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NST에 반응성인 정상 및 고위험 임부의 태아심박 양상

        윤만수(MS Yoon),신영주(WJ Shin),김원희(WW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198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6 No.3

        저자는 1982년 3월 1일부터 5월 15일까지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산부인과 외래에 내원하였던 임부중 태아감시 기구를 이용한 non-stress test에 반응성이었던 정상임부 47례, 고위험 임부 39례를 대상으로하여 태아심박 양상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 1. non-stress test에 반응성인 경우 기준 태아심박수, oscillation빈도, 태동회수, 태동에 따른 태아심박수 증 가등은 정상임부와 고위험 임부간에 의의있는 차이를 나타내지 아니하였다. 2. oscillation진폭은 고위험 임부군이 정상임부군보다 의의있게 낮은 치를 나타내었다. 3. Fischer의 점수제를 수정 적용하였을때 정상임부 에서의 임신주수 및 초·경산부에 따른 점수치 사이에 의의있는 차이는 없었다. 4. 수정 Fischer점수는 정상임부가 11.0, 고위험 임부가 9.6으로 고위험 임부가 의의있게 낮은 치를 나타내었다. By means of fetal monito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fetal heart rate pattern in 47 normal and 39 high-risk pregnant women with reactive non-stress test at various stage of gestation from 34th to 44th weeks, who visited out-patient department at B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March 1, 1982 tO May 15, 1982.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erized as follows: 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on comparative observations for beseline FHR, oscillation frequency, frequency of fetal movement, and FHR acceleration according to fetal movement between normal and high-risk pregnancy· 2. There was significantly lower value on comparative observations for oscillation amplitude in the high-risk pregnancy to normal pregnancy. 3. By using of modified Fischer`s scoring system,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 ences in the score value in normal pregnancy according to gestational age and score value between nullipara and multipara. 4. on comparative observations for the score value between normal and high­ risk pregnancy by using modified Fischer`s scoring system, there was significantly lower value in the high-risk pregnancy than in normal group (11.0 in normal pre- gnancy, 9.6 in high-risk pregnancy).

      • KCI등재

        원발성 무월경 환자의 임상적 고찰

        김원회(WW Kim),윤만수(MS Yoon),이이경(YK Lee),이승엽(SY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198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0 No.1

        1984년 1월부터 1985년 12월까지 만 2년간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산부인과에 내원한 원발성 무월경 환자 30례를 대상으로 병력지를 토대로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원발성 무월경 환자의 빈도는 0 5%를 나타내었다 2 원발성 무월경 환자의 연령별 분포는 25세∼29세 사이가 50 0%로 가장 많았다 3 원인별 분류에 있어서는 성선발육 부전증과 뮐러관 이상이 23 3%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저성선자극호르몬성 저성선증이 16 7%로 많았다 4 액모와 음모는 20례에서 관찰되었으며, 다모증은 1례에서 그리고 유즙분비는 2례에서 관찰되었다 5 자궁은 있으나 유방발육이 없는 경우에는 7례에서 성선발육부전증으로 진단되었으며 5례에서 저성선 자극 호르몬성 저성선증으로 진단되었다 6 유방발육은 있으나 자궁이 없는 경우에는 7례에서 선천성 자궁결손증으로 진단되었으며 1례에서 고환 여성화 증후군으로 진단되었다 7 자궁과 유방발육이 모두 없는 1례에서는 무고환증으로 진단되었다 8 자궁과 유방발육이 모두 있는 경우에는 2례에서 뇌하수체선종으로 진단되었으며 나머지 7례에서 소퇴성 출혈이 있는 4례중 2례는 시상하부 이상으로 진단되었으며 2례는 다발성 난소 낭종으로 진단되었으며 소퇴성 출혈이 없는 3례중 2례는 시상하부-뇌하수체부전증으로 진단되었으며 1례는 난소기능부전증으로 진단되었다 This retrospective clinical study is based on 30 cases of primary amenorrhea patients visited to the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during 2 years of period from January, 1984 to December, 1985 There will be discussion on the incidence, age distribution, causes, hair distribution and lactation as well as diagnosis and treatment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Primary amenorrhea cases occupy 0 5% of 6,173 total gynecological outpatients 2 The incidence of 25-29 year age group was the most common one among the patient with primary amenorrhea and comprised 50 0% 3 The most common causes of primary amenorrhea were gonadal dysgenesis(23 3%) and then mullerian/urogenital abnormality(23 3%), and hypogonadotropic hypogonadism(16 7%) in order 4 The number of patient with axillary and pubic hair was 20 and with hirsutism was 1 and with lactation was 2 5 Patients with an intact uterus and no breast(12 cases) were diagnosed to have gonadal dysgenesis in 7 cases and hypogonadotropic hypogonadism in 5 cases 6 Patients with breast development and no uterus(8 cases) were diagnosed as having congenital absence of uterus(7 cases) and testicular feminization(1 case) 7 One patient with no breast and uterus was diagnosed as having agonadism 8 Patients with an intact uterus and breast development(9 cases) were diagnosed to have pituitary adenoma(2 cases) with elevated prolactin level and brain CT finding The remaing 7 patien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based on the response to progesterone administration Patients who had withdrawal bleeding and had elevated lutenizing hormone level were diagnosed to polycystic ovaries(2 cases) and patients with normal gonadotropins were diagnosed to hypothalamic dystunction(2 cases) Patients who did not bleed were diagnosed as having hypothalamic failure(2 cases) or primary ovarian failure(1 case)

