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제 2형 당뇨병 환자에서 혈중 요산 농도와 대사조절 정도 및 만성 합병증과의 상관관계

        윤중원 ( Jung Won Yun ),강정묵 ( Kang Jeung Mook ),이원영 ( Won Young Lee ),김선우 ( Sun Woo Kim ) 대한내과학회 2003 대한내과학회지 Vol.64 No.1

        배경 : 고요산혈증은 비만, 고혈압, 고중성지방혈증, 내당능 장애, 고혈당과 연관이 있다. 여러 역학적 연구를 통해서 요산의 증가는 심혈관계 질환과 동맥경화증의 위험인자라고 밝혀지고 있고 인슐린 저항성과 고인슐린혈증의 특징이라고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많은 연구에서 당뇨병 환자에서 혈중 요산 농도가 감소한다고 보고하기 때문에 제 2형 당뇨와 요산 농도와의 관계는 논란의 여지가 많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 2형 당뇨병 환자에서 혈중 요산 농도와 대사적 Background : Several epidemiologic studies have shown that increased uric acid is a risk factor of cardiovascular mortality. Elevated serum uric acid is also a feature of insulin resistance. However, increased or decreased levels of uric acid have been va

      • KCI등재
      • KCI등재

        종설 : 비알코올성 지방간이 다른 내과질환에 미치는 임상적 영향

        윤중원 ( Jung Won Yun ),조용균 ( Yong Kyun Cho ) 대한내과학회 2009 대한내과학회지 Vol.76 No.1

        Non 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has been recognized as a hepatic manifestation of systemic metabolic disease associated with insulin resistance. Recent studies have reported that NAFLD is related with various systemic complications such as cardiovascular, renal, metabolic disease independent of obesity, other component of metabolic syndrome (MetS). Thus, NAFLD should be newly regarded as an early mediator of systemic metabolic disease as well as liver specific disease. The mechanisms of adverse effect of NAFLD on other medical diseases are not fully understood, so further study is needed for understanding and future management strategies of NAFLD. (Korean J Med 76:25-29, 2009)

      • KCI등재

        인접구조물의 내진성능개선을 위한 준능동 MR감쇠기의 GA-최적퍼지제어

        윤중원 ( Jung Won Yun ),박관순 ( Kwan Soon Park ),옥승용 ( Seung Yong Ok ) 한국안전학회(구 한국산업안전학회) 2011 한국안전학회지 Vol.26 No.4

        This paper proposes a GA-based optimal fuzzy control technique for the vibration control of earthquake- excited adjacent structures interconnected with semi-active magneto-rheological(MR) dampers. Rule-based fuzzy logic controllers are designed first by implementing heuristic knowledge and the genetic algorithm(GA) is then introduced to optimally tune the fuzzy controllers for enhancing the seismic performance of semi-active control system. For practical implementation, the fuzzy controller simply uses locally measured responses of the dampers involved and directly returns the input voltage to the magneto-rheological dampers in real time through the fuzzy inference mechanism. The local measurement based fuzzy controller provides optimal damping force in a decentralized manner so that it does not require a primary central controller unlike the conventional semi-active control techniques. As a result, it can avoid the unbridgeable discrepancy between the desired control force and the actual damper force that may occur in the conventional control approaches. The validity and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control method are shown numerically on two 20-story earthquake-excited buildings interconnected with MR dampers.

      • SCOPUSKCI등재

        간경병증 환자에서 섬유소 용해 활성도와 식도정맥류 출혈과의 관계

        윤중원 ( Jung Won Yun ),김병익 ( Byung Ik Kim ),전한별 ( Han Byul Chun ),황상태 ( Sang Tai Hwang ),김정욱 ( Jeong Wook Kim ),박동일 ( Dong Il Park ),조용균 ( Yong Kyun Cho ),성인경 ( In Kyung Sung ),박창영 ( Chang Young Park ) 대한소화기학회 2004 대한소화기학회지 Vol.43 No.6

