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내재(耐齋) 홍태유(洪泰猷) 산문의 주제 의식 연구

        유정열(柳正烈) ( Yu Jeong-yeol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9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7 No.4

        본고는 지금까지 본격적으로 조명된 적이 없는 홍태유(洪泰猷)의 산문을 주제 의식을 중심으로 고찰했다. 홍태유는 부친이 당파 갈등의 여파로 인해 죽은 이후 당대 정치 현실과 거리를 둔 채 살아간 인물이었다. 이러한 불우한 상황 속에서도 그는 끊임없이 의미 있는 활동을 하려 노력했으며, 그의 문학 특히, 산문에는 이러한 삶의 지향이 잘 투영되어 있다. 본고는 그 중에서도 ‘外物 애호’와 ‘현실에 대한 관심’을 엿볼 수 있는 산문들의 주제의식을 고찰했다. 먼저 전자와 관련된 산문들을 고찰함으로써 홍태유가 절제된 외물 애호를 추구하고, 나아가 그 애호를 수양의 차원으로 격상시키려 한 사실을 밝힐 수 있었다. 다음으로 후자와 관련된 산문들을 고찰함으로써 그가 科擧 문제와 같은 선비라면 모두 관심을 가질만한 문제는 물론이요, 築城 문제 같은 상당히 특수한 사안에도 관심을 갖고, 그 문제들에 대해 다각도로 고민한 사실을 밝힐 수 있었다. This paper examines the prose of Hong Tae-yu, who has never been fully illuminated, focusing on subject consciousness. Hong Tae-yu lived away from the political reality of his time since his father died in the aftermath of party conflict. Even in this unfavorable situation, he continually tried to do meaningful activities, and his literature, especially in prose, reflects this intention of life. This paper considers, particularly, the subject consciousness of prose that can check the interest in reality and externals. First of all, it was found that Hong, Tae-yu pursued the fond of externals as moderate by examining the prose related to the externals fond, and furthered the external-loving to cultivate level. Next, it was found that he was interested in not only general problems such as state examination; of course, all scholars would be interested, but also very specific issues like building a castle by examining the prose related interested reality and, by extension, he considered the matter from various angles.

      • KCI등재

        논문 : 형제 관계 속에서 본 심노숭(沈魯崇)의 문학 활동 -청년기를 중심으로

        유정열 ( Jeong Yeol Yu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5 민족문학사연구 Vol.59 No.-

        본고는 형제 관계 속에서 청년기 심노숭의 문학 활동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동생심노암은 심노숭의 삶에서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는 인물 가운데 한 명이었다. 두 형제는늘 함께하는 삶, 즉 동반자로서의 삶을 소망하고 실천하기 위해 노력했다. 이러한 삶과 관련해 본고는 두 가지 문학 활동에 주목했다. 첫째로 심노숭이 심노암과 함께 단향연축이라는 공동시집을 편찬한 점이다. 이 시집은 두 형제가 내적인 유대를 다지기 위해 편찬한 것이다. 이는 시집과 관련된 심노숭의 서문 등을 살펴봄으로써 알 수 있었다. 둘째로 심노숭이 심노암과 상호비평을 수행한 점이다. 두 형제는 비평 과정에서 심노숭의 문학적 경향을 두고 대립을 벌이기도 했다. 그러나 심노암의 비판적 비평에 대응하는 심노숭의 비평을 살펴봄으로써, 심노숭이 이 대립을 통해 자기 문학 세계의 정당성을 확보해 나간 사실을 알 수있었다. This paper is to show that Sim Noh-Sung’s literary activities within brotherhood. His brother Sim Noh-Ahm, was one of the biggest people who was an inspiration to Sim Noh-Sung’s life. Both brothers were eager get together and tried to plan on many occasions throughout their lives for it. The focal point of presentation in this paper will take the two different literary activities of the brothers and relate it to their lives. First, Sim Noh-Sung compiled collection of poems into a book titled ‘Dan-Hyang-Yeon-Chuk(丹香聯軸)’ with Sim Noh-Ahm. These poetical works were for the ties of brotherhood. Looking through Sim Noh-Sung’s preface can know about it and learn about his inner-brotherhood ties. Second, Sim Noh-Sung was exchanging mutual criticism with Sim Noh-Ahm. In the process of their criticizing, they were conflicted with each other over Sim Noh-Sung’s literary tendencies. However, throughout Sim Noh-Sung’s critical responses by Sim Noh-Ahm’s review, Sim Noh-Sung was to legitimize and secure advisability of his literature.

