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도로표지디자인의 직관성 향상을 위한 정보디자인 분석

        은덕수(Eun, Duk Soo)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8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4 No.2

        도로표지는 도로이용자에게 목적지까지 효율적으로 길을 안내하는 체계이자, 안전하고 원활한 도로교통을 확보하는 도로의 주요시설이다. 한국은 국토개발과 급속한 도시의 팽창으로 인하여 도로망이 크게 확장되었으며, 도로체계와 도로환경이 매우 복잡한 구조로 바뀌었다. 이에 대응하고자 정부는 2014년 도로명 주소체계를 전면적으로 시행하여 2016년부터 도로명을 도로표지에 적용하고 있다. 정보디자인 체계로 도로표지는 정보를 읽기 쉽도록 지원하는 차원을 넘어, 도로체계와 목적지까지의 길안내를 쉽고 빠르게 이해시킬 수 있어야 한다. 새롭게 적용된 도로명주소 기반의 도로표지는 도로명주소체계에 적합한 정보디자인 지원시스템을 아직 갖추지 못하고 있고, 길 안내의 측면에서 효율적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도로표지의 직관성 향상을 목표로 도로표지디자인과 도로표지규칙 및 지침을 분석하여 정보디자인 개선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정보디자인 측면에서 직관성의 개념을 인간의 공간지각 특성과 유니버셜디자인의 주요 관점에서 정리하여, 도로표지 분석의 틀로 활용하였다. 도로표지디자인의 직관성은 표지의 정보들을 빠르게 읽고 판독하는 가독성 측면의 지각적 접근성과 도로표지의 이용체계를 빠르게 습득하는 이해성과 예측가능성의 차원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로표지의 직관성 향상은 지각적 접근성이 확보되어야 정보의 판독과 가독성이 향상될 수 있는데, 도로명주소체계의 도로표지는 도로규모와 구조에 적합한 정보의 위계구현, 정보의 생략, 단순화 등을 바탕으로 동일 정보요소간의 일관성 있는 레이아웃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짧은 시간의 이용으로도 도로표지체계를 학습 할 수 있어야 하며, 길을 잃었을 때 쉽게 오류를 수정할 수 있어야 하며, 공간지각과 도로표지의 연계성이 확보되어야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도로명 주소체계의 도로표지 정보디자인은 도로표지 규칙을 근거로 지자체에서 행하여지는 바, 도로표지규칙에서 제시되고 있는 표기정보량 허용에 대한 불분명함과, 색채 적용에 대한 불합리한 항목 개선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개발을 제안하였다. Road signs are a system that effectively guides road users to their destination and are a major facility for securing safe and smooth road traffic. The Korean road network has been greatly expanded by land development and rapid expansion of cities, and the road system and environment have become very complex. In response, the government implemented the street name address system in 2014 to apply the road name to road signs from 2016. With the information design system, road signs should be able to easily and quickly understand road systems and directions to destinations, beyond supporting reading of information. The newly applied road sign based on street name address does not have an information design support system suitable for the road name address system and needs to be improved efficiently in terms of road guidance. Therefore, this study was designed to present improvement points for information design by analyzing road sign design and road sign rules and guidelines with the aim of improving the relevance of road signs. First, the concept of direct connection in information design was put together in terms of human spatial perception characteristics and the main aspects of universal design and used as a framework for road sign analysis. The direct correlation of road sign design was possible in terms of the perceived accessibility in terms of fast reading and reading of information on road signs, and in terms of the rapid learning of the system of use of road signs. As a result, improving the intuitiveness of road signs requires perceptual accessibility to improve the legibility and readability of information. In addition, the road sign system should be able to learn from the use of short time, be able to correct errors easily when lost, and be connected between spatial perception and road markings. The road sign information design of the road name address system was performed by the local government based on the road sign rules. The improvement of the specific description of the provision of information presented in the road labeling rules was also about the uncertainty and the application of color.

