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집 : 통일과 북한에 관한 사회조사의 동향과 실태

        은기수 ( Ki Soo Eun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0 통일과 평화 Vol.2 No.2

        이 연구는 1980년대 후반부터 실시된 각종 사회조사에서 북한 및 통일관련 문항을 다룬 경우와 북한 및 통일에 관해 연구를 하거나 업무를 수행하는 기관에서 실시해 온 소위 통일의식조사 자료를 이용해서 북한 및 통일 관련 조사의 동향과 실태를 살펴보았다. 이 연구를 위해 90개의 사회조사 및 통일의식조사 자료가 이용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먼저 그동안 수많은 북한 및 통일에 관한 조사가 실시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각 조사들이 비슷한 문항을 사용하지만 표현 및 척도가 동일하지 않은 문항을 사용하여 시계열적 비교 분석에 어려움이 크다는 사실을 밝히고 있다. 그러나 2000년대 들어 대표적인 한국종합사회조사나 서울대의 통일의식조사 등은 동일한 설문항을 매해 조사에서 반복 실시하여 시계열적으로 정확한 비교 분석이 가능하게 하고 있음을 밝혔다. 이 연구에서는 통일의 시기와 가능성, 통일의 당위성과 필요성, 통일 후의 변화, 북한에 대한 인식, 북한의 변화에 대한 인식 그리고 북한의 전쟁도발 가능성 및 북핵 관련문항이 표현방식, 의미, 척도 등의 방법론적 측면에서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를 분석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trends of questions of the issues on North Korea and unification in general social surveys which covers North Korea and unifications issues and of so called "Attitude Surveys toward Unification" since late 1980s. 90 social surveys and surveys on North Korea and unification are utilized for this study. It is hard to see how attitudes toward various issues related to North Korea and unification have changed among Koreans because most surveys have adopted their own questions and scales when they measure various attitudes although they seem to repeat very similar questions from prior research. Repeat questions in following surveys make researcher see how attitudes toward North Korea and unification have changed across periods, and several recent surveys on North Korea and unification implement repeat questions and scales to make it possible to trace time-series changes in attitudes. This study examines how questions and scales have changed in the attitudes toward necessity of unification, timing of unification, and possible changes after unification in the realm of unification. Also, this study examines the changing patterns of questions on attitudes toward North Korea, social changes in North Korea and possibility of war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 KCI등재

        경제적 양극화와 자살의 상관성: 1997년 외환위기를 전후하여

        은기수(Ki-Soo Eun) 한국인구학회 2005 한국인구학 Vol.28 No.2

        최근 한국사회에서는 자살률이 급증하고 있다. 자살이 사망원인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높아지고 있고, 중요 사인에서 자살의 순위도 높아지고 있다. 특히 최근 자살률의 특징의 하나는 고령 자살률이 급증하고 있다는 점이다. 고령 사망순위에서 자살의 순위는 높지 않지만 고령 자살률의 증가 폭은 다른 연령대의 자살률보다 월등히 높다. 이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일어나고 있는 자살을 기술적인 수준에서 상세히 밝히고 있다. 특히 일본의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과 일본의 자살의 결혼을 비교하면서 한국의 최근 자살의 특성이 무엇인지를 객관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자살의 원인에 대해서는 명확한 규명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최근 자살의 급증이 경제적인 이유에 기인하고 있는 것인지 확인하기 위해서 경제성장률, 실업률, 소득분배, 가계부실지수 등의 경제지표와 전체자살률, 고령 자살률, 각 연령 자살률과의 관계를 1990년부터 1997년까지, 1998년부터 2004년까지로 시기를 나누어 상관관계 계수를 구해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1997년까지는 자살률과 경제지표 사이에 상관관계가 없었다. 그러나 1998년부터 2004년 사이에는 자살률과 소득분배 지표 사이에 확실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연령별 자살률로 나누어보면 10대와 20대의 자살률을 제외한 거의 모든 연령층에서 자살률과 소득분배 지표 사이에 강한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는 최근 한국사회의 양극화 현상이 급증하는 자살과 깊은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추론되었다. 경제성장률이나 실업률은 자살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모든 경제적 상황의 변화가 자살과 관련이 있는 것이 아니라 소득분배 악화현상인 경제적 양극화가 자살률의 급증과 깊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Korean society recently witnesses a rapid increase of suicide across all ages. In particular, suicide in old ages jumps up in a very unexpected way. Furthermore, the order of suicide in the cause of death across all ages is becoming higher and higher in Korea. This study provides details of suicide that occurs in Korean society with the comparison to that of Japan at the descriptive level. It is not well known why suicide in Korean surges recently. Several previous research show the possibility that surging suicide is closely related to the worsened economic conditions especially since the economic crisis in 1997. They adopt economic growth, unemployment rate, income distribution, household finance index as economic indicators in their research. This study also adopts those indicators and conducts a correlation analysis in two periods, 1990-1997 and 1998-2004. It is found that there is no correlation between economic indicators and suicide in the period of 1990-1997.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very strong correlation between income distribution and suicide in the period of 1998-2004. Other economic indicators except income distribution does not have an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uicide. This finding suggests that currently increasing suicide in Korea may be a result of economic polarization, which has been worsened since the economic crisis in 1997.

