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과정(敎育課程)의 개편(改編)과 한자(漢字)·한문(漢文) 교육(敎育)의 변천(變遷) 과정(過程)

        윤지훈(尹智勳) ( Yoon Ji-hun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1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9 No.2

        본고는 최근 교육부의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추진 계획(안)」이 발표된 시점에서, 그간 漢文 敎科의 교육과정 변천사를 짚어보고 새로운 교육과정 개발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해 보고자 하였다. 특히 교육과정의 문서 중 향후 漢字· 漢文 敎育의 방향을 설정하는 데 필요한 編制 및 受業時數의 變遷 過程, 性格 및 目標의 變遷 過程, 敎授學習 內容의 變遷 過程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검토 결과 한문 교과는 제2차 교육과정기까지 國語 교육의 일환으로 국어 교과의 내용 領역 중 하나로 漢字· 漢文 敎育이 실시되었고, 제3차 교육과정기부터 제5차 교육과정기에는 교육과정에서 독립 敎科로 자리매김 하면서 필수 敎科로서의 위상을 지니고 있었으며, 제6차 교육과정기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는 선택 敎科의 하나로, 改定 次數가 거듭될수록 그 위상이 점점 약화되고 있었다. 性格과 目標의 경우는 교육과정 개정이 거듭될수록 체계화되어 제6차 교육과정부터 현재와 유사한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교수학습 내용은 교육과정기별로 일부 교수학습 內容이 加減되기도 하였지만 대부분의 내용들이 제5차 교육과정 이후 큰 변화 없이 현재까지 그 命脈이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2022 改定 敎育課程 개발을 目前에 둔 시점에 교육과정이 개정될 때마다 수업 시수뿐 아니라 선택과목으로서 입지가 좁아지고 있는 현실을 고려하여 한문 교과의 성격, 목표, 교수학습 내용 등의 적절성을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 When the Ministry of Education’s recently announced a plan to promote the 2022 revised curriculum was recently announced, this paper wanted sought to examine the history of changes in curriculum of Classical Chinese and attempted to deriv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a new curriculum. In particular, the curriculum documents focused on the following processes: changing the number of classes, the process of changing personality and goals, and the transforming teaching and learning, which is necessary for establishing needed necessary to for set establishing the future direct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s a result Classical Chinese have become one of the an elective courses from within various curriculum(ranging from the third curriculum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however, their status has been weakening with every time the curriculum has been revision. In the case of with regard to personality and goals, the revision of the curriculum revision process has become more systematic and grown similar to the current one, which is adapted from the sixth curriculum. Although some of the teaching contents were added or subtracted during the curriculum period, most of the contents have been maintained until the current time of now, without no significant changes being made since the fifth curriculum was. Therefore, whenever during each the curriculum revision is revised,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curriculum is narrowing not only the number of classes but also its position as an elective subject,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appropriateness of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nature, objectives, and teaching contents of the curriculum.

      • KCI등재
      • KCI등재

        투고논문 : 『삽교예학록』을 통해 본 안석경(安錫儆)의 산문비평(散文批評)과 고문작법(古文作法) -편장구성(篇章構成)과 자구운용(字句運用)을 중심으로-

        윤지훈 ( Ji Hun Yoon ) 동방한문학회 2008 東方漢文學 Vol.0 No.34

        본고는 18세기 문인들이 추구했던 고문작법의 실체를 규명해 보기 위해서 『삽교예학록』에 나타난 다양한 층위의 산문비평을 분석하고 그것이 지니는 의미를 고찰하였다. 『삽교예학록』은 삽교가 고문작법을 탐구하기 위해서 전범적 고문을 대상으로 그곳에 내재된 편장자구의 운용원리를 분석·비평한 문장학습서이다. 그의 말에 따르면 글이 짜임새를 갖추기 위해서는 편장의 구성이 一貫性과 連繫性, 그리고 嚴整性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고 했다. 작품의 서두에 강령과 맥락을 배치하여 향후 전개되는 편장의 외재적·내재적 구조를 제어하는 한편, 각 편장들이 상호 긴밀한 관계를 유지한 채 유기적으로 조직되어서 논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해야 하며, 자구의 간결한 운용을 위해서 엄정한 편장의 구성이 요구되는 것이다. 이러한 그의 비평은 18세기 문인들의 고문작법에 관한 인식의 일단은 물론이거니와 구체적 이론과 실천방향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This essay analyzed various aspects of criticism on prose brought out 『Sabkyoyeohaklok』 and contemplated the meanings it has, to unveil the way to write ancient writings which writers sought for in the 18th century. 『Sabkyoyeohaklok』 is a study book that, for investigating how to write ancient writings, Sabkyo analyzed and criticized the usage of a volume, chapter, letter and phrase with precedent ancient-writings. He said that the organization of a volume or a chapter should look coherent, probable, solemn, and even for the well-done writings. What puts ``Kangyoung`` or ``Maengnak`` in front of writings, controls external or internal construction of the following volume and chapter, keeping the close relationship mutually between each of them, they are written organically, so the point of writings can be carried successfully, severe structure of them is needed to use a letter or phrase simply. His criticism as above has an important sense that, though it, we can make certain a tangible theory and the direction of practice in writing ancient writings as well as a fragment of writers` knowledge on how to write ancient writings in the 18th century.