        Background/Aims: Esophageal variceal bleeding in liver cirrhosis is a major complication and has high mortality rate. We tried to find fibrinolytic parameters, which correlated with variceal bleeding in cirrhotic patients. Methods: We divided the cirrhotic patients into two groups: bleeding group (group A, n=15) and non-bleeding group (Group B, n=17). Fibrinolytic parameters (fibrinogen, D-dimer, plasminogen, tissue plasminogen activator [t-PA], fibrin degradation product [FDP], and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 type-1 [PAI-1]) were compared between two groups. In the group A, serial samplings were taken at the initial period, 3 days, 8 days, 15 days and 6 weeks after the bleeding onset. Results: Plasma levels of FDP and D-dimer in the group A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group B (1.7±1.16 vs. 0.95±1.27㎎/L and 10.96±6.58 vs. 4.99±3.50㎍/㎖, respectively, p value<0.05). The clinical, biochemical, and coagulation parameters did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groups. The fibrinolytic parameters were improved along with the hemodynamic stabilization in group A. Conclusions: Cirrhotic patients with increased fibrinolytic activity were at higher risk of bleeding. Thus, the measurement of these parameters would be useful to identify patients at higher risk of esophageal variceal bleeding. (Korean J Gastroenterol 2004;43:349-354)

      • KCI등재후보

        한국인 성인에서 내장지방량과 죽상경화증 위험인자 및 좌심실 비대와의 상관관계

        윤중원(Jung Won Yun),이원영(Won Young Lee),김지연(Ji Youn Kim),박현덕(Hyun Duk Park),임성호(Seong Ho Lim),정찬희(Chan Hee Jung),김영춘(Young Chun Kim),김선우(Sun Woo Kim) 대한내과학회 2002 대한내과학회지 Vol.63 No.2

        배경: 비만증은 심혈관 질환의 위험요소일 뿐 아니라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인슐린 저항증 등의 대사증후군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많은 연구들에서 복부 내장지방량이 주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좌심실 비대는 심혈관 질환의 독립적인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으나, 체지방분포와의 관계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되어 있지않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성인 남녀에서 체지방 분포와 죽상경화증 위험인자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대사지표 및 좌심실 질량과의 상호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방법: 1999년 3월부터 2001년 6월까지 강북삼성병원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138명(남자 97명, 여자 41명)을 대상으로 복부 전산화 단층촬영, 체성분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남녀에 따른 체지방분포에서 내장지방은 남자에서 유의하게 높았고, 피하지방과 체지방율은 여자에서 유의하게 높았지만(p<0.05) 복부 지방율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연령에 따른 체지방은 연령대가 증가할수록 내장지방과 복부 지방율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p<0.05). 복부 내장지방은 체질량지수(r=0.556), 허리/둔부 둘레비(r=0.569), 수축기혈압(r=0.282), 이완기혈압(r=0.356), 총콜레스테롤(r=0.218), 중성지방(r=0.309), 요산(r=0.377)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지만(p<0.05), 피하지방과의 상관관계는 없었고, 연령과 성별로 보정 후에도 같은 유의성을 보였다. 좌심실 질량과는 체질량지수(r=0.392), 허리/둔부 둘레비(r=0.404), 내장지방량(r=0.362), 복부 지방율(r=0.479)이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p<0.05), 연령과 혈압 및 체질량지수를 보정한 후 실시한 다중회귀분석상 내장지방량(β=0.252, p<0.05)이 좌심실 질량의 중요한 예측 인자임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보아 체지방의 분포가 죽상경화증의 위험인자와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았다. 복부지방이 대사증후군 및 심혈관 질환의 위험인자인 좌심실 비대와 상관관계가 있었고, 특히 복부지방중 내장지방이 주요한 대사장애의 원인임을 알 수 있었다. Background: Obesity is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the development of coronary artery disease and associated with insulin resistance, hyperlipidemia and hypertension. In many studies, visceral adipose tissue is highly correlated with adverse coronary risk profile. Left ventricular (LV) hypertrophy also is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cardiovascular mortality and morbidity. However, few data are available concerning the relations of LV hypertrophy to body fat composition, especially in Korean subjects. Therefore, this study was intended to evaluate the relation between body fat distribution and atherosclerotic risk factors including metabolic parameters and LV mass. Methods: Total 138 subjects who visited the healthy promotion center in Kangbuk Samsung hospital (97 men, 41 women) were to recruited to the study. Body fat distribution was assessed by Abdomial CT (computer tomography) and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Body Composition Analyzer Inbody 2.0, Biospace, Seoul, Korea) Results: Visceral adipose tissue volume was higher in male subjects while subcutaneous adipose tissue volume and % body fat were higher in female subjects (p<0.05). Serum triglyceride and uric acid level were elevated in male subjects but HDL-cholesterol level was elevated in female subjects (p<0.05). Increasing age was correlated with waist-hip ratio, visceral adipose tissue volume, abdominal fat/total body fat ratio, LV mass (p<0.05). Visceral adipose tissue volum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body mass index, waist-hip ratio, blood pressure,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uric acid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HDL-cholesterol (p<0.05). After adjustment for age and sex, this correlation was significantly remained. LV mas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body mass index, waist-hip ratio, visceral adipose tissue volume, abdominal fat/total body fat ratio (p<0.05). I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independent predictor for LV mass was visceral adipose tissue volume (β=0.252, p<0.05). Conclusion: Body fat distribution is associated with traditional cardiovascular risk factors. Especially, visceral adipose tissue is correlated with the components of metabolic syndrome and LV mass which is independent risk factor of cardiovascular morbidity and mortality. (Korean J Med 63:177-185, 2002)