      • KCI등재

        도로표지 노선번호 정보디자인과 정보인지환경에 관한 고찰

        은덕수(Eun, Duk Soo)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1 한국디자인리서치 Vol.6 No.3

        도로표지 노선번호는 도로표지 정보디자인의 핵심 표기 요소이며, 정보량 축소를 구현시키는 요소이다. 국토교통부는 도로법에 의거하여 도로의 유형을 고속국도, 자동차전용도로, 국도, 지방도 등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도로 유형의 노선번호 디자인을 부여하여, 도로표지에 표기되도록 안내하고 있다. 그러나, 도로명주소법의 시행으로 도로표지에는 도로명이 우선 표기요소로 강조되었고, 도로표지규칙에는 노선번호의 표기위치에 대한 원칙이 없어서 지자체별 도로표지의 노선번호의 표기양상이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아울러, 도로망의 발달과 국토의 도시화로 인하여 도로노선구간이 단절되거나 도로이용 경험과 불일치하여 노선번호의 개선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고속도로 7개 노선, 국도 3개 노선, 지방도 4개 노선의 노선번호와 도로표지 특성, 그리고 정보인지환경을 조사하여. 연구 결과로 사용자 중심의 도로표지 정책과 규정 확립, 정보디자인 원칙을 제시하는 도로표지 규칙과 상세지침 개발, 통합적인 도로표지 정보디자인 체계 구축, 한국 현실에 적합한 노선체계 보완으로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road numbering system of road signs is a key marking element of road sign information design, and it is a way to reduce the amount of road sign information. Under the Road Law,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has a road sign system that divides the types of roads into National Highways, Motorways, National Roads, and Local Roads, and gives each road number design. However,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Road Name Address Act, the road name was emphasized as a priority notation factor on Road Signs, and the Rroad Sign Rules did not have the principle of the location of route numbers, indicating various patterns of route numbers for each local government. In addition, the fundamental Road Numbering System needs to be improved as the section of road routes is cut off or inconsistent with the experience of road use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road network and urbanization of the national territory. This study investigated route number and information recognition environment in Road Information System and suggested establishment of principle of Road Sign Information Design, reduction of information quantity of route number design, standardization of notation location by type of Road Sign, and improvement of Road Numbering System.

      • 풍수의 아파트먼트 적용에 관한 이론 분석 연구

        은덕수(Eun, Duksoo)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1 디자인지식저널 Vol.20 No.-

        본 연구는 아파트먼트 공간에서 풍수의 적용에 관하여 다양한 관점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풍수(風水.Feng-Shui)는 정신과 물질을 기계적으로 분리해왔던 서양의 시각과는 달리 땅과 자연을 살아있는 유기제로 파악하므로, 현대의 공간이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는 대안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풍수는 공간을 구축하는 물리적 요소, 요소들 간의 관계, 배치, 형태에 이르기까지 풍수는 유용한 공간의 사고체계이지 방법론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첫째, 구축공간의 다양한 요소들을 상호의존적 관계 속에서 내적 조화로 통합을 이루면서 인간의 활동과 자연환경이 조화를 이룰 수 있는 하나의 유기체적 질서체계로써 둘째, 워의 보편적인 사유체계이면서 오늘날의 패러다임에 부응할 수 있는 하나의 실천적 대안으로써 풍수를 아파트먼트의 적용 공간체계와 방법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앞서 연구된 풍수연구들의 이론적 체계를 바탕으로 달라진 현대의 아파트먼트공간에서 풍수를 적용할 때의 조건과 방법, 과정에 대한 서술을 중심으로 전개하였는데, 현대의 풍수의 개념은 대부분 전통풍수의 개념을 그대로 적용하고 있었다. 현대의 주거공간은 전통풍수의 적용 환경과 달리 밀집된 도시를 바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풍수의 체계적인 적용을 위해서는 달라진 환경조건에 따른 적용방법을 서술하였고 이와 함께 아파트먼트에서 풍수의 적용에 관한 풍수이론의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this researcher tried to present Feng-Shui as one organic order system that human activity and natural environment may harmonize, integrating diverse elements with inner harmony in mutually dependent relation and our universal speculation system and one practical alternative to be able to meet the paradigm of today with concrete method. As for contents of study, this researcher discussed about the present viewpoints on the necessity of Feng-shui study and the science nature and superstitious nature of Feng-Shui and about the issues of terms in introduction part and had the course to draw a conclusion through the theoretical study of Feng-Shui, and the meaning of Feng-Shui in Apartment Space design.

