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이용한 기상학적 가뭄지수의 민감도 평가

        유지영,김진영,권현한,김태웅,Yoo, Ji-Young,Kim, Jin-Young,Kwon, Hyun-Han,Kim, Tae-Woong 대한토목학회 2014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4 No.6

        본 연구의 목적은 베이지안 네트워크 기법을 이용하여 기상학적 가뭄지수의 민감도를 확률론적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즉, 기상학적 가뭄에 관련되는 다양한 지수 간의 상호연관성을 분석하여 가뭄지수 사이의 선후관계를 파악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상강우비율(PN)과 30일, 60일, 90일 지속기간 표준강수지수(SPI30, SPI60, SPI90)의 자료를 기반으로 베이지안 네트워크 모형을 개발하여 기상학적 가뭄특성을 평가하였으며, 다양한 시간단위(지속기간)에 따른 가뭄지수 간의 사후확률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적으로는 다양한 지수 간의 의존관계를 파악하였으며, 이를 활용하여 효율적인 가뭄감시를 수행할 수 있는 표준강수지수의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sensitivity of meteorological drought indices in probabilistic perspective using Bayesian Network model. In other words, this study analyzed interrelationships between various drought indices and investigated the order of the incident. In this study, a Bayesian Network model was developed to evaluate meteorological drought characteristics by employing the percent of normal precipitation (PN) and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PI) with various time scales such as 30, 60, and 90 days. The sensitivity analysis was also performed for posterior probability of drought indices with various time scales.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out interdependent relationships among various drought indices and proposed the effective application method of SPI to drought monitoring.

      • KCI등재

        가뭄해갈 가능성을 고려한 가뭄사상의 결정 및 확률 가뭄심도 산정

        유지영,유지수,권현한,김태웅,Yoo, Ji Young,Yu, Ji Soo,Kwon, Hyun-Han,Kim, Tae-Woong 한국수자원학회 2016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9 No.4

        본 연구에서는 가뭄사상과 확률 가뭄심도를 결정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였다. 강우자료로부터 가뭄사상을 추출하기 위해 연속이론과 누적 강우부족량을 동시에 고려하였다. 절단수준 이상의 강우사상이 발생할 경우, 그 때까지의 누적 강우부족량을 해갈할 수 있을 만큼의 강우량이 발생하였는가를 확인하여 가뭄사상의 종료여부를 최종 결정하였다. 이와 같이 추출된 가뭄사상의 지속기간과 심도의 상호 의존성 구조를 파악하여 결합분포함수를 추정하기 위해 코플라 함수를 적용하였다. 또한 이변량 코플라 함수의 조건부 함수를 이용하여 가뭄의 특정 지속기간에 대한 가뭄심도의 재현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신뢰구간을 추정하여 이변량 빈도해석의 불확실성을 정량화하였다. 서울지점의 1909~2015년 강수자료에 적용한 결과 과거 극한가뭄으로 판단되었던 가뭄사상은 대부분 최소 10년에서 최대 50년 정도의 재현기간을 갖는 반면 2013년 발생하여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는 2015년 가뭄은 현저히 높은 재현기간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향후 가뭄대책을 마련하는 데 있어 빈도개념을 바탕으로 하는 신뢰성 있는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new method to determine the drought event and the design drought severity. In order to define a drought event from precipitation data, theory of run was applied with the cumulative rainfall deficit. When we have a large amount of rainfall over the threshold level, in this study, we compare with the previous cumulative rainfall deficit to determine whether the drought is relieved or not. The recurrence characteristics of the drought severity on the specific duration was analyzed by the conditional bivariate copula function and confidence intervals were estimated to quantify uncertainties. The methodology was applied to Seoul station with the historical dataset (1909~2015). It was observed that the past droughts considered as extreme hydrological events had from 10 to 50 years of return period. On the other hand, the current on-going drought event started from 2013 showed the significantly higher return period.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 of this study may be utilized as the reliable criteria based on the concept of return period for the drought contingency plan.

