardiac allograft vasculopathy is retransplantation. Herein, we describe the case of a 15-year-old boy who underwent heart retransplantation because of rapidly progressive cardiac allograft vasculopathy. (Korean J Med 2016;91:287-291)

      • KCI등재

        식민지 ‘지역언론’에서 ‘제국언론’으로 -신문체제와 지면을 통해 본 『조선시보』의 특징과 의미-

        전성현 ( Jeon Sung-hyun ),이가연 ( Lee Ga-yeon ),배병욱 ( Bae Byoung-wook ),하지영 ( Ha Ji-young ) 부산광역시 시사편찬위원회 2019 항도부산 Vol.37 No.-

        개항 이후 부산으로 건너온 일본인들에 의해 이른 시기 창간된 『조선시보』는 당초 부산의 일본인사회를 대변하는 지역 상업신문으로 창간되었다. 그리고 조선이 식민지가 되고 식민지체제가 심화되자 식민지 전조선의 신문으로 성장하고자 했다. 나아가 제국언론으로 확장하고자 신문지사·지국의 확대는 물론 지면 구성도 제국과 식민지 전체를 다루기 위해 노력했다. 이와 같은 흐름은 현재 확인 가능한 1914년부터 1941년까지의 신문체제의 변화와 지면내용을 통해 확인 가능하다. 식민지 조선의 일본인을 위한 지역신문인 『조선시보』는 지면 구성과 게재 기사를 대략적으로 분석해 보면 몇 가지 특징을 지녔다고 할 수 있다. 먼저, 식민지 조선의 일본인들을 대변하는 신문이었기에 제국주의, 식민주의, 지역주의의 경계를 넘나 들었다. 즉, 제국주의와 식민주의의 입장에서 조선총독부를 대변하기도 했지만 지역주의의 입장에서 총독정치의 미흡한 점을 언급하거나 성토하기도 했고, 일본 본국의 정당정치와 식민정책에 대해 과감한 비판도 서슴지 않았다. 둘째, 다른 일본인 지역신문인 『부산일보』보다 경우에 따라서는 더 지역에 대해 상세히 보도했으며 그 부족한 부분을 메울 수 있는 신문이었다. 특히 식민자 측면에서는 ‘부민의 여론’과 ‘공공성’을 명분으로 사회 상층은 물론 중산층 이하의 여론까지 대변하고자 하였다. 또한 피식민자 측의 동향에도 매우 촉각이 예민하여 부산뿐 아니라 전국 각지의 조선인사회에 대해서도 당대 주요 한글신문에 보도된 내용보다 상세히 보도하거나 빠진 부분에 대한 기사도 자주 게재했다. 다만 『조선시보』가 강조하는 ‘부민’, ‘여론’, ‘공공성’에는 사회 하층의 절대 다수인 조선인이 설 자리는 없었다. 그들이 조성한 ‘여론’과 ‘공론’에 조선인이 필요할 때는 적극적으로 동원했지만 일상에서는 차별과 배제라는 식민자의 시선으로일관했다. 그렇기에 중앙지에 비해 조선인에 대한 차별적·모욕적 기사 보도가 상대적으로 많았다. 이상과 같이 『』조선시보『』는 식민성, 지역성, 계층성, 민족성이 한데 얽혀 복잡하고 독특한 식민지 조선의 일본인 언론이었다고 할 수 있다. The 『Chosenjiho』, which was founded in the early days by the Japanese who came to Busan after the opening of the port, was originally established as a regional commercial newspaper representing the Japanese society in Busan. When Chosun became a colony and the colonial system deepened, the 『Chosenjiho』 tried to escape from the local newspaper. In other words, the proportion of articles covering the whole empire and colony as well as the expansion of newspaper offices and branches has increased. This trend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change of the newspaper system from 1914 to 1941 and the contents of the paper. The Japanese local newspaper 『Chosenjiho』 of colonial Chosun has some characteristics. First, it represented the position of the Chosun governor general as a private newspaper. However, it did not hesitate to criticize the governor-general politics and Japanese party politics as well as colonial policy. Secondly, it reported more about the area than the other local newspaper 『Fusannippo』, and it was a newspaper that could fill the gap. Especially, from the aspect of the colonizer, it tried to represent not only the society upper class but also the public opinion below the middle class with 'public opinion' and 'publicness'. In addition, from the viewpoint of the colonized, it published an article on the details or missing parts of the Chosun people society than reported in major hangul newspapers of the day. However, there was no place for Chosun people, who are the majority of the under-society in the ‘Bumin(府民)’, ‘public opinion’, and ‘Publicness’. Although the "public opinion" included Chosun people, it was consistent with the gaze of colonizer such as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in everyday life. Therefore, there were relatively many discriminatory and insulting articles about Chosun people compared to the central newspaper. As mentioned above, 『Chosenjiho』 was a Japanese media of complicated and unique colonial Chosun, which was intertwined with coloniality, locality, hierarchicality and ethnic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