      • KCI등재

        도로명주소체계 도로표지디자인의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은덕수(Eun, Duk Soo)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8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4 No.1

        한국의 도로명주소 기반의 도로표지는 2007년 4월 5일에 도로명주소법이 제정된 이후 2014년부터 도로명주소가 전면적으로 시행되어 인터넷이나 각종 안내용 주소 등이 모두 도로명주소를 사용하면서 각 지방자치단체에 시범적 적용이 시작되었다. 도로명주소 기반의 도로표지는 도로명판과 함께 전국 지방자치단체에서의 적용이 확대되고 있으나, 길 찾기의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없는 상황이며 도로명주소체계에 적합한 지원시스템을 아직 갖추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도로명주소체계를 기반으로 하는 최적의 정보디자인 지원시스템으로의 도로표지 개선을 목표로, 현재의 도로표지디자인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개선의 대상과 범위는 방향도로명표지와 방향도로명예고표지로 하되, 개선 방향은 보행자, 자전거를 포함한 종합적 도로안내체계 및 도로표지디자인 개념으로의 전환을 유도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사용자 중심의 종합적인 길안내체계로의 전환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도로명주소체계 및 도로의 규모와 형식에 맞는 정보디자인의 위계구분이 전제되어야 함을 밝혔다. 또한 도로표지디자인의 인지효율 개선관점에서 직관성, 학습성을 높이고자 하였으며, 경관개선차원의 역할 필요성 및 주변경관과의 조화가 반영되어야 함을 밝혔다. 아울러, 시설물로써 도로표지는 표지의 설치 및 지속적 관리의 효율성이 제반되어야 하므로, 통합적 · 단계적 관점의 표지시설물 설치 및 관리를 제안하였으며,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적합한 정보디자인 체제로의 전환을 유도하고자 하였다. In Korea, since the Act on the new road sign based on the Road Name Address System was enacted on April 5, 2007, road name addresses were used in local road names starting from 2014, and various addresses for road names were used on the Internet or as guides. Road name address-based road sign systems are being used by local governments nationwide, but are not yet able to function properly and are not suitable for road name address system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mprove road sign design to the optimal information design support system based on road name address system, and to analyze the current new road sign information design and propose improvements accordingly. The target and scope of improvement were the road name sign and the direction notice sign, but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was intended to induce a shift to the comprehensive road guide system, including pedestrians, bicycles, and the concept of road sign design. Research has shown that a shift to the user-centered comprehensive directions guidance system is needed, requiring a hierarchical division of information designs according to road name address system, and size and type of roads. It also stated that it was intended to improve the intuitiveness and learning ability of the road sign design in terms of improvements in the cognitive efficiency, and emphasized that the role of improving the surroundings and harmony should be reflected. In addition, the road sign system as a facility structure requires the efficiency of installation and the sustainability of management, therefore, it proposed the installation and management of road sign facilities from an integrated and phased point of view dur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Korea.