      • KCI등재
      • KCI등재

        이실(怡室) 이탁원(李鐸遠)의 생애와 시에 대한 일고(一考)

        윤지훈 ( Yoon Ji-hun ) 동방한문학회 2018 東方漢文學 Vol.0 No.75

        본고는 19세기 개별 문인의 문필 활동을 확인해 본다는 목적 하에 怡室 李鐸遠(1777~1840)의 生涯와 詩世界를 살펴보았다. 검토 결과 이탁원은 浮沈있는 평탄치 못한 삶을 살았다. 몰락한 가문에서 태어나서 중앙 관계에 진출하는 것도 여의치 않았고, 집안의 형편도 넉넉하지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純祖와 憲宗 때 여러 관직을 두루 역임하며 당대 少論系 명사들과 폭넓게 교유하면서 詩文으로 상당한 명망을 얻었다. 그는 문집인 『怡老室全藁』에 약 430수의 시를 남겼다. 이들 작품은 주로 50대 이후에 지어진 작품들인데, 본고는 이 가운데 그의 交遊詩·遊覽詩·日常詩를 분석하였다. 그의 교유시는 시라는 문학 작품을 매개로 벗들과 지속적으로 안부를 교환하고 자신의 그리워하는 마음을 표출하려고 했다는 점에서 일정 부분편지의 기능도 포함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유람시는 특정영역에 국한하지 않고 유람을 하면서 보고 느낀 감정들을 자유롭게 시로 표현하고 있으며 일상시의 경우는 자기 고백적 특징과 함께 지극히 평범해 보이는 일상적인 삶의 과정을 시로 읊고자 한 모습을 보였다. 따라서 이탁원은 소론계 문인들의 문필 활동 및 교유 양상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위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조선후기 한시사를 이해하는 데에도 적지 않은 시사점을 주는 물이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one's life and the poem world of Lee tak-won(1777~1840). He had a hard time with so many types. However, he served in various public offices during the period from Sunjo to Hyeinjong in Joseon dynasty. Also, he had gained a considerable reputation for poetry and prose by broadly interacting with contemporary celebrity. His collected of 『Leerosiljeongo』 works contained about 430 poems. These are mainly composed after the 50's. In this study analyzed his social intercourse Poem, sightseeing poem and daily life poem. As a result, He used a literary work of the poem by means that news and expressing the longing. His social intercourse Poem partial included the function of letters. And his sightseeing poem freely expresses the feelings and the daily life poem was expressing the everyday life process which seems to be very ordinary with its confessional features.

      • KCI등재

        청풍(淸風)의 산수(山水)를 소재(素材)로 한 한문학(漢文學) 작품(作品)의 제특징(諸特徵) -구담(龜潭)과 옥순봉(玉筍峯) 관련(關聯) 작품(作品)을 중심(中心)으로-

        윤지훈 ( Yoon Ji-hun ) 동방한문학회 2017 東方漢文學 Vol.0 No.72

        본고는 ‘제천의 한문학’이란 기획 주제의 일환으로 ‘제천의 산수와 한문학’을 고찰해보기 위해 과거 청풍 지역의 승경이었던 구담과 옥순봉을 소재로 한 한문학 작품에 나타난 주요 특징을 살펴보았다. 검토 결과 구담과 옥순봉을 소재로 한 작품들은 구담과 옥순봉의 아름다운 모습을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있으며 주변 승경과의 비교를 통한 산수 품평을 시도하고 있고, 유람하는 지역과 관련된 인물이나 기록을 떠올리는 등의 특징을 보이고 있었다. 이러한 특징이 구담과 옥순봉 관련 작품만의 고유한 것은 아니지만, 특정 공간을 소재로 한 작품에서 당시 문단의 특징을 총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사례도 드물거니와 그것이 제천의 산수를 대하는 조선 문인들의 인식과 태도를 살펴볼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지역사적으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main characteristics of Chinese classics about Cheongpung’s beautiful scenery at Gudam and Oksunbong Peak in < Jecheon's landscape and Chinese classics >. As a result, the works of Gudam and Oksunbong Peak described realistically. Also, these works tried to evaluate the landscape through comparison with surrounding beautiful scenery and recalling the relationship of people or records to the area of tourist or visitors. This feature is not unique to works related to Gudam and Oksunbong Peak. However, this work has a specific feature about Overall Characteristics of a Paragraph in material. It is meaningful that it provides materials that can give an insight into the perception and attitude of Joseon writers about the landscape of Jecheon.

