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특수학급 학생 교육을 위한 공학 실태와 지원 방안

        육주혜 ( Ju-hye Yook ),남윤석 ( Yun-sug Nam ),정동일 ( Dong-il Jeong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4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5 No.3

        최근 정부는 공학을 활용한 교육 여건 구축을 위해 적극적인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이 특수교육 대상 학생을 충분히 고려하고 있는지는 이론의 여지가 많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특수교육분야에서도 공학 관련 현황 파악이나 지원이 특히 미흡하다고 판단되는 전국 특수학급의 공학 여건과 활용 실태를 조사하고 국가적인 지원 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내용은 특수학급에 일반교육공학 기기의 여건과 활용, 교사·학생용 컴퓨터의 여건과 활용, 보조공학 장치의 여건과 활용, 교육용 소프트웨어와 인터넷 활용, 공학 관련 교사 연수의 여건을 조사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특수학급 교사들은 공학에 대한 필요성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정보나 재정적 지원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국가의 특수학급에 대한 공학 지원 방안이 논의되었다. The Department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ctively initiates an educational structure using technology. However, the policy and governmental actions on educational technology do not always conside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refore, the purposes of the study are; (a) to survey special education classes in general schools on technology environment and utilizing status; and (b) to provide suggestions related to governmental support for educational technology in special education classes. The study contents are conditions and utilization of general education technology, teacher/student computers,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educational software and Internet, and teacher training in special education classes. Overall, teachers in special education classes a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using technology in their lessons but expressed that the technology-related information and financial support from the government are insufficient. Finally, technology support necessary for special education classes is suggested.

      • 정보기술분야 유망직종 사업체와 장애인근로자 실태 연구

        육주혜(Ju-hye Yook) 한국직업재활학회 2003 職業再活硏究 Vol.13 No.2

        정보기술분야 직업은 장애인에게 많은 가능성율 열어 놓고 있다. 그러나 정보기술분야의 급속한 변화에 대처하고 취업과 고용안정을 실현시키는 일은 아직 해결하기 어려운 과제로 남아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보기술분야 유망직종에 사업체와 장애인근로자 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이 분야의 장애인 직업훈련과 취업연계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반적으로 정보기술분야 사업체들은 장애인 고용 관련 정부의 지원정책에 대한 인지도와 이용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 분야의 장애인근로자들은 주로 스스로 취업이 가능한 사람들이었고 사업체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개선과 직업훈련에 대한 국가의 지원을 희망하였다. 마지막으로 정보기술분야 유망직종에 장애인의 안정된 고용을 위한 직업훈련 담당자, 취업서비스 담당자, 장애인, 사업체간의 체계적이고 적극적인 정보공유 및 협력 방안이 논의되었다. Jobs in Information Technology(IT) seem promising for individuals with physical disabilities. However, radical change in this field makes stable employment much difficult. This study surveyed businesses and workers with disabilities in prospective jobs of IT to find out the status of their employment environment. Overall, businesses in this field had little knowledge about various government support for businesses that employed workers with disabilities. Workers with disabilities in these jobs mostly had competency to seek and get jobs by themselves. These individuals replied that the government should provide the businesses with programs for understanding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support for vocational training. Finally, systematic and active information exchange and coordination among vocational training providers, job placement providers,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nd businesses for stable employment in these jobs were suggested.