      • KCI등재

        사설안내표지와 도로안내시설의 연계·표준화 필요성에 관한 고찰

        은덕수(Eun, Duk Soo),김학민(Kim, Hak Min)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0 한국디자인리서치 Vol.5 No.4

        사설안내표지는 공공시설, 공용시설, 관광·휴양시설 등을 안내하는 도로변 안내시설이다. 국토교통부는 사설안내표지 설치 및 관리지침을 제정하여, 지자체와 도로관리청에서 관리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나, 이 지침에서는 구체적 설계 규정이 존재하지 않고, 도로관리청의 자율권한을 부여하여 사설안내표지 설치방법과 표시방식은 지역마다 차이가 발생한다. 또한 최소한의 규정조차 지키지 않고 설치된 사설안내표지들로 인하여 공공정보의 위계가 무너져, 도로변의 정보인지 환경은 복잡성이 증가되었고, 경관이 훼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토전체의 공공정보위계 확립을 위한 통합형 도로안내시설로의 표준디자인 개발과 정책 보완을 개선 방향으로 제시하였으며, 연구 결과 첫째로, 도로변 경관 개선이 가능함을, 둘째로 종합적 길 안내 체계로 개선이 필요함을, 셋째로 공공정보 우선의 정책이 뒷받침 되어야 함을, 마지막으로 도로이용환경 변화를 반영하는 규정이 필요한 것으로 요약되었다. Private Information Signs are part of the Road Information System that guides public facilities, tourism and recreation facilities.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has established guidelines for the installation and management of private information signs, but the guidelines do not have specific design regulations and give autonomous authority to the road management office, so the method of installing and displaying Private Information Signs varies by region. In addition, the hierarchy of Public Information has collapsed due to illegal Private Information Signs, increasing complexity and damaging the landscape.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e development of a standard design as an integrated road guide facility and policy supplementation to establish a public information hierarchy across the country as an improvement direc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possible to improve the roadside landscape, and second, a comprehensive road guidance system. It was summarized that improvement is necessary, thirdly, policies that prioritize public information must be supported, and finally, regulations reflecting changes in road use environment are necessary.

      • KCI등재후보

        공공디자인 진흥을 위한 공공시각매체 관련 규정에 관한 고찰

        은덕수(Duk-Soo Eun) 한국공공디자인학회 2022 공공디자인연구 Vol.7 No.-

        Public visual media is a Public Design area that plays a major role in promoting public design. In terms of public visual media, based on the Act on Public Design Promotion, most local governments are presenting directions for integrated improvement through enactment of public design promotion ordinances, establishment of public design guidelines, and operation of the Public Design Promotion Committee. but road signs, traffic safety signs, and private information signs are all separated and treated as separate facilities.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current status of public visual media, focusing on traffic safety signs and public design guidelines, defined its characteristics as independence, individuality, ambiguity, inefficiency and non-system. As a result of the study, three items were derived: Implementation of an integrated information hierarchy of public visual media considering landscape characteristics, integration of facilities and standardization of location, and the role of integrated administrative coordination of public design. 공공시각매체는 공공디자인 진흥의 큰 축을 담당하고 있는 공공디자인 영역이다. 공공시각매체는 공공디자인 진흥에 관한 법률을 토대로 대부분의 지자체에서 공공디자인진흥 조례 제정, 공공디자인가이드라인 수립, 공공디자인진흥위원회운영 등을 통해 통합적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 있으나, 공공성을 지닌 대표적 시각매체인 도로표지, 도로명판, 교통안전표지, 사설안내표지 등은 설치와 관리 등의 행정이 모두 분리되고 개별적 시설로 다루어져, 경관의 복잡성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안내기능을 서로 약화시키는 등의 근본적 문제 해결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의 공공시각매체 현황에 가장 큰 영향을 주고 있는 다양한 규정들을 검토하고, 그 중 공공디자인연구에서 다루어지지 못한 교통안전표지 관련 규정과 공공디자인가이드라인의 세부 항목들을 점검하여, 공공시각매체의 핵심 문제와 특성을 독립성, 개별성, 모호성, 비효율성과 비체계성으로 정의하였으며, 공공시각매체의 당면과제 해결과 관련 규정의 개선을 위하여 경관특성에 따른 공공시각매체의 통합적 정보위계 구현, 시설물 통합과 설치 위치 표준화, 통합적 행정 조정자로 공공디자인 역할 확대 등 세 가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 도시경관 개선을 위한 옥외광고물 가이드라인에 관한 연구

