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대문학 : 전경린 단편소설의 환상성 연구

        윤애경 ( Ae Kyung Yoon ) 배달말학회 2015 배달말 Vol.56 No.-

        본고에서는 전경린 작품세계의 중심축을 이루고 있는 여성정체성 찾기의 서사에서 전략적인 서사장치로서 배치된 환상성이 지닌 의미에 해 살펴보 았다. 문학의 환상성은 문학의 내재적인 방식인 동시에 사회적 맥락 안에서 생산되고 결정된다는 점에서 현실체제를 전복하고자 하는 욕망의 소산이기 도 하다. 그의 소설에서 나타나고 있는 환상성은 첫째, 현실과 환상의 변증법적 관 계를 드러내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여성인물들은 자기정 체성을 찾아 나서면서도 끊임없이 현실과의 길항관계를 보여주고 있으며, 그것은 환상이 현실과의 접한 상관관계를 유지하고 있음을 확인해주고 있 다. 그리고 여성인물들의 염소와 늑, 새와 같은 동물로의 변신 모티프는 타자화된 삶을 살고 있는 여성의 야생적 본질을 일깨우는 매개로서 기능한다. 둘째, 환상성을 통해 작가가 이해하고 있는 생의 본질에 한 인식과 초월의식이 효과적으로 형상화되고 있다. 현실적 한계에 부딪힌 여성들은 삶의 심연에 한 통찰로부터 현실을 초월하는 존재론적 전환으로 나아가는 데, ‘가벼움’과 ‘전생과 원’의 모티프를 통하여 현실의 한계를 초월하는 환상적 상상력으로 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이 전경린 소설에서 환상성은 현실의 모순을 환기시키는 중요한 의의를 지니고 있다. 그의 여성 인물들은 자기 삶의 한계에서 출발하여 궁극 적으로 삶의 본질에 한 인식의 확장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 부분은 작가가 지향하는 여성문학의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는 목이라 할 수 있다. In this paper, the meanings of fantasy as the narrative device in order to effectively embody the description to find the identity as a female, which establishes the central axis of the world of Jeon Kyeonglin``s works, were examined. The fantasy in literature is its immanent method, and simultaneously, the outcome of the desire to overturn the actual system in that it````s produced and decided in the social context. The meanings of the fantasy in her novels, first, lie in that it reveals the dialectical relation between the reality and illusion. The female characters search for their identity, and yet ceaselessly show the rivalry with the reality, and their prospect is uncertain. The character composition connotates the overthrow that dissolutes a uniform figure through an animal motif. A goat, a wolf and a bird function as the media encouraging females who are leading an otherized life to become aware of their wild nature. Second, it implies the writer``s belief in the essence of life and transcendental consciousness. The females`` ontologistic lives are longing for an original life while repeating reincarnation, which is based on the transcendental consciousness of the present repressed life. As investigated above, the fantasy in Jeon Kyeonglin``s works is significant because it calls our attention to the contradictions of the reality even though it just exposes the irregularities and suppression of the patriarchal system and then goes back to the stable social order again. Moreover, in the respect that the yearn for women``s independent life is not merely females`` problem, but implies the writer``s consciousness pursuing autonomous rights of one``s own life and liberation and freedom from all oppressive ones, it``s meaningful that it delivers the writer``s interest in narrative and the depth of her critical mind in a more serious way.

