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 여성에서 비만과 우울증의 연관성

        윤대현,박진호,이철민,신찬수,조상헌,오병희,Yoon, Dae-Hyun,Park, Jin-Ho,Lee, Cheol-Min,Shin, Chan-Soo,Cho, Sang-Heon,Oh, Byung-Hee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07 정신신체의학 Vol.15 No.1

        연구목적 : 비만과 우울증은 모두 심각한 공공 의료 문제이고 특히 주된 심혈관계 질환 위험인자이다. 비만과 우울증 상에 관한 해외 연구는, 일정한 결론은 아니나, 여러 연구에서 연관성 존재를 보고하고 있고 특히 일부 연구는 여성에서 그 연관 정도가 큼을 보고 한 바 있다. 본 연구는 한국 여성에서 있어 비만, 특히 복부비만과 우울증상의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방법: 여성 연구 대상자 4,609명을 대상으로 Beck 우울 척도 및 체계측을 시행한 결과를 이용 우울증상과 비만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비만도는 체질량지수로 정하였으며 체질량지수 $25kg/m^2$ 이상을 비만으로 하였고 복부비만은 허리둘레 85cm 이상으로 정의하였다. 임상적으로 우울증을 의심할 수 있는 Beck 우울척도 분할점은 16점으로 하였다. 결과: 정상 체중군에 비해 비만 여성군에서 우울 여성의 비율이 유의미하게 높았고(27.6% VS. 23.2%, p<0.01), 복부 비만 여성에서도 우울 여성군의 비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고(26.9% VS. 22.7%, p<0.01), 비만 여성군 중 우울 여성에서 복부 비만 가진 비율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93.2% VS. 86.9%, p<0.01).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 여성에서 비만, 특히 복부비만과 우울증간 연관성이 존재함을 보였고 향후 전향적 연구를 통한 비만과 우울증간 상호 역할에 대한 적극적 이해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Backgrounds: Obesity and depression are serious health problem and also constitute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Some studies found an association between obesity and higher rates of depression in women but not in men.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association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obesity, especially central obesity in Korean women. Methods : The participants were 4,609 Korean women aged 20-85 years. Each individual was assessed for the presence of obesity and central obesity using the criteria suggested by WPRO(World Health Organization Regional Office for the Western Pacific). Depressive symptomatology was measured by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Results : In obese women, rate of depressed women is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normal group(27.6% VS. 23.2%, p<0.01). The rates of depressed women is higher in women who had central obesity(26.9% VS. 22.7%, p<0.01). Depressed women had higher rates of central obesity(93.2% VS.86.9%, p<0.01). Conclusion Our findings show obesity especially central obesity is associated with depressed women and suggests that further investigation for interaction between depression and obesity is needed.

      • 한국 여성에서 우울증상과 혈당 조절의 연관성

        윤대현,박진호,박민정,신찬수,조상헌,오병희,Yoon, Dae-Hyun,Park, Jin-Ho,Park, Min-Jeong,Shin, Chan-Soo,Cho, Sang-Heon,Oh, Byung-Hee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06 정신신체의학 Vol.14 No.1