      • SCOPUSKCI등재

        이중주파수 가진이 후향계단 유동에 미치는 영향

        유정열,진송완,김성욱,최해천,김사량,Yu, Jeong-Yeol,Jin, Song-Wan,Kim, Seong-Uk,Choe, Hae-Cheon,Kim, Sa-Ryang 대한기계학회 2002 大韓機械學會論文集B Vol.26 No.3

        An experimental study i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wo-frequency forcing on turbulent flow behind a backward-facing step at the Reynolds number of 27000 based on the step height. The forcing is provided from a thin slit located at the edge of the backward-facing step to increase mixing behind the backward-facing step and consequently to reduce the reattachment length. With single frequency forcing, the minimum reattachment length is obtained at the non-dimensional forcing frequency (F) of St$\_$h/ = 0.29. With two-frequency forcing, a subharmonic frequency (F/2) or biharmonic frequency (2F) is combined with the fundamental frequency (F), i.e. (F, F/2) or (F, 2F) forcing is applied. In the case of (F, F/2) forcing, the reattachment length is not much sensitive to the phase difference between F and F/2. However, the reattachment length significantly depends on the phase difference between F and 2F in the case of (F, 2F) forcing. At a certain range of the phase difference, the reattachment length becomes smaller than that of the single frequency forcing.

      • KCI등재
      • KCI등재

        갈천(葛川) 임훈(林薰)의 「등덕유산향적봉기」(登德裕山香積峯記) 연구 - 산지적(山誌的) 성격을 중심으로 -

        유정열(Yu, Jeong-yeol) 계명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동서인문학 Vol.0 No.60

