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オンライン日本語學習の評價におけるエスノグラフィの可能性

        윤지현 ( Yoon Jihyun ) 한국일본어교육학회 2016 日本語敎育 Vol.0 No.77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ssue of socio-cultural aspects of online learning from distant tutorial sessions as a consideration of participants` experience in the interacting with and describing the ethnography in resolving the issu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20 pairs of Japanese language learners and Japanese native speakers and qualitatively analyzed using an ethnographic approach. Furthermore, follow-up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participants` awareness and understanding of distant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The results revealed that socio-cultural aspects of online learning at the distant tutorial sessions involved 1) creating a motivating environment and circumstances, 2) encouraging the learner to improve his or her motivational attitude, 3) managing oneself to remain motivated, 4) reflecting on oneself and the other with metacognition. From the above, it was suggested that correspondence of learning goals and inter-cultural communication with online communities support and encourage the participants` motivation and enhance second language learners` communication competency. Consequently, I examine how the ethnography works to construct the view to socio-cultural aspects of distant tutorial sessions and discuss the possible use of ethnography in evaluating online Japanese learning.

      • 라즈베리 파이를 활용한 순천만 생태 탐구

        윤지현 ( Jihyun Yoon ),박홍준 ( Hongjoon Park ),전영국 ( Youngcook Jun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8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2 No.1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통합하여 활용하는 융합 교육은 학생들에게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좀 더 쉽게 접하고 익힐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 이 연구는 갯벌에서 서식하는 생물을 탐구하기 위해 라즈베리파이라는 초소형 컴퓨터를 활용하여 학생들이 코딩을 경험하고, 실험하고, 관찰하는 과정을 통해 자신이 알고 있는 과학적 지식을 활용하거나 새로운 지식을 습득하는 일련의 과정들을 면담이나 비디오 관찰과 같은 질적 연구방법으로 접근하였다. 프로젝트가 끝나고 진행된 면담에서 학생들은 프로젝트 수행의 경험을 바탕으로 프로젝트가 끝난 후에도 계속적인 관심을 갖고 실생활에서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가 있었다.

      • 세계화 시대 한국춤의 경계

        윤지현(Yoon, JiHyun) 민족미학회 2013 민족미학 Vol.12 No.1

        본 글은 한국전통춤의 전승을 중심으로 세계화 시대 문화상호적 교류가 일어나는 문화경계의 변화를 관찰한다. 한국전통춤의 문화상호적 교류의 접점을 한국문화와 서양문화라는 동서의 지리적 경계에서만이 아니라 변화하는 사회문화적 맥락에 따라 한국문화의 내부에 재설정된 문화경계에서도 관찰한다. 20세기 중반 이후 가속화된 세계화는 문화간 접촉과 교류의 확대 속에 문화혼종이라는 새로운 문화를 양산하고 있다. 문화혼종을 생산하는 문화상호적 교류는 국가와 민족 등 지리적 경계만이 아니라 세대, 계급, 예술위계 등 지역 내부의 다양한 문화범주들 사이에 설정되는 복잡하고 중층적인 문화경계로 확산되고 있다. 한국문화의 내부는 더 이상 동질적이고 결속된 공간이 아닐 뿐 아니라 한국문화가 오랫동안 지켜온 단일민족문화의 신념도 흔들리게 한다. 이에 한국전통춤의 전승과제는 재설정된 문화경계와 이들 사이의 문화상호적 교류과정 가운데 사고하게 된다. 문화혼종이 문화생산의 ‘원칙’으로 관찰되는 세계화 맥락에서 한국전통춤의 전승은 문화정체성의 제고와 한국문화의 우수성 강조가 함의하는 한국문화와 다른 문화의 지역적 대립과 경쟁보다는 우리 문화 내부에 설정된 문화경계에 대한 이해와 세계문화의 보편성 확보 노력을 통해 가능해진다. 곧 지리적 경계내부의 세대간 문화경계에서 일어나는 문화상호적 교류에 적극적으로 개입함으로써 한국전통춤의 현재화를 도모하고 세계인과의 공감을 확대함으로써 보다 잘 전승될 수 있다. 한국전통춤은 후속세대를 포함한 세계인과 공유하는 동시대성을 획득하는 문화상호적 교류와 문화혼종의 생산 속에 전승될 수 있다. 이에 본 글은 첫째 한국전통춤의 후속세대 전승을 위해 한국전통춤계의 형성과 확대를, 둘째 세계인과의 교감을 위해 동시대성 확보의 노력 등 세대와 지리적 경계를 넘어선 문화상호적 교류를 제안한다. 또한 새로이 설정된 문화간 경계에서 일어나는 문화상호적 접촉과 교류의 활용을 요구한다. 세계화 시대 한국전통춤은 고정된 민족문화의 보존이 아니라 문화혼종화과정의 개입과 새로운 전통의 모색 가운데 가능하기 때문이다. This paper aims to inquiry the change of intercultural boundaries by accelerating processes of cultural globalization. Focusing on the transmission of Korean traditional dances, it demands active participations in the processes of intercultural exchanges and producing cultural hybridity. It is the very strategies to transmit Korean traditional dances alive in the contemporary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Globalization from the view of the nationalist aesthetics, had been dealt as an important but negative cause to Korean culture because the commercialized western mass cultures which globalization brought, have weakened Korean cultural identity in Korean traditional dances. In this view, the boundary seemed to be set up only between the west and Korean culture. However, in the contemporary context of cultural globalization since the late 1990s, the cultural boundaries have been set up not only between the west and Korean culture but also inside Korean culture itself. Now inside of Korean culture is not homeogenous. The complex and layered cultural boundaries between ages, generations, sexes, provinces, schools, the hierarchies of arts and so on can be traced and the intercultural phenomena also observed.