        연구목적 : 우울증상은 여성에게 흔하며 적절한 혈당 조절은 당뇨병 치료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당뇨병 환자에서 우울증은 상대적으로 흔히 발견된다. 그러나 아직 우울증과 혈당조절의 상호관계에 대해서는 명확히 밝혀진 바가 없다. 본 연구는 한국 여성 당뇨병 환자의 혈당 조절과 우울증상 사이의 상호관계를 평가하려 한다. 방법: 여성 당뇨병 환자 216명을 포함한 연구 대상자 4,567명을 대상으로 Beck 우울 척도와 장기 혈당조절 지표인 $HbA_{1c}$ 수치를 측정하여 우울증과 혈당조절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공복 혈당 수치와 비만도 지표인 체질량지수도 함께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임상적으로 우울증을 의심할 수 있는 분할점은 16점으로 하였다. 결과: 당뇨병 보유 여성군에서 우울 여성군이 유의미하게 많았고(P<0.001), Beck우울 척도 평균치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01). 우울 여성군에서 $HbA_{1c}$, 평균치 (p<0.01)와 공복 혈당 평균치 (p<0.05)가 유의미하게 높았고, 혈당 조절의 장애가 심할 수록 우울 여성군의 비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0.001). 결론: 본 연구는 한국 여성에서 우울증상과 당뇨병 및 혈당 조절간 연관성이 존재함을 지지하는 결과를 보였다. 향후 종적 연구를 통한 우울장애와 당뇨병간 상호작용에 대한 원인-결과론적 이해가 요구된다. Backgrounds : Depression has been prevalent in women and maintaining optimal glycemic control is an important goal of diabetes management. Although depression is common in adults with diabetes, its relationship to glycemic control remains unclear, espacilly in Korean women.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of depressive symptomatology with glycemic control in Korean women. Methods :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HbA_{1c}$ as an index of long-term glycemic control, fasting glucose level and body mass index (BMI) were measured in sample of 4,567 women of whom 4.7%, 216 women had diabet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glycemic control was analyzed. BDI Scores of 16 and above is a cut off point to indicate possible clinical depression. Results The frequency of depressed women (p<0.001) and the mean score of BDI (p<0.001)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diabetic women. The mean level of $HbA_{1c}$ (p<0.01) and fasting glucose (p<0.05) were higher in depressed women. There was a graded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ntile of depressed women and a degree of glycemic control impairment (p=0.001). Conclusion : The current study found the relationship of depressive symptomatology with glycemic control in Korean women. This relationship may be mediated by decreased self-care behaviors or by neurobiological dysregulation. Improving identification and treatment of depression in women with diabetes might have favorable effects on diabetic outcomes.

      • KCI등재

        양극성장애 환자의 뇌자기공명영상에서 보이는 피질하 고신호광도의 임상적 상관변수에 관한 예비적 연구

        윤대현,권준수,한문희,장기현,Yoon, Dae Hyun,Kwon, Jun Soo,Han, Moon Hee,Chang, Kee Hyun 대한생물정신의학회 1997 생물정신의학 Vol.4 No.1

        서울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에 입원하여 뇌자기공명영상촬영을 시행한 32명(남자 18명, 여자 12명)의 양극성장애환자를 대상으로 피질하 $T_2$ 강조-고신호광도의 임상적 변수에 관한 연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32명의 환자중 피질하 고신호광도를 보인 환자의 수는 7명(21.8%)이었고, 8명의 40세 이상의 환자중에서는 5명(62%)이 고신호광도를 보였다. 2) 피질하 고신호광도를 보인 환자군이 그렇지 않은 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연령이 높았고(p<0.01), 연령과 정량화된 피질하 고신호광도 점수와의 상관분석에서도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51, p<0.01). 3) 피질하 고신호광도를 보인 환자군에서 정신병적 증상의 빈도는 증가되고(p=0.06), 정동장애 가족력의 빈도는 감소한 경향을 보였다(p=0.01). 이상의 결과는 발병연령이 늦은 양극성장애 환자의 상당수에서 발견되는 피질하 고신호광도가, 유전적요인에 주로 영향을 받는 조기 발병군과는 다른 경과나 임상양상 등을 보이는 만발성 양극성장애 환자의 원인적 요소일 수 있다는 가설을 뒷받침해주는 소견이다. Objective : Accumulating evidence suggests a greater number of subcortical hyperintensities in the brain of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 We studied the Clinical correlates of subcortical hyperintensities 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in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 : Methods : Magnetic resonance images of the brain were obtained for 32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 The presence and location of hyperintensities were assessed. We compared clinical variables between patients with subcortical hyperintensities and patients without them. Results : Seven patients(21.8%) had subcortical hyperintensities, but among 8 patients who were 40 years or older, 5 patients(62%) had them. Age and age at onset of patients with subcortical hyperintensities were significantly older than patients without them. Psychotic symptoms were more frequent in patients with hyperintensities. Patients without hyperintensities had more familial loadings. Conclusion : Given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our results should be seen as preliminary. This study, however, provides preliminary evidence supporting the notion that the onset, clinical feature and course of some bipolar disorders of late onset may be determined by underlying subcortical abnormalities, with such abnormalities being the consequence of factors related to aging or neurodegeneration(such as impaired cerebral circulation) rather than genetic factors which predispose to early-onset bipolar disorders.