        은덕수(Eun, Duk Soo),최성호(Choi, Sung Ho)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09 디자인지식저널 Vol.12 No.-

        서울과 인천 등 대도시와 지방자치단체는 도시경관의 개선차원에서 옥외광고물의 종합적인 관리와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공공디자인기본계획 내용에 포함된 옥외광고물가이드라인은 법령에 의한 옥외광고물 관리체계의 틀을 응용하여 해당지역을 세분화하고 규제정도를 달리 적용하는 방법을 취하는 수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본 연구는 옥외광고물가이드라인의 정의와 목표 등 개념적 논의와 함께 국내 및 국외 가이드라인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평가와 분석을 통하여, 공공디자인 기본계획에서 다루고 있는 가이드라인의 내용과 활용방안에 대해서 종합적으로 점검하고자하였다. 정보체계로서 옥외광고물가이드라인은 옥외광고물과 공공시각매체를 도시정보체계의 통합적 차원에서 문제를 파악하고 접근해야 하며, 가이드라인의 이용주체인 시민, 공무원, 관련업체, 공공디자인전문가에 의해 다양한 방식으로 원활하게 활용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옥외광고물가이드라인은 디자인가이드라인으로서 구체적 계획과 표현에 대한 부분을 포함해야 하며, 도시경관특성을 종합적으로 감안해야 한다. 가이드라인 제시 외에도 교육과 홍보, 사업지원 등 다양한 방식의 접근이 필요하며,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단계별 목표와 실행계획을 가지고 추진해야 함을 결론으로 제시하였다. A guideline for outdoor advertising is presented by many local governments through projects, with a little difference in contents, which is, however, not so much away from a level of taking a method of classifying into detailed relevant regions and applying different regulation levels using a frame of outdoor advertising signboard control system according to laws. This research intended to synthetically check the contents and utilization plans of guidelines handled by a basic plan for public design through the evaluation and analysis of functions and roles of domestic and overseas guidelines already produced and distributed based on conceptual discussions such as definitions, goals, etc. of guidelines for outdoor advertising signs. Besides, this research intended to present a role and plan of guidelines for outdoor advertising signs to form pleasant and unique urban scape as well as to make outdoor advertising signs have a more efficient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in an urban environment of our country.

      • KCI등재

        서울 지하철 정보안내체계의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은덕수(Duk Soo Eu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08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4 No.4

        This study aims to shed light on key points and the improvement direction in the subway information design system to enhance convenience and comfort in use of the subway in Seoul. All the stations of Seoul subway correspond to the objects and an scope of the present research but the important concept as the information guide system is selected by analyzing cases centered on main subway junctions of the 2nd subway Seoul Metropolitan Rapid Transit Corporation(SMRT) is in charge of, and if necessary, cases of diverse stations including overseas ones are used for specimens for reference. For the processes and methods to proceed on the study, First of all, key points in the information guide system are shared analyzing the nature of environment of the Seoul subway`s information guide system. Especially, we are to approach more efficient information guide system using all the human senses including auditory sense and tactile sense deviating from the recognition to consider the information guide system as only the object visual information and the sign material of in the aspect of design. Additionally, as the human cognition and perception systems are important factors to give rise to behaviors, we are to understand the root of problems the Seoul subway`s information guide system has by organizing relations of space and perceptual system which are the objects of cognition and design in the information guide system, and get the direction of solution of our problems through investigation of design and cases of information systems in the advanced countries. Especially, aspects to be considered in the aspect of its design along with the improvement direction in the macro perspective to be solved for efficiency of the Seoul subway`s information guide system were provided with diverse view points and cases including the division between dimensions of information and scheme, minimization of information, intuitional cognition and other factors to strengthen support of information recognition, and by this, we intended to clarify the aiming point of the information guide system which is efficient to use the subw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