      • KCI등재

        시각장애인의 전시 문화예술품 관람 접근성 요구 분석

        육주혜 ( Yook Ju-hye ),박세진 ( Park Se-jin ),김하영 ( Kim Ha-young ),문채린 ( Moon Chae-rin ),하종수 ( Ha Jong-soo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1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6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장애인의 정보 접근을 위해 박물관의 전시예술품 접근 및 기술적 지원방안에 대한 요구를 시각장애인 관점에서 도출 및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시각장애인 50명을 선정하여 FGI를 진행하였다. 면담 자료는 연구 주제 기반 코딩 방법을 기준으로 하여 반복적인 논의를 통하여 연구 주제에 부합하는 면담 내용을 추출하고 분류하여 최종적으로 4개의 주제를 범주화하였다. 연구 결과로 사용해 본 적 있는 관람 지원 서비스 기기 중 보조적으로 전시예술품 관람을 지원해 주는 청취 기기와 직접적인 체험이 가능한 실물 모형 체험 프로그램에 관하여 만족도를 나타내었지만 관람 지원 시설 및 서비스 미비, 효율적 설명 부족 등으로 인한 관람 지원 서비스 이용의 불만족을 나타내었다. 또한 시각장애인 관점에서의 전시 관람을 지원하고 직접적인 체험으로 전시예술품에 접근하는 것이 전시 관람의 이해를 높이는데 중요한 요소이며 효율적인 접근을 위해 시각장애인에 대한 높은 이해력과 특징을 반영하여 접근 방안에 대한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고 요구하였다. 시각장애인이 전시예술품에 접근할 때 촉각, 청각, 잔존 시각이 종합적으로 지원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and analyze the needs of people with visual disabilities for access to the museum's exhibition art and technical supports. To do so, 50 people with visual disabilities were selected, and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Interview questions were categorized into four subjects by extracting and classifying interview themes that fit the research topic through repetitive discussions by the research topic-based coding method. As a result of the study, satisfaction was expressed about a listening device that supported to appreciate exhibited artworks and a mock-up experience program that allowed direct tactile experience. However, they expressed dissatisfaction with the lack of support facilities and services and lack of efficient explanation for appreciating art works. The participants said that supporting the viewing of the exhibition from the perspective of people with visual disabilities and accessing the exhibition art objects through direct experience was an important factor in enhancing the understanding of exhibition. They demanded that standards for efficient access should be established by reflecting great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people with visual disabilitie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 that can comprehensively support the sense of touch, hearing, and residual vision so that people with visual disabilities can effectively access the exhibited artwork.

      • KCI등재

        특수교육에 IPTV 활용에 대한 특수교사와 학부모의 인식과 요구 조사

        육주혜 ( Ju Hye Yook ),강경숙 ( Kyung Sook Kang ),김정순 ( Jung Soon Kim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2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4 No.3

        IPTV는 디지털 컨버전스 매체로서 다양한 채널을 갖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 개개인에게 적합한 개별화된 콘텐츠를 제공하고, 쌍방향 서비스, 고화질의 동영상 콘텐츠를 제공하고, 대다수 사용자에게 친숙한 텔레비전과 리모컨 조작을 통해 쉽게 활용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갖고 있기 때문에 특수교육 분야에서 IPTV의 활용을 신중하게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 분야에 IPTV 도입과 활용에 대한 특수교사, 행정가, 학부모의 인식 및 요구를 조사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1,287명의 특수학교(급)와 특수교육지원센터의 교사와 관리자(교장, 교감, 장학사), 특수교육대상학생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약 97%의 응답자들이 특수교육대상학생 교육 목적으로 IPTV를 활용할 의향이 있다고 답하였다. 이들은 IPTV가 정규수업에서보다 병원학교, 재택수업, 순회교육, 재량활동, 방과 후 수업 등에서 더 필요할 것이라고 응답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일관성 있게 IPTV 학습 내용은 학생의 교육 환경에서 개별 학습수준별, 학생 주도적인 형식으로 제공되어야 하고, 장애유형에 따른 접근 방법들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들을 일반교육에서의 IPTV 인식과 요구에 대한 선행연구 결과와 비교하며 유사점과 차이점에 대해 논의하였고, IPTV의 특징이 장애아동에게 유리한 매체이기 때문에 특수교육에서 충분히 연계하여 활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IPTV) is one of the digital convergence media, and a new medium to provide users with individualized and customized contents for having diverse channels, interactive service and high quality video contents by television and remote control familiar and easy to users. In this respect, IPTV needs to be considered favorably used in the special education area.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of IPTV and demands for introducing and utilizing IPTV in special education.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nationwide and participants were 1,287 district officers, administrators (principals and vice principals), teachers and the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bout 97% of the participants said that they would use or try to use IPTV for teaching students with special education needs.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IPTV would be needed in hospital schools, home schools, itinerant education, optional classes and afterschool classes than in regular classes. They repeatedly said that the educational content from IPTV should be provided by individual learning levels and with self-directed format in those educational settings. Accessibility of using IPTV also should be met with disability types. Aspects of the findings that were similar to and different from general education reported in a previous study were discussed at the end. The advantages of IPTV can appeal to special education area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with special needs.