      • KCI우수등재

        원저 : 한국 여성에서 우울증상과 대사증후군의 관련성

        윤대현 ( Dae Hyun Yoon ),박진호 ( Jin Ho Park ),조수철 ( Soo Churl Cho ),박민정 ( Min Jeoung Park ),김선신 ( Sun Sin Kim ),최승호 ( Seung Ho Choi ),최수연 ( Su Yeon Choi ),정인경 ( In Kyong Jeong ),이철민 ( Cheol Min Lee ),신찬수 대한비만학회 2005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14 No.4

        연구배경: 우울증은 여성에서 유병률이 높고 다양한 질환과의 연관성을 보이는데 특히 심혈관계 질환과의 상호 연관성이 보고 되고 있다. 대사증후군 또한 만성 질환 발생에 매우 주요한 위험인자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데 아직 우울증과 대사증후군의 연관성 연구는 제한된 연령의 여성군에서만 소수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광범위한 연령의 여성을 대상으로 우울증상과 대상증후군의 연관성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방법: 연구대상자는 15~85세 사이의 여성 4,613명이었다. 대사증후군 존재 유무 평가는 복부미만을 제외하고는 NECP-ATP III 기준을 활용하였고 복부비만의 평가는 최근 제안된 대한비만학회의 새로운 지침을 이용하였다. 우울증상은 Beck 우울 척도로 측정하였다. 결과: 연구대상자 중 594명 (12.9%)이 대사증후군을 가지고 있었다. 우울증을 가진 여성군에서 대사증후군의 존재 빈도가 유의하게 높았고 (P<0.001), 대사증후군 지표수가 증가할수록 우울증상군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P<0.01). 우울증상과 대사증후군 5가지 지표들 (허리둘레, 고혈압, 중성지방, 혈당, 고밀도-콜레스테롤)의 연관성 분석에서는 혈당 상승 (P<0.05)과 복부 미만 (P<0.01)이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보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여성에서 대사증후군과 우울증 간 연관성이 존재함을 보였고 대사 증후군과 우울증의 상호 역할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이해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Background: Depression is prevalent among women and has been associated with a variety of diseases, more specifically with cardiovascular disease. The metabolic syndrome is gaining reputation as an important risk factor for major chronic diseases. However, the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metabolic syndrome are scarce and have been limited to restricted age groups involving female participants.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association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women through broad age ranges. Method: The participants included 4,615 Korean women aged 15~85 years. Each individual was assessed for the presence of metabolic syndrome according to the NECP-ATP III criteria except for waist circumference, for which new criteria recently suggested by Korean Society for Study of the Obesity was used. Depressive symptoms were assessed by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Results: Of the total participants, 594 women (12.9%) had metabolic syndrome. There was a graded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number of the metabolic syndrome components (P<0.01).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depressed women (P<0.001). Among the components of metabolic syndrome, High glucose level (P<0.05) and central obesity (P<0.01) were associated with depressive symptoms.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metabolic syndrome is associated with depressed women through wide range of ages and suggests that further studies on interaction between depression and metabolic syndrome are needed.

      • 담지체-CNT-PPy 혼합체의 발열체로서 응용과 PPy의 안정성 기여에 관한 연구

        김윤진 ( Yoon Jin Kim ),이상모 ( Sang Mo Lee ),정세윤 ( Sae Yoon Jung ),윤대현 ( Dae Hyun Yoon ),정규관 ( Kyukwan Zong ) 전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6 과학과 과학교육 논문지 Vol.41 No.2