      • KCI등재

        중등 과학 예비교사들의 PCK 요소 개발을 위한 교육실습에서의 경험 요소에 대한 사례 분석 연구

        윤지현(Yoon, Jih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3

        이 연구에서는 교육실습에서 중등 과학 예비교사들의 PCK 요소 개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중등 과학 예비교사들이 PCK 요소를 개발해 나갈 수 있었던 교육실 습에서의 경험 요소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수도권에 소재한 사범대학의 과학교 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들 중 화학교육을 전공하고 있는 8명의 예비교사들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그리고 예비교사들이 교육실습을 마친 2016년 6월에 교수전략, 학습자, 교육과정, 평가와 같은 PCK 요소 별로 수업에 대한 전문성을 개발할 수 있었던 교육실습의 경험 요소를 살펴볼 수 있도록 개발한 설문지를 제공하였다. 그리고 일주일 후에 설문지를 모두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수전략의 경우 예비교사들은 실제 수업이라는 경험 요소만으로도 교수전략에 해당하는 전문성을 개발해 나갈 수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에 대한 지식에서 인지적·정의적, 선개념 측면과 관련하여 전문성을 개발할 수 있었다고 언급한 교육실습에서의 경험 요소는 없었다. 교육과정의 경우, 중등 과학 예비교사들은 교육실습에서 수업지도안 작성과 실제 수업, 지도교사와의 관계 등을 통해 교육과정에 대한 전문성을 개발할수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평가에 관한 인식 여부에 상관없이 예비교 사들이 교육실습에서 평가와 관련된 전문성을 개발할 수 있었던 경험 요소는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xperience element in the teaching practice in which secondary science pre-service teachers were able to develop PCK factors in order to prepare a plan for the development of the PCK factors of secondary science pre-service teachers in the teaching practice. For this purpose, the eight pre-service teachers who majored in chemistry education among the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in the science education department of the college of education in the metropolitan area was selected. After the pre-service teachers completed the their teaching practice, they provided a questionnaire that was developed to explore the experience elements of teaching practice by PCK factors such as teaching strategy, learner, curriculum, and evaluation in June 2016. And then, the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fter one week and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 the case of teaching strategy, the pre-service teachers were able to develop the professionalism corresponding to the teaching strategy by only the experience element of the actual class. There was no experience element in the teaching practice that mentioned that it was possible to develop professionalism in relation to the cognitive·affective or preconception aspects in the knowledge of learner. In the case of curriculum, the secondary science pre-service teachers were able to develop the professionalism of the curriculum through the teaching plan preparation, the actual class,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teacher. Finall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experience element in which the secondary science pre-service teachers were able to develop expertise related to evaluation in teaching practice regardless of whether they were aware of the evaluation.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순천만 IT 융합형 콘텐츠 개발과 고등학생 대상 진로 캠프 운영