      • KCI등재

        질량모멘트 개념을 이용한 시공간적 가뭄해석기법의 적용성 분석

        유지영,소병진,김태웅,권현한,Yoo, Ji Young,So, Byung Jin,Kim, Tae Woong,Kwon, Hyun Han 한국수자원학회 2012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5 No.10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시공간적 가뭄해석 방법을 제안하기 위해, 강우관측지점별 가뭄사상을 추출하여 가뭄사상의 시작 시점이 동일한 강우관측지점을 선정하여 CASE를 구분하였다. 그 결과 SPI3에서는 36개, SPI6에서는 38개, SPI9에서는 40개, SPI12에서는 39개의 CASE가 분석대상으로 선정되었으며, 이를 이용한 연구방법의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해, 과거 우리나라의 대표적 가뭄사상으로 알려진 장기가뭄과 단기가뭄에 대한 시공간적 가뭄발생특성을 재현하여 비교분석한 결과, 실제 과거가뭄사상에 잘 부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가뭄의 이동경로 및 전이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방안으로 질량모멘트 개념을 이용하여 가뭄의 중심 및 영향권을 결정하는 새로운 가뭄해석 기법을 제안하였다. 그 결과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가뭄이 발생한 지역의 순서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시공간적 가뭄패턴분석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되는 가뭄의 중심 및 영향권의 변화양상을 선행적으로 고려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to analyze travelling route and transition characteristics which is a spatial time interpretation method now actively progressed in domestic as well as abroad, it was intended to develop new drought interpretation technique which can decide the centroid and orbit of drought through assuming ellipse using Mass Moment concept. First of all, after estimating Standard Precipitation Index (SPI) per different precipitation observatory station to extract drought events, by selecting precipitation sites where drought starting and end point are same, these were categorized as CASE. As a results, with various CASE selections falling in specific duration for monthly drought analysis, it is possible to find out drought area that additionally occurred, and drought reliving process could be confirmed more definitely. Therefore, if the research methods adopted in this study for drought monitoring are utilized, not only accurate spatio-temporal drought analysis is possible, also pattern of drought centroid movement can be analyzed by establish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spatial characteristics data after separating all the drought events that occurred sporadically in Korea Peninsula.

      • KCI등재

        유역의 강우-유출 특성을 고려한 NRCS-CN 방법의 선행토양함수조건의 재설정: 선행5일강우량을 기준으로

        유지영,문건우,안재현,김태웅,Yoo, Ji-Young,Moon, Geon-Woo,Ahn, Jae-Hyun,Kim, Tae-Woong 대한토목학회 2014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4 No.3

        유효강우량을 산정하는 NRCS-CN 방법의 선행토양함수조건을 결정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선행5일강수량이 사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유역의 유출특성을 고려하여 선행5일강수량의 기준값을 재설정하기 위해서 선행5일강수량의 기준값을 변화시키면서 실제 관측 직접유출고와의 오차에 대한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전체 18개 대상유역에서 본 연구에서 재설정한 기준값을 적용하여 산정한 직접유출량의 평균오차(RMSE = 27.3 mm)는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기준값을 적용하여 산정한 직접유출량의 평균오차(RMSE = 35.2 mm)보다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향상 지수를 바탕으로 유역별 선행5일강수량의 기준에 대한 효율성을 평가한 결과, 본 연구에서 재설정한 선행5일강수량의 기준값을 활용하여 직접유출량을 추정하였을 경우, 평균적으로 약 30% 정도의 정확도가 향상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더불어 본 연구에서는 미계측 유역에 대한 선행5일강수량의 기준값을 재설정하기 위하여 지형지표를 활용한 선형회귀모형을 제안하였다. 회귀모형을 이용하여 재조정된 선행5일강수량의 기준값을 적용할 경우, RMSE가 감소(최소 0.4 mm에서 최대 15.1 mm)함과 동시에 Nash and Sutcliffe의 효율성 계수는 최대 0.33까지 증가하였다. The mount of antecedent 5-day rainfall (P5) is usually used to determine the antecedent soil moisture condition for estimating effective rainfall using the NRCS-CN method. In order to re-establish the threshold of P5 considering basin characteristic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ensitivity of the threshold of P5 to effective rainfall by comparing the corresponding observed direct runoff. The overall results indicate that the direct runoff estimated using the re-establihed threshold of P5 has smaller mean error (RMSE of 27.3 mm) than those using the conventional threshold (RMSE of 35.2 mm). In addition, after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threshold of P5 using the improvement index, the threshold re-established in this study improved the ability to estimate the direct runoff by 30% on average. This study also suggested to employ regression models using topographic indices to re-establish the threshold for ungauged basins. When using the re-established threshold from the regression model, the RMSE decreased ranging from 0.4 mm to 15.1 mm and the efficiency index of Nash and Sutcliffe increased up to 0.33.