      • KCI등재

        한국 근대화 시기의 성공, 희생과 수면

        은기수 ( Eun Ki-soo ),문현아 ( Moon Hyun-a ) 한국사회사학회 2016 사회와 역사 Vol.0 No.112

        이 연구는 수면(=잠)이 단순히 생물학적 현상이 아니라 사회적 현상임을 전제로, 수면이라는 사회적 현상을 통해 한국 근대화의 한 특성을 읽어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박정희 시기로 대표되는 한국의 근대화 시기에 교육은 성공과 밀접히 연결되어 있었다. 개별 주체들이 목표로 삼는 교육을 성취하기 위해 잠은 언제나 희생되어야 했다. 뿐만 아니라, 경제성장을 위해 작업장에서 저임금의 장시간 노동에 시달린 노동자들의 희생의 한 단면은, 목표를 성취하고 효율성을 쟁취하기 위해 잠을 죄악시하고, 일상생활에서 잠을 쫒아내면서 진행되었다. 그래서 근대화 시기에 잠은 단순히 게으름의 상징에 머무르지 않고 일종의 후진적, 부정적 성향으로 간주되었다. 한국의 근대화 시기에 교육을 통한 성공, 노동의 현장에서 저임금과 장시간 노동에 따른 희생에는 공통적으로 수면 부족이 자리잡았다. Sleep has often been categorized as a biological phenomenon, and social scientists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have often overlooked it as an object of sociological inquiry. Sleep, however, is as much a social phenomenon as it is a physical one. In the case of Korea`s contemporary history of industrializ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in particular, nationals were forced to reduce sleep time in school and factory during modernization. Sleep was synonymous with laziness and idleness―a sentiment that extended to political leaders and elites as much as it applied to ordinary citizens striving for success. As a result of the high social demands of the times, diverse methods were devised to help manage increasing rates of sleep deprivation throughout this period. Sleep, one of the very significant components of human life, was always devalued as a hindrance to achieving individual success and social development during Korean modernization.

      • KCI등재

        한국 여성의 경제활동참여와 경력단절

        은기수(Eun, Ki-Soo) 한국인구학회 2018 한국인구학 Vol.41 No.2

        이 연구는 1990년부터 2015년까지 한국 여성의 경제활동참여의 특성을 기술적인 수준에서 분석하고 있다. 일본과 마찬가지로 M자형을 보이는 한국 여성의 경제활동참여 형태는 2000년에 가까울수록 완만한 M자형으로 변하다가 최근으로 올수록 다시 경제활동참여의 정점과 최저점의 사이가 벌어지는 전형적인 M자형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여성의 교육수준의 향상, 결혼연령 및 출산연령의 상승과 함께 이루어지고 있다. 이 연구는 또한 여성의 경제활동참여 형태가 M자형을 이루고 있는 배경에는 한국 사회에서 여전히 결혼과 출산이 여성의 경제활동참여를 가로막아 일하는 여성의 경력단절을 낳고 있음을 확인한다. 그래서 이 연구는 2015인구및주택총조사 원자료를 활용하여, 20-59세 사이의 기혼여성 중 결혼 전 일한 경력이 있는 여성을 골라, 경력단절의 경험이 있는지, 있다면 그 이유가 무엇인지 등을 기술적인 수준에서 분석하였다. 그 다음 다항로짓분석을 통해, 여성의 연령, 교육, 도시/농촌, 주택보유상황, 초혼연령, 그리고 결혼코호트별로 결혼과 출산이 여성의 경력단절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다항로짓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여성들의 경력단절이 광범위하게 전개되고 있는 상황에서도 최근 출생코호트로 올수록 결혼하고 노동시장에서 퇴장하는 확률은 매우 낮아지지만, 출산을 하게 되면 결국 노동시장에서 퇴장하는 확률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여성의 교육수준이 여성의 경력단절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결혼과 출산으로 인해 노동시장에서 퇴장할 확률이 낮아지고, 반면에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결혼 및 출산으로 인해 여전히 경력단절을 경험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확인된다. This study investigates characteristics of Korean women’s labor force participation. Pattern of Korean women’s labor force participation shows M-shape which is also observed in Japan. This M-shape curve of women’s labor force participation flattened around year 2000. However, as number of women who dropped from the labor market increased after marriage or childbirth, pattern of Korean women’s labor force participation came to show much clearer M-shape again after year 2000. This change of pattern of women’s labor force participation results from increasing educational attainment, postponement of marriage and childbearing in Korea. Marriage and childbirth are still critical barriers to hinder Korean women from pursuing careers without disruption. Using raw sample data from Census 2015, this research investigated experience of career discontinuities for women. Multinomial logistic analysis shows that age, education, urban/rural residence, type of housing, age at first marriage and marriage cohort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probabilities of the exit from the labor market because of marriage and/or childbearing.

