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대학생 토론 수업의 평가 방식 연구

        유해준(Yoo, Hae-jun)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15 교양학연구 Vol.0 No.2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debate theme in the speaking ability of the university students and to investigate the desirable evaluation methods for the debate. The debate is the educational speaking activity to interact the students each other that criticizes, accepts, and interacts on the othersʹopinions. This starts from the premise that mutual interaction among the students in the class can affect the capability to acquire the language significantly. Most of the communication in the class i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lecturers and the students, therefore, it becomes more important to prioritize the debate class in the university education. The language learning in Structuralism or Cognition has been proposed to start from the learning the external forms of language data or teachersʹ initiations. However, the negotiation of the meaning has been emphasized by mutual interaction in the language learning in the interaction theory. Speaking and listening have been proposed not by general methods that the students simply acquire the language but by social interaction in this study. The debate based on this interaction theory has been established from the defining the debate themes upon the development and interest levels of the students so that they could get more information than the lecturerʹs feedback, moreover, improve the learning attitude in terms of definition area. In addition, responding to the peerʹs speech, they could acquire the important technique of speaking and listening to find and amend their errors at the same time. In case of feedback only from the lecturer, it may generate the problem to receive the feedback without any criticism, however, the interaction with peers has the benefit to receive the feedback selectively in view of the same position. Despite the positive aspect of the debate class in the university education, it requires the acceptances and applications of a variety of evaluation methods, hence, they should be reviewed focusing on the debate cases.

      • KCI등재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 구성 방안

        유해준(Hae-jun, Yoo)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1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10

        여성결혼이민자는 자녀들이 한 사회 내에 정착하고 타문화와 소통하며 시민성을 갖추도록 하는 부모 교육의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여성결혼이민자들은 스스로가 자녀들보다 먼저 다문화에 대한 이해와 그에 따른 능력을 갖추기를 원한다. 이는 사회의 안정성과도 직결된다. 즉,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은 당사자에 그치는 교육이 아니고 한국사회의 일원으로 성장하게 될 다문화 가정 자녀들에게도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교육이 되는 것이다. Banks(2007)는 ‘다문화 가정 자녀들의 문화가 학교의 문화와 다르며 사회가 가장 중시하는 주류문화와 다르기 때문에 그들에게는 적응에 필요한 공간과 시간이 필요하다’고 했다. 한국 사회에서도 여성결혼이민자들과 그들의 자녀들이 적응에 필요한 공간과 시간을 만들어 주는 다문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여성결혼이민자들을 위한 한국어 교육도 다문화 교육의 일환으로 그들에게 적응에 필요한 공간과 시간을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해야 한다. 하지만 아직까지 여성결혼이민자들에게 어떠한 방식으로 어느 범위까지의 한국어를 가르칠 것인지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고에서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의 한국어 교육에 대한 관심만큼 그들의 필요를 한국어 교육용 교재 안에서도 담고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는 한국 사회에 적응하기 위해 제공되는 문화 요소와 언어 지식간의 연계 속에서 교육적 효용성을 설정할 수 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Married female immigrants play the role of parent education so the children can settle within the society, communicate with other cultures, and be equipped with the citizenship. Therefore, married female immigrants desire to procure the ability to understand the multiculture first before their children. This is also directly linked to the social stability. In other words, the education targeting the married female immigrants does not end with the education for those people but it is an important education that will affect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who will grow into a member of the Korean society. Banks (2007) stated that “the culture of the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and the culture of the school are different and since it is also different from the mainstream culture which the society values the most, it is necessary for the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to have time and space to adapt”. It is also necessary to provide multicultural education which will create the space and time for the married female immigrants and their children to adapt to the Korean society. However, there are not many studies until now on how we will teach Korean to these married female immigrants and to which ext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whether the needs and interests of married female immigrant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contained in the Korean educational materials. This study will become a study set with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in the linkages between cultural elements and language knowledge provided for them to adapt to the Korean society.