      • KCI등재

        일 단위 SPI와 ROC 분석을 이용한 단기가뭄의 평가

        유지영,송호용,김태웅,안재현,Yoo, Ji Young,Song, Hoyong,Kim, Tae-Woong,Ahn, Jae-Hyun 대한토목학회 2013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3 No.5

        SPI(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는 계산절차가 간단하기 때문에 기상학적 가뭄을 평가하는데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월 단위 기반으로 산정되기 때문에 1달 이내의 짧은 지속기간을 가지는 가뭄사상을 포착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월 단위로 계산되는 SPI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일 단위 SPI(DSPI)를 제안하였다. 또한, DSPI의 가뭄재현능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과거의 가뭄발생기록을 이용하여 ROC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단기가뭄을 재현하는데 적절한 지속기간을 제시하였으며, 가뭄의 발생유무를 결정하는 데 활용하는 3가지 등급(보통, 심한, 극한 가뭄)별 DSPI의 가뭄예보능력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3가지 등급에 대한 재현능력이 우수한 가뭄 지속기간을 결정하였다. 또한, 과거 2000년 이후에 발생한 우리나라 대부분의 가뭄은 90일(3개월) 이내의 누적 강수량이 평년의 수준에 비하여 부족하기 때문에 발생한 기상학적 측면의 단기가뭄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PI) is widely applied to evaluate for meteorological droughts. However, the SPI is limited to capture a drought event with a short duration, expecially shorter than one month. In this study, we proposed a daily SPI (DSPI) as a way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the monthly SPI for drought monitoring. In order to objectively assess the ability of the drought reproduction of the DSPI, we performed a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analysis using the quantified drought records from official reports, newspapers, etc. The results of ROC analysis showed that the DSPI has an ability to reproduce short-term drought compared with other indices. It also showed that the main cause of historical droughts was the shortage of rainfall accumulated during the time period less than 90 days compared with the rainfall of normal years.

      • KCI등재

        동질성 은닉 마코프 모형을 적용한 가뭄특성의 확률론적 평가

        유지영,권현한,김태웅,이승오,Yoo, Ji-Young,Kwon, Hyun-Han,Kim, Tae-Woong,Lee, Seung-Oh 대한토목학회 2014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4 No.1

        현재 국내외적으로 다양한 가뭄지수들이 개발과 더불어 가뭄평가를 위한 다양한 기준이 개발되고 있다. 가뭄지수를 이용하여 가뭄의 시작, 강도 및 종료 시점을 정의할 경우, 일반적으로 특정 기준값(threshold)에 근거한 해석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는 실제 가뭄을 평가하는데 불확실성을 가중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가뭄지수 기반의 가뭄판단 시 적용되어져 왔던 특정한 기준값에 근거한 해석이 아닌, 기상학적 가뭄발생의 주된 원인 중 하나인 월강수량 자료에 내재되어 있는 특징을 최대한 활용하고자 은닉 마코프 모형(Hidden Markov Model, HMM) 기반의 확률론적 가뭄해석기법을 제안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HMM 기반의 확률론적 가뭄해석기법은 기존의 다양한 가뭄지수를 적용한 가뭄해석과 비교하여 기상학적 측면에서의 가뭄판단의 명확한 기준 제시 및 가뭄발생의 원인을 규명하는 데 있어 체계적으로 불확실성을 감안한 해석이 가능하였다. Several studies regarding drought indices and criteria have been widely studied in the literature. If one defines the onset, severity, and end of droughts, in general, a certain threshold needs to be set to assess the drought events. However, the uncertainty associated with the threshold is a critical problem in drought analysis. To take full advantage of the inherent features in the rainfall series, a Hidden Markov Model (HMM) based probabilistic drought analysis was proposed rather than using the existing threshold based analysis. As a result, the proposed HMM based probabilistic drought analysis scheme shows better performance in terms of defining drought state and understanding underlying characteristics of the drought. In addition, the HMM based approach is capable of quantifying the uncertainties associated with the classifying meteorological drought condition in a systematic way.