      • KCI등재

        한국소설에 나타난 베트남전 2세의 형상화 양상 -『붉은 아오자이』, 『사이공의 슬픈 노래』, 『슬로우 불릿』을 대상으로-

        윤애경 ( Ae Kyung Yoon ) 우리어문학회 2014 우리어문연구 Vol.50 No.-

        In this paper that targets the works dealing with the lives of the second-generation after the Vietnam War, it was examined what clues to solution to their conflict situations the writers suggest, and what meanings the means of description to embody them have. As the solutions to the absolute pain they go through, a variety of ways, such as family reconciliation, acceptance by destiny, ruinous resistance, are presented, and the means of description which express them and their mean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form of reminiscence which re-constructs the Vietnam War continues to awaken the appropriateness that the remembered past should accept the real scars of the war and create future-oriented relations. In addition, as it is specified as the transmission and share of memories among generations, the shift to family narrative which is both personal and a basic unit of the society is displayed. Second, the self-reflection mainly by the father generation shows a serious change of recognition of the Vietnam War from the other`s viewpoint to the origin of my pain. Even through the meanings of the fictitious embodiment of the second generation of the Vietnam War are eventually concluded into the general messages of the novels related to wars, they examine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he Vietnam War and the point where its nowness is manifested within the category of family and daily life, and deduct their meanings in the present.

      • KCI등재

        유미리 소설에 나타난 문학적 통섭 연구

        윤애경(Yoon, Ae-kyung) 우리문학회 2014 우리文學硏究 Vol.0 No.41

        문학이 사상이나 감정을 상상의 힘을 빌려 언어로 표현한 예술이라고 할 때, 유미리는 『8월의 저편』(한국어판)에서 장르적 측면과 정서적 측면을 통해 경계를 허물고 문학적 통섭을 시도하였다. 그가 도입하고 있는 소설과 희곡간의 장르 경계 넘기는 경계인으로서의 그가 가교(架橋) 역할을 하며 현재적 상황을 적확하게 드러내기 위한 필연적인 과정으로 이해된다. 또 산문과 운문의 경계 허물기로 접근되는 다양한 노랫말들이 지닌 정형적 리듬과 함께 마라톤 호흡의 비정형적 리듬을 통해 형성되는 내적 리듬의 효과는 궁극적으로 4대에 걸친 기나긴 가족사와 시대사를 아우르는 장편의 서사를 정형화시키지 않고 생동감 있게 입체적으로 재구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차원에서『8월의 저편』에서 유미리가 꾀하고 있는 장르의 통섭은 단순한 형식적 차원을 넘어선 보다 본원적인 성질의 것으로 이해된다. 그것은 또한 기존의 글쓰기 전통에 견주어 보았을 때, 상당히 강한 실험성을 띠고 있다. 작가는 문학적 통섭의 전략으로 장르의 통섭을 한 주요 축으로 놓고 있는 한편, 정서적 통섭을 다른 한 축에 놓고 있다. 그가 구축하고 있는 독자적인 정서적 통섭 양상은 구체적으로 민요, 씻김굿, 전설, 통과의례 등과 같은 한국 고유의 다양한 민속적 요소들을 작품 곳곳에 배치하는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그것들은 단편적인 소재로서가 아니라 서사 전개의 긴밀성과 관련하여 풍부하게 활용되고 있다는 점에 중요한 의의가 있다. When literature is the art expressing ideas or emotions through language with the power of imagination, Yu miri tries literary convergence in『The other side of August』(Korean version) by blurring the boundaries in generic and emotional aspects. She tried to cross the Border between novel and play and that makes her play a role as a border. It is understood as an inevitable process that reveals the present situation precisely. In addition, the effect of inner rhythms formed through atypical ones of at the pace of marathon along with the typical ones of diverse lyrics as the approach to border crossing between prose and poetry is ultimately working as the main element to very vividly and tridimensionally recast the long piece of narration encompassing the long family history over four generations and the history, rather than to put them into a stereotype. In this level, the convergence of genres that Yu miri tries in『The other side of August』is regarded as more fundamental one rather than mere formal one. It"s also very experimental when it is compared to the previous writing tradition. As the strategies of literary convergence, the writer puts genre consilience into important axis while she puts emotional consilience into the other axis. The aspect of her unique emotional convergence is specifically expressed in the variety of traditional Korean folk elements, such as folk songs, a shaman ritual for cleaning dead person"s soul, legends, and rite of passage. It"s meaningful because they are used in abundance not just as fragmentary materials but as closely related to the narrative development.