      • KCI등재

        캄보디아 온라인 한국어 교육을 위한 연구

        유해준(Yoo, hae-jun)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21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학술지 어문논총 Vol.- No.39

        최근 COVID-19로 비대면 수업이 늘면서 교육 현장에서는 온라인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한국어 교육도 한국어 교사 파견이 어렵거나 교육 기관 설치가 어려운 지역 등 교육 환경의 제약이 많은 곳에서는 온라인 교육에 대한 기대가 있어 왔다. 다만 아직은 교육 실효성 부분에 있어 오프라인 교육과는 교육 성과의 차이가 있다는 의견이 많다. 또한 현지의 교육 환경이 한국과 동일한 인터넷 환경이 아닌 경우 온라인 한국어 교육이 어렵다는 현실적인 의견 또한 많았다. 그러함에도 본고에서는 해외 한국어 교육에서 온라인 한국어 교육이 가지는 장점이 크기에 오프라인 교육이 어려운 지역 또는 온라인 교육이 전면 또는 부분적으로 필요한 지역에 대한 온라인 한국어 교육 방안을 고민하고자 한다. 한국어 교육 수요자가 많기는 하지만 아직 캄보디아는 특정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어 교육 수요자가 많이 있는 국가다. 대도시 중심으로 형성된 한국어 교육 기관이나 한국어 학습자 분포와 달리 한류에 대한 관심은 국가 전 지역에서 높은 국가다. 또한 한국에 입국해 있는 근로자가 많은 국가로 경제적으로도 한국과 교류가 많은 국가다. 최근에는 캄보디아를 여행하는 한국 관광객 수도 늘고 있어 이는 캄보디아 사람들이 한국어에 관심을 가지게 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이에 따른 한국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국가이지만 아직은 한국어 교육 환경이 전체 수요자의 변화를 따라가지는 못하고 있다. 이는 교육 기관 또는 교육에 필요한 비용이라는 현실적 부분 때문이다. 이 때문에 캄보디아는 주로 현지 대학을 중심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런 상황이기에 캄보디아는 중·고등학교, 사설 한국어 교육 기관, 세종학당 등에서 이루어지는 한국어 교육 비중은 크지 않다. 그러나 한류에 의해 캄보디아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한국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한국어에 대한 관심도 같이 높아지고 있다는 점은 주목할 필요가 있다. 한국어 교육 수요자의 요구가 대학을 중심으로 한 진로와 연결된 교육에서 K-POP, 한국드라마를 통한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으로도 넓어지고 있는 점은 과거 중국, 베트남의 한국어 교육 시장의 변화와도 일치하는 모습이기에 이에 대한 정책적인 준비가 필요하다. 이에 본고에서는 캄보디아 한국어 교육 수요자의 확대를 준비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온라인 한국어 교육의 필요성을 언급하며 이를 위해 캄보디아 온라인 한국어 교육에 필요한 부분들을 캄보디아 한국어 교육 현황을 통해 살피고자 한다. With the increased non-face-to-face situations caused by the COVID-19, the interest in online education is also increasing. Regarding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regions with many restrictions of educational environment, the education consumers and educators have expected its online education. Still, there are many opinions about its differences from offline education in the aspect of effectiveness. Also, in the local educational environment, the internet environment is not developed as much as Korea, so there have been many realistic opinions about the difficulty to provide the online Korean language education. Nevertheless, the online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its own strengths, so this thesis aims to consider the online Korean language education measures for the regions where the offline education is hard to be performed or the online education is needed. Contrary to the regions with lo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sumers in the national level, in case of Cambodia, there are many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sumers only in specific regions. However, this country has lots of exchanges with Korea including great interest in K-wave, and many Cambodian workers in Korea. Also, the recent increase of Korean tourists traveling in Cambodia is another reason why Cambodian people start having interest in Korean language. Even though the interest in Korean language is increasing in Cambodia,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al environment does not catch up the whole changes in consumers because of a realistic issue of costs required for education or educational institution. For this reaso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mostly performed in local universities of Cambodia. Under this circumstance, the weigh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performed in middle/high school, privat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stitution, and King Sejong Institute is not that great. However,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at many middle/high school students of Cambodia start having lots of interest in Korea including K-wave and Korean language.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sumers’ needs are changed from academic purpose in university to Korean culture itself through K-POP and Korean dramas, which accords with the chang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market in China and Vietnam. Thus, this thesis aims to propose the necessity of online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method of preparing for the expans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sumers in Cambodia.

