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구논문 : 담양 의암서원(義巖書院)의 설립, 사액 그리고 철폐

        윤희면 ( Hee Myeon Yoon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5 역사학연구 Vol.57 No.-

        유희춘을 모시는 三川祠는 담양의 양반사림 58명이 앞장서고, 전라도 양반사림의 호응과 지방관들의 도움을 얻어 1610년경에 완성되었다. 삼천사는 1630년경에 향교 근처로 옮기고 白川祠라 이름을 바꾸었다. 옮긴 이유는 유희춘이 文節이라는 시호를 받은 것과 관련 있어 보인다. 1668년에 담양 양반사림들이 사액을 받고자 상소문을 제출하여, 1669년에 「義巖」이라는 사액 이름을 받았다. 의암서원은 사액을 받은 뒤 나라로부터 여러 가지 혜택을 받았다. 제례에 쓸 祭需와 각종 잡물을 관아로부터 지급 받았다. 토지 3결을 면세받았고, 노비도 한때 100여명 이상을 소유하였다. 액외원생(정액 이외의 원생)을 수령으로부터 허락을 받기도 하였다. 특히 관에서 보태준 식리전은 재정의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19세기에 들어와서는 서원이 문중서원화되는 경향을 보이는데, 유희춘 후손들이 원임을 담당하고 의암서원 운영에 깊이 간여하였다. 의암서원에서는 경제적 어려움을 타개하기 위하여 관에 적극적으로 밀착하였다. 수령에게 원장을 맡기고, 19세기에 들어서면 경원장제를 채택하였다. 그리고 이들의 후원을 얻어 많은 건물들을 수리하고 건립할 수 있었다. 19세기에 이르면 대부분의 서원은 교육기능은 제대로 발휘되지 못하고 있었다. 의암서원도 마찬가지였다. 대원군의 서원 철폐로 의암서원도 1871년에 철폐되었다. 호남의 유생들은 1884년에 유희춘의 문묘 배향을 요청하는 상소를 하였으나 뜻을 이루지는 못하였다. Samchonsa enshrined Yu Hee-chun was established by 58 Confucian scholars of Damyang who initiated the idea, being responded by Yangban Sarim of Jeolla Province. It moved next to Hyanggyo by the year of 1630 and named it Paekchonsa. Its movement resulted from Yu Hee-chun`s receiving his posthumous epithet(Munjeol)Yangban Sarim submitted public appeals to receive charter and as a result, they acquired EuAhm in 1669. Since then EuAhm Seowon got several kinds of benefits. The economic foundations of EuAhm Seowon were fields, serfs, extra students, wonbo and duty free village. Especially Shickrigeon that was added by public office formed a great part. Since the opening of 19th century, the descendants of Yu Hee-chun took the role of wonim and were deeply involved with its management. EuAhm Seowon tried to be close to a local authority to resolve financial difficulty. They entrusted the position of Wonchang to a chief magistrate and chose implementing Gyeongwonjang system. With their support, they could build and maintain more buildings. By the turn of 19th century, most of seowon could not perform its educational fundction. EuAhm Seowon was in the same situation. In line with Daewongun ordered the close of seowon EuAhm Seowon was closed down in 1871. Yangban yusaeng of honam Province filed an appeal to ask a Confucian shrine of Yu, Hee-chun, but could not fulfill their will.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일반논문 : 전라도 광주의 포충사(褒忠祠) 연구

        윤희면 ( Hee Myeon Yoon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0 호남학 Vol.0 No.48

