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슬관절 외측 측부인대 복원술시 사용된 staple의 관절내 이동 - 증례 보고 -

        유재철,배상욱,김병관,Yoo, Jae-Chul,Bae, Sang-Wook,Kim, Byung-Kwan 대한관절경학회 2006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0 No.2

        슬관절 외측 측부 인대 단독 손상은 인대 부착부의 견열 골절, 또는 인대 실질 내 파열로 인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외측 측부 인대의 견열 골절의 치료는 anchor나 staple을 이용한 일차 봉합을 주로 시행하였다. 반월상 연골의 수복을 위하여 사용된 staple의 이완(loosening)이나 이동은 보고된 바 있으나, 외측 측부 인대의 복원을 위한 staple이 이완되거나, 이동한 예는 아직 보고되지 않았다. 저자들은 외측 측부 인대 복원을 위하여 사용된 staple이 관절 내로 이동한 예를 경험하여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Isolated lateral collateral ligament injury has been reported as avulsion fracture of attachment site or intrasubstance tear. The treatment of avulsion fracture of lateral collateral ligament was primary repair with anchor or staple. There are some reports about loosening or migration of staple which used in repairing meniscus of knee. There is, however, no report about loosening or migration of staple which was used for lateral collateral ligament repair. We report a case of migrated staple that was used for lateral collateral ligament repair, which was migrated to intraarticular posterolateral corner of the knee.

      • 비 운동선수에 있어 단독 제 2형 SLAP 병변의 관절경적 봉합수술의 임상적 결과

        유재철,안진환,고경환,김승연,Yoo, Jae-Chul,Ahn, Jin-Hwan,Koh, Kyoung-Hwan,Kim, Seung-Yeon 대한관절경학회 2008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2 No.3

        목적: 비 운동선수에 있어 제 2형 SLAP 병변의 관절경적 봉합수술의 결과를 알아보고 단독 제2형SLAP 병변이 있는 군과 봉합이 필요치 않은 극상건의 부분층 파열을 동반한 군간의 임상적 결과를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7월부터 2007년 1월까지 제 2형 SLAP 병변에 대해 관절경적 봉합수술을 시행 받은 총 142예의 환자 중 50세 미만 비 운동선수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중 같은 부위에 수술, 골절, 반복적인 탈구의 병력이 있거나, 봉합을 요하는 회전근개 전층 또는 50% 이상의 부분층 파열을 동반한 경우, 감염, 관절염, 염증성 질환을 동반한 경우는 제외하여 총 19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 13예는 봉합이 필요치 않은 극상건의 부분층 파열을 동반하고 있었고(그룹 I), 6예는 단독 제 2형 SLAP 병변을 가지고 있었다(그룹 II). 평균 연령은 36.7세(29-49세)였으며 평균 증상 기간은 39.1개월(3-216개월)이었고 평균 추시 기간은 19.0개월(12-27개월)이었다. 외상의 병력은 그룹 I에서 9명, 그룹 II에서 5명 있었다. 모든 환자에서 술 전후로 관절운동범위, 통증 및 기능 VAS, Constant 점수 및 UCLA 점수를 측정하였다. 결과: 그룹 I에서 견관절의 외회전은 최종 추시시 의미있게 감소하였으며(p=0.003) 그 밖의 관절운동 범위는 그룹에 관계없이 모두 술전 상태로 회복되었고(p>0.05), 그룹간에도 차이가 없었다(p>0.05). 최종 추시에서 모든 평가 점수(Constant 점수, UCLA 점수, 통증 VAS, 기능 VAS)는 술 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05) : UCLA 점수는 $22.8{\pm}5.2$에서 $32.8{\pm}2.1$; Constant 점수는 $79.4{\pm}8.6$에서 $94.9{\pm}4.3$; 통증 VAS는 $5.4{\pm}2.7$에서 $1.1{\pm}1.4$; 기능 VAS는 $63.2{\pm}15.3$에서 $93.4{\pm}7.3$으로 향상되었다. 