        윤지현(Jihyun Yoon),전영국(Youngcook Jun),노광흔(Kwangheun Noh)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1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5 No.2(A)

        이 연구는 대학생들이 IT를 사용하여 순천만의 다양한 주제와 접목하는 융합형 프로젝트를 수행하는데 관련되는 콘텐츠를 개발한 후에 고등학생 대상으로 진로 캠프에 적용해 보는 사례를 다루었다. 순천만의 정원에 있는 꽃을 모티브로 하여 아두이노 보드를 사용하여 움직이면서 조명으로 사용할 수 있는 콘텐츠를 제작하였다. 이를 토대로 K시의 J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2학년 학생 26명이 2020년 12월에 2주에 걸쳐 움직이는 꽃을 주제로 한 코딩 및 진로 캠프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고등학생들은 먼저 IT 분야에서 진행되는 진로 동향을 소개 받고 순천만 정원의 꽃과 관련되는 아이디어를 디자인 한 후에 아두이노 보드를 사용하여 구현해 보는 일련의 활동을 전개하였다. 설문지 자료를 분석하여 만족도 조사를 하였으며 향후에 진로 캠프에서 보완해야 할 부분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멘토링이 중등 과학 예비교사들의 교과교육학 지식 함양에 미치는 영향과 멘토링 운영 방안 고찰

        윤지현(Yoon, Jih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11

        최근 과학 수업에 대한 교사 전문성의 요건 중 하나로 PCK 함양이 강조되고 있으며, 이는 예비교사교육 과정에서부터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에 전문가의 지원을 통해 실천적 반성을 촉진하는 멘토링이 예비교사교육의 새로운 대안이 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멘토링이 중등 과학 예비교사들의 PCK 함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효과적인 멘토링 운영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서울 소재의 사범대학교 3학년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수업 시연을 계획하는 과정에서 세 차례의 멘토링을 실시하였고, 수업 시연을 마친 후 사후 면담을 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은 멘토링을 통해 PCK 요소들의 중요성을 새롭게 인식하거나 개선시켜 나갈 수있었지만, PCK 요소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 정도나 경험 정도, 멘토의 역할 등에 따라 멘토링에 대한 영향은 다양하게 나타났다. 예를 들어, 수업 계획 시 예비교사들이 가장 많이 고민했던 교수전략은 멘토링을 통해 자신들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이를 수정 및 보완시켜 나갈 수 있었다. 수업 계획 시 고려해야 함을 인식하지 못했던 학습자의 오개념이나 교육과정과 같은 요소는 멘토링의 내용에 따라 예비교사들의 인식 수준에 차이가 있었다. 또한 예비교사들은 자신들이 학생이었을 때 평가를 받았던 경험으로 인해 평가 요소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멘토링을 통해 쉽게 형성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Develop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has been emphasized as one of the requirements for science teacher s professionalism, and it needs to be done in teacher education courses. Mentoring which facilitates reflection through expert s supporting could be a new alternative in pre-service teachers educatio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influences of mentoring for science pre-service teachers PCK cultivation, and considered its systematic operating methods. The juniors at a college of education in Seoul were asked to participate at three times of mentoring during planning teaching demonstration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after their teaching exercises. Analyses of the results revealed that pre-service teachers were able to recognize the importances of PCK components, whereas the influences of mentoring were dependent on the degrees of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pre-service teachers and the roles of mentor. For examples, most pre-service teachers were gradually able to increase their understandings on teaching strategies they had been considering through mentoring. In student s misconception and curriculum components that were not considered in planning instructions,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developing their perceptions and knowledges depending on mentoring content. Pre-service teachers who had several experiences on being evaluated when they were students could easily establish the perceptions on assessment s need through mentoring.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1960, 1970년대 한국 무용교육 제도의 근대적 이행 : 개인무용연구소에서 대학 무용과로