      • KCI등재

        김승옥의 「무진기행」에 나타난 환상 연구

        윤애경 ( Ae Kyung Yoon ) 민족어문학회 2009 어문논집 Vol.- No.60

        김승옥의 「무진기행」(1964)은 「생명연습」, 「서울, 1964년 겨울」, 「60년대식」과 함께 새로운 세대의 감성을 유감없이 드러내고 있는 작품으로 평가되고 있다. 특히 이 작품은 새 세대의 의식과 감성, 즉 무질서, 몽롱한 추억, 센티멘털리즘이 날카로운 감각으로 채색되어 있어 그를 일약 문제적 작가로 떠오르게 한 작품이다. 이 작품을 구성하는 중심축으로서 `무진`이라는 공간과 `하인숙`이라는 인물, 그리고 짧은 귀향에서 갖는 작중인물 `나`(윤희중)의 감정이 내포하는 의미는 작품 해석에 있어 주요 실마리로 기능한다. 이들은 또한 그의 소설세계의 주요한 특징을 이루고 있는 환상적 분위기의 해명과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다. 본고에서는 `무진`과 `하인숙`, 그리고 `나`가 느끼는 `부끄러움`의 상징적 의미를 라캉의 실재계(the Real)를 통하여 살펴보았다. 환상적 공간인 `무진`은 상징적 질서로부터의 책임을 회피하고 무장해제 되는 실재계의 공간이면서 동시에 윤희중 자신의 속물의식에 대해 부끄러움을 느끼며 자기성찰을 갖는 곳이다. 그리고 `하인숙`은 `나`의 욕망의 대상-원인a로서, 이것에 다가갈수록 느끼는 `불안`은 대상의 결핍이 아니라 대상에 너무 가까이 다가감으로써 결핍 자체를 상실할 위험으로부터 나오는 정서이다. 따라서 `나`는 욕망을 구성하는 결핍을 재생산하는 상태로, 즉 대상a를 실현하지 못하는 상태로 자신을 위치 이동시킴으로써 욕망을 실현한다. 결국 `나`가 실재로의 여행을 마치고 다시 상징적 현실로 돌아가는 것은 환상의 역설로써 이를 통해 주체는 환상이라는 보호막에 의해 실재적 대상으로부터 파괴되지 않은 채 그것에 지속적으로 관계할 수 있게 되며, 이때 `환상`은 현실이라는 것에 일관성을 부여하는 토대로서 기능하게 된다. Kim Seung-Ok`s Mujingihaeng has been evaluated as a work of revealing the snobbery of our society in the first half of the 1960s. `Mujin` and `Ha In-suk` as the central axes constituting the work, and the significance involved by `my` emotion from a short return to my hometown function as key clues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work. They are also closely related to the clarification of the fantastic atmosphere forming the main feature of his world of novel. This thesis has explored the symbolic meanings of `Mujin`, `Ha In-suk` and shame through Lacan`s the Real. The fantastic space called `Mujin` is the real space where one avoids the responsibility from symbolic order and place where one examines oneself feeling shame at one`s own snobbery. And the `anxiety` which one feels approaching to `Ha In-suk` as the object-cause of `my` desire is the emotion from the danger of losing lack itself by approaching too closely to the object. Thus, `I` realize a desire by transposing myself to the condition of reproducing the deficiency constituting it.