        본고는 덕유산(德裕山)을 본격적으로 조명한 첫 시문으로 추정되는 임훈(林薰)의 「등덕유산향적봉기」(登德裕山香積峯記)를 고찰했다. 덕유산 인근의 안음현(安陰縣) 갈천동(葛川洞) 출신이자 산수 취미를 갖고 있던 임훈은 젊은 시절 덕유산의 사찰들에 머무른 인연으로 인해 불영봉(佛影峯)과 황봉(黃峯)을 유람한 바 있었다. 주봉인 향적봉(香積峯)도 유람하고 싶은 열망을 품고 있었으나 특별한 계기가 없었던 탓에 그 뜻을 이루지 못하고 있었다. 이에 그는 낙향해 있던 1552년 가을 더 이상 늦추다가는 그 열망을 이룰 수 없다는 생각 아래 향적봉 유람을 감행했다. 이 유람 경험을 바탕으로 창작된 것이 「등덕유산향적봉기」이다. 「등덕유산향적봉기」의 가장 주목할 만한 특징으로는 덕유산 관련 정보를 풍부하게 수록하고 있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불교 유적, 식생, 지명 유래, 지리 등에 대한 정보가 그것이다. 그중 덕유산 지리 정보를 제시한 것이 백미이다. 임훈은 향적봉에 올라 주변을 조망한 부분에서 김종직(金宗直)이 「유두류록」(遊頭流錄)에서 사용한 체계, 즉 내부 정보와 외부 정보를 교직하는 방식을 끌어와 덕유산의 다양한 지리 정보를 체계적으로 제시했다. 한편 거기서 그치지 않고 구체성을 더하는 방식 등을 활용해 기존 체계의 부족한 점을 보완함으로써 「유두류록」보다 한층 섬세하면서도 체계적으로 지리 정보를 제시하려 노력하기도 했다. 그 지리 정보는 신경준(申景濬)의 「산수고」(山水考)와 성해응(成海應)의 동국명산기(東國名山記) 같은 후대 문인들의 저술한 산지(山誌)에 수용되기도 했다. 이는 「등덕유산향적봉기」가 후대 문인들에게 덕유산 관련 긴요한 정보를 수록한 작품으로서 인정받은 사실을 증명해 준다. This paper considers Im Hoon’s ‘Deungdeokyusanhyangjeokbongki,’ which is supposed to be the first literature to illuminate Deogyusan fully. Im Hoon, a native of Galcheondong in Aneumhyeon near Deogyusan, possessed the beauty of mountains, traveled to Bulyeongbong and Hwangbong due to his relationship in the temples of Deogyusan before. Hyangjeokbong, which is the highest peak, also had a desire to tour, but the tour could not do it due to the lack of opportunity. In the fall of 1552, when he went down into the country, he went on a tour of Hyangjeokbong, thinking that he could no longer achieve his aspirations. The ‘Deungdeokyusanhyangjeokbongki’ was created based on this excursion experience. The most notable feature of the ‘Deungdeokyusanhyangjeokbongki’ is that it contains much information related to Deogyusan. It includes information about Buddhist relics, vegetation, the origin of the name of a place, and geography. The geographic information of Deogyusan was the highlight. From the part where Im Hoon climbed Hyangjeokbong and surveyed the mountain, he systematically presented various geographic information of Deogyusan by pulling intersecting internal and external information that is Kim Jongjik used in ‘Youduryurok.’ It also tried to present geographic information more delicately and systematically than ‘Youduryurok’ by improving the existing system’s weaknesses by adding concreteness. Besides, Sanji accepted the geographic information written by later writers, such as ‘Sansugo’ by Shin Kyungjun and ‘Donggukmyungsangi’ by Sung Haeeung. It proves that “Deungdeokyusanhyangjeokbongki” was recognized as a work that contained vital information related to Deungyusan to future literary people.

      • KCI등재

        규장각 소장 『서당선생집(西堂先生集)』에 대하여

        유정열(Jeong-yeol Yu) 국문학회 2022 국문학연구 Vol.- No.46

        고에서 소개하는 『서당선생집(西堂先生集)』은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서 소장하고 있는 이덕수(李德壽)의 필사본 문집이다. 문집의 명칭은 다른 이본들과의 구분을 위해 ‘규장각본 『서당선생집』’이라 하기로 한다. 이 문집은 이덕수의 집안 후손인 이근수(李根洙)가 소장했던 것이다. 규장각본 『서당선생집』은 체재가 정돈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이덕수 시문을 풍부하게 수록하고 있는 완질의 문집이라는 점 등에서 가치가 있다. 한편 여타 문집들에서 잘 보기 어려운 「장시연행록(掌試燕行錄)」을 수록하고 있는 점 또한 주목할 만하다. 이러한 점들로 인해 이 문집은 이덕수의 문집 중에서 선본(善本)이라 할 수 있다. 앞으로 인터넷 원문보기 서비스 제공 및 영인 작업 등이 이루어짐으로써 이 문집이 이덕수 연구에 적극적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Seodangseonsaengjip(西堂先生集), introduced in this paper, is a collection of manuscripts written by Lee Deoksoo, that owns the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name of the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will be ‘Gyujanggak script Seodangseonsaengjip’ to distinguish it from other manuscripts. This collection of works was possessed by Lee Geunjo, a descendant of Lee Deoksoo’s family. The Gyujanggak script Seodangseonsaengjip is valuable in that it is not only well-organized, but also contains a wealth of poetry by Lee Deoksoo. It is also noteworthy that it includes Jangsiyeonhaengrok(掌試燕行錄), which is difficult to find in other literary collections. Therefore, the collection of works can be said to be the best version of Lee Deoksoo.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is collection of works will be actively used in the research of Lee Deoksoo by providing the Internet original text viewing service and photo print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