      • KCI등재후보

        상부 소화관 내시경 검사시 midazolam의 적절한 투여용량 및 투여용량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와 검사 후 flumazenil의 투여시기

        서정열 ( Seo Jeong Yeol ),윤중원 ( Yun Jung Won ),김정욱 ( Kim Jeong Ug ),박동일 ( Park Dong Il ),조용균 ( Jo Yong Gyun ),성인경 ( Seong In Gyeong ),박창영 ( Park Chang Yeong ),손정일 ( Son Jeong Il ),전우규 ( Jeon U Gyu ),김병익 대한내과학회 2003 대한내과학회지 Vol.65 No.4

        목적: 최근 midazolam을 이용한 상부 소화관 수면 내시경법이 널리 시행되고 있으나 피검자에 따라 midazolam 투여에 따른 진정효과 및 수면 내시경을 시행 받은 후 만족도가 다르다. 이에 저자들은 midazolam의 적절한 투여용량 및 투여용량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알아보고, 검사 후 그 길항제인 flumazenil의 적절한 투여시기에 대해 연구하였다. 방법: 상부 소화관 수면 내시경을 시행한 126명의 피검자를 대상으로 투여된 midazo Background: Intravenous administration of midazolam is widely used as a premedication for esophagogastroduonenoscopy. However, there are individual differences in midazolam doses for premedication and controversies for starting point of esophagogastroduon

      • SCOPUSKCI등재

        몇 가지 신장질환에서 혈청 및 요 Neopterin치 측정의 의의

        정수석 ( Jeong Su Seog ),김향 ( Kim Hyang ),윤중원 ( Yun Jung Won ),서정열 ( Seo Jeong Yeol ),정찬희 ( Jeong Chan Hui ),이규백 ( Lee Gyu Baeg ) 대한신장학회 2004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3 No.2