      • KCI등재

        정상임신에 있어서의 임신주수에 따른 태아두대횡경치에 관한 연구

        이준덕(JD Lee),윤만수(MS Yoon),최종길(JK Choi),김원희(WW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198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6 No.2

        결론 저자는 1980년 10월 1일 부터 1981년 9월 30일 까지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산부인과 외래에 내원하였던 정상임부 218명을 대상으로 실시 초음파 장치를 이용하여 태아두대회경치를 총 340회 측정하여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 1) 임신 재태기간 제 16주부터 42주 까지의 이신주수에 따른 태아두대횡경치는 y=0.23x+0.33(cm)(r=0.96, p<0.01)도 정도 성장하고, 임신 재태기간 제 16주부터 28주까지는 평균 주당 2.8mm로 제 29주 부터 42주 까지는 평균 주당 1.5mm의 증가율을 나타내어 임신이 진행할수록 태아두의 발육도가 둔화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 태아두대횡경치 3.6cm에서 9.5cm까지 태아주령의 증가양상을 회귀직선 y=3.57x+3.35(주) (r=0.92, p<0.01)로 나타낼 수 있었고 이로서 임신주형을 예측할 수 있었다. By means of the real-time B-scan method,340 observations were made on 218 normal pregnant women with uncomplicated pregnancies at various stage of gesta- tion from 16th to weeks, who ⅵsited out-patient department at B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October 1, 1980 to September 30, 1981. The results of observations for this study were summerized as follows: 1. Tlie regression line of biparietal diameter according to various stage of gestarion from 16th to 42nd weeks were y=0.23×+0.33(r=0.96, p 0.01), and the growth rate of biparietal diameter of 16th~28th gestational weeks (2.8mm/wk.) was faster than that of 29th~42nd gestational weeks (1.5mm/wk). 2. Regression line of gestational age according to specific biparietal diameter from 3.6 to 9.4cm were y=3.57×+3.35(weeks)(r=0.92, p 0.01), and the expec-ted gestational weeks could be calculated from the regression line.