      • KCI등재

        1960년대 소설에 나타난 소시민적 일상성과 자기세계의 양상

        윤애경(Yoon, Ae-Kyung) 동아인문학회 2013 동아인문학 Vol.24 No.-

        1960년대 소설에 나타난 소시민적 일상성과 자기세계의 양상을 이호철과 김승옥, 박태순의 작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60년대 사회는 한국전쟁 이후 자본주의적 근대화로 나아가고 있었고, 이 시기의 문학은 자연히 근대적 인간으로서의 개인의식의 탐구와 자아정립의 문제가 초점화 되었다. 그것은 구체적으로 근대화의 경험 속에서 해체되거나 변화되는 개인에 대한 성찰의 문제로 드러나는데, 특히 소시민적 일상성을 중심으로 형상화되고 있다. 이호철의 경우, ‘상황의 메커니즘’에 의한 체념적 순응을 보여줌으로서 소극적 자기세계를 보여주었다. 김승옥은 ‘의식의 조작’을 통하여 소시민적 일상성에 적극적으로 지향하였고 그 결과 몰주체적 자기세계를 형성했다. 박태순은 변모된 ‘현실의 객관적 인지에 의한 양가적 시선’과 비판적 자기세계를 조성했다. 이와 같이 소시민적 일상성을 통한 자기세계의 구축 양상에 있어서는 다양한 편차를 보이고 있으나 궁극적으로 근대적 주체로서의 자율적 개인의 형성에는 미흡하였음을 볼 수 있었다. I explored a petit bourgeois"s dailiness and the aspects of self-world, which had appeared in the novels of the 1960s, centering on Hochul Lee"s, Seungok Gim"s and Taesoon Bak"s works. After the Korean War the society of the 1960s aimed at capitalistic modernization. Thus, the literature in this period naturally focused on the questions of exploration of personal consciousness and self-establishment as modern man. It was concretely expressed as the question of introspection for an individual dissolved or changed in the experience of modernization. In particular, it was being formalized centering on a petit bourgeois" dailiness. By showing the abandoning adaptation by ‘situational mechanism", Hochul Lee displayed negative self-world. As a result of aiming positively at a petit bourgeois’ dailiness through ‘the manipulation of consciousness’, Seungok Gim formed non-subjective self-world. Taesoon Bak created ‘bivalent eyes by the objective recognition of reality’ changed and critical self-world. I could see that like it they were making various differences in how they constructed self-world through a petit bourgeois" dailiness, but that they did not ultimately form an autonomous individual as the modern subject.

      • KCI등재

        송영 소설에 나타난 폭력과 주체의 문제 -초기 소설을 중심으로-

        윤애경 ( Ae Kyung Yoon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5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63

