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어린이집의 하루일과에서 영아반 보육교사가 실행하는 영아권리존중보육에 관한 연구

        윤진주(Jin-Ju You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반 보육교사가 어린이집의 하루일과 속에서 영아권리존중보육을 어느 정도 실행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J도 G시에 소재한 어린이집 영아반을 담당하는 보육교사 21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린이집 하루일과에 따른 영아권리존중보육의 실행 수준을 보육교사의 학력, 경력, 연령, 전공에 따라 차이를 검증한 결과,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등원시간과 화장실 다녀오는 시간에는 4년제졸업이상 학력교사보다 전문대졸 학력교사가, 등원시간과 낮잠 재우는 시간에는 50대 이상 연령교사보다 30∼40대 연령교사가 영아의 권리를 보다 존중하는 보육을 실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연령과 전공에 따라서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하위영역별로 살펴보아도, 교사의 연령에 따라서는 의사 존중, 개별성 존중, 정보 제공에서 50대 이상 연령교사보다 30∼40대 연령교사가, 교사의 전공에 따라서는 자율성 존중, 개별성 존중에서 유아교육 계열 전공교사보다 보육복지 계열 교사가 영아 최우선의 원칙에 따라 영아의 권리존중보육을 보다 우수하게 실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두 관련변인의 관계성을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인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보육교사가 어린이집의 하루일과에 따라 실행하는 영아권리존중보육을 많이 할수록 영아 최우선의 원칙에 따른 영아권리존중보육도 많이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양적·질적으로 우수하고 균형 있는 영아의 권리존중 내실화를 다지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extent to which childcare methods of infant classroom childcare teachers who respect infant rights in the everyday teaching curriculum at day-care centers occurs. To achieve these objective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210 infant classroom childcare teachers who were in charge of theday-care center classrooms located in [G] city of [J] provinc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confirmed that first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hen verifying the extent to which childcare methods of infant classroom childcare teachers who respect infant rights in the everyday teaching curriculum at day-care centers according to the final education level, professional experience, age, and education major of the infant classroom childcare teacher. On the other hand, the results confirmed that when analyzing for arrival time for infant classroom childcare instruction at the day-care center and for the time spent taking the infant to and from the bathroom, the infant classroom childcare teachers who had graduated from 2 year colleges showed more respect for infant rights compared to that of infant classroom childcare teachers who had graduated from 4 year universities, and for the arrival time for infant classroom childcare instruction at the day-care center and nap times, the infant classroom childcare teachers who were above 50 years of age showed more respect for infant rights compared to that of infant classroom childcare teachers who were in their 30s and 40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confirm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for both the age and education major of the infant classroom childcare teachers. When examining each of the sub-factor, the age of the infant classroom childcare teachers, respect for the infant’s opinion, respect for individuality, and for information provision, infant classroom childcare teachers older than 50 years of age were shown to exercise a higher level of respect for the infant according to the rule of prioritizing the infant compared to infant classroom childcare teachers in their 30s and 40s, and infant classroom childcare teachers who majored in infant education-related majors exercised a higher level of respect for the infant for respecting freedom and autonomy compared to that of infant classroom childcare teachers who majored in welfare and childcare-related field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confirm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between the two related variables. Therefore, this suggests that the more childcare methods of infant classroom childcare teachers who respect infant rights in the everyday teaching curriculum at day-care centers, the more childcare methods of infant classroom childcare teachers who respect infant rights occurred according to the rule of prioritizing the infant. These results can be used to establish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an excellent and balanced respect for infant rights.

      • KCI등재

        유아의 이야기 말하기 능력과 이야기 쓰기 능력 간의 관계

        윤진주(Youn Jinju),김영실(Kim Youngsil),함은숙(Ham Eunsoo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2 No.2

        본 연구에서는 유아를 대상으로 구어인 이야기말하기와 문어인 이야기쓰기의 이야기 구조개념과 이야기의 양, 픔사 및 문장의 유형을 분석하여 말하기와 쓰기 간의 관련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5세반(만 6세) 유아 95명을 대상으로, 이야기말하기와 이야기쓰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이야기말하기와 이야기쓰기의 이야기 구조개념은 상관이 있었다. 이야기의 길이는 말하기가 쓰기보다 길었으나 문장 당 평균 단어수는 비슷한 수준이었으며, 이야기의 길이에 있어서 말하기와 쓰기 간에 상관관계는 없었다. 이야기 꾸미기에 사용한 품사 및 문장의 유형은 말하기와 쓰기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story-telling and story-writing through the analysis of structural concepts of story-telling and story-writing as well as the length of stories, and the types of sentences and parts of speech. For this study, tests on story concept and written story structure were conducted, with 95 children aged 6 as subjects. This study has found that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story structure concepts of story-telling and story-writing. The stories were longer in story-telling than in story-writing. Yet, both showed almost the same level as far as the number of words used per sentence was concerned.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story-telling and story-writing in terms of the story length. The types of sentences and parts of speech used in making stories were found to be similar in story-telling and story-writing.