      • KCI등재

        보조사를 포함한 한국어 교육 문법 유형 분석

        유해준(Yoo, Hae-jun) 중앙어문학회 2016 語文論集 Vol.65 No.-

        한국어를 학습하는 학생이 날로 늘어나 한국어 교육은 새로운 시기를 열었다. 또한 한국어보급도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고 그에 따라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 대한 관심도 크게 늘어나고 있다. 국내외로 한국어 문법 관련 학습서들이 나오고 있어 한국어 문법의 이해에 많은 도움이 되고 있다. 그러나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은 그 수요에 비해 교육 방법적으로는 더 자세하고 체계적인 한국어 문법 교육에 대해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한국어 교육에서는 조사 교육의 방법이 어떤 체계성 또는 위계화를 이루고 있지 않으며, 이로 인해 서로 다른 조사가 한꺼번에 제시되거나 혹은 교재별로 조사 제시의 순서가 다른 점들이 많다. 이는 모국어 화자를 대상으로 하는 국어 교육과 달리 외국인을 대상으로 교육이 이루어지는 한국어 교육의 문법적 특징 때문이다. 이로 인해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에 필요한 문법 유형들의 정리가 외국인 학습자들에게는 필요하다.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에서 학습되어지는 조사, 어미와 이들을 포함한 문법 항목들이 유형별로 정리가 된다면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체계적인 한국어 수업 모형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보조사의 교육 내용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그에 대한 교육 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 보조사들을 분석하기 위해서 의미를 세분화하고 교육적 순서를 나누어 학습자에게 제시할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보조사의 교육 내용을 국어학의 보조사 관련 연구들을 토대로 하여 외국인 학습자에게 필요한 교육 내용으로 보조사들을 무리 짓고, 교육적 순서를 교육내용에 기초하여 구성하고자 한다.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entering a new era, as evidenced by the ever-increasing number of students currently studying this language. Further, Korean language is quickly disseminated, and the related interest in learn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is rapidly increasing. Many study materials on Korean language grammar have been released ; they greatly help in understanding Korean language grammar. However, Korean grammar education as part of learn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cannot follow more detailed and systematic educational methods compared with the deman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method of postpositional particle education is not systemized or hierarchic and, therefore, different postpositional particles are suggested at the same time or the order of the suggested postpositional particles is individually different from one study material to another. This is because Korean language education targeting foreigners is different from that targeting native speakers in terms of instruction of Korean grammar. Accordingly, the grammar types that are required for study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should be arranged for foreign students. Therefore, if postpositional particles, word endings, and related grammar categories that are studi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argeting foreign students are arranged according to each grammar type, it could suggest Korean language class model to these students. This study analyzes the educational contents of auxiliary particles in Korean language study materials and identifies corresponding education plans. In order to analyze auxiliary particles in detail, meanings are subdivided and educational orders are classified so that students understand them clearly. Therefore, this study groups auxiliary particles as a necessary cont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 students based on the research studies done on these particles in Korean linguistics and composes corresponding educational orders.

      • KCI등재후보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교육용어플리케이션 구성 방안

        유해준 ( Yoo Hae Jun ),손봉기 ( Son Bong Ki ),양승용 ( Yang Seung Yong ),최흥렬 ( Choi Heung Yuri ),이재호 ( Lee Jae Ho ) 영주어문학회 2017 영주어문 Vol.35 No.-

        어플리케이션은 어떤 종류의 작업을 돕기 위해 설계된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본 연구에서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한국어 교육에 이용하고자 한다. 기존에 나온 한국어교육용 어플리케이션은 회화 중심이 아닌 어휘 풀이 또는 한국어능력시험(TOPIK) 시험 문제 풀이용으로 개발된 어플리케이션들이었다. 본고에서는 온라인 교육이 가능한 주제 중심의 한국어교육용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한 내용 구성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어플리케이션 구성 방안 연구는 어플리케이션을 실제 사용하는 한국어 학습자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결론적으로 본고에서는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구성 방안 연구를 통해 한국어교육용 어플리케이션 개발에 필요한 내용적인 부분과 더불어 기술적인 부분을 함께 고려한 한국어교육용 어플리케이션 구성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An application is a computer program designed to help with a specific kind of work. This study aims to use an application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exis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applications are applications that were developed for vocabulary or solving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TOPIK) test problems. The study aims to research a content configuration plan to develop a subject oriented Korean language education application that can be taught online. The purpose of research into application configuration is to increase the accessibility of learners of Korean who are using the application. In conclusion, the study aims to present an application configuration plan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including content details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as well as technical aspects, through the study on the configuration method for application development.