        배 경 : Neopterin은 γ-인터페론의 자극하에 주로 단핵세포와 대식세포에서 생성되는 pyrazino-pyrimidine 화합물로서 세포면역이 활성화된 상태를 나타낸다. 세포면역 기전이 매개가 되는 장기이식의 거부반응, 감염질환, 자가면역질환, 종양 및 심부전이나 신부전 등 여러 질환에서 증가하며 진단 및 예후의 지표가 된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신질환에서 neopterin치 측정이 세포면역의 활성도를 나타내는데 유용하다고 알려져 있으나 전반적인 신질환과 neopterin와의 연관성온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이에 저자들은 신증후군, 만성 신부전 및 말기 신부전으로 유지혈액투석을 받고 있는 신장질환 환자들에서 혈청 및 요 neopterin치를 측정하여 신장질환과 neopterin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 neopterin과 다른 임상적인 표지자들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아 neopterin치 측정의 임상적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 법 : 총 91명 환자 (신장조직검사로 확진된 신증후군 19명, 만성 신부전 8명, 말기 신부전으로 유지혈액투석 중인 환자 64명)에서 혈청 및 요 neopterin치를 radioimmunoaasay 방범으로 측정하였고 임상지표로는 WBC, hemoglobin, hematocrit, BUN, creatinine, total protein, albumin, triglyceride (TG), iron, total iron binding capacity (TIBC) 등을 측정하였다. 결 과 : 혈청 neopterin치는 신증후군, 만성 신부전, 말기 신부전 환자들에서 각각 14.1±30.9, 28.2±19.4, 65,6±25.5 ng/dL로 모두 대조군 1.6±0.3 ng/dL에 비해 증가하였고, 이중 만성 신부전과 말기 신부전 환자에서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증가하였다 (p<0.05, p<0.01). 요 neopterin치 또한 신중후군, 만성 신부전, 말기 신부전에서 각각 203.2±349.6, 319.2±107.7, 407.9±256.9 μ㏖ neopterin/㏖ creatinine로 모두 대조군 108.9±57.9 μ㏖ neopterin/㏖ creatinine 보다 각각 증가하였고, 역시 만성 신부전과 말기 신부전에서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증가하였다 (p<0.05, p<0.05). 전체 대상군에서 혈청 neopterin치와 임상적 표지자들과의 관계에서 혈청 creatinine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triglyceride, TIBC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각각 p<0.01), 요 neopterin치는 hemoglobin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p<0.05). 결 론 : 신증후군, 만성 신부전, 말기 신부전 등 몇 가지 신장질환 환자들에서 혈청 및 요 neopterin치의 증가와 neopterin치와 몇 가지 임상지표들과의 의미있는 연관성을 통하여 신장 질환 환자에서 neopterin치의 측정이 이들 질환의 활동성 및 예후의 한 지표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이는 앞으로 보다 많은 수의 연구대상과 지속적인 후향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 Neopterin is a pyrazino-pyrimidine compound, produced by human monocytes or macrophages primarily upon stimulation with gamma in terferon. Neopterin is a marker associated with cell mediated immunity. The levels of neopterin in body fluids are elevated in allograft rejection, infections, autoimmune diseases, malignancies, cardiac and renal diseases. We hypothesized that the levels of serum and urine neopterin maybe elevated in some renal disease including nephrotic syndrome (NS), chronic renal failure (CRF) and end stage renal disease (ESRD). Methods : We examnined the serum and urinary neopterin levels in 19 patients with NS underwent renal biopsy, 8 patients with CRF, 64 patients with ESRD undergoing maintenance hemodialysis. Twenty-two healthy controls were enrolled to define the normal range of neopterin levels. Serum and urinary neopterin were measured by radiommunoassay method. We also correlated the levels of serum and urinary neopterin with many clinical parameters such as WBC, hemoglobin, hematocrit, BUN, creatinine, total protein, albumin, triglyceride, iron, total iron binding capacity. Results : The serum neopterin levels elevated in patients with NS (14.1±30.9 ng/mL), CRF (28.2±19.4 ng/mL) and ESRD (68.6±25.5 ng/mL) than control (1.6±0.3 ng/mL). Particularly the patients with CRF and ESRD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levation (p<0.05, p<0.01). The urine neopterin levels elevated in patients with NS (203.2±349.6 μmol/mol creatinine), CRF (319.2±107.7 μmol/mol creatinine) than control (108.9±57.9 μmol/mol creatinine). Particularly the patients with CRF and ESRD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levation (p<0.05, p<0.05). The serum neopterin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serum creatinine levels, inverse correlation with total iron binding capacity and serum triglyceride levels among clinical parameters in all groups (respectively p<0.01). The urine neopterin showed significant inverse correlation with hemoglobin (p<0.05). Conclusion : The serum and urinary neopterin levels elevated in patients with some renal diseases. And also neopterin levels showed clinical correlations with some renal parameters in these patients. We suggest that serum and urinary neopterin levels may be useful marker to predict disease acitivity and prognosis in some renal diseases. They should be confirmed by a prospective study during a long-lasting and in a higher number of patients. (Korean J Nephrol 2004;23(2):241-247)