        이 논문은 송영의 초기 소설에 지속적으로 변주되고 있는 다양한 폭력적 상황과 이에 대해 좌절하면서도 굴복하지 않는 주체가 내포하고 있는 의미를 살펴보았다. 작가 송영을 1970년대의 대표적 작가로 거론하는 이유는 무엇보다 그의 소설세계가 당대 현실의 성격과 그것에 의해 규정되는 삶의 문제를 예리하게 형상화해 내고 있기 때문이다. 이 점에서 폭력과 주체의 문제는 그의 소설세계를 구명하는 중요한 단서로 이해될 수 있다. 송영의 소설에서 다양하게 제시되는 폭력적 상황들은 60-70년대 한국사회를 구성하고 이끌어갔던 지배이데올로기들, 즉 반공주의(anti-communism), 성장주의(developmentalism), 권위주의(authoritarianism) 등과 같은 이념적 요소들로부터 파생되고 있으며, 당대를 살아가는 사회 구성원들은 이 지배이데올로기의 폭력성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음이 포착되고 있다. 그런데 자연스럽게 학습화되던 사회의 체계들이 바로 그 사회의 구성원들에 의해 폭력적으로 인지될 때, 그것은 이 세계에 이미 문제가 발생하고 있음을 뜻한다. 이처럼 사회구조가 부조리하고 틈새를 보일 때, 주체는 이데올로기적 구조로부터 자신의 역할을 일방적으로 부여받는 것이 아니라 그것으로부터 분리되어 욕망하는 주체로 출현하게 된다. 세계의 실체가 드러내 보이는 틈새는 당대 지배체제의 이데올로기를 맹목적으로 수용하던 사회 구성원들의 내면에 자리 잡게 되는 부정적인 정서들에 의해 구체화되고 있다. 고도의 경제성장을 이루며 발전해 가는 당대의 상황 앞에서 "작업복 청년"이 갖는 암담함과 실망감은 당대 정권이 국민들에게 종용했던 이데올로기의 허구적 실상을 마주한 데서 연유된 반동적 정서이다. 무관의 빛 에서 당대 지배이데올로기에 의해아무 실증 없이 처형된 담임선생의 소식으로 ‘나’가 받는 정신적 동요와 충격, 대미 종속의 이데올로기가 파생한 폭력성으로 인해 미국인의 이미지에 미달하는 미국인 "윌슨"이 하숙집을 떠나기로 작정했을 때 ‘나’가 갖는 깊은 죄책감, 지배이데올로기에 철저히 복종했을 뿐인 자신이 징벌을 받고 있는 아이러니한 상황에 대해 정 하사가 느끼는 억울함 등과 같은 부정적 정서 역시 같은 맥락에서 이해된다. 그런데 세계의 틈새가 그대로 노출되고 있는 통제 불가능한 객차 내의 극한상황에서 무사히 ‘만종’으로 가기만을 바라는 ‘환오’의 욕망을 통해 이데올로기적 구조로부터분리된 주체의 의지는 피력되고 있다. 그의 욕망의 대상으로서의 ‘만종’이 보여줄 황폐함이 환멸을 불러일으킨다 하더라도 그것을 선택하는 행위는 그러한 상황을 야기한당대 성장 이데올로기의 황폐함에 대한 명백한 거부임을 암시한다. 이 점에서 그는 욕망하는 주체로 거듭나고 있다. 또한 지배이데올로기에 맹목적으로 복종했던 "정하사"역시 그것을 내세운 국가에 상고를 결심함으로써 욕망하는 주체로 거듭난다. 이처럼 부조리한 세계의 논리에 대해 적극적으로 동조하거나 혹은 소극적으로 순응해 갔던 작중인물들이 갖는 각성과 동요는 세계의 틈새를 발견한 데 이어 그러한 세계의 이데올로기로부터 분리되어 주체적으로 선택하는 인물로의 전환을 예고하고 있어 주요한 의미를 갖는다. 즉, 이데올로기적 구조 내에서 존재의 상실을 강요당한 주체는 사회구조가 균열된 지점에 위치하여 그 틈새를 인식하면서 자신의 욕망을 추구 하기에 이르고 있다. 따라서 그의 인물들은 이 같은 탈출 불가능한 현실에 대해 좌절을 겪으면서도 끊임없이 저항적 태도를 보여줌으로써 회의하고 욕망하는 주체로서의 성격을 선명하게 드러내고 있다. This thesis examines a diversity of violent situations consistently appearing in Song Yeong``s early novels and the implications of the subjects who become frustrated but don``t surrender. Writer Song Yeong is discussed as one of the representative writers of 1970s because, above all, the world of his novels sharply embodies the nature of the reality of his days and the problems of life defined by it. In this respect, the matters of violence and subjects can be understood as important clues bringing light to his novels. The various violent circumstances presented in Song Yeong``s novels are derived from the ruling ideologies consisting of and leading Korean society in 1960s and 1970s, that is, anti-communism, developmentalism, and authoritarianism. The social members living in those days couldn``t be free from the violence of those ruling ideologies. Then, when the social systems which had been naturally learned began to be recognized as violent by the members of the very society, it means that problems were already occurring in that world. When the social structure is irrational and shows gaps in this way, a subject is not one-sidedly given his roles from the ideological structure, but comes to separate himself/herself from it and appears as the subject of desire. His characters experience frustration regarding this inescapable reality but continue to display a resistant attitude, so clearly reveal their nature as a doubting and desiring subject.