        주 포충사는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순절한 고경명 삼부자의 충절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한 충렬 사우이다. 1601년에 광주에 사는 고경명의 친족과 문생, 사림들이 포충사를 건립하자는 의견을 모았다. 포충사의 터는 광주 서쪽의 제봉산 남쪽 기슭으로 정하였다. 사림과 후손들이 돈을 모으고 전라감사와 수령의 도움을 받아 1602년 가을에 완공하였다. 사우 중앙에는 고경명을, 동쪽에는 고종후, 유팽로를, 서쪽에는 고인후, 안영의 위패를 모셨다. 사우가 완성되자 광주 사림들은 사액을 요청하는 상소를 올려「포충」이라는 이름을 얻었다.. 나라에서는 포충사를 충렬의 모범으로 간주하여 자주 제관을 보내 특별제사를 지내고 각별한 보호와 관심을 기울였다. 포충사는 처음부터 서인계 사우의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광주, 나주에서 서인 유생과 남인유생들의 대립은 포충사에도 여파가 미치기도 하였지만 숙종 20년 이후 노론계 서원으로 계속 유지되어 왔다. 포충사는 전답, 노비, 액외원생, 원보, 그리고 서원촌 등의 경제기반을 가지고 제사, 도서 보관 등 여러 가지 활동을 전개하였다. 1810년에 광주 유림들과 후손들은 고경명의 다섯째 아들인 고용후를 모시는 청사영당을 포충사 곁에 건립하였다. 그리고 청사영당은 제례는 따로 거행하지만 포충사의 한 부분으로 대우를 받았다. 1868년에 청사영당은 철폐되었다. 1871년에는 전국에 47개만 남겨놓고 사액서원 모두를 모두 철폐하라는 명령이 내려왔지만 포충사는 고경명 부자의 충절을 높이 샀기에 남겨지게 되었다. 철폐를 면한 포충사는 예전보다 사회적 위치가 한층 고양되었지만 경제적 형편은 훨씬 열악해졌다. 이를 반영하듯 양반유림들도 사우운영에 소홀하였다. 반면에 포충사 운영에 후손들이 더욱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후손들이 돈을 내어 건물을 수리하고 기념비를 세우기도 하였다. 일제시대에는 포충사가 항일 유적으로 간주되어 여러모로 활동의 제약을 받았고 감시의 대상이 되었다. Pochung Shrine in Gwangju was set up to honor Go Kyeong-myeong and his two sons who gathered the volunteer armies to protect the nation at the time of Japanese invasion in 1592 and died for the country while fighing for the country. Relatives, students, rustic literati(Sarim) living in Gwangju reached a consensus to establish the Shrine. The location of the shrine was chosen at the southern foot of Mt. Jebong. Sarim and descendants raised the fund and also received financial support from cholla governor and local magistrates. The shrine finally completed construction in 1602. When the shrine was completed, Gwangju sarim asked royal charter and was given the name called “Pochung”. The government thought Pochung Shrine as an example of patriotism and often sent celebrants to hold rites, thereby expressed interest and special concern. The character of Pochung reflected the traits of Westeners(Seoin). The struggle between Seoin and Southerners(Namin) gave an impact Pochung Shrine but it was maintained as Old Doctrine faction since 20th year of King Sukjong. The economic foundations of Pochung Shrine were fields, serfs, extra students, Wonbo and duty free village and engaged in the activities such as memorial rites and maintaining books. Yangban sarim and descendants set up Cheongsa Youngdang(shrine held the portrait) which honored Go Yong-hu, the 5th son of Go Gyeong-myeong. Youngdang separately held the commemorative ceremonies but it was treated as part of Pochung Shrine. Youngdang was closed in 1868. There was an nation-wide order to close all the private schools except 47 seowon but Pochung shrine survived because the patriotism of Go Gyeong-myeong and his sons were hightly esteemed. After escaping the abolition, the prestige of Pochung Shrine got soared, but economic conditions grew worse. Reflecting this, Yangban sarim neglected management of the shrine. However the descendants actively participated in maintaining it. As a result descendants donated fund to renovate the building and set up monuments. In Japanese rule of Korea, Pochung Shrine was thought as the remains of resisting Japan and it kept under observation.