      • KCI등재

        Muller시 선육종 1 례

        김동휘(DH Kim),권점미(JM Kwon),윤만수(MS Yoon),김원회(WW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198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1 No.11

        저자들은 최근 본원 산부인과에 자궁체부에 발생한 muller씨 선육종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 헌적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Mullerian adenosarcoma has been described as a distinctive biphasic uterine tumor with benign epithelial and malignant stormal components. Adenosarcoma of the uterine corpus is considered to be a tumor of low grade malignancy with relatively good prognosis, but the possibility of recurrence is still high and occaaional cases with metastasis have been documented. Recently, we have experienced such a case in a 23-yeraold unmarried woman . the patients has been followed for 1 year without any evidence of recurrence after operation followed by combination chemotherpy This case is presented with a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s.

      • KCI등재

        골반내 후복막강에서 발생한 신경초종 (Schwannoma) 1 예

        윤만수,강기주,원석,황인섭 대한산부인과학회 199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1 No.9

        Schwannoma is the most common type of peripheral nerve tumor, which arise from Schwann cell of nerve sheath, and most are amenable to surgical cure with minimal morbidity. The majority of schwannoma is found as incidental, slow-growing masses attached to large nerve trunk. We experienced a rare case of retroperitoneal schwannoma presented as malignant adnexal mass in fifty three-year-old perimenopausal woman. Here we present the case with brief review of literatures.

      • KCI등재

        Cisplatin이 포함된 항암화학요법으로 인한 오심과 구토의 예방에 Ondansetron 단독요법과 Dexamethasone과의 복합요법에 대한 비교 연구

        윤만수,김원희,박상원,이승환,김연주,김기형 대한산부인과학회 199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9 No.8

        저자들은 1993년 7월부터 1995년 6월까지 부산대학교병원 산부인과에 입원하여 악성종양으로 진단받고 cisplatin을 근간으로 하는 복합항암요법을 받은 4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ondansetron 단독투여군과 ondansetron, dexamethasone 복합투여군으로 나누어 항구토효과 및 부작용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겨과를 얻을 수 있었다. 1. Cisplatin투여후 24시간 이내에 발생하는 급성구토의 조절효과는 완전조절이 복합투여군에서는 78%(18.23), 단독투여군에서는 60%(12/20)로 복합투여군에서 우수한 효과를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지연성 구토의 경우는 복합투여군에서는 65%(15/23), 단독투여군에서는 55%(11/20)로 복합 투여에서 다소 우수한 효과를 보였으나 역시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2. 오심에 대한 효과적인 조절은 복합투여군에서 82%, 단독투여군에서는 75%로 복합투여군에서 다소 우수한 것으로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고(p>0.05), 100 mm 눈금자를 이용한 평가에서는 복합투여군에서의 오심의 정도가 덜한 것으로 나타났으며(치료 후 평균 19.4 vs 33.8), 구토발현까지 시간의 비교에서도 단독투여군에서 10시간 20분, 복합투여군에서 19시간 40분으로 의미있게 긴것으로 나타났다. Chemotherapy induced nausea and vomiting is a still significant problem in the care of patients receiving cisplatin based combination chemotherapy. Existing antiemetic regimens, such as high dose metoclopramide have demonstrated clinical efficacy. Recently the more effective regimens, such as ondansetron or ondansetron combined dexamethasone hve been reported. Ondansetron, a serotonin antagonist have improved the treatment of chemotherapy induced nausea and vomiting. But the antiemetiv effect of delayed emesis is questionable. We compared the effectiveness and side effects of two antiemetic regimens using ondansetron alone versus ondansetron combined with dexamethasone, in the prevention of emesis induced by cisplatin based combination chemotherapy. A total of 43 patients were enrolled and assessable for efficacy. Patients who received ondansetron plus dexamethasone had a higher complete antiemetic response rate(acute emesis: 78% vs 60%, p0.05). Headache(9%), diarrhea(4%) and andominal colic(4%) were the most common antiemetic related adverse events. The incidence of adverse events was similar between the treatment groups.