      • KCI등재

        동해(東海) 조종진(趙琮鎭)의 서예취미(書藝趣味)와 첩(帖)에 대한 일고(一考)

        윤지훈 ( Ji Hun Yoon ) 동방한문학회 2010 東方漢文學 Vol.0 No.44

        본고는 조종진의 산문 작품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첩``의 창작원인과 특징을 그의 서예취미와 연결 지어 살펴보았다. 검토 결과 그는 대대로 서예로 이름난 집안의 영향을 받아 상당한 수준의 서예 관련 지식을 소유하고 있었고, 실제 창작에도 적극적인 모습을 보였다. 그에게 서예란 취미활동의 일환이자 자아실현의 한 방편이었다. 그래서 그는 서예 작품을 창작할 때, 단순히 서예미만을 추구한 것이 아니라 그 속에 자신의 정신세계를 투영시켜 지극히 정감적인 글쓰기를 시도 하였다. ``첩``이란 이름의 작품이 바로 그것인데, 그의 ``첩``은 일상생활과 자기 고백 적 글쓰기란 성격을 지니고 있으며, 당대 현실과 풍속이라는 사회성 짙은 문제들을 비롯하여 破閑과 臥遊라는 조금은 유희적 성격의 내용들을 함께 담아내었다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조종진의 ``첩``은 서예취미란 예술적 취향과 기록중시의 문학적 요소가 결합된 독특한 형태의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examined the characteristic and cause of creating tie[帖] of great importance out of Chojongjin`s prose works linked into calligraphy as a hobby. Consequently he had significant knowledge involved in calligraphy from a family they had been famous for calligraphy for generations, and actively engaged in the field of practical creation. Calligraphy was not only a hobby but self-realization to him. So, when creating works by calligraphy, he tried to write with concealing his feelings by reflecting his peculiar psychological world in his works as well as sought an aesthetic value simply. That`s tie[帖]. He showed everyday life and made a self-confession though them and also put amusement contents for killing time or entertainment, including a social problem like the reality and custom in the day on them. And thus they are regarded as distinctive works combining his own artistic preference in calligraphy with literary factors laying stress on a record.

      • KCI등재

        자유주제 : 한문 교과서 심사 결과 분석을 통한 교과서 질 제고 방안

        윤지훈 ( Ji Hun Yoon ) 동방한문학회 2014 東方漢文學 Vol.0 No.61

        본고는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실시된 검정 심사 결과와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실시된 인정 감수 결과의 분석을 통해 ``내용의 선정 및 조직``, ``내용의 정확성``, ``내용의 공정성``과 관련하여 한문 교과서 편찬 시 자주 발생하는 오류 유형과 그에 따른 개선 방향을 살펴보았다. 검토 결과 내용의 선정 및 조직과 관련해서 자주 범하는 오류는 서술 내용이 해당 학교급의 수준에 부적절하거나 제시된 자료가 서술 내용과 관련이 없거나 해당 내용을 이해하는 데에 부족한 경우가 많았다. 내용의 정확성과 관련해서는 서술 내용이 부적절한 경우가 가장 많았고 문항 및 용어 사용이 부적절한 경우, 번역과 구두.현토가 미흡한 경우, 오탈자의 문제, 자형 및 출전 제시가 미흡한 경우 등의 오류가 발견되었으며, 내용의 공정성과 관련해서는 상업적 요소가 노출된 경우가 있었다. 또한, 본고는 2015년 하반기에 교육과정 개정과 함께 이루어질 심사 기준 개발을 염두에 두고 내용 오류 최소화 방안으로 심사 기준을 구체화하고 교과서 편찬 시 필요한 세부 지침 개발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ment of Chinese Characteristic textbook examination result analysis in the 2007 and 2009 Revised curriculum of textbook screening and Accreditation System. In particularly, when Chinese Characteristic textbook compiled that should be considered the error types of ``the selection and organization``, ``Accuracy``, and ``Fairness`` with reference to contents. The results are as fellows. Frist, a lack of description and content data in the level of school were highly error in part of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content``. Second, a lack of questions, terms, translation, verbal and annotations problems were frequently error in part ``accuracy of content``. Also, typographical error and shape of a character, reference errors leave much to be desired. Third, ``Fairness of content`` part was exposed a commercial element. Finally, this study was presented the screening criteria developed in conjunction with curriculum revision in the second half of 2015. In addition, to refine the screening criteria in mind more error minimization approach developed and presented the detailed instructions needed for compiling textbooks.