      • KCI등재

        일반논문 : 조선시대 전라도 사마안(司馬案) 연구 -강진 사마안 사례-

        윤희면 ( Hee Myeon Yoon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3 호남학 Vol.0 No.53

        조선시대에 생원 진사들이 모여 공부하는 사마재가 있었다. 사마 재에서는 생원 진사의 명단을 적은 사마안을 작성하였다. 전라도 강진에서는 여러 명의 생원 진사가 배출되자 1612년에 사마재가 건립되고 사마안이 작성되었다. 새로 생원 진사가 합격하면 기존의 회원들이 심사를 하여 새로운 회원으로 받아들였다. 심사 기준은 신분의 하자였으며 양반 신분이 아니라면 가입이 불가능하였다. 다른 고을의 생원 진사들도 부모의 고향, 처가, 외가 등의 연고가 있으면 사마안 입록이 가능하였다. 강진사마재와 사마안은 새로운 생원 진사가 많이 합격하지 못하자 어느 때인지도 모르게 없어지고 말았다. 1727년에 생원 진사들이 사마재를 중건하려했으나 경제적 부족으로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그렇지만 사마안을 다시 작성하는 것으로 대신하였다. 그리고 후손들의 요청으로 예전 사마안에 누락되었다는 선조들을 추가로 기재하기도 하였다. 사마안이 양반신분을 과시하는 수단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강진사마안은 생원 진사가 합격하면 사마안에 계속 이름을 등재하면서 활동을 이어나갔으며, 그 결과 1745년, 1881년, 1900년에 각각개수, 속수되면서 유지되어 왔다. 고종대에 이르러 생원 진사의 합격 정원이 늘어나 모두 18명의 생원 진사가 합격하였지만 13명만이 사마안에 입록되었다. 5명은 신분적 하자를 빌미로 사마안 입록이 거부된 것으로 보인다. 19세기 말까지도 신분의 완강함이 강진 사마안에서 작용하였던 것이다. 1935년에 편찬된 『조선호남지』에는 조선시대 작성된 강진사마안과 비교하여 24명의 새로운 이름이 등재되어 있다. 그런데 24명 가운데 18명이 합격 여부가 불투명한 사람들이었다. 이는 모두가 양반 후 손임을 주장하려는 당시의 사회적 풍조를 나타내주는 것이었다. Samajae(or Samaso) was the school where Saengwon(classics licentiate) and Chinsa(literary licentiate) got together and engaged in studying. Samajae made SamaAhn in which the names of Saengwon, Chinsa were listed. When there were several Saengwon, Chinsa in Kangjin, Samajae was built in 1612 and SamaAhn was written. When new Saengwon, Chinsa passed the test, the existing members conducted screening and accepted them as members. The criteria of evaluation was a flaw of class and only Yangban clan was accepted. Saengwon, Chinsa of other counties could be members when they had connection such as parents, wife or materal grandparents. Kangjin Samajae and SamaAhn disappeared gradually when new Saengwon, Chinsa could not pass the exam. Saengwon, Chinsa of Kangjin county tried to rebuilt Samajae in 1727 but could not accomplish the goal because of lack of fund. But they replaced it with writing SamaAhn again. And with the request of descendants, they added the names of ancesters additionally whose names were not recorded in the former SamaAhn. This fact showed that SamaAhn was working as a means to show their social status of Yangban. Kangjin SamaAhn continued their activity by enlisting new Saengwon Chinsa; as a result it could be maintained through revising and continuing in 1745, 1881, and 1900 respectively. In King Kojong the number of Saengwon, Chinsa who passed the exam has increased the total number of 18 has passed but only 13 was enlisted in SamaAhn. 5 was rejected because of flaws of their social class. Up until the end of 19th century, stubbornness in regard to social status was still working in SamaAhn. 『Joseon Honamji』 that was published in 1935, 24 new names was recorded when it was compared with Kangjin SamaAhn of Joseon period. The pass of 18 people out of 24 was not clear. It reflected the trend of those days when people wanted to maintain their descent from Yangban cla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