        윤지현 ( Yoon Jihyun ) 한국무용예술학회 2017 무용예술학연구 Vol.67 No.5

        The study attempted to describe the institutional transition of dance education which had occured in the 1960, 70s’ Korea. Using Fairclough’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method, it approached the transitional process as a discursive struggles between two types of institution: private dance schools and dance departments in universities. Though both appeared in the modern era, the later was assumed as a modernized institution, but the former was not. The dance department in university was regarded as modern, but at the same time it claimed the ruling ideology, modernization. The analysis of the discourse of the time identified five thematic discourses. Among these, two discourses, ‘well trained dancers’ and ‘freedom for dance creation’ were for the private dance schools; and three discourses, ‘obtainment of degrees and certifications’, ‘specialized and systemic curriculum’and ‘sustainable and reasonal reproducing system in the field of dance as an art’ were for the universities’ dance departments.

      • KCI등재

        ‘과점주주’의 존재를 요건으로 하는 두 가지의 제 2 차 납세의무에 관한 대법원 판결들의 해석방법론 비판 - 대법원 2019. 5. 16. 선고 2018두36110 판결과 대법원 2020. 9. 24. 선고 2016두38112 판결 -

        윤지현(Yoon Jihyun) 한국세법학회 2021 조세법연구 Vol.27 No.1

        이 글은 과점주주의 요건이 충족되는 경우 과점주주가 법인의, 법인이 과점주주의 납세의무를 각각 제 2 차적으로 부담할 수 있게 하는 국세기본법 조항들에 관하여 최근 선고된 2건의 대법원 판결(‘대상판결들’)을 다룬다. 대상판결들은 대법원이 그동안 자주 언급하여 온 이른바 ‘엄격해석의 원칙’을 내세워 각각의 사안에서 제 2 차 납세의무의 성립을 부정하는 결론을 내렸다. 과점주주의 제 2 차 납세의무와 관련하여서는 이른바 ‘단계적’ 제 2 차 납세의무의 성립 가능성을 인정하지 않았고, 법인의 제 2 차 납세의무에서는 과점주주가 보유한 외국법인 발행의 출자지분 환가가 여의치 않다 하더라도 이것이 법에 명시적으로 열거된 사유가 아님을 내세워 역시 제 2 차 납세의무가 없다고 판단하였다. 그 논거는 제 2 차 납세의무가 사법(私法) 질서에 대한 예외를 이루기 때문에 엄격해석, 즉 문리해석이나 축소해석을 해야 한다는 데에 있었다. 이 글은 이러한 대법원의 해석방법론적 전제를 비판하기 위해 쓰인 것이다. 세법이 사법과 그 내용이 같아야 한다고 일반적으로 단정할 이유가 없으므로, 사법 질서와 다르다고 하여 이를 ‘예외’라고 말할 수도 없거니와, 항상 그러한 차이가 줄어드는 방향으로 해석할 당위는 더구나 존재하지 않는다. 오히려 세법이 이와 같이 사법과 다른 입장을 취하는 이유에 주목할 필요가 있고, 그러한 이유가 잘 살아날 수 있도록 해석할 필요가 있다. 그러한 시각에서 볼 때 과점주주와 법인의 제 2 차 납세의무는 모두 과점주주의 요건이 충족될 때 그 과점주주와 법인 사이의, ‘법인격’이라고 불리는 법적 경계선이, 나라가 조세채권을 행사하는 범위에서 더 이상 기능하지 않도록 한다는 이해를 전제한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이해에서 출발하여, 단계적 제 2 차 납세의무의 성립 여부나, 법에 명확하게 규정되지는 않았다 하더라도 비슷한 법적 이유에서 출자지분의 환가가 곤란한 경우 법인의 제 2 차 납세의무가 성립하는지 않는지를 올바로 검토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법인 형식을 취하여 사업을 영위하고자 하는 출자자들에게는 미리 고려하여야 할 위험 요소가 더 늘어날 수 있는데, 그와 같은 부담을 지우는 것이 과연 현실적으로 정당화되는지도 따져 보아야 한다. 적어도 이러한 검토 과정을 단순한 ‘엄격해석’의 방법론으로 대체하겠다는 사고방식만큼은 분명 옳지 않으며 한시바삐 지양되어야 한다. This article is intended to provide a critical account of the two recently-issued decisions of the Supreme Court of Korea (“Court”) on the issue of so-called “secondary tax liability” (“STL”) under Korean tax law. When the “principal” taxpayer is unable to pay his tax bills, a separate taxpayer who has a certain close tie therewith is required to assume an STL under Korean tax law. In this regard, the term “majority shareholder” (“MS”) is crucial in that an MS may be burdened with an STL based on the tax liability of the coporation in which he has majority shares and vice versa. In the decisions at issue, the Court explicitly resorted to the so-called “principle of strict interpretation,” which means that the Court basically adheres to literal interpretation in tax law cases. This “principle” has long been, at lease facially, the prevailing norm when it comes to interpretational methodology in tax law although the Court seems to have increasingly relied on other types of legal interpretation whenever it sees them fit. However, it goes without saying that such a rigid rule of interpretation cannot always reach optimal results. Furthermore, the fact that the Court does make use of other methods whenever necessary leads to the suspicion that the “principle” is invoked in a somewhat arbitrary manner and it only results in disguising what is the “real” motive or reason for the decision. This article therefore argues that the foregoing “principle” should be altogether abandoned, and in the cases at issue, the systematic structure of the law of STL as well as its raison d’être and real-world consequences should be thoroughly considered and evaluated if one wants to attain outcomes with more persuasive weights. For instance, the STL may be viewed as requiring the MS to take additional risks when he conducts his business activities through the use of corporate form, which would increase his transaction costs. Whether the benefit of further ensuring of tax collection outweighs this increase in transaction costs is one profound question that should be squarely dealt with whereas the simplistic approach of “strict interpretation” cannot be justified.