        본 연구에서는 좋은 전도도를 가진 탄소나노튜브 (CNT) 와 담지체로서 절연성 물질인 송진, 에폭시 (Epoxy), PC (Polycarbonate)를 적절한 비율로 섞어서 세 종류의 혼합체를 합성하였다. 그리고 이 들 혼합체에 다시 다양한 비율의 폴리피롤을 혼합하여 세 가지 물질로 구성된 새로운 복합소재를 합성하였다. 다양한 비율로 합성된 복합소재는 교류 (AC)와 직류 (DC)를 통과시켜 발열 소재로서의 특성이 분석되었다. 특히 폴리피롤이 함유되지 않은 혼합체와 함유된 혼합체를 비교 실험함으로서 폴리피롤의 역할이 중요한 요소로서 분석되었다. 실험 결과 모든 발열 혼합소재에서 폴리피롤이 함유된 혼합체가 발열체의 열적 안정성 향상에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혼합체로 이루어진 소자 실험에서 PPy를 첨가할 경우 발열 온도가 크게 안정화 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그러나 몇 개의 소자에서는 발열 온도는 안정화 되었지만 발열 효율이 조금 떨어지는 결과도 보였다. PC-CNT 혼합체로 구성된 발열 소자에서 PPy첨가는 발열 효율과 발열 온도의 안정성에 뛰어난 향상을 가져왔다. 약간의 PPy 첨가가 발열 소자의 효율과 안정성 향상에 크게 기여 한다는 것이 이 연구의 핵심이다. In this study, highly conducting carbon nanotube (CNT) was blended with insulating materials such as pine tree resin, epoxy, polycarbonate (PC) to prepare composites for electrical heating materials. Various ratio between CNT and insulating materials was carefully prepared to find the optimal conditions of the composites for electrical heating materials. The several devices containing each ratio were prepared and tested under AC or DC voltage. There is great difference with or without PPy in the composites in terms of heating performance and device stability. The devices comprised of PPy showed great stability of heating temperature in all examples. However, some examples showed lower heating temperature although heating temperature was much stabilized. In PC-CNT composites, addition of PPy into the composites brought excellent improvement of both heating temperature and device stability.

      • KCI등재

        바이오피드백을 이용하여 측정한 만성통증 환자의 정신생리적 특징

        이진성,강도형,안현주,윤대현,정도언,Lee, Jin-Seong,Kang, Do-Hyung,An, Hyun-Ju,Yoon, Dae-Hyun,Jeong, Do-Un 대한수면의학회 2009 수면·정신생리 Vol.16 No.2