      • KCI등재

        미세침윤 자궁 경부암의 치료적 원추 절제술

        윤만수,강기주,양승홍,안영도,채호진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5

        미세침윤 자궁 경부암의 치료 방향 설정에 도움을 얻고자 1993년 3월부터 1997년 12월까지 부산대학교병원 산부인과에서 미세침윤 자궁 경부암으로 진단받은 69례를 대상으로하여 일반 적 임상 소견 및 자궁 경부 생검 조직, 원추 절제술 조직, 수술후 최종 조직 등의 슬라이드를 다시 면밀히 검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조사 대상의 연령 분포는 30대가 43.5 %로 가장 많았으며, 출산력은 경산부가 97.1 %를 차지하였다. 술 전 진단적으로 시행한 자궁 경부 세포진 검사 소견은 class III가 34.8 %로 가장 많았고, 자궁 경부 생검 결과는 상피내암이 31.9 %로 가장 많이 나타나 미세침윤 자궁 경부암의 정확한 진단을 위하여서는 원추 절제술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2. 미세침윤암 Ia1 환자 61례의 치료로는 37례[60.7 %]에서 단순 자궁적출술을, 16례[26.2 %]에서 변형 근치적 자궁적출술 및 골반 임파절 절제술을, 그리고 나머지 8례[13.1 %]에서는 치료적 원추 절제술을 시행하였고 Ia2 환자 8례에서는 모두 변형 근치적 자궁적출술 및 골반 임파절 절제술을 시행하였는다. 자궁적출술 후의 조직 검사에서 단순 또는 변형 근치적 자궁적출술을 시행받은 53례의 Ia1 환자 중 41례[77.4 %]에서는 술 후 잔여 병변이 관찰되지 않았으나 12례에서는 잔여 병변이 관찰되었고 12례 중 10례에서는 원추 절제술 결과상 절제 변연부에서 병변이 발견되었던 경우였다. 3. 원추 절제 조직 소견 중 절제 변연부에 병변의 침범이 있는지 유무, HPV 감염의 형태학적 증거 유무, 임파혈관 침윤 유무 등과 자궁 적출술 후 잔여 병변이 발견될 확률과의 상관 관계를 조사한 결과, 원추 절제 조직의 변연부에 병변의 침범 및 HPV 감염의 형태학적 증거 등이 자궁 적출술 후 잔여 병변이 관찰될 가능성과 유의한 상관 관계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자궁 경부 미세 침윤암의 경우 원추 절제 조직의 변연부에 병변이 없고 침윤의 깊이가 3 mm 이하이며 임파혈관 침윤 및 HPV 감염의 형태학적 증거가 없을 때는 보존적 치료인 원추 절제술이 적절한 치료가 될 수 있다고 생각되며, 이러한 보존적 치료를 시행했을 때는 반드시 세포진 검사나 질확대경 등으로 주기적인 추적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침윤의 깊이가 3.1-5 mm인 경우에는 보다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보존적 치료의 적합성에 대한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Microinvasive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cervix is a subject associated with decades of confusion and multiplicity of definitions. And so the treatment of microinvasive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cervix is controversial. Simple hysterectomy has been performed in almost all cases, associated or not with more radical procedures. But the morbidity associated with simple hysterectomy or more radical procedures must be weighed against the possibility of residual neoplasia. Currently, there is a tendency to adopt conservative management to treat patients with microinvasion, as long as it can be assured that the whole lesion has been removed. This study was made to investigate clinical aspects of microinvasive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cervix and to establish which histological informations should be obtained from the cones that would give the best possible assurance of absence of residual neoplasia in the patient. This was done by comparing cone and hysterectomy specimens from each patient. Sixty nine cases who were diagnosed with microinvasive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cervix and treated at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1993 to 1997 were presented. Eight of these patients have been done conization as a therapeutic modality. We evaluated the following histological features in the cones: depth of invasion, lymphovascular invasion, morphological signs of HPV infection, and free or involved cone surgical margins. Residual neoplasia in the hysterectomy specimen was more frequent when margins of the cones were involved by atypical epithelium and in cases with signs of HPV infection. In conclusion, preoperative correct diagnosis of microinvasive cervical carcinoma was not easy and diagnostic conization should be done for correct diagnosis. Patients with a depth of invasion of 3 mm or less without signs of HPV infection and lymphovascular invasion safely can be treated with therapeutic conization. It cannot be overemphasized, however, that when conservative treatment is chosen, a close follow up with cytological and colposcopic control is indispensable.