      • KCI등재

        중등 과학 예비교사들의 실험 설계 역량 함양을 위한 메이커 교육 기반 실험 설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탐색

        윤지현(Yoon, Jihyun),김용석(Kim, Yongseok),황윤서(Hwang, Yunseo),강성주(Kang, Seong-J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

        이 연구는 중등 과학 예비교사들의 실험 설계 역량 개발을 위한 전략으로써, 메이커 교육 기반 실험 설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메이커 교육에서 활용하는 오픈소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기반으로 실험을 설계할 수 있는 실험 주제를 선정하고,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29명의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이 과정에서 예비교사들의 실험 설계 활동 과정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프로그램이 예비교사들의 실험 설계 역량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프로그램 적용 전·후 실험 설계 역량 검사도구인 DCT를 활용하여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본 프로그램의 효과와 예비교사들의 전반적인 인식을 살펴보기 위하여 프로그램 적용 후 사후면담을 실시하였다. 적용 결과, 예비교사들은 실험 설계 과정에서 실험 설계 단계를 반복적으로 순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험 설계 역량 점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전체적인 실험 설계 역량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예비교사들의 사후면담을 분석한 결과, ‘메이커 교육의 가시화와 유연성이 실험 설계 과정의 순환 유도’, ‘센서의 사용이 가설설정 단계에 긍정적 영향’, ‘실험 설계 활동에 대한 자신감 형성’, ‘자신의 전공 분야 혹은 교육 현장에서의 메이커 교육 기반 실험 활동 적용 의지’가 나타났다. 이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maker education-based experimental design program and explore its effects as a strategy for developing experimental design competency of secondary science pre-service teachers. Therefore, experimental subjects were selected and programs were developed to design experiments based on maker education. The developed program was applied to 29 pre-service teachers. In addition,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developed program on the experimental design competency of pre-service teachers, the test was conducted using DCT. And post-interviews were conducted after applying the program. As a result of applying the program, it was confirmed that the pre-service teachers repeatedly performed the steps of cycled through the experiment design process.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ange in the experimental design competency, it was found that the overall experimental design competency of pre-service teachers has increased statistically. And the analysis of pre-service teachers overall perception showed that the visibility and flexibility of the maker education led to a cycle of the experimental design process , the use of sensor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hypothesis setting stage , building confidence in experimental design activities and will to apply the maker s education-based experimental activities in the field of one s major or educational field .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thi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