      • KCI등재

        이청준 소설의 액자소설적 성격 연구 ―「병신과 머저리」를 중심으로

        윤애경 ( Yoon Ae-kyung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08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41 No.-

        Chungjun Lee's attitude of recognizing reality that he understands it in various aspects and explores the truth of life is expressed as a polyphonic discourse of constructing a text and a stratified descriptive situation. In particular, his consideration of the aspect of effective statement is closely related to the question of narrative communication of 'how' to convey the shape of the truth he himself has got, which is revealed through the roles of a frame narrator and readers. The conflict of 'me' in a frame layer forming the main axis of this novel is made the foreground not only in the novel of 'an elder brother' introduced in the layer of the internal story but also in the elder brother who writes such a novel and in a polyphonic discourse through 'Hyein's letter' which 'I' comes to get in a frame layer. Through such a polyphonic discourse I am changed into the reflective subject who slowly confirms the conflict internal to me and deepens it. On the one hand, the internal story controlled by a frame narrator is conveyed to readers through the aspects of various descriptive situations, that is, objective summary description, direct quotation, annotative description and the description as an editor, and the effect of distance control by them. Eventually, his flexible attitude of recognizing reality through objectifying a speaker and his structure of a frame story in which he induces his readers to actively participate in it form one primary feature of his world of novel.

      • KCI등재

        윤동주 산문과 디아스포라 주체의 담화적 소통

        윤애경 ( Yoon¸ Ae-kyung ) 우리어문학회 2021 우리어문연구 Vol.69 No.-

        윤동주의 산문들은 그가 디아스포라로서 식민지 조국의 중심부에 유학 온 특정 시기에 집필되었다. 두 번에 걸친 식민지 조국에서의 유학 생활을 통해 그는 조국을 피상적인 관념태로서가 아니라 일제의 폭압에 짓눌리는 구체적인 현실태로서 파악한 자의 객관성을 담보하게 된다. 특히 그가 찾은 두 번째 식민지 조국의 생활현장에서, 갈수록 첨예화되는 그의 고통과 갈등은 내면으로의 침잠과 동시에 행동의 방향을 모색하며 적극적 소통 의지를 드러내는 다원적 방식으로 분출되기에 이른다. 이 시기 왕성한 시창작활동과 더불어 산문이라는 또 다른 글쓰기를 병행해 나갔던 양상의 의미는 산문의 특성을 전유한 디아스포라 주체의 담화적 소통 차원에서 이해될 수 있다. 자신의 실존적 조건에서 기인한 ‘디아스포라로서의 주체성’은 자신과 타자에 대한 이해 및 공감, 그리고 세계에 대한 사유의 확장에서 형성된 것으로, 광포해지는 군국 식민체제의 모순 상황에서 글쓰기를 통한 성찰의 방향을 자기 내면에만 한정하지 않고 외부의 식민지 조국 타자들에게로 확대하여 적극적인 소통을 탐색하고자 하는 지향성을 뚜렷하게 보여주고 있다. 이때 그의 조국 독립에 대한 발화적 구상은 담화적 소통의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타자의 능동적 역할을 전제로 한다. 이 과정에서 그는 담화 수신자의 능동적인 응답적 이해에 자리를 내어주는 담화적 소통 상의 타자적 경험을 통해 디아스포라 주체로서 자신의 내적 경험에 구체적 의미를 획득하게 된다. 이상의 내용들을 종합해 볼 때, 담화적 소통의 차원에서 살펴본 그의 산문들은 자기성찰을 담은 단순한 개인적 글이 아니라 식민지 조선의 타자를 향해 자신의 발화적 구상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고자 선택한 의지적 글쓰기의 성격을 강하게 띠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Yoon Dong-ju's prose works were written during certain years when he studied at the center of his colonized homeland as a member of diaspora away from his home. After studying in his colonized homeland away from his home over two occasions, he got to secure objectivity as an individual that saw his homeland as specific actuality pressed down by the oppression of the ruling Japanese rather than superficial ideality. In the field of living in his colonized homeland where he made his second visit, in particular, he withdrew inward and, at the same time, searched for his direction of action driven by his increasingly fierce pain and conflict, ending up erupting in multiple ways to reveal his will for active communication. He exhibited a pattern of adopting another type of writing called prose in addition to his active poetic creations at this time. The significance of his pattern can be understood at the level of discourse communication by a subject of diaspora possessing the characteristics of prose. His "independence as a member of diaspora" derived from his existential conditions was formed based on his understanding and sympathy for others and the expansion of his thinking of the world. Reacting to the contradicting situations of the militaristic colonial system that was growing more and more violent, his writing represented his direction of reflection not restricted to his inside and his shift of gaze to external others in his colonized homeland to show his orientation toward search for active communication clearly. Here, his locutionary conception of the independence of his homeland was inevitably based on the premise of others and their active roles in the process of discourse communication. In addition, he got to acquire specific meanings for his internal experiences as a subject of diaspora through other-like experiences in the process of discourse communication in which he as the speaker would make room for the discourse addressee's active and responsive understanding after finishing his own speech.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his prose works examined at the level of discourse communication had the strong nature of willful writing chosen to deliver his locutionary conception of others in colonized Joseon effectively rather than his simple personal writing containing his self-introspection.