      • KCI등재

        Treatment of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Anal Margin : Single Center Experience

        Ji Young Yoo(유지영),Dae Ro Lim(임대로),Hyuk Hur(허혁),Byung Soh Min(민병소),Seung Hyuk Baik(백승혁),Kang Young Lee(이강영),Nam Kyu Kim(김남규) 대한종양외과학회 2012 Korean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Vol.8 No.2

        목적 : 본 연구는 침생검을 통해 진단 받은 경화성 선증에 대해 추가적인 수술 없이 경과 관찰했을 때의 잠재적 안정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1996년 1월부터 2010년 5월까지 침생검을 통해 경화성 선증으로 진단된 143명의 환자의 145개 병변을 대상으로 (core-needle biopsies 118례, vacuum-assisted biopsies 27례) 의무기록 검토를 토대로 한 후향적 고찰이다. 결과 : 환자들의 BI-RADS(The American College of Radiology Breast Imaging Reporting and Data System) 분류는 다음과 같다: C3(n=8), C4a(n=123), C4b(n=11), C4c(n=e), C5(n=1). 그 중 14명은 조직검사를 재시행하였고 BI-RADS 분류 C5이면서 영상의학적 소견과 병리학적 소견의 불일치를 보인 1명의 환자가 침윤성 유방암으로 진단되어 수술을 시행하였다. 나머지 환자들은 정기적인 초음파 검사 및 유방촬영술을 통해 경과 관찰하였고, 평균 추적관찰 기간 40개월 동안 144개의 병변의 최종 BI-RADS 분류는 다음과 같다: C1(n=5), C2(n=107), C3(n=32), 경과 관찰기간 동안 142명의 환자에서 악성 유방질환이 발견된 환자는 없었다. 결론 : 침생검을 통해 경화성 선증으로 진단된 환자에 있어서 추가적인 수술 없이 정기적인 검진을 통하여 경과 관찰하는 것은 잠재적 안전성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조직검사와 영상검사 결과의 불일치 소견을 보이는 경우 수술적 생검을 통한 최종 진단이 필요하다. Background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potential safety of follow up for patients diagnosed with sclerosing adenosis through needle biopsies without additional surgery. Patients and Methods : From January 1996 to May 2010, 145 lesions in 143 sclerosing adenosis patients who underwent core-needle biopsies (n=118), vacuum-assisted biopsies (n=27) in our institution were followed. Results : The American College of Radiology Breast Imaging Reporting and Data System (BI-BADS) classification in these patients was as follows : C3(n=8), C4a(n=123), C4b(n=11), C4c(n=e) and C5(n=1). After sclerosing adenosis was diagnosed by needle biopsy, 14 patients underwent re-biopsy. Only 1 patient who had BIRAD C5 sonographic features was diagnosed with invasive ductal carcinoma and surrounding ductal carcinoma in situ. The remaining 142 patients received regular medical exam with ultrasonography and/or mammography. 144 lesions’ BI-RADS category were C1(n=5), C2(n=107) and C3(n=32). With the median follow-up period of 40 months, none of the patients developed breast malignancy. Conclusions : Our study suggest that patients with sclerosing adenosis diagnosed by needle biopsies can be safely followed without additional surgery. However, in case of discordance with images and biopsy result, surgical excision for definite diagnosis is recommended.

