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도시 녹지 공간의 재해 위험도 평가 연구

        유주은,Yu, Joo-Eun 한국조경학회 2015 韓國造景學會誌 Vol.43 No.5

        This study examined disaster risk from climate change in urban open spaces. This study conducted an assessment depending on type of damage and type of open space, subcategorizing it into flood damage and wind damage, flat park and mountainous park, and classified the assessment items by type into natural factor, artificial factor, and social factor for the purpose of analysis. Our major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To look at the standardized score for the disaster risk from flood damages in the case of a flat park, Asian Park was higher at 55.800 point than Seoul Forest at 51.775 point, and in the case of mountainous parks, Dogok Park was at 58.428 point and Baebongsan Park was at 58.374 point. To look at the standardized score for disaster risk from wind damage, in the case of a flat park, Asian Park was higher at 64.763 point than Seoul Forest at 61.054 point, and in the case of mountainous parks, Baebongsan Park was higher at 58.533 point than Dogok Park at 55.459 point. This study raised a question about the necessity for and value of this disaster risk assessment in open space from damages caused by climate change, established an assessment model for disaster risk from damages in open spaces only to attempt risk assessment. Disaster risk of urban green space was enhanced. 본 연구는 도시 내 녹지 공간을 대상으로 기후변화로 인한 재해 위험도를 평가하였다. 재해유형, 녹지공간 유형에 따른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수해와 풍해, 평지형 공원과 산지형 공원으로 유형화 시키고, 각 유형별 평가항목으로는 자연적 요소 인공적 요소 사회적 요소로 구분하여 평가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해로 인한 재해 위험도 표준화 점수는 평지형 공원의 경우, 아시아 공원이 55.800점으로 서울숲 51.775점보다 높았으며, 산지형 공원의 경우 도곡 공원 58.428점, 배봉산 공원 58.374점의 지수를 보이고 있었다. 풍해로 인한 재해 위험도 표준화 점수를 살펴보면 우선 평지형 공원의 경우, 아시아 공원이 64.763점으로 서울숲 61.054점보다 높았으며, 산지형 공원의 경우, 배봉산 공원이 58.533점으로 도곡 공원 55.459점보다 높은 지수를 나타냈다. 기후변화 재해로 인한 오픈스페이스 위험도 평가의 필요성과 가치를 제기하고, 오픈스페이스만의 재해 위험도 평가모형을 정립하여 위험도 평가를 시도하였으며, 도시 녹지공간의 재해 위험도를 제고하였다.

      • KCI우수등재

        조경전문잡지를 통해 본 조경시설물의 변화 및 요인 연구

        유주은,Yu, Joo-Eun 한국조경학회 2015 韓國造景學會誌 Vol.43 No.5

        본 연구는 조경전문잡지인 '환경과 조경'의 광고 내용 분석을 통해 조경산업의 전반적인 구조를 알아보고 조경시설물의 변화 및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조경시설물 행보의 방향제시 및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환경과 조경' 창간호부터 30년 간 게재된 광고를 분석한 결과 옥외시설물이 1,853회의 빈도수를 보이고 있으며 이중 휴게시설이 1,475회, 편익시설이 378회로 나타났다. 옥외시설물의 광고 빈도수가 다른 조경시설물에 비해 월등히 광고 빈도가 높은 이유에는 주택건설 관련 정부정책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공공디자인으로의 업역 확장과 더불어 휴게시설물 시장의 확대에 연유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휴게시설물의 주요 재료에는 퍼걸러와 벤치 모두 목재와 철재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퍼걸러의 경우 지붕재의 종류로 경제적 측면과 내구성 측면을 고려한 폴리카보네이트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조경분야의 대표 잡지에 실린 광고를 대상으로 조경시설물의 흐름을 통시적으로 분석하여 시대별 동향, 시설물 유형별 디테일 변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In this study, the general structure of the landscape architecture industry was considered through analysis of advertisements in the landscape architecture magazine, 'Environment & Landscape Architecture', and the transition process and factors of landscape facilities were analyzed. Based on this result, the direction of future landscape facilities and basic data were suggested. When analyzing the advertisements that have been published in 'Environment & Landscape Architecture' for 30 years, outdoor facilities were depicted at a frequency of 1,853 times and among them, rest facilities and convenience facilities were depicted 1,457 times and 378 times, respectively. The reason why outdoor facilities have a far higher advertisement frequency than other landscape facilities is they were highly influenced by the house construction-related government policy, which resulted from the expansion of the rest facility industry along with regional expansion to public design. Moreover, it was found that wood and steel were mainly used to make pergolas and benches, which are rest facilities, and polycarbonate, with high economic efficiency and durability, was used the most as a roofing material for pergolas.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tendency of landscape facilities and the changes in the detail of their types by analyzing the stream of landscape facilities diachronically, based on the advertisements published in a representative magazine of landscape architecture.