      • KCI등재
      • KCI등재

        데이지독서보조기기 개발을 위한 장애 유형 분류 및 요구사항 분석

        박주현 ( Park Joo-hyun ),임순범 ( Lim Soon-bum ),육주혜 ( Yook Ju-hye ),이종우 ( Lee Jong-woo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7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6 No.3

        최근 장애인들이 책을 읽을 때 필요로 하는 물리적, 가상적, 인지적 접근 방법들을 적용하도록 하는 정책과 전문 서비스, 기술 개발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장애 유형별로 적합한 데이지도서 기반의 독서보조기기 개발을 위하여 사용자 그룹 유형을 분류하고, 장애 유형별 데이지 도서 접근성 특성 도출을 위하여 독서보조기기 사용에 관한 요구사항 분석을 하였다. 필요에 따른 데이지독서보조기기의 개발 방안 도출을 위해 국내외 데이지독서보조기기 기능 분석과 3단계의 사용자 요구사항 분석을 수행하였다. 1단계는 데이지독서보조기기 사용 환경을 기준으로 사용자를 분류하였으며, 2단계 전문가의 타당성 검토를 받았다. 그리고 3단계에서는 사용자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여 데이지독서보조기기의 기능과 사용자 요구사항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보조기기는 간단한 데이지플레이어기기가 필요하고 데이지뷰어소프트웨어는 기능별 모듈화가 가능하기에 단일 소프트웨어와 이와 연동되는 입출력 보조기기가 필요하다. 요구되는 세부 기능에 대한 분석이 함께 제시 되었다. The policy, professional service, and technology development for appling physical, cyber, or cognitive accessibility when people with disabilities read books are progressing recently. In this study, to develop a reading assistive device based on Daisy contents regarding to various types of disabilities, we grouped the types of disability user groups and analyzed the requirements for using reading assistive devices by the groups. In order to derive the development strategies of Daisy assistive devices according to user needs, we analyzed English and Korean Daisy assistive devices, and user requirements through three stages. In the first stage, the functions of Daisy assistive devices and visual-perceptual ability and hand movements ability of the users were matched. In the second stage, the appropriateness was examined through expert consultation. Then,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analyze Daisy Player functions and user requirements. As a result, simple Daisy player is needed with core functions. Also, Daisy viewer software is need by functional modules with input and output assistive devices. Specific functions required were presented with the results.

      • KCI등재

        국내 장애인의 정보통신 보조기기 이용실태 조사

        고등영 ( Deung Yong Go ),박경옥 ( Kyoung Ock Park ),육주혜 ( Ju Hye Yook ),유재연 ( Jae Yean Yoo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7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8 No.2