      • KCI등재

        점액성 난소종양에 있어서 CEA, EMA 및 CA 125 항원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윤만수,김원희,이이경 대한산부인과학회 199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3 No.10

        저자는 점액성 난소종양의 악성도에 따른 대표적인 표면항원들의 분포를 조사하고 이 종양의 발생기원을 알아보려는 연구의 일환으로 단크론항체를 이용하여 CEA, EMA 및 CA 125 항원에 대한 면역조직학적 조사를 실시하였다. 대상은 보관중인 paraffin block으로부터 얻은 양성종양 12예, 경계성 종양 4예, 악성종양 11예와 CA 125 반응도를 비교하여 보기위한 양성 장액성 종양 8예와 악성 장액성 종양 7예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아래와 같이 요약한다. 1. 점액성 난소종양의 양성, 경계성 및 악성 병변에 있어서의 표면항원들에 대한 조직의 반응성은 CEA의 경우는 83.3, 100.0, 81.8%이었으며, EMA의 경우는 91.7%, 100.0, 100.0%, CA 125의 경우는 50.0%, 75.0% 및 72.7%이었다. 각 예를 10시야씩 400배율로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조사하였을때의 조직의 반응성은 양성, 경계성 및 악성종양에서 각각 CEA의 경우 76.7, 75.0 및 73.6% EMA의 경우 81.7, 85.0 및 96.3%이었으며, CA 125경우는 26.7, 32.5% 및 46.4%이었다. 2. CEA의 조직내 분포율은 양성종양에서 5%미만(이하 scarce군)이 25.0%, 5∼50%미만(이하 focal군)이 41.7%, 50∼90%미만(이하 predominant군)이 25.0%, 90∼100%(이하 uniform군)이 8.3%로 이들의 평균백분율은 41.4%이었다. 경계성종양은 focal군이 25.0%, predominant군이 75%로 평균 57.3%이었으며, 악성종양은 scarce, focal, predominant 및 uniform군이 각각 18.3, 36.4 및 9.9이었고 평균백분율은 37.6%이었다. 3. EMA의 조직내 분포는 양성종양에서 scarce, focal, predominant군이 각각 8.3, 58.3, 33.4%이었고, 경계성 종양은 predominant군이 100.0% 악성종양은 focal, predominant 및 uniform군이 각각 27.3, 45.4 및 27.3%이었으며, 양성, 경계성 및 악성종양의 평균백분율은 각각 40.4, 60.8 및 72.8%이었다. 4. CA 125의 조직내 분포는 양성 및 경계성 종양에서 scarce 및 focal군이 각각 58.3 및 41.7%와 25.0 및 75.0%이었으며 악성종양에서는 scarce, focal, predominant, uniform군이 각각 36.5, 27.3, 27.3, 9.9%이었다. 또한 양성, 경계성 및 악성종양의 반응세포의 평균백분율은 각각 17.0, 21.3 및 30.9%이었다. 5. 항원의 조직내 분포와 염색도를 동시에 나타낸 HSCORE는 양성, 경계성 및 악성종양에서 각각 CEA가 33.7, 44.1, 32.6이었으며, EMA는 21.0, 37.2, 63.5, CA 125는 12.2, 15.1 및 17.7이었다. 6. CEA는 양성종양에서는 주로 관강측표면에, 악성종양에서는 세포질내에 존재하였으며 EMA및 CA125는 세포질내에 존재하였다. 7. 장액성 종양에 있어서의 CA 125에 대한 반응율은 양성종양에서는 87.5%로 점액성 종양의 50.0%보다 의의있게 높았으나 악성의 경우는 71.4%로서 점액성 종양의 72.7%와 대동소이하였다. Author has studied the immunohistochemical localization of serval common surface antigens, carcinoembryonic antigen(CEA), epithelial membrane antigen(EMA), and CA 125 antigen in formalin-fixed paraffin sections of benign, borderline, and malignant ovarian tumors to figure out the relationship both to their degree of differentiation and to their histogenesis. For the latter purpose, serous ovarian tumors were studied with OC 125, as well. Only the epithelial cells were considered to be examined in the study. The results of the this study can be summerized as follows: 1. The percentage of CEA positive tumors in benign, borderline, and malignant ones are 83.3, 100.0, and 81.8 percent, respectively. In case of EMA, they were 91.7, 100.0 and 100.0 percent while CA 125 were present in 50.0, 75.0 and 72.7 percent of the tumors studied, respectively. After ten randomly chosen high-power fields from each slides with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were examined under light microscope, the positive fields were counted to estimate better percentage of reactivity. In benign, borderline, and malignant tumors, CEA was present in 76.7. 