      • KCI등재

        논문(論文) : 삽교(삽橋) 안석경(安錫儆)의 대일인식(對日認識)과 「강항전(姜沆傳)」

        윤지훈 ( Ji Hun Yoon ) 한국한문고전학회(구.성신한문학회) 2008 漢文古典硏究 Vol.17 No.1

        본고는 안석경이 저술한 「姜沆傳」의 특징과 저술배경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강항전」은 안석경이 강항의 『看羊錄』을 읽고, 이를 생략, 통합, 재정리하여 `傳`으로 재구성한 것인데, 이는 그의 일본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독서 체험이 어우러져 탄생한 결과물이며, 또한 그 속에는 시대적 위기위식에 대응하려는 조선후기 지식인으로써의 고뇌가 투영되어 있어 주목된다. 「강항전」은 여느 인물전과 달리 그 구성이 일본의 정세를 밝히는 데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그는 『간양록』의 기록을 가공하여 강항의 전기를 간략히 기술한 뒤에, 소차의 형식을 빌려 일본 정세에 관한 객관적 사실을 주제별로 묶어 집중적으로 기록하고 있다. 따라서 「강항전」은 비록 `전`이란 장르적 형식을 취하고 있지만 문예성을 짙게 내포한 작품이라기보다 급변하는 동아시아 정세 속에서 조선이 대응해야할 방안을 모색한 실천문학으로써 의미를 지닌다고 평가할 수 있겠다. This study is to aim for look into a distinctive feature and writing`s background of 「Ganghangjeon(姜沆傳)」 by An Seok-kyeong. After reading 『Ganyanglok(看羊錄)』, he omitted, united, rearranged, and then reconstructed it for `Jeon(傳)`. That is 「Ganghangjeon(姜沆傳)」, the product from mixing his negative cognition against Japan with his experiences of reading. Also, it is watched that he reflected on concern about coping with the critical consciousness of the times as an intellectual in the later Joseon. Its framework is in focus on clearing up the Japanese situation unlike some other biography. By borrowing a form of Socha(疏箚), he tied the objective facts of the Japanese situation into the subject matters and recorded it intensively after re-constructing records of 『Ganyanglok(看羊錄)』 and describing a biography of Ganghang(姜沆) concisely. In consequence, it can be estimated that though 「Ganghangjeon(姜沆傳)」 takes a genre of Jeon(傳), it would rather have significance as practical literature grouping after the way for Joseon to cope with Japan in the rapidly changing East Asian situation, than a work involved with literary or artistic merit.

      • KCI등재

        삽교(삽橋) 안석경(安錫儆)의 『지문(識聞)』에 대한 일고찰(一考察)

        윤지훈 ( Ji Hun Yoon ) 한국한문교육학회 2008 한문교육논집 Vol.31 No.-

        본고는 안석경의 경전 해석서인 『지문』의 편찬배경과 체재 및 특징적 면모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지문』은 안석경이 유가 경전을 나름의 관점에서 해석한 일종의 경전 주석서로서, 이는 그가 부친인 안중관의 저술의식과 경전을 문장학습에 적극 활용하려는 자신의 문학론에 영향을 받아 저술된 것이다. 체재는 현재 남아 있는 판본을 기준으로 8개 항목에 총 453조목의 해설이 수록되어 있다. 『지문』은 해설 방식에 있어서 크게 두 가지 특징을 지니고 있다. 첫째는 경전을 주자학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이를 재해석하려는 경향이고, 둘째는 편장자구법을 활용하여 경전문장을 구조적으로 분석하는 한편, 그 속에서 자구 운용의 수사법을 탐구하려는 경향이다. 첫 번째가 경전의 내용을 해설한 것이라면, 두 번째는 주로 경전의 문장을 형식적 차원에서 분석하여 각각의 결과물을 도출한 것이다. 이러한 그의 경전 해석 방식은 당대 농암계 문인들의 문학적 성향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어 주목된다.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compilation-backing, structure, and a distinctive feature of 『Jimun(識聞)』: interpreting the Scriptures written by An Seok-gyeong. It is a kind of a commentary for him to explicate on the Confucian Scriptures from his own standpoint. The origin he compose 『Jimun(識聞)』 is on his literary theory to try to utilize writing-awareness of An Jung-kwan, his father and to attempt to make use of the Scriptures for learning a sentence positively. The structure consists of explanation with 8 points and 453 articles on the edition left to date. 『Jimun(識聞)』 has two features in a commentarial form: the tendency to understand and re-interpret the Scriptures on the doctrines of Chu-tzu(朱子), to seize the principal purport of them by analyzing the sentences of them organically with making use of Bianchangjagufa(編章字句法), and to investigate the literary factors in them. The first is for explaining the contents of them. The others are mainly the case where to draw each conclusion by analyzing the sentences of the Scriptures formally, and also the features need to be paid attention because closely related with the inclination of the literary men of Nongam-group at that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