      • KCI등재

        소월 시어의 `아득이다` 와 `빗기다` 에 관한 연구

        유형선 ( Yoo Hyoung-sun ),윤애경 ( Yoon Ae-kyung ) 민족어문학회 2016 어문논집 Vol.- No.78

        본고에서는 소월의 시어 중 해석이 모호한 어휘 중에서 `아득이다`와 `빗기다`를 선별하여 뜻풀이를 하였다. 이들 어휘는 선행 연구에서 의견이 분분하고, 또한 각각 동음이의어를 갖고 있다는 것이 공통점이다. 본고는 시어를 문법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의미는 문맥적 내용에 초점을 맞춰 뜻풀이를 하였다. 적절한 해석이란 무엇보다도 문맥적 의미가 통해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본고에서 다루는 소월의 시는 시집 『진달래꽃』 수록 작품, 『소월시초』 수록 작품, 각종 문예지와 신문 등에 발표한 작품을 대상으로 한다. 소월의 시어가 토속적이라는 평가를 받는 이유는 고어와 방언을 많이 사용하기 때문이라는 사실에 착안하여 고어의 의미와 방언 관련 여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고어의 의미로 해석하거나 방언의 의미로 해석하는 것이 시의 전체적인 내용과 자연스럽게 어울린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선행 연구에서는 통시 국어학적인 관점과 방언학적인 관점에 초점을 맞추지 않아, 대상 어휘들의 동음이의어 가능성을 포착하지 못했다. 본고에서는 `아득이다`, `빗기다`를 대상으로, 시어의 어원적, 문법적, 의미적인 정보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아득이다`는 2개의 동음이의어가 있다. 의미가 `어둡다, 희미하다, 멀다`로 지각적인 이미지를 가진 단어와, 의미가 `애쓰다, 움직이다`로 동적인 이미지를 가진 단어가 있다. `빗기다`는 5개의 동음이의어로 구분된다. 각각 `가로지르다` 의미, `비끼다` 의미, `스치다` 의미, `뿌려지다` 의미, `비키다` 의미를 가진 단어가 있다. 또한 소월 시어의 특징 중의 하나는 소월이 시의 서정성을 사실적으로 묘사를 하기 때문에 의미가 상당히 구체적이라는 점이다. 소월은 구체적인 의미를 띈 어휘로 정교한 묘사를 하였다는 점에서 사실적 묘사를 한 시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소월의 시어를 다룬 선행 연구는 추상적이고 관념적으로 접근하여 소월 시어의 정확한 의미를 포착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시인의 개인어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을 다시 인식하였다는 점도 중요하다. 어떤 어휘는 의미가 명확히 다른 어휘인데도 시인이 이를 구분하지 않고 쓰는 경우도 있는데, 소월에게서 `빗기다` 같은 어휘를 볼 수 있었다. 언중은 구분하여 썼기 때문에 동음이의어가 아니지만, 시인 개인에게는 동음이의어로 작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사실은 어느 한 시인의 작품을 이해하려면, 먼저 그 시인만의 독특한 개인어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This article analyzed at the grammatical perspective for the Sowol`s poetic words(`adeugida`, `bisgida`) The word meaning attach great importance to relationship of the constituents. This article is based on the contextual meaning for the poetic word interpretation. Previous papers view from a conceptual and abstract standpoint for Sowol poets because the analysis does not match the facts. And Sowol has a tendency to realism, but previous researcher of Sowol` poetic word haven`t captured it. This paper was considered a homonym of the words(`adeugida`, `bisgida`). Also this paper contained about an archaism and dialect. As a result mentioned in this paper was mostly a homonym. Homonym is based on the meaning of archaism and dialect. therefore Sowol`s idiolect originate in archaism and dialect. The `adeugida` have two homonym. For one thing, meaning is a visual image as a `dark, dim`, for another thing is a mental image as a `struggle, take pains`. The `bisgida` have fives homonym. The meaning is as follows: `put across`, `lie aslant`, `touch`, `be scattered`, `withdraw`.