        Objectives: Chronic pain is one of the most common experiences of humans and a typical psychophysiological disord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psychophysiological responses in chronic pain patients using a biofeedback system, and to compare them with the results from normal healthy subjects. Methods: Forty two patients with chronic pain (17 males and 25 females, average age $44.67{\pm}11.10$ years) and 42 normal healthy controls (17 males and 25 females, average age $45.17{\pm}10.46$ 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Electromyography (EMG), skin conductance (SC), and skin temperature (ST) were recorded using biofeedback system during the 3 phases (baseline, stress, and recovery) of stress reactivity test, and average values of them were calculated. Difference of values between two groups in each corresponding phase was analyzed with independent t-test, and change of values across phases of stress reactivity test was analyzed with paired t-test (all two-tailed, p<0.05). Results: Compared to normal controls, chronic pain patients had higher value of EMG (baseline: $8.10{\pm}5.97{\mu}V$ vs $4.72{\pm}1.52{\mu}V$, t=-3.56, p<0.01; stress: $11.25{\pm}6.89{\mu}V$ vs $8.49{\pm}4.78{\mu}V$, t=-2.13, p<0.05; recovery: $7.12{\pm}3.77{\mu}V$ vs $4.78{\pm}1.59{\mu}V$, t=-3.70, p<0.01) and SC (baseline: $1.06{\pm}1.0{\mu}S$ vs $0.42{\pm}0.29{\mu}S$, t=-4.0. p<0.01; stress: $1.87{\pm}2.05{\mu}S$ vs $1.03{\pm}0.86{\mu}S$, t=-2.47, p<0.05; recovery: $1.74{\pm}1.77{\mu}S$ vs $0.64{\pm}0.59{\mu}S$, t=-3.8, p<0.01) in all the 3 phases. But, skin temperature comparison did not reveal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the 3 phases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 Psychophysiological responses of chronic pain patients in stress reactivity test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normal healthy contro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ympathetic nervous system is more activated in chronic pain patients. 목 적: 바이오피드백은 정신생리연구에서 중요한 위치에 있으며 정신생리장애 치료에도 유용하다. 만성통증은 매우 흔히 관찰되는 대표적 정신생리장애이다. 이 연구에서는 바이오피드백 기기를 이용한 스트레스 반응 검사로 만성통증 환자와 정상인 간에 생리신호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방 법: 만성통증 환자 42명(남자 17명, 여자 25명, 44.67${\pm}11.10$세)에게 치료 첫째 시간에 바이오피드백 기기를 이용하여 스트레스 반응검사를 하였다. 그 결과를 정상인 42명(남자 17명, 여자 25명, 45.17${\pm}10.46$세)과 비교하였다. 스트레스 반응검사에서는 기저, 스트레스, 그리고 회복 상태에서 각각 전두근 근전도(frontalis electromyography), 피부전도(skin conductance), 피부체온(skin temperature)을 각각 2분씩 측정하여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측정값들의 양 군간 비교에는 독립 t-검정(independent t-test), 각 상태에 따른 측정값의 변화는 대응표본 t-검정(paired-test)로 분석하였다(양측검정, p<0.05). 결 과: 만성 통증 환자는 정상인에 비해 기저, 스트레스, 그리고 회복 상태 모두에서 전두근이 더 긴장해 있었다 (기저: $8.10{\pm}10.465.97{\mu}V$ vs $4.72{\pm}1.52{\mu}V$, t=-3.56, p<0.01; 스트레스: $11.25{\pm}6.89{\mu}V$ vs $8.49{\pm}4.78{\mu}V$, t=-2.13, p<0.05; 회복: $7.12{\pm}3.77{\mu}V$ vs $4.78{\pm}1.59{\mu}V$, t= -3.70, p<0.01). 또한 만성 통증 환자는 세 상태 모두에서 피부전도가 더 잘 되었다(기저: $1.06{\pm}1.0{\mu}S$ vs $0.42{\pm}0.29{\mu}S$, t=-4.0. p<0.01; 스트레스: $1.87{\pm}2.05{\mu}S$ vs $1.03{\pm}0.86{\mu}S$, t=-2.47, p<0.05; 회복: $1.74{\pm}1.77{\mu}S$ vs $0.64{\pm}0.59{\mu}S$, t=-3.8, p<0.01). 그러나 피부체온은 기저, 스트레스, 그리고 회복 상태 모두에서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결 론: 만성 통증 환자는 정상인에 비해 전두근 근전도와 피부전도 측정값이 전반적으로 증가된 소견을 보였다. 이는 통증으로 인하여 교감신경계가 정상인에 비해 자극에 더 예민한 상태에 있음을 시사한다.

      • 양극성 경향과 스트레스 취약성:기분장애설문지 양성 반응군과 음성 반응군에서 지각된 스트레스, A형 행동, 그리고 생활습관의 비교

        김병수,김성윤,최재원,주연호,윤대현,한내진,김유신,김선옥,Kim, Byung-Su,Kim, Seong-Yoon,Choe, Jae-Won,Joo, Yeon-Ho,Yoon, Dae-Hyun,Han, Nae-Jin,Kim, Yoo-Shin,Kim, Seon-Ok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10 정신신체의학 Vol.18 No.1