        본 연구는 장애인의 정보통신보조기기 보조기기 이용 현황 및 정보통신 보조기기 사용에 대한 인식 및 관련 정보 전달 방법 및 지원 확대 품목에 대한 실제적인 요구를 파악하여, 좀더 체계적인 정보통신보조기기를 사용하도록 하고 보급의 활성화를 위한 방법을 모색하고자 실시되었다. 정보통신보조기기를 사용하는 장애인은 2002년과 2004년 장애인 정보격차 실태 조사를 바탕으로, 장애유형별 정보통신 보조기기 및 특수 SW 사용비율에 근거하여 비례 할당하였으며, 미사용장애인은 장애인복지법에 등록돼 있는 장애인의 성별, 지역별, 장애유형별, 장애등급별로 비례할당 후 무작위 추출하여 전문조사업체를 통해 면접 또는 전화로 설문조사 하였다. 본 조사 결과, 정보통신 보조기기 보급정책에 대한 개선 사항으로 1인당 정보통신 보조기기 지원 확대, 품목의 다양화, 관련 정보 및 교육을 제공하여 일상생활 및 직업 생활에서의 삶의 질에 대해 재고해보는 것을 요구하였다. 따라서 앞으로 장애인에게 필요한 정보통신 보조기기를 보급하기 위해 개별적 진단-처방-일상생활 적용을 연계지을 수 있는 실효성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This study researched into how the person with disability access and use electronic and information technology assistive device and how they realize the importance and the need of electronic and information technology assistive device on purpose to produce the basic data and resource for making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public policy which was affecting electronic and information technology assistive device development and supply of assistive device. 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y who accessed and used electronic and information technology assistive device were allotted proportionally with the ratio of use electronic and information technology and specialized software by type of their disability. On the other hand, the ones, who did not access and use electronic and information technology assistive device and who registered on the list of 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y legally, are allotted proportionally with gender, region, type of disability, grade of disability. The group for a survey was formed randomly and interviewed or phoned by a professional survey agency. A survey showed the majority of 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y required a change for the better, such as a various support, a expanding items and numbers of the person who is aided. A lot of 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y strongly agreed that the policy related with electronic and information technology assistive device supply needs to be developed, for example, increase of assistive device supply per person, the multiplicity of assistive device items and the service of related information and education.

      • KCI등재

        특수교육과 관련된 치료서비스에 대한 질적연구

        김영태(Young-Tae Kim),송영준(Young-Joon Song),육주혜(Ju-Hye Yook),이병인(Byoung-In Lee),하가영(Ga-Young Ha),박소현(So-Hyun Park)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8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3 No.3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최근에 마련된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서 제시한 관련서비스에 대해 전문가들과의 심층면담을 통해서 특 수교육과 치료서비스 간의 전달체계, 지원내용 및 방법에 대한 제안과 요구들을 분석하였다. 방법: 질문지를 개발하여 6인의 전문가들을 방문하여 개별면담을 하였다. 면담내용은 대상자들의 동의하 에 모두 녹음한 후 일주일 이내에 전사하였으며, 전사자료는 연속적 비교법에 따라 부호화(coding) 하였고, 부호들(codes) 간의 연속적인 비교를 통해 주제와 하위주제를 도출하였다. 결과: 3개의 주 제와 12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첫째 주제인 치료지원의 전달체계에 대해서는 지원센터의 설 치, 전문요원 배치, 지역사회 유관시설 활용, 체계적 관리 및 유관부서와의 협력이 고려되어야 하 며; 둘째 주제인 치료지원의 내용에 대해 전문요원의 자격기준, 전문요원 확보 및 고용안정 대책, 필수치료 서비스 범위, 선별진단검사의 필요성이 고려되어야 하고; 끝으로 셋째 주제인 치료지원의 방법에 대해 교육과정과의 융합, 전문가간 협력, 치료서비스의 범위 그리고 제한적 바우처 제도의 활용이 고려되어야 한다는 하위주제들이 도출되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각 치료지원 영역의 전문가들의 의견을 분석하여 학교현장에서 어떻게 바람직한 치료지원이 이루어져야 하는가에 대 한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겠다. Background & Objectives: Recently, the Special Education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ct was established as a law.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uggestions and requests provided by special education specialists on special education and therapeutic services. Methods: In depth individuals interviews were used for data collection. Five were professors of University and one was chief of day care center for the handicapped children. The questions were developed to guide interviews. All interviews were audio-taped and transcribed. The transcripts were analyzed by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of qualitative analysis. Results: Three themes and four subthemes under each theme were emerged from the analysis: The first theme, “delivery systems of therapeutic services” included subthemes of placement of special education resource center considering access and independency, experts placement according to school types, use of community institutions, and systematic management of ministry of education and collaboration with ministry of health, welfare, gender equality and family. The second theme, “contents of therapy services” included subthemes of establishment of qualified conditions, insurance from experts and employment security, limitation for core services range, necessity for screening test. And finally, the third theme “methods of therapy services” included subthemes of merging therapy services to curriculum, collaborative work between experts, ranges of therapeutic services, and restricted introducing voucher system. Discussion & Conclusion: There are certain implications that this study could provide guidelines upon implementing Special Education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ct within a school setting.