하지만 평균 UCLA 점수 및 Constant 점수의 그룹간 비교에서 두 그룹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결론: 비 운동선수에 있어 제 2형 SLAP 병변의 관절경적 봉합술은 임상적으로 좋은 결과를 보였으며 동반된 극상건의 부분층 파열은 1년 추시에선 최종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clinical outcomes of arthroscopic type II SLAP repair in non-athletes, and to compare the clinical outcomes between those who had isolated type II SLAP lesion and those who had combined partial thickness supraspinatus tear that did not required a combined repair. Materials and Methods: From July 2005 to January 2007, 142 consecutive type II SLAP lesions were treated with arthroscopic surgery. The inclusion criteria for the study were; (1) younger than 50 years old; and (2) non-athletes. Exclusion criteria were; (1) prior surgery, fracture or combined recurrent dislocation history on the affected shoulder; (2) combined full thickness rotator cuff tear or PTST (>50% thickness) patient that needed repair; and (3) combined infection, arthritis or inflammatory disease. Remaining 19 patients meet the criteria. Among them, 13 had combined PTRCT that did not require repair (Group I), and 6 had isolated type II SLAP lesion without combined supraspinatus tear (Group II). The mean age was 36.7 years (29~49 years), mean symptom duration was 39.1 months (3~216 months) and mean follow-up was 19.0 months (12~27 months). In all patients, the range of motion of affected shoulder, pain and function visual analogue scale (PVAS, FVAS), the Constant score and UCLA score were evaluated preoperatively and postoperatively. Results: In group I, external rotation at side was decreased significantly (p=0.003),but there were no statistical significant change at the remains(p>0.05). And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groups (p>0.05). At the final follow-up, all clinical outcome measurements improved after surgery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p<0.05): UCLA score, $22.8{\pm}5.2$ to $32.8{\pm}2.1$; Constant score, $79.4{\pm}8.6$ to $94.9{\pm}4.3$; PVAS $5.4{\pm}2.7$ to $1.1{\pm}1.4$; FVAS $63.2{\pm}15.3$ to $93.4{\pm}7.3$. But, in group comparison of the mean UCLA score and Constant score, there were no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 Arthroscopic repair of type II SLAP lesion provided good clinical outcomes in nonathletic population. Combined partial thickness supraspinatus tear does not seem to hamper the final outcome at minimal 1 year follow-up.