      • KCI등재

        유학생을 위한 대학 교양 한국어 수업 연구

        유해준(Yoo, Haejun) 중앙어문학회 2021 語文論集 Vol.87 No.-

        본 연구에서는 대학에 입학한 학문 목적의 외국인 학습자들의 대학 교양 한국어 수업 방안을 살피고자 하였다. 1970년대 의사소통 중심의 수업이 등장하기 시작한 이래로 언어 교육 측면에서 한국어 교육은 많은 변화를 겪어 왔다. 이후 한국어의 문법 지식이나 구조, 형태를 중심으로 한 문법 번역식 교수법에 기반한 수업에서 의사소통 중심 접근법을 기반으로 하는 수업으로 많은 한국어 교실이 변화를 하였다. 그럼에도 현재 대학에 입학한 외국인 대학생들을 보면 한국어 어휘나 한국어 문법에 대한 지식이 풍부함에도 한국어로 말하기 발표나 보고서 쓰기에는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이 많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의 교양한국어 수업에서 학문 목적의 학습 도구로 한국어를 사용하기 위해 이러한 명시적 형태 제시 학습 방법을 기반으로 한 의사소통 수업을 하는 것에 대해 고민을 했다. 이에 형태 중심의 수업이 한국어 말하기 또는 글쓰기 능력 향상으로 이어지는 수업 방법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여 실험 수업을 진행하였다. 이에 대해 본 연구에서는 대학 유학생 그리고 교양 한국어 교과 수업이라는 제한적 학습자와 제한적 교실 환경을 설정하여 수업 방법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수업 시간에 실험집단에게는 명시적으로 한국어 문법 항목을 제시하고 피실험집단에게는 암시적으로 한국어 문법 항목을 지도하여 외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능력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asures taken for conducting Korean language class in college as general education for foreign learners who are enrolled in college for academic purposes. Since the emergence of communicative language classes in the 1970s, there has been a huge chang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fter that,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much changed from the class based on Grammar-Translation Method focusing on grammatical knowledge, structure, and form of Korean language to the class based on Communicative Language Approach. Although foreign students enrolled in Korean colleges often have extensive Korean vocabulary and grammatical knowledge, many find it difficult to write or present a report in Korean. According to Ellis (1989), learners who receive grammar instruction in a classroom environment can reach a higher level of language acquisition and acquire a language more successfully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compared with natural learners. Therefore, the researcher conducted the communication class based on this learning method through an explicit form of presentation. Thus,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necessity to present the instruction method led to the improvement of Korean speaking or writing ability in the form-centered class.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instruction method by considering a limited set of learners and a limited classroom environment such as foreign students in college and Korean language class as general education. Thus,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the explicit presentation of Korean grammar items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implicit instruction of Korean grammar items to a control group during Korean language class hours on the Korean language learning ability of foreign learners.