75.0, and 73.6 percent, EMA in 81.7, 85.0, and 96.3 percent, and CA 125 in 26.7, 32.5, and 46.4 percent, respectively. 2. As far as the staining by the anti-CEA was concerned, 25 percent of the tumor was in scarce group(less than 5% of stained cells), 41.7 percent in focal group(5-$lt;50%)., 25.0 percent in predominant group(50-$lt;90%), and 8.3 percent in uniform group(90-100%) in benign tumors. In borderline tumors, focal group was 25.0 percent and predominant one was 75.0 percent. In malignant tumors, they were 18.3, 36.4, and 9.9 in order from scarce to uniform. The mean percentages of the stained epithlium in benign, borderline, and malignant tumors were 41.4, 57.3, and 37.6 percent, respectively. 3. Histologic distributions of EMA in benign tumors showed 8.3 percent in scarce, 58.3 in focal, 33.4 percent in predominant group, while those in borderline was 100.0 percent in predominant group, and those in malignant tumors showed 27.3 percent in focal, 45.4 percent in predominant, and 27.3 percent in uniform group. The mean percentages in beign,borderline,and malignant tumors were 40.4, 60.8,and 72.8 percent, respectively. 4. The scarce and focal group in CA 125 staining showed 58.3 and 41.7 percent in benign and 25.0 and 75.0 percent in borderline tumors. In malignant tumors, the scarce group was in 36.5 percent, focal in 27.3 percent, predominant in 27.3 percent, and uniform in 9.9 percent. The mean percentages of the statined epithelium in benign, borderline, and malignant tumors were 17.0,21.3 and 30.9 percent, respectively. 5. Arbitrary chosen score, HSCORE, which represents the value of degree of staining and the distribution of positive sells and the full score is 100, in benign, borderline, and malignant tumors were 33.7,44.1, and 32.6 in CEA 21.0,37.2, and 63.5 in EMA, and 12.2, 15.1,and 17.7in CA 125 staining. 6. CEA was usually confined to the apical membrances in benign tumors but in malignant tumors increased staining was observed in the cytoplasm. The staining for EMA and CA 125 were mostly in the cytoplasm. 7. In serous tumors, there were more CA 125-positive cases compared to the mucinous ones, especially in benign variety. The percentage of positive cases were 87.5 percent in benign and 71.4 percent in malignant tumors.