      • 견관절 유착성 관절 낭염 환자에 동반된 회전근 개 병변

        유재철,안진환,김재훈,장문종,서희수,설은진,Yoo, Jae-Chul,Ahn, Jin-Hwan,Kim, Jae-Hoon,Chang, Moon-Jong,Seo, Hee-Soo,Sul, Eun-Jin 대한관절경학회 2007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1 No.1

        목적: 견관절 유착성 관절 낭염으로 진단된 환자들에서 회전근 개 병변의 동반 정도를 자기 공명 관절 조영술(magnetic resonance arthrography, MRA) 및 초음파 (ultrasonography, USG)를 이용해 평가해 보았으며, 검사 소견에 있어서 MRA 및 USG의 차이점을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6월부터 12월까지 견관절 유착성 관절 낭염으로 진단한 연속된 8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무작위로 나누어 MRA 혹은 USG를 시행하였으며, 견관절 유착성 관절 낭염 환자에서 극상근을 중심으로 한 회전근 개 병변의 동반 정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여섯 예(MRA 4, USG 2, 8%)에서 극상근에 소규모(1cm 이하)의 전층 파열을 보였으며 극상근의 부분 파열은 21예(MRA 12, USG 9, 26%)에서 관찰되었다. 뿐만 아니라 극상근의 건 병증(tendinopathy)이 15예(MRA 7, USG 8, 19%)에서 관찰되어, 총 42예(53%)에서 극상근 병변을 동반하고 있었다(MRA 23, 68% USG 19, 41%). 견갑하근의 부분 파열을 동반한 경우는 9예(MRA 6, USG 3, 11%)로 관찰되었다. 두 군간 극상근 병변의 동반 정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5). 결론: 견관절 유착성 관절 낭염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시행한 MRA 또는 USG검사 상, 약 반 수(53%)의 환자들에서 극상근의 병변이 동반된 소견을 보였다.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USG군 보다 MRA군에서 다소 높은 회전근 개 병변의 동반소견을 보였으며 이는 MRA가 USG보다 해상도가 더 뛰어 난 데서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evaluate any combined rotator cuff pathologies in adhesive capsulitis patients with magnetic resonance arthrography (MRA) or ultrasonography (USG), and to see any differences in findings between MRA and USG. Materials and Methods: From June to December 2005, 80 consecutive patients with adhesive capsulitis were prospectively evaluated with either MRA or USG. Two groups were randomly assigned for examination. Evaluation were focused on any combined rotator cuff pathologies especially supraspinatus tendon. Results: Small (less than 1 cm) full-thickness SSP tendon tear were seen in 6 patients (MRA 4, USG 2, 8%) and partial-thickness SSP tendon tears in 21 (MRA 12, USG 9, 26%). In addition, supraspinatus tendinopathy were seen in 15 patients (MRA 7, USG 8, 19%). Overall, various SSP pathologies were reported in 42 patients (53%) of the study objects (MRA 23, 68% and USG 19, 41%). Subscapularis tendon partial tears were reported in 9 patients (MRA 6, USG 3, 11%).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of the findings between MRA and USG in detecting rotator cuff pathologies (p>0.5). Conclusion: Nearly one half of the adhesive capsulitis patients showed various supraspinatus tendon pathology in MRA or USG. Although MRA group showed slight higher percentage of associated rotator cuff pathology than USG group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 this could be attributed to better resolution capacity of MRA than USG.

      • 견관절의 석회화 건염에서 초음파 유도하 1회 주사요법에 의한 방사선학적 조기 소멸 정도에 대한 예비보고

        유재철,손민수,고경환,임태강,이영석,Yoo, Jae-Chul,Shon, Min-Soo,Koh, Kyoung-Hwan,Lim, Tae-Kang,Lee, Yeong-Seok 대한정형외과초음파학회 2012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Vol.5 No.1