      • SCOPUSKCI등재

        위장암 : 대장암에서 HER-2/neu 발현에 관한 연구

        박동일 ( Dong Il Park ),오석중 ( Suk Joong Oh ),박승하 ( Seung Ha Park ),윤중원 ( Jung Won Yun ),김홍주 ( Hong Joo Kim ),조용균 ( Yong Kyun Cho ),성인경 ( In Kyung Sung ),손정일 ( Chong Il Sohn ),전우규 ( Woo Kyu Jeon ),김병익 ( B 대한소화기학회 2004 대한소화기학회지 Vol.44 No.3

        목적: HER-2/neu 단백은 상피성장인자 수용체와 구조가 거의 일치하기 때문에 정상 세포의 성장과 증식 과정에 관여한다. 유방암에서 HER-2/neu의 과발현은 나쁜 생존율을 예상할 수 있는 예후인자일 뿐 아니라 항암화학요법이나 호르몬요법에 잘 반응하지 않는 등 치료에 대한 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 인자이며 HER-2/neu에 대한 단일클론 항체인 Herceptin(R)은 림프절에 전이된 유방암 환자에서 장기 생존율을 향상시켜 임상에서 활발히 사용되고 Background/Aims: The HER-2/neu protein is involved in normal cell proliferation and tissue growth because it is extensively homologous and related to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As a prognostic marker, HER-2/neu is used to forecast the clinical cour

      • KCI등재후보

        도시지역 검진수진자 40 , 698 명에서 NCEP - ATPⅢ 기준에 의한 대사증후군의 유병율

        박정식(Jeong Sik Park),박현덕(Hyun Duk Park),윤중원(Jung Won Yun),정찬희(Chan Hee Jung),이원영(Won Young Lee),김선우(Sun Woo Kim) 대한내과학회 2002 대한내과학회지 Vol.63 No.3