      • KCI등재

        가족가치에 관한 국제비교연구 - 성별 및 세대간 차이를 중심으로

        은기수(Eun Ki-Soo) 한국가족학회 2006 가족과 문화 Vol.18 No.3

          이 연구는 2002년 국제사회조사의 가족모듈과 2003년 한국종합사회조사의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의 가족가치가 국제적인 맥락에서 어떤 위치에 있는지를 분석하고 있다. 특히 현재 한국사회에서 제기되고 있는 가치관의 세대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여러 태도나 가치 중 가족가치를 골라 한국의 가족가치에 성별, 세대별 차이가 나타나고 있는지를 검토하고 있다. 연구결과 한국의 가족가치는 겉으로 드러난 결과로만 보면 국제적인 수준에서 매우 전통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성별차이는 심각하게 두드러지지 않지만, 세대별 차이는 비교적 나타나는 것으로 보였다. 그러나 성별, 세대별 차이는 한국에서만 관찰되는 것이 아니고, 소위 탈물질적인 가치관을 향유하고 있는 서구 국가에서도 여전히 관찰된다. 따라서 한국의 가족가치만 성별, 세대별 차이가 있다거나, 한국의 가족가치에 세대별 차이가 심하다고 결론지을 근거가 약하다고 보았다.   This research aims at investigating where Korean"s family values stand when compared with those of other countries. For this study, 2002 International Social Survey Program family module data and 2003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data are used. The total 34 countries are included in this research. This research has the following four hypotheses: 1) Family values in Korea is the most traditional when compared with those in the other countries. 2) Family values in Korea is undergoing a kind of polarization. 3) Men"s attitudes are likely to be more traditional than women"s in the other countries as well as in Korea. 4) Younger generation is more likely to have non-traditional family values than older generation. Among family values, this research deals attitudes toward marriage, cohabitation, and the relation between marriage and childbirth. These attitudes are estimated with the following statements: "married people are generally happier than unmarried people" "People who want children ought to get married" "It is all right for a couple to live together without intending to get married" "It is a good idea for a couple who intend to get married to live together first."<BR>  As is hypothesized, Korean"s family values are highly traditional and conservative. However, it cannot be said that family values in Korea are more polarized than those in other countries. It is not always that men"s attitudes are more traditional than women"s in terms of family values. However, it is clear that there is an intergenerational gap in family values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advanced societies such as Western and Northern European countries.