      • KCI등재후보

        한국어 학술 논문 텍스트 표지 분석

        유해준 ( Yoo Hae-jun ) 영주어문학회 2017 영주어문 Vol.37 No.-

        본 연구는 한국어 학술 논문 텍스트의 특성을 관련 텍스트의 표지를 통해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논증적 텍스트와 관련 있는 인문사회 분야 학술논문 텍스트로 말뭉치 자료로 구축하고 이를 다시 어절 단위로 나누어 한국어 텍스트 특성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고의 분석 자료는 여러 학술 논문 중 인문사회 분야 석사 논문으로 한정하고자 한다. 학술 논문은 세부 전공 영역 별로 그 구조와 문체적인 특질이 다르므로 각 전공 영역 별로 분석이 이루어져야 하지만 이 연구는 그 시작으로 인문사회 분야의 논문들만을 대상으로 삼고자 한다. 다수의 논문에서 뽑은 학술 논문 텍스트의 표지 형식들은 학생들에게 보고서와 같은 학문적 텍스트의 구조를 이해하게 해 줄 것이다. 연구 방법으로 인문사회 분야 학술 논문 텍스트 서론의 구조적 특징을 찾기 위해 10편의 논문을 말뭉치로 구축하고 이를 한마루 검색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어절 단위로 분석하였다. 국립국어원에서 21세기 세종계획 말뭉치 활용을 위해 개발한 한마루 검색 프로그램으로 먼저 어절 단위의 고빈도 어절을 추출하였고 이 고빈도 어절들을 이용하여 글의 구조를 나타내는 학술적 텍스트의 담화적 특징을 가진 표지를 찾고자 하였다.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ypical text style of thesis in Korean. In this study, two sections were discussed from the typical text style of thesis in Korean called ‘structure’ formation which has a semantic element and text contents. The phrase unit which consists of text structure is part of the formation element in text and this was used for analysis on language style in Korean. Analysis on language style in Korean may be taken as component in writing education. Data analysis used for this study is limited to master´s thesis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field. Although it is obvious that structure and writing style are different in major fields of the scientific treatise, this study is only intend for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area. Even though thesis discussed in this study may not be representative master´s thesis, text style of thesis in Korean extracted from majority of thesis are well enough for foreign students to understand Korean sentence structure. This will assist foreign students to develop their capabilities in studying Korean by academic reading, writing and speaking. Hanmaru search program was chosen to discover writing style from introduction parts of 10 scientific treatises as research method. Hanmaru search program was developed by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NIKL in order to use corpus, and we extract the most frequently used phrases from this program. These phrases were used to find markers which have distinct features of scientific text which shows the structure of the sentence. Based on these findings, we tried to analyze on practical scientific treatise.

      • KCI등재

        교육문법으로서의 한국어 유사 문법 연구

        유해준(Yoo, Haejun) 중앙어문학회 2021 語文論集 Vol.85 No.-

        기존의 한국어 교육 문법 연구를 보면 한국어 교육 문법에 대한 논의는 크게 두 논의로 정리가 된다. 첫째, 모국어 화자를 대상으로 하는 학교문법과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교육문법을 같은 체계로 보아야 한다는 견해와 둘째, 모국어를 설명하는 학교문법과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문법의 체계는 달라야 한다는 견해다. 본고에서는 후자의 견해를 따르고자 하며 교육 대상과 교육 목표가 다르기 때문에 교육해야 할 교육문법의 주요 범주와 체계도 달라야 한다는 측면에서 유사 문법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고에서는 각 교육문법은 교육에 필요한 표준이 되는 체계를 가진 표준문법이 필요하고 이는 한국어 문법 전체 체계를 제시하는 교사문법이 되어야 하며 교육 목적에 따른 문법 내용이 기반이 되어야 한다고 본다. 그러나 표준문법이 있다고 해서 교육 현장에서 문법 교육으로 바로 연결이 되지는 않는다. 교사는 추상적인 지식 체계와 함께 학습자가 사용할 수 있는 문법으로 문법의 내용이나 설명 방식 등을 교수 방법과 연결하여 알고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하나의 표준문법 안에서도 교사문법과 학습자문법의 구분이 필요하다. 교육문법 안에서 표준문법은 정리된 체계가 중요하다면 학습자문법은 체계도 중요하지만 각 학습 단계에 맞는 위계성이 더 중요하다. 즉, 어떤 문법 내용에 대해 가르칠 시기와 교수방법에 따른 설명 방식이 함께 제시되어야 학습자문법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학습자문법은 학습자 수준을 고려한 제시가 필요하다. 현재 출간된 한국어 교재와 교사용 지도서를 보면 교사문법과 학습자문법이 함께 제시된 경우가 많다. 한국어 교육에서 교사문법과 학습자문법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는 않았지만 한국어 교재와 교사용 지도서 등에서는 이미 구분하여 사용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국어교육문법과 한국어교육문법이 교육문법이라는 틀 안에서 같거나 달라야 한다는 논의는 많았지만 한국어교육문법 안에서 교사문법과 학습자문법을 어떻게 제시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는 한국어교육용 교육문법의 중요성 때문에 논의가 미루어져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교육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유사 문법을 가지고 교사문법과 학습자문법에 대해 논의하였다. Discussions on the future direction of grammar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largely follow two different opinions. According to the first opinion, school grammar targeting native speakers and the grammar for teaching Korean language as a foreign language should follow the same grammar system. As per the second opinion, the school grammar system should be different from the grammar system for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This study aims to elaborate on the latter view, that the major category and system of pedagogical grammar should be different between school grammar and grammar for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as the subject and goals of education are different between the two. Education requires standard Korean grammar. The teacher should teach the entire gamut of Korean language grammar, with contents based on the goals and needs of the particular education. However, standard Korean grammar is not always directly related to the needs of grammar education in the education field. Teachers should be aware of abstract knowledge system, grammatical contents, or explanation methods that could be used by learners in the connection with teaching methods. For this, the single standard Korean grammar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needs to be divided into teacher’s grammar and learner’s grammar. Within the framework of pedagogical grammar, the system of grammar is important for the standard Korean grammar, while the hierarchy suitable for each learning stage is important for learner’s grammar. In other words, to transform into learner’s grammar, the explanation methods according to the teaching method and period to teach a certain grammatical content should be presented simultaneously. For this, the learner’s grammar should be in a simplified form by considering the level of the learners. Most of the current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teachers’ guidebooks present teacher’s grammar and learner’s grammar together. Even though terms like teacher’s grammar and learner’s grammar are not used yet, they have been used separately. There have been many discussions on whether school grammar and grammar for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should be the same or different within the frame of pedagogical grammar. However, because of the focus on the necessity of standard Korean grammar for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education, discussions on how to present teacher’s grammar and learner’s grammar within the grammar for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have been delayed. Thus, this study discusses teacher’s grammar and learner’s grammar on the basis of similar grammar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 KCI등재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시제 교육 방안