      • KCI등재
      • KCI등재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 꾸미기가 유아의 언어 표현력과 이야기 구조 개념에 미치는 영향

        윤진주(Youn Jin-Ju)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04 어린이미디어연구 Vol.3 No.-

        본 연구에서는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 꾸미기가 유아의 언어 표현력과 이야기 구조 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 Ⅰ시에 소재한 Y유치원의 만 5세 2학급의 유아 48명으로, 연구자가 임의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배정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9주 동안 글 없는 그림책을 보고 토의하기 및 이야기 꾸미기를 주 2회 총 18회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이야기 꾸미기를 위한 글 없는 그림책 18권, 언어 표현력 분석기준, 그리고 이야기 구조 개념 도구이다. 자료분석은 두 집단의 사전ㆍ사후검사점수 평균의 증가분에 대한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 꾸미기에 참여한 유아들은 활동에 참여하지 않은 유아들 보다 언어 표현력과 이야기 구조 개념에 있어서 더 많은 발전을 보였으며, 이야기 구조성 역시 복잡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how the development of expressive language abilities and story structure concepts for children is affected by story-making activities with wordless picture books. For this end, two research questions have been set up in this study. 1. What is the effect of the story-making activities with wordless picture books on the children's expressive language abilities? 2. What is the effect of the story-making activities with wordless picture books on the children's story structure concept?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8 5- year-old kindergarten children who lived in I-city in Jeollabuk-do. They are living in a middle-class apartment complex 'With similar socio-economic backgrounds. The research was conducted between April, 13, 2004 and July, 9, 2004 in the order of pre-testing, training of teacher/assistant, 18 tunes of the she study: lory-making activities with wordless pictures, and post-testing. The story-making activities with wordless picture books improved children's expressive language abilities and story structure concept.

      • KCI등재

        그림책 관련 논문의 경향 분석

        윤진주(Youn Jin-Ju)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림책을 활용하여 이루어진 논문의 연구내용과 연구방법을 분석하여 그림책 관련 논문의 경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분석대상은 한국학술진흥재단에 등재된 유아교육 관련 학회에서 2000년부터 2008년까지 발행한 다섯 종류의 학회지에 수록된 논문 138편이다. 분석결과, 첫째, 그림책 관련 논문의 연구내용은 그림책을 활용한 통합활동, 그림책 단독활동, 그림책 자체분석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림책 관련 논문의 분석내용은 언어, 사회?정서, 문학, 창의성, 인지, 수ㆍ과학, 미술, 놀이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그림책 관련 논문의 연구방법으로 연구대상은 만 5세 유아가, 연구유형은 실험연구가, 연구도구의 유형은 연구자가 자작한 경우가, 자료수집 방법은 면접법이, 자료분석 방법은 차이검증이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유아기 그림책 활용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상기하고, 질적으로 우수하고 균형 있는 문학 교육의 정립과 질적 내실화를 다지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trends regarding the contents and research methods used in dissertations related to picture books. Analyzed for this research were 138 papers published between 2000 and 2008 in five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s registered with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 This study produc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most outstanding research topics (in the order of decreasing impotance) were integration activities involving the use of picture books, independent picture book activities, and analysis of picture books. The major analysis categories (again in the order of decreasing importance) were language, society?emotion, literature, creativity, cognition, numbers?science, drawing and play. Second, the typical age of children used as subjects for these dissertations was five. In most cases, the researchers employed experimental research methods, and used research tools made by themselves. Also, they usually collected data through interviews, and analyzed the data through difference verification. These findings may be used to enhance awareness about the importance of using picture books for young children as well as to provide guidelines regarding the use of picture books at institution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동화의 텍스트 유형에 따른 유아의 언어적 반응과 어머니의 언어적 조언의 비교

        윤진주(Youn Jinju),김미재(Kim Mijae),김영실(Kim Youngsil)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1 No.5

        본 연구에서는 동화의 텍스트 유형에 따라 유아의 언어적 반응 유형과 어머니의 언어적 조언 유형이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만 3세 유아 19명과 그들의 어머니로, 동화의 텍스트 유형은 서술적 텍스트, 반복적 텍스트, 정보전달 텍스트로 구분하였다. 연구절차는 예비연구, 동화책 읽기 녹음 및 테이프 수집과 전사, 그리고 자료 분석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의 언어적 반응 내용은 정보전달 텍스트에서 등장인물과 어휘에 대한 언어적 반응 내용이 반복적 텍스트에서는 장면에 대한 언어적 반응 내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언어적 반응 유형은 정보전달 텍스트에서 정보적 언어 반응 유형이 서술적 텍스트에서는 개인적, 평가적 상상적 언어적 반응 유형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언어적 조언 유형은 반복적 텍스트에서 내용에 대한 간접적 조언과 이야기 구조에 대한 조언이 정보전달 텍스트에서는 기술적인 면에 대한 언어적 조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ether there were any differences in children's verbal response and mothers' linguistic advice by the storybooks' text type. The researchers of this study analyzed interactions between young children and their mothers by using taped reading sessions during which three kinds of storybooks were read to the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9 5-year-old children of a kindergarten in M-city, Jeollanam-do, and their mothers. The storybooks selected for this study were the narrative text (The rainbow fish), the predictable text (We're Going 011 a Bear Hunt), and the informational text (Rainy Day, See You Again). The analysis tools were the criteria developed by Kang Eun-jin(1996) for the analysis of contents and types of verbal responses, and the criteria developed by Kim Mi-jae (2006) for the analysis of the types of mothers' linguistic advice.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the order of a pilot study, the collection and transcription of recorded tapes, and data analysi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storybook type-related differences in the children's verbal responses. In terms of content, the children responded most to characters and vocabularies in the case of the informational text. When the predictable text was read, the children showed the most response regarding scenes. As for the linguistic types, the children mostly showed informational responses in the case of the informational text, whereas they showed personal, evaluative and imaginative response in the case of the narrative text.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torybook type-related differences in mother's linguistic advice. In the case of the predictable text, the mothers mostly gave advice regarding story structures, content and technical aspects. In the case of the informational text, the mothers gave advice mostly about technical aspect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