      • KCI등재

        방사선조사가 백서의 골밀도 및 조직형태측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윤만수,이규섭,김원희,이원보,조혜원,이승환 대한산부인과학회 199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9 No.4

        저자는 쥐에 있어서의 방사선조사가 골의 밀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250-300 gm 정도의 Wester계 암 쥐에게 4,000 및 10,000 rad의 방사선조사후 경과기간에 따른 골밀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골밀도의 측정은 Lunar DPX기기와 Lunar SA software를 이용하였다. 1. 방사선조사 4,000 rad후의 전신의 평균 골밀도는 조사전, 조사후 4주 및 8주에 각각 0.295, 0.290 및 0,282 g/cm^2로서 조사 8주의 경우는 의의있는 감소를 보이었다. 방사선조사 10,000 rad의 경우, 요추 및 경골에서 8주에 골밀도의 의의있는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전신의 평균 골밀도는 각각 0.287, 0.279 및 0.266 g/cm^2로서 조사후 8주에서 통계적으로 의의있게 감소되었다. 2. 방사선조사후 4주 및 8주에서의 평균 골밀도의 변화는 4,000 rad의 경우 각각 -1.7 및 -4.4 %이었으며, 10,000 rad의 경우 -3.3 및 -7.7 %이었다. 3. 상박골의 해면골 및 치밀골의 용적은 대조군에서 19.8% 및 26.3%이었으나 방사선 4,000 rad의 조사후 4주 및 8주에 해면골 용적은 각각 14.5%, 10.7%로, 치밀골의 경우는 23.7, 21.5%로서 각각 의의있는 감소를 보였다. 대퇴골의 조사전 해면골 및 치밀골의 용적은 각각 19.4 및 32.5%이었으나 조사후 4주에서는 13.8% 및 27.3%, 8주에서는 9.7 및 23.7%로 각각 의의있게 감소하였다. 방사선을 10,000 rad의 조사후 4주 및 8주에 상박골의 해면골 용적은 조사전 20.4%에서 각각 13.8 및 7.8%로 의의있는 감소를 보이었으며, 치밀골은 28.6% 에서 22.9 및 18.4%로 각각 의의있는 감소를 보였다. 대퇴골의 조사전 해면골 및 치밀골의 용적은 각각 19.4 및 31.9%이었으나 조사후 4주에서는 13.1 및 26.1%, 8주에서는 7.9 및 20.8%로 각각 의의있게 감소하였다. 이와같은 성적으로 보아 쥐에 있어서의 방사선 조사는 거세에 따른 에스트로겐의 결핍에 의한 골밀도의 감소와 방사선 자체에 의한 골의 손상으로 심한 골다공증을 초래하게 되며, 그 정도는 방사선의 용량에 의존적이고, 특히 요추에서 그 정도가 심하며, 정도에 있어서는 해면골이 더 심하나 치밀골 또한 조기부터 의의있는 골의 손실을 보여 줌을 알 수 있었다. To Study the changes of bone density after X-ray irradiation, the author has performed animal experiments using rats of 250 to 300 grams. Dual photon absorptiometry was used to scan several segment, head, humerus, lumbar vertebrae, femur, tibia, tail and total body. Experimental animal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ose that received 4,000 rads and those with 10000 rads. Bone densitometry were checked under ether anesthesia three times: before irradiation, 4 weeks and 8 weeks after. Fro histomorphometric study, proximal metaphysis of both humerus and femur were taken to make histologic slides after decalcification and hematoxylin-eosin staining, the volumes of trabecular as well as cortical bones were measured with Visual imaging data system.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In those recieved 4,000 rads of X-ray irradiation, bone mineral density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both head and total body at 8 weeks while in those of 10,000 rads i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lumbar vertebra, tibia and total body scans at 8 weeks. 2. The percentages of bone loss after 4 and 8 weeks of irradiation were 1.7 and 4.4 percent in 4,000 rads group and 3.3 and 7.7 percent in 10,000 rads group. 3. Bone loss from irradiation was dose-dependent and seemed to be progressive till 8 weeks after irradiation. 4. Cortical bones also were damaged from earlier stage those the degree of bone loss was severe in trabecular bones. With above results, it can be assumed that the X-ray irradiation do decreases bone density in rats through not only loss of estrogen induced by castration but also direct damage to the bones.