        유해준(Yoo, Haejun) 중앙어문학회 2017 語文論集 Vol.71 No.-

        한국어의 과거 시제는 서술어와 관형어에 나타나는데 서술어에서는 선어말어미 ‘-었-, -었었-, -더-’에 의해 표현된다. 그러나 한국어 교재에서는 ‘-었-’의 ‘상’적 기능을 언급하지 않아서 중국인 학습자는 ‘-었-’이 ‘완료상’을 나타내는 문장을 이해하지 못하고, ‘-었었-’의 의미도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한다. 그리고 ‘-었었-’과 ‘-었-’이 구별 없이 서로 대신 쓰일 수 있기 때문에 사용 환경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없으면 ‘-었었-’과 ‘-었-’을 혼동하기 쉽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학습 과정에서 자주 보이는 과거 시제 오류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어 시상어미 ‘-었-’과 ‘-었었-’,과 회상 기능을 하는 ‘-더-’에 대해서 그들의 의미, 형태, 통사 제약 등을 살피고자 한다. 다음으로 문장 안에서 선행절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자주 쓰이는 연결어미의 의미와 제약을 분석하고자 한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외국인 학습자가 자주 범하는 과거 시제에 대한 오류를 분석하여 이를 통해 한국어 교재의 내용 기술과 교육 방안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The past tense in Korean language is realized by the predicate and determiners. The predicate is expressed by pre-final endings such as “-었-,” “-었었-,” and “-더-.” However, the Korean textbook does not explain the "perfective" function of “-었-”; therefore, Chinese learners are unable to understand "perfective" sentences with “-었-” or even the meaning conveyed in “-었었-.” Furthermore, because “-었었-” and “-었-” can be used without distinction, it is easy to become confused between these two. Thu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frequency of past tense errors made by Chinese students who are learning Korean. For this, the study examined the meaning, formation, and syntactic constraints of the Korean pre-final ending “-었-” and “었었-,” as well as “-더-” with the reminiscence function. Next, the study analyzed the meaning and limitations of frequently used connective endings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antecedent clause in a sentence. In conclusion,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errors that foreign learners frequently make in learning Korean past tense; the result can contribute to improving the Korean language textbook and educational meth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