        연구목적 : 본 연구를 통해 양극성 장애 I형 혹은 II형 진단 기준에는 부합하지 않지만, (경)조증적 성향 혹은 기분 불안정성 등의 양극성 경향(bipolar tendency, bipolarity)을 가진 사람에게서, 주관적으로 지각하는 스트레스 수준, 스트레스 취약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알려진 A형 행동 유형(Type A Behavior Pattern, TABP), 그리고 건강하지 못한 생활습관의 위험이 증가되어 있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방 법 : 정신과적 병력이 없는 30세 이상의 1987명의 연구 대상군이 분석에 포함되었다. 이들 중에서 기분장애설문지 (Mood Disorder Questionnaire, MDQ)의 (경)조증적 증상 경험에 대한 13개 항목 중에서 7개 항목에 "예"라고 응답한 사람들을 양극성 경향군으로 분류하였다. 양극성 경향군과 비양극성 경향군 사이에서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Perceived stress scale, PSS), TABP를 반영하는 A/B 생활 습관 설문(A/B Lifestyle ques-tionnaire) 점수와, 음주, 흡연, 불규칙적인 식사, 운동 부족 등의 생활 습관 변인을 비교하였다. 결 과 : 양극성 경향군(329명, 16.6%)은 비양극성 경향군에 비해 TABP를 반영하는 A/B 생활 습관 설문의 총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았으며(125.4점 vs. 115.9점, p<0.001), TABP로 판정(총 점수 135점 이상)된 비율도 양극성 경향군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다(41.3% vs. 30.1%, p<0.001). 주관적으로 지각하는 스트레스 수준의 비교에서도, 양극성 경향군이 비양극성 경향군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다(18.5 vs. 16.5, p<0.001). 생활습관의 비교에서 '불규칙적인 식사'(20.1% vs. 14.3%, p=0.002), '주 4회 이상 음주'(29.8% vs. 16.5%, p<0.001), '현재 흡연'(41.9% vs. 23.0%, p<0.001), '주 2회 이하 운동'(63.2% vs. 55.1%, p=0.007) 이라고 응답한 사람의 비율이 양극성 경향군에서 유의미하게 높았다. 결 론 : 양극성 경향을 가진 경우는 스트레스에 취약한 행동 양상이 높게 관찰되고, 주관적으로 지각하는 스트레스 수준도 높고 흡연, 음주, 불규칙한 식사와 운동 부족과 같은 건강하지 못한 생활 습관을 가지고 있을 위험도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위험 요소들은 비만, 대사증후군, 당뇨, 그리고 심혈관계 질환의 발병 위험을 높일 수 있으므로, 양극성 경향을 가진 사람들은 스트레스 관리 및 건강한 생활 습관을 유지하기 위한 보다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Objectives:Authors hypothesized that bipolar tendency of non-psychiatric person would be associated with stress vulnerability. To test the hypothesis, we compared perceived stress level, Type A Behavioral Pattern (TABP) and unhealthy lifestyle between person with and without bipolar tendency. Methods:The study cohort consisted of 1987 subjects without past and current psychiatric history. In this study, bipolar tendency was determined by MDQ response which requires endorsement of at least 7 of the 13 "yes or no" questions. We compared the scores of Perceived Stress Scale, A/B lifestyle questionnaire, and unhealthy lifestyle(alcohol, smoking, lack of exercise, irregular meal) between MDQ positive and negative respondents. Results:We identified the bipolar tendency group determined by the MDQ positive response were 329 subjects(16.6%). The overall score of the bipolar tendency group was significantly high on the A/B lifestyle questionnaire compared to the non-bipolar tendency group(125.4 vs. 115.9, p<0.001), and the rate of the subjects defined as TABP was also significantly high(41.3% vs. 30.1%, p<0.001). In comparison of subjectively perceived stress level, the bipolar tendency group was observed to b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non-bipolar tendency group (18.5% vs. 16.5%, p<0.001). The bipolar tendency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non-bipolar tendency group on the rate of answering:'irregular eating habit' (20.1% vs. 14.3%, p=0.002), '4-or-more-times alcohol intake per week' (29.8% vs. 16.5%, p<0.001), 'currently smoking' (41.9% vs. 23.0%, p<0.001), '2-or-less-times physical exercises per week' (63.2% vs. 55.1%, p=0.007). Conclusion:By clinical diagnosis, even a person who does not meet the criteria of bipolar disorder has a high risk of stress-related behavioral pattern, and perceived stress when possessing bipolar tendencies such as the (hypo) maniac tendency or affective instability. Such individual has significantly higher risk of having unhealthy life-style such as smoking, drinking, irregular eating habit and lack of exercise compared to non-bipolar tendency group. Since these risk factors lead to increase the risk of obesity, metabolic syndrome, diabetes, and cardiovascular diseases, the individual with the bipolar tendency requires a more effort to manage stress and to maintain healthy lifestyle.