      • KCI등재

        자연재해로 인한 조경수목 피해 판례 및 제도분석 연구

        유주은,이상석,Yu, Joo-Eun,Lee, Sang-Suk 한국조경학회 2013 韓國造景學會誌 Vol.41 No.4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로 인하여 자연재해의 발생빈도와 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조경분야에도 피해가 늘어나는 추세이다. 이는 법률적 분쟁으로 이어져 사회적 경제적 피해도 증가하고 있고 있다. 특히, 외부환경에 영향을 많이 받는 조경수목의 경우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를 많이 받고 있으나, 이에 대한 피해판정기준이나 재해기준의 구체적인 범위가 설정되어 있지 않아 피해 복구 및 보상에 많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자연재해로 인한 조경수목의 피해 관련기준의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조경수목의 피해사례 및 판례를 분석하고, 한국과 일본의 자연재해 관련 법제도 및 기준의 비교 분석을 시행하였다. 판례분석 결과, 자연재해로 조경분야 피해는 명확한 법적 근거가 제시되어 있지 않아, 감정인의 소견이 판정결과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에 전문적이고 객관적인 감정절차가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자연재해 관련 법제도 및 기준 비교분석에 있어, 우리나라의 경우 조경수목에 대한 자연재해 관련 법규 및 기준이 미흡하였으며, 일본의 경우 조경수목에 대한 구체적인 재해판정 기준이 제시되어 있었다. 이에 조경분야 자연재해 관련 제도 및 기준의 개선을 위해 '관련 법령 개정', '감정 및 손해사정 기준개정', '조경공사 표준시방서개정', '재해보험가입의무화', '계약에 따른 합리적 이행', '재해복구 비용계상 의무화' 등을 개선방향으로 제안하였다. With the increase in occurrence frequency and severity of natural disasters due to climate changes arising from global warming, damage in the landscaping field is rising. This leads to legal disputes, and is increasing social and economic damage, too. Especially even though landscape trees which are highly affected by external environments, suffer lots of damage from natural disasters, there is no specific scope of disaster criteria and thus it brings plenty of problems of damage restoration and compensa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at gives ways to improve related criteria for damage of landscape trees from natural disasters. For this objective, this study analyzed damage cases of landscape trees and precedents, and compared Korean and Japanese legal systems and criteria regarding natural disasters with each other. The analysis result showed that opinions of experts have a great deal of influence on judgment results, since there is no definite legal basis on damage from natural disasters in the landscaping field. This implies the need for a professional and objective appraisal process.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analysis of Korean and Japanese legal systems and criteria regarding natural disasters, Korea lacked in laws and criteria on natural disasters of landscape plants in Korea, whereas there were concrete disaster assessment standards of landscape trees in Japan. For improving natural disaster-related systems and criteria in the landscaping field, therefore, this study presented 'Revision of related laws', 'Revision of appraisal and loss assessment criteria', 'Revision of standard specification of landscaping project', 'Compulsory insuring against disasters', 'Reasonable fulfillment of contract', and 'Compulsory cost estimation for disaster restoration', as improvement plans.

      • KCI등재

        용산 총독관저 정원의 조경사적 의의

        김해경 ( Hai Gyoung Kim ),유주은 ( Joo Eun Yu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1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29 No.2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에 조영된 용산 총독관저와 그 정원에 관한 연구이다. 네오바로크풍의 건물과 정원이 계획되었는데, 이때 작성된 설계도면은 기존과는 달리 정원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용산 총독관저 정원설계도면의 해석과·신문기사·관련 문헌을 통한 분석으로 도출한 조경사적 가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용산 총독관저 정원이 근대시기에 조영된 최초의 서양식 정원으로서의 가능성이다. 건물과 함께 정원이 1909년에 완성되어 1911년 조영된 덕수궁 석조전 정원보다 시기적으로 앞선다. 둘째, 당시 근대건축과 함께 도입된 정원 양식과 정원 구성요소를 알 수 있다. 건물의 중심과 정원 진입부의 기념비가 연결된 중심축을 기준으로 정원구성요소가 배치되었는데, 시각적 중심이 되는 비스타(Vista)를 이루는 기념비, 바로크 정원에서 보이는 화단 형태, 축과 대칭으로 배치된 수공간, 화단 형태와 축을 강조한 배식 패턴이 이에 해당한다. 셋째, 서양정원문화의 전파이다. 서양식 문화인 가든파티 형식의 원유회가 열렸으며, 관저에서는 저녁시간대에 만찬과 의전 행사를 진행하였다. 넷째, 근대 조경도면으로의 사료적 가치이다. 도입 수종과 배식 패턴을 구분한 최초의 근대 조경도면으로 기존의 간략한 수목 심벌 또는 화단 형태의 표기에서 진일보한 표현이다. 부차적으로 지형 변형을 위한 현재 표고와 계획고, 수경요소의 배관, 상세 단면 등이 표기되어 있다. 향후 근대조경의 실질적인 분석을 위해서 새로운 사료의 발굴과 분석으로 근대조경에 대한 연구의 폭이 확대되길 바라는 바이다. This study is about the governor general`s official residence and its garden in Yongsan that were constructed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al time. The garden design drawing was also made while planning such Neo-Baroque style building, and it contains particular information of the garden unlike the other existing landscape drawings. The content of garden translated and landscape historical value drawn out by analysis of garden drawings, press articles and literatures are as follows; First, such governor general`s official residence garden in Yongsan is likely to be the Korean first western style landscape form. For, from the point that it was completely constructed together with such official residential building in 1909, its construction time should be before that of the garden of Seokjojeon, Deoksu Palace, which was constructed in 1911. Second, it shows the garden style and garden planting factors introduced together with the modern architecture then. Such garden planting factors are placed from the center axis of the garden that is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building and monument as well. Such style and factors cover and show the flower bed appearing in Baroque style gardens, the monument that forms Vista playing the center of audience`s vision, water space that is placed symmetrically against the axis, planting pattern that emphasizes the plants` space, flower bed shape and axis, and what kinds of plants were introduced then. Third, it shows the using pattern of western style gardens. Western style garden parties used to take in place in this garden while official dinner and reception were held in the evening in the official residence. Fourth, it shows the historical value as a modern landscape drawing, which is the Korean first landscape drawing that shows the plants` names and planting techniques marking the current height and planned height for change of topography and water system as a water landscape factor. That is, this drawing has the value that it was upgraded from the other existing ones that expressed only simple plants` symbols or flower bed shapes. I, therefore, hope that the studies on the modern landscape would be getting wider by excavation of new historical records in the future.