      • KCI등재

        저자서지결합분석을 이용한 국내 물류학의 지적구조 분석에 관한 연구

        유지영(Yoo, Ji-Young),우수한(Woo, Su-Han) 한국물류학회 2015 물류학회지 Vol.25 No.3

        본 연구는 인용분석의 기법중 하나인 저자서지결합분석을 이용하여 국내 물류학의 지적구조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하며 이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진다. 첫째, 지적구조를 제시함으로써 국내 물류학의 주제 분류의 체계성을 높이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둘째, 물류학 연구자들이 연구를 시행하는 과정에서 학문의 흐름을 이해하고 트랜드를 파악하여 연구가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물류학의 지적구조 파악을 위하여 2010-2014년간 국내 물류관련 주요 학술지인 「물류학회지」, 「해운물류연구」, 「로지스틱스연구」에 게재된 논문을 대상으로 하여 투고빈도가 높은 46명의 대표저자를 선정하였다. 46명 저자의 논문의 인용데이터를 추출하여 피어슨상관계수를 통해 저자간의 상관도를 파악하고 다차원척도법과 군집분석을 시행하여 12개의 저자군집으로 나누고 각 군집에 세부주제명을 명명하여 지적구조를 나타내었다. 세부주제명은 철도화물, 물류기술, 국제물류/물류전략, 물류경영/성과, 국제물류/물류인프라, 관습/통상법, 공급망관리, 해운경제, 물류산업, 항만관리/항만물류, 물류프로세스, 해운정책/해운경영으로 나뉘었다. 다차원척도법과 군집분석에 의하여 형성된 지적구조를 종합하여 물류학의 학술연구분야 분류표와 비교한 결과 지적구조분석에 의해 나타난 하위 주제영역이 해운⋅항만, SCM 등을 반영하며 좀 더 세부적으로 물류학의 주제분야를 나타내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determine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the logistics research in Korea using the Author Bibliographic Coupling Analysis (ABCA). Development of intellectual structure in the logistics research area provides researchers in this area with better understanding of research territory and senses of further research directions. This paper reviews papers published in three major academic journals in the logistics in Korea from 2010 to 2014. The journals include Korea Logistics Review, The Journal of Shipping and Logistics and Korean Journal of Logistics. Fourty-six authors with frequencies of publications of 5 or higher were selected a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atrix was constructed from the extracted citation data. Then, multi-dimensional scaling (MDS) and clustering analysis were performed to develop clusters of the authors. 12 clusters were structured and it was shown that, compared to the classification of logistics research made by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the classification can be more specific reflecting the surge in research demand in shipping, port management and SCM.

      • KCI등재

        군집분석과 이변량 확률분포를 이용한 가뭄빈도해석

        유지영(Yoo Ji Young),김태웅(Kim Tae-Woong),김상단(Kim Sangdan) 대한토목학회 2010 대한토목학회논문집 B Vol.30 No.6B

        우리나라의 경우 짧은 강우 관측 기간으로 인해 지점빈도해석에 의한 가뭄분석은 불확실성이 크다는 문제가 있어 가뭄에 대한 지역빈도해석의 적용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강우의 경향이나 크기를 고려하기 위해 단기가뭄을 나타내어 줄 수 있는 3개월 이동평균강우량과 장기가뭄을 나타내어 줄 수 있는 12개월 이동평균강우량을 산정한 후, 가뭄분석을 수행하기 위한 가뭄특성변수를 추출하였다. 가뭄특성변수를 이용하여 주성분분석과 군집분석을 수행하여 가뭄의 동질성을 갖는 관측지점들을 구분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지역별 가뭄빈도해석을 위해 이변량 확률분포함수를 적용하였으며, 가뭄 특성(가뭄지속기간과 심도)의 상호 관계를 고려하여 지역적 가뭄특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이변량 핵밀도함수의 적용을 통해 가뭄 발생의 분포 및 경향성을 가장 근접하게 나타내어 줄 수 있는 결합 획률밀도함수를 추정하고, 군집지역별 2개월, 5개월, 10개월, 20개월의 가뭄지속기간과 5년, 10년, 20년, 50년, 100년의 재현기간에 따른 지역적 가뭄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금강하류, 영산강의 일부 권역 및 남해안 일대에서 상대적으로 큰 가뭄심도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Due to the short period of precipitation data in Korea, the uncertainty of drought analysis is inevitable from a point frequency analysis. So it is desired to introduce a regional drought frequency analysis. This study first extracted drought characteristics from 3-month and 12-month moving average rainfalls which represent short and long-term droughts, respectively. Then, the homogeneous regions were distinguished by performing 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The Korean peninsula was classified into five regions based on drought characteristics. Finally, this study applied the bivariate frequency analysis using a kernel density function to quantify the regionalized drought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bivariate drought frequency curves, the drought severities of five regions were evaluated for durations of 2, 5, 10, and 20 months, and return periods of 5, 10, 20, 50, and 100 years. As a result, the largest severity of drought was occurred in the Lower Geum River basin, in the Youngsan River basin, and over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