      • KCI등재

        질식초음파를 이용한 자궁내막의 평가와 병리조직학적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윤만수,김원희,김경리,강기주,박상원,조혜원 대한산부인과학회 199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7 No.5

        질식초음파를 이용한 자궁내막의 평가와 병리조직학적 결과의 비교를 통하여 자궁내막병변의 선별 진단방법으로서의 초음파의 유용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1992년 1월부터 1993년 6월까지 부산대학교병원 산부인과를 내원한 54명의 환자에 대하여 질식초음파와 자궁내막 소파술을 시행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54명중 32명은 폐경후였고 22명은 폐경전이었으며 연령분포는 29세에서 72세였다. 2. 정상 자궁내막의 두께한도를 10 mm로 하였을 때, 자궁내막두께가 9 mm이하인 경우는 54명중 34명으로 이중 조직학적으로 병변이 있었던 경우는 3명이었으며, 10 mm이상인 경우는 20명중 18명에서 병변을 가지고 있었다. 이때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도는 각각 86%, 94%, 90%였다. 3. 정상 자궁내막의 두께한도를 5 mm로 하였을 때, 자궁내막의 두께가 5 mm이하인 여성 21명중 자궁내막에 병변을 가진 경우는 없었으며, 폐경후 여성군에서 33명중 자궁내막의 두께가 5 mm이하인 경우는 17명으로 모두 조직학적으로 정상 자궁내막이었고, 6 mm이상인 경우는 15명으로 이중 13명에서 병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도는 각각 100%, 89%, 87%였다. 4. 질식초음파로 측정된 자궁내막의 평균두께는 자궁내막암의 경우 22.17 mm, 자궁내막 증식증의 경우 12.36 mm, 자궁용종의 경우 11.76 mm, 자궁농종(pyometra)의 경우 13 mm, 증식성 자궁내막의 경우 7.4 mm, 분비성 자궁내막의 경우 9 mm등으로 나타났으며, 위축성 자궁내막인 경우는 4.15 mm였고 정상 자궁내막의 폐경전, 후 비교는 폐경전인 경우(분비성 및 증식성 자궁내막 포함) 6.71 mm였고 폐경후인 경우는 3.63 mm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볼 때 질식초음파의 이용은 질출혈, 특히 폐경후 질출혈을 주소로 한 환자의 자궁내막 병변을 선별 진단하는데 자궁내막 소파술과 같은 침습적 방법에 비해 보다 쉽고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특히, 불필요하게 시행되어 왔던 자궁내막소파술 등의 침습적 방법의 시행을 줄임으로써 이에 따른 위험성 및 합병증 감소 등의 이득도 가져다 줄 것으로 생각된다. Comparison of ultrasound assesment and histopathology of the endometrium was made in 54 women. Of these, 32 women were postmenopause and 22 were premenopause. Before endometrial sampling, transvaginal ultrasonographic examination was performed. Twenty one patients demonstrated endometrial thickness$lt;=5 mm on transvaginal sonogram, and all of these patient had minimal tissue obtained on biopsy and a pathologic report of $quot;tissue insufficient for diagnosis$quot;. 33 patients had an echogenic endometrium$gt;= 5mm. Pathology reports of their samples revealed tissue insufficient for diagnosia (five), proliferative endometrium (five), secretory endometrium (two), pyometra (one), polyp (three), endometrial hyperplasia (eleven), and endometrial cancer (six cases). If the cutoff limit for enodmetrial abnormality was 5 mm, the negative predictive value 100%, sensitivity 100%, specificity 64%. In this study, the mean thickness of endometrium was 22.16 +-2.79 mm in endometrial cancer, 12.36 +-2.67mm in endometrial hyperplasia, 11.67 +-2.62mm in endometrial polyp, 13 mm in pyometra, 7.4 +-1.85mm in proliferative phase, 9 +-1 mm in secretory phase and 4.15 +-1.43 mm in atrophic endometri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