      • KCI등재
      • KCI등재

        일제강점기 경성제국대학 정원 특성과 시행과정 고찰

        김해경 ( Hai Gyoung Kim ),유주은 ( Joo Eun Yu ) 한국전통조경학회 2012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0 No.3

        본 연구는 경성제국대학 정원공사의 시행과정을 통한 일제강점기에 진행된 조경공사의 특성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했다. 첫째, 일제강점기 경성제국대학 정원공사는 회계법에 의해서 진행되었으며,정원 설계도면·내역서·착공 및 준공 서류·공사대금 지급서류 등이 작성되었다.둘째,경성제국대학 정원공사에 참여한 청부업체는 모두 일본 업체이며,5개 업체가 견적서를 제출한 후 최저낙찰제에 의한 수의계약으로 진행되었다.셋째,경성제국대학 정원은 사분원과 선형이며,화단 경계는 측구로 활용되어 배수시설과 연계되었다.넷째,조경 수목은 설계도에 상세하게 명시되지 않았지만,내역서를 통해서 수종을 알 수 있다.수목은 지역적 특성으로 조선 자생종이 다수 도입되었으며, 적송은 당시에도 규격이 클 경우 고가였다.이와 같이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조경공사에 사용된 주재료와 기법을 실증적으로 밝힌 것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landscaping projects in Japanese colonial era focusing on landscaping of Keijo Imperial University and draws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landscaping of Keijo Imperial University in Japanese colonial era progressed based on Hoegyebeop and it provides important materials including the floor plan of the garden, detailed statement and other documents required for the construction. Second, it was all Japanese enterprises that took part in landscaping of Keijo Imperial University and the construction progressed under a private contract by lowest-price contract-awarding system after five enterprises` submitting estimates. Third, according to the floor plan for the landscaping, the garden had a shape of a quadrant and its boundaries were utilized as side gutters and connected to a drainage system. Fourth, though the floor plan doesn`t clarify specific names of trees, detailed statement shows sorts of trees of the time. Trees of Chosun were plentifully introduced due to regional features and pines were the most expensive one when they were voluminou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that it conducts an empirical research on main materials and techniques of landscaping projects in Japanese colonial era.

      • KCI등재

        리모델링 공동주택단지의 외부공간 성능평가 비교 연구

        김호윤 ( Kim Ho-yun ),이상석 ( Lee Sang-suk ),유주은 ( Yu Joo-eun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 2016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Vol.19 No.4

        In this study, remodeling projects are perceived as a sustainable urban management policy to boost the value of old apartments and stimulate urban regeneration and development. To evaluate the physical environmental performance of external spaces of remodeled apartments, an evaluation model was developed. After applying it to the target place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analysis of the external space change index of the target apartments revealed that institutional standards are necessary in line with the building arrangement type, parking lot expansion method, and changes in the building-to-land ratio. Second, the score ratio as to the external space change index performance is as follows: safety (48.30); pleasantness (25.90); convenience (18.90); eco-friendliness (14.90). In other words, “safety” had the biggest score ratio. Third, to boost the external space performance of remodeled apartments, the needs of residents and neighboring environmental plans should be considered from a communality standpoi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