      • KCI등재

        교수-학습지원센터 홈페이지의 접근성 및 특수교육 콘텐츠 현황 분석

        육주혜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7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46 No.1

        웹을 활용한 교육은 인터넷의 일부인 웹이 1990년대 이후 급속한 성장을 하면서 교육에 융합된 결과이다. 그러나 특수교육 분야에서는 아직 웹 접근성과 콘텐츠 확보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총 18개의 중앙 및 시ᆞ도 교수-학습지원센터 홈페이지와 에듀에이블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웹 접근성과 특수교육 콘텐츠 현황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이들 사이트들의 전반적 현황, 웹 사이트 사용의 용이성, 탑재된 교육 자료의 유용성을 평가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 그 동안 소외되어있던 특수교육 웹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전반적으로 제공하고 향후 국가 및 지역단위 차원에서 특수교육 웹 콘텐츠 제공의 방향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중도 정신지체인과 자폐성장애인의 비상징적 의사소통 행동 평가척도평가척도(AINC-MR&ASD) 타당화 및 유형탐색

        육주혜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1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0 No.3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validate and categorize assessment index of nonsymbolic communication for individuals with severe mental retardation and autism spectrum disorders (AINC-MR&ASD). Raw data from a previous study were used. Preliminary assessment items were used to conduct a survey of the level of importance (5 Likert Measure) for each item. Data from 257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speech therapists for individuals with mental retardation and autism spectrum disorders across the country were validated by means, standard deviation, item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As a result, the items were categorized by six areas of Discourse Function, Communicative Function, Communicative Forms - Actions, Communicative Forms - Eye Gaze & Gestures, Communicative Forms - Facial Expression, and Communicative Forms - Dependance on Adults and 41 assessment items in all. The results would be used as ground data to develop evaluation tools for discovering common and different aspects of nonsymbolic communication among disability types for individual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중도 정신지체인과 자폐성장애인은 자기표현의 제한으로 사회참여와 자기결정을 하는데 있어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된다. 이들의 독특한 의사소통 행동을 이해한다는 것은 사회의 구성원으로 서로가 더불어 살아가기 위한 하나의 소통의 고리를 찾아 교류를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지체인과 자폐성장애인의 비상징적 의사소통 행동 평가척도를 개발하기 위하여 평가문항을 타당화하고 유형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에서 개발된 비상징적 의사소통 행동 예비 평가문항을 정신지체인과 자폐성장애인을 담당하는 전국의 특수교사와 언어치료사 257명에게 문항 중요도 조사를 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문항분석,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타당화하였다. 그 결과, 정신지체인과 자폐성장애인의 비상징적 의사소통 행동 평가 문항의 유형은 담화 기능 5문항, 의사소통 기능 15문항, 의사소통형태-동작형 5문항, 의사소통 형태-응시 및 몸짓형 6문항, 의사소통 형태-표정형 6문항, 의사소통 형태-성인 의존형 4문항으로 총 6개 영역의 41개 문항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중도 장애인들의 공통적인 비상징적 의사소통 행동과 장애유형에 따른 차이점을 탐지해 낼 수 있는 평가도구의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