        목적 : 대사증후군은 그 진단기준의 다양함으로 인해 이 질환 군의 통계학적인 정보나 그에 따른 치료의 접근에 혼돈을 유발하여 왔다. 1988년 WHO에서는 이 질환 군을 대사증후군으로 명명하고 기준치를 제시한 바 있고, 2001년 NCEP-ATPⅢ (The Third report of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 (Adults Treatment PanelⅢ))에서는 대사증후군에 대한 그 구성 인자와 기준치를 WHO기준보다 간결하고 더욱 엄격히 제시하였다. 최근 미국인을 대상으로 한 NCEP-ATP III 기준에 따른 유병율에 대한 보고가 발표된 바 있으나, 아시아인에서의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어서 한국인에서 이 기준에 의한 대사증후군의 유병율을 알아보고 연령 및 성별에 따른 대사증후군의 비교위험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2000년 아시아-태평앙 지역의 복부비만(또는 비만)의 기준에 의한 분석과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 2001년 1월부터 12월까지 1년간 서울의 강북삼성병원 종합건진센터에 건강진단을 받은 20세 이상 성인 수진자 40,698명(남자 26,528명, 여자 14,17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참여자의 평균 연령은 41.2±9.2세(남자 41.4±8.6세, 여자 41.1±10.5세)였다. 키, 체중, 허리둘레, 수죽기와 이완기 혈압, 혈청 포도당 농도, 혈청 총 콜레스테롤 농도, 혈청 중성지방 농도, 혈쳥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농도를 측정하여 NCEP-ATPⅢ 기준과 아시아-태평앙지역의 허리둘레와 체질량지수의 기준에 의한 유병율을 비교하였다. 결과 : NCEP-ATPⅢ 기준에 의한 대사증후군의 연령 보정한 유병율은 6.8%(남자 5.2%, 여자 9.0%)였고,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허리둘레 기준에서 대사증후군의 연령 보정한 유병율은 10.9%(남자 9.8%, 여자 12.4%)였으며, 아시아-태평앙 지역의 체질량지수 기준에서 대사증후군의 연령 보정한 유병율은 13.1%(남자 13.2%, 여자 13.1%)였다. 연령대별 대사증후군의 유병율을 보면, NCEP-ATPⅢ 기준에서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70세 이상에서 각각 1.4%, 2.5%, 5.2%, 11.5%, 19.5%, 22.2%,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허리둘레 기준에서 각각 2.4%, 5.4%, 9.4%, 18.2%, 27.5%, 31.3%, 아시아-태평앙 지역의 체질량지수 기준에서 각각 3.2%, 8.4%, 13.0%, 21.0%, 29.0%, 30.6%로 연령증가에 따라 대사증후군의 유병율이 증가하는 양상을 관찰하였다. NCEP-ATPⅢ 기준에 의한 대사증후군에서 20대에 대한 70세 이상에서의 대사증후군의 체질량지수를 보정한 비교위험도는 13.8 (95% CI 8.2∼23.2)였고, 남자에 대한 여자의 대사증후군의 체질량지수 및 연령을 보정한 비교위험도는 1.4(95% CI 1.2∼1.5)였다. 결론 : 미국 NHANESⅢ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에서 보고한 유병율과 비교할 때 본 연구의 유병율과는 차이가 있었다. 향후, 한국인에서 적용될 수 있는 대사증후군의 새로운 진단기준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 The definition of metabolic syndrome was different in each studies and thus the results of each studies were variable. In 2001 years, the third report of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 (NCEP-ATP III)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reating patients with the metabolic syndrome to prevent cardiovascular disease. In year 2000, the criteria to define obesity in Asia-Pacific region was proposed. However, limited information is available about the preval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according to NCEP-ATP III in Korea. We compared the preval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in the urban Korean population by criteria of ATP III report and Asia-Pacific region and estimated the effect of age and sex on the development of metabolic syndrome. Methods : Total 40,698 participants (26,528 men, 14,170 women) underwent medical check-up from Jan. to Dec. 2001, aged 20-82 years (mean±SD: 41.2±9.2),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ge, sex, height, body weight, waist circumference, blood pressure, blood cholesterol, triglyceride, HDL cholesterol and fasting glucose levels were measured. Results : By the definition of ATPⅢ, the age-adjusted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for Koreans was 6.8% in total, 5.2% in men, 9.0% in women. In Asia-Pacific definition with waist circumference, 10.9% in total, 9.8% in men, 12.4%. In Asia-Pacific definition with body mass index (BMI) instead of waist circumference, 13.1% in total, 13.2% in men, 13.1% in women. By the definition of ATP III, the prevalence among participants aged 20 through 29 years, 30 through 39 years, 40 through 49 years, 50 through 59 years, 60 through 69 years, and over 70 years were 1.4%, 2.5%, 5.2%, 11.5%, 19.5% and 22.2%, respectively. By the Asia-Pacific definition with waist circumference, 2.4%, 5.4%, 9.4%, 18.2%, 27.5% and 31.3%, respectively. By the Asia-Pacific definition with BMI instead of waist circumference, 3.2%, 8.4%, 13.0%, 21.0%, 29.0% and 30.6%, respectively. With BMI-adjuste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odds ratio of participants with the metabolic syndrome aged over 70 years against aged 20 through 29 years was 13.8(95% CI 8.2∼23.2). With age and BMI-adjuste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odds ratio of women with the metabolic syndrome for men was 1.4(95% CI 1.2∼1.5). Conclusion : The preval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on NHANES III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report in USA displayed much difference with our report. Therefore, adequate criteria of the metabolic syndrome for Koreans should be needed.(Korean J Med 63:290-298, 200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