      • KCI등재

        소월 시어의 개인어에 관한 연구

        유형선 ( Yoo Hyoung-sun ),윤애경 ( Yoon Ae-kyung ) 우리어문학회 2018 우리어문연구 Vol.61 No.-

        시인의 시세계를 탐구하기 위해서는 먼저 시어의 의미를 천착하는 하는 것이 기본이 되어야 한다. 특히 시어 중에서도 시인의 개인어에 대해 명확하게 이해해야 한다. 소월은 개인어를 많이 쓴 시인이다. 본고에서는 소월의 개인어에 드러나는 특징을 살펴보았다. 소월의 개인어가 매우 방대하여, 본고에서 소월의 개인어 전부를 다루지는 않는다. 선행 연구에서 해석에 이견을 보이고 있는 개인어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소월이 개인어를 쓴 기제는 크게 보아 운율 준수와 표기 습관 때문이다. 소월은 음악적인 효과를 얻기 위해 7 · 5조 음수율과 3음보율을 가장 많이 애용하였다. 소월은 운율에 맞추기 위해 시어를 조탁하였다. 또한 소월은 독특한 표기 습관을 가지고 있다. 이 표기 습관은 소월의 구어 습관과 관련된 것으로 추정한다. 본고에서 다룬 어휘를 대상으로 파악한 소월의 개인어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용언의 불규칙 활용을 소월은 규칙으로 활용을 하였다. 2. 서북 방언은 구개음화가 일어나지 않는 것이 보편적인데, 소월은 구개음화된 어휘를 사용하였다. 3. 소월의 시어에서 음절말의 ‘ㅅ-ㄷ’ 교체 현상을 볼 수 있다. 4. 접미사 ‘-지다’는 ‘멋지다, 네모지다’처럼 일반적으로 고유어에 붙는 접미사인데 소월은 한자 어휘 ‘숙기(熟期)’에 ‘-지다’를 결합하였다. 5. 음수율을 준수하기 위해 축약을 하였다. 6. 각운을 맞추기 위하여 명사형 어휘를 파생 명사로 활용하였다. To understand poetry properly, it should be preceded by a clear unde rstanding of the poet's idiolect. Sowol is a poet who wrote a lot of idiolect. In this paper, We researched the characteristics featured in the Sowol's idiolect. This paper analyzed idiolect that interpretations were conducted differently in the preceding paper. The mechanism of idiolect written by Sowol is because of the rhythm and unique grammatical perception. The features of Sowol's idiolect are as follows; 1. regular inflection of leu (르) irregular inflection, 2. palatalization, 3. syllable final ‘ㅅ-ㄷ’ replace ment, 4. unique usage of the suffix '-jida(-지다)', 5. unique usage of the suffix '-i(-이)', 6. segment of unaspirated sound, 7. abbreviation, 8. transition of part of speech. The appreciation of poetry begins with understanding of the idiolect. It identified the importance of the idiolect used by poets. Once the results of this things pile up, the poet's poetic framework can be accomplish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