      • 전·의경 MRI 폐소공포증에 대한 분석

        전우진,정재교,전성준,윤대현,임윤식,석종민,Jeon, Woo-Jin,Jeong, Jae-Kyo,Chun, Sung-Joon,Yoon, Dae-Hyun,Lim, Yoon-Sik,Seok, Jong-Min 대한디지털의료영상학회 2014 대한디지털의료영상학회논문지 Vol.16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correlation factors of anxiety of the patients during MRI exam on the claustrophobia.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those korea auxiliary police and combat auxiliary police 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the National Police Hospital over a period from January 2 to December 24, 2013 to investigate their degree of claustrophobia. In study result, sufficient explain before exam was helpful and decrease anxiety. However, they felt more anxious about limited spare, and when the entered a bore. Symptoms of instability and fear were stuffy, sweat, dyspnea, palpitation those are ascending rank of frequency.

      • 탄소 동소체-황토 복합재료를 사용한 친환경 발열체 제작과 특성 분석

        김소연 ( So Yun Kim ),최예윤 ( Ye Yoon Choi ),윤대현 ( Dae Hyun Yoon ),김효권 ( Hyokwon Kim ),정규관 ( Kyukwan Zong ) 전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9 과학과 과학교육 논문지 Vol.44 No.1

        본 연구는 친환경적 재료인 황토와 탄소 동소체인 탄소 나노튜브와 흑연을 혼합하여 발열체를 제작하고 발열 특성을 분석한 연구이다. 황토는 우리나라 대표적인 전통 건축 재료이다. 최근 황토가 친환경적이고 전자파를 차단하고 원적외선을 방출한다고 해서 전통 가옥의 벽과 실내의 온돌 바닥 재료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특히 황토는 단열과 통풍성이 좋으며 겨울에는 따뜻하고 여름에는 시원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우리나라와 같은 사계절을 가진 나라에서 매우 적합한 건축 재료이다. 황토의 이런 장점을 살리고 매우 안정하고 인체에 무해한 전도성이 뛰어난 탄소 동소체인 흑연과 탄소 나노튜브의 장점을 살려 이 두 물질의 복합체를 합성하였다. 합성한 복합체를 사용하여 발열체를 제작하고 저항과 발열 효과를 측정하였다. 황토에 흑연을 넣어 만든 혼합체의 저항 값 측정에서 흑연 0.1g이 섞인 시료의 경우 저항 값이 크게 나타났지만 0.2g ~ 0.5g 까지의 시료의 경우 상대적으로 매우 낮은 저항 값을 보였다. 이들 시료는 평균 저항 값이 0.2kΩ ~ 4kΩ 까지의 매우 우수한 전기전도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써 황토에 적정량의 흑연을 섞어 넣은 경우 매우 우수한 발열체로서의 기능을 가질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었다. 실험을 통하여 탄소나노튜브보다는 흑연이 황토와 잘 혼합되는 성질을 보여 주었다. 그리고 동일 질량인 경우 탄소나노튜브가 흑연보다 더 높은 발열 효율을 보여 주었다. 따라서 황토와의 혼합성, 혼합 질량 비율, 경제성 등을 고려해 볼 때 흑연은 혼합성과 경제성에서 우수하고, 탄소나노튜브는 혼합 질량 비율에서 더 우수한 결과를 보여 주었다. This study centers around the construction of environmental friendly heating devices and characterization using the composites of carbon allotrope and loess. Loess is one of the most popular traditional construction materials. It has been extensively studied that loess is environmentally friendly construction material and very helpful to stop electrical radiation, also known to emit long wave length of infra-red. It also is excellent in permeating air and insulating, therefore the houses made of loess enjoy cool in summer and warm in winter. Meanwhile, carbon allostopes including graphite and carbon nanotube are very stable and highly conductive. From a variety of merits for loess and carbon allostropes, we designed and evaluated a heating device consisted of a composite of loess and carbon allotropes such as carbon nanotubes and graphite. the composites including up to 0.1 g of graphite showed very big electrical resistance but they displayed relatively low resistance in the range of 0.2-0.5g. These samples showed average of 0.2-4kΩ resistance and thus excellent electrical conductivities. Our study demonstrated that graphite showed superior miscibility with loess than carbon nanotube did. The composites including carbon nanotube displayed superior heating efficiencies than those including graphite did if the composites prepared from the same weight ratio between carbon allostrope and lo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