      • KCI등재

        한국 기혼부부의 가사노동분업

        은기수(Ki-Soo Eun) 한국인구학회 2009 한국인구학 Vol.32 No.3

        이 연구는 한국 기혼부부가 가사노동을 어떻게 분담하고 있고, 가사노동시간의 배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검증하고 있다. 개인적인 차원에서 부부인 남성과 여성이 어떻게 가사노동을 분담하는지 밝히기 위해 성 이데올로기론, 시간제약이론, 상대적 자원이론 등 세 이론을 검토한 후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2004년 생활시간조사 자료 가운데 현재 결혼해서 부부가 함께 한 가구에서 살고 있는 경우만 추출하고 부부의 자료를 하나의 레코드로 변환하여 부부의 가사노동분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성 이데올로기론에서 나온 성역할에 관한 태도는 남성이나 여성 모두 가사노동시간을 결정하는 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역할에 관한 태도나 가치가 가사노동이라는 행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이다. 그러나 시간제약이론에 따라 설정된 상대적 노동시간은 남성과 여성의 가사노동시간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 변수가 들어간 모형의 설명력이 특히 여성의 경우 높게 나타나고 상대적 노동시간이 가사노동시간에 미친 영향은 남성과 여성 모두에 유의미하고 영향은 남성과 여성 모두 비선형적인 형태를 나타낸다. 반면에 상대적 자원이론에 따른 상대적 소득의 효과는 남성의 경우 여성의 소득이 증가하면 남성의 가사노동 참여가 꾸준히 증가하는 현상을 나타내며, 여성의 경우는 일단 여성의 소득이 있게 되면 소득의 다과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가사노동을 줄이는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e determinants of household division of labor among married men and women in Korea. To figure out the determinants of domestic division of labor, this study draws several hypotheses from gender ideology, time constraint theory, and relative resources theory. Time-Diary data from the 2004 Time-Use Survey which was conducted by Korea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was employed for this study. Only married men and women aged 20-55 were included for this research. The results reveals that gender ideology is not adequate to explain gendered division of domestic labor in Korean society. However, time constraints theory is most suitable to explain household division of labor for married men and women in Korean society. The effect of increasing labor on time for domestic work for married men and women, however, is not linear but curvilinear. Relative resource theory is also good at explaining the gendered division of household labor in Korean society. As women's income increases, men??s time for domestic work increased. Once women has her own income, they decrease the time for domestic work regardless of the amount of income.

      • KCI등재

        한국의 가족가치에 대한 국제비교연구

        은기수(Eun Ki-Soo),이윤석(Lee Yun-Suk) 한국인구학회 2005 한국인구학 Vol.28 No.1

        이 연구는 2003년에 실시된 한국종합사회조사(KGSS)의 가족모듈과 국제사회조사기구(ISSP)의 2002년 가족모듈을 이용해 한국의 가족가치를 국제적인 수준에서 비교 분석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최근 여러 가치와 태도가 급변하고 있다고 믿어지고 있다. 그 결과 세대간의 가치 및 태도의 차이가 크고, 이는 사회내 세대간 갈등의 뿌리라고도 이해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과학적인 검증은 많지 않다. 이 연구는 이런 시점에서 한국의 여러 가치 중 가족가치의 영역에서 세대간 가치가 크게 나타나고 있는지, 국제적인 수준에서 보면 우리나라의 세대간 가족가치 차이가 크다고 볼 수 있는 지를 kurtosis라는 지표를 통해 분석하고 있다. 결혼, 동거, 이혼 및 부부의 성역할에 관한 가치 및 태도를 분석해 본 결과 한국인의 가족가치는 가톨릭이 지배적인 필리핀의 가족가치와 비슷할 정도로 매우 보수적이고 전통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가치관의 변화는 경제발전 정도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한국은 한국보다 경제발전 정도가 크게 뒤져 있으면서 보수적인 가족가치관이 지배적인 필리핀과 가족가치의 수준이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다. 세대간 갈등의 원인이라고 볼 수 있을 정도로 가족가치의 세대간 차이가 큰지 kurtosis를 이용해 분석해 본 결과, 한국보다 오히려 일본의 세대간 가치관의 차이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에 세대간 가치관의 차이가 있지만, 외국과 비교해보면 한국의 세대간 가치관 차이가 더 두드러진다고는 보기 힘들다. This study aims at figuring out the existence of intergenerational difference on family values in Korean society from a comparative perspective. For this research, family modules from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2003 and International Social Survey Program 2002 are used. To investigate whether intergenerational differences of family values are so big as to be said of the roots of intergenerational conflict in Korean society, we examine the intergenerational difference of family values using kurtosis in this research. The first finding from the analysis of KGSS and ISSP family module data is that Korean's family values are so traditional and conservative as those in the Philippines. It is somewhat surprising because Catholicism is dominant in the Philippines and economic development in the Philippines is far behind that of Korea. It is true that there is an intergenerational difference of family values in Korean society. It is, however, not true that there is such a strong intergenerational difference of family values in Korean society as to be the roots of serious intergenerational conflit in Korean society. Rather, it is shown that intergenerational difference of family values in Japan is more problematic than in Korea.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