        목적: 견관절의 석회화 건염에서 그 석회화의 크기, 시기나 형태와 관계없이 초음파를 이용한 1회 주사요법(needling)에 의한 석회 침착에 대한 방사선학적 조기 소멸 정도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1년 3월부터 9월까지 본원에 내원한 증상이 있는 석회화 건염으로 진단받은 모든 환자에서 1회 초음파 유도하 주사요법을 시행 받은, 총 46명(47 견관절) 을 대상으로 하였다. 주사요법을 시행하기 전 초음파를 이용하여 석회 침착물의 정확한 위치와 형태적 특성을 관찰하였으며 초음파 유도하 주사바늘을 이용하여 침착된 석회에 대하여 가능한 예에서는 흡입을 시도하였고 흡입 실패 시 다발성 천공을 시행하였고 모든 예에서 견봉하-삼각근하 점액낭에 1 ml 리도케인과 1 ml 스테로이드의 혼합액을 주입하여 주었다. 초음파 유도하 주사요법에 의한 침착된 석회의 조기 소멸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주사요법 시행 전과 시술 후 첫 외래 방문시기인 4주째 방사선학적 검사를 시행하여 석회 침착물의 크기, 음영 및 형태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임상적 평가로는 통증과 기능에 대한 Visual Analogue Scale (VAS)와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ASES) 점수를 시술 전과 후에 평가하였다. 결과: 남자가 11명, 여자가 35명이었고, 시술 당시 평균 연령은 53.8세(28~71세)이었다. 우측 35예, 좌측 견관절에서 12예로 관찰되었고, 우세 상지측에 발생된 경우는 37예 (78.7%)에서 해당되었다. 주사요법 시행 전 시행한 방사선학적 검사 상 석회 침착의 형태는 31예에서 A형, 16예에서 B형으로 관찰되었고 평균 크기는 $2.9{\pm}6.7$ mm이었다. 초음파 유도하 주사요법 시행 후 4주째 시행한 방사선학적 검사 상 크기나 음영이 변화가 없었던 경우가 10예, 변화를 보였던 경우가 37예에서 관찰되었다. 변화를 보였던 37예 중 크기는 유지되나 음영이 감소되거나 경계가 불분명해진 경우가 14예, 크기가 감소된 경우 13예(50%이상 감소한 경우 4예, 50%미만 감소된 경우 9예), 흔적만 남은 경우 8예, 그리고 완전한 소실을 보인 경우가 2예에서 관찰되었다. 방사선학적 변화를 보였던 군과 보이지 않았던 군의 시술 후 임상적 결과를 비교하여 보았을 때 두 군 간 통계학적 차이는 보이지는 않았으며 시술 전 FAS 분류에 있어 두 군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1). 결론: 견관절의 석회화 건염에서 그 석회화의 크기, 시기나 형태와 관계없이 초음파를 이용한 1회 주사요법(needling) 이후 조기(4주째)에 방사선학적으로 크기나 음영에서 변화를 보이는 예는 79%에서 보였으나 거의 없어지거나 완전한 소멸을 보이는 예는 21%에서만 관찰되었다. 향후 장기적인 추시 관찰을 통하여 석회 침착물의 소멸 여부를 비교해 봄으로써 1회 시술의 결과를 알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preliminarily result of the radiologic disappearance of the calcific material, regardless of the size, type or location, on one-time ultrasonographic (US) assisted needling for calcific tendinitis of the shoulder. Materials and Methods: From March to August 2011, 46 patients (47 shoulders) with symptomatic calcific tendinitis were treated by one-time US assisted needling. Initially, a diagnostic US was performed with patient to determine the locations, numbers and sizes of calcific deposits. After 1% lidocaine local anesthesia, the calcific material was punctured with an 18-gauge needle under US monitoring. If no calcific material was aspirated after 2 or 3 additional attempts, the deposits was performed multiple puncture to achieve decompression. And then all patients were performed subacromial corticosteroid injection. All patients were followed up 4 weeks after procedure. To assess the radiologic disappearance after one-time US assisted needling, simple radiographs of the treated shoulder were performed and size, dense, and morphology of the calcific deposits were compared with those in baseline radiographs. For clinical evaluations, visual analogue scale for pain and function (PVAS and FVAS), and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ASES) score were assessed. Results: There were 11 male and 35 female patients with the mean age of 53.8 years (28-71). The morphology of the calcific deposits were 31 type A and 16 type B by French Arthroscopic Society classification and mean size was $2.9{\pm}6.7$ mm before the procedure. At 4 weeks after the index procedure, the radiographic unchanged group was included in 10 cases and changed group was 37 cases. No intergroup difference for the clinical results after the procedure was evident, but group FAS classification before the procedur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p=0.011). Conclusion: At 4 weeks after one-time US assisted needling for calcific tendinitis of the shoulder, the radiographic size- or dense-changed cases were showed in 79%, regardless of the size, type or location of the calcific material. But the radiographic nearly or complete disappearance were showed in only 21%.

      • Tracheal Foreign Body by Accidental Fracture of Tracheostomy Tube

        유재철,장문영,정영호,진홍률,Yoo, Jae-Chul,Chang, Mun-Young,Jung, Young-Ho,Jin, Hong-Ryul 대한기관식도과학회 2007 大韓氣管食道科學會誌 Vol.13 No.2

        Fractured tracheostomy tube presenting as foreign body in the tracheobronchial tree is very rare. Authors experienced a case of broken tracheostomy tube presenting as a foreign body in the trachea, which was removed with the help of flexible bronchoscope. A few causes could be suggested for the tube break: aging and deterioration of the tube with repeated use, a flaw of the tube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a wrong sterilization.method causing weakness of the tube. We report this case with brief literature review.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의 관절경하 부분 봉합술의 임상적 결과

        유재철(Jae-Chul Yoo),고경환(Kyung-Hwan Ko),우경제(Kyung-Jea Woo)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09 대한견주관절학회지 Vol.12 No.2

        목적: 거대 및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은 치료하기 어려운 질환이나 회전근개에 대한 이해가 높아짐에 따라 완전봉합은 불가능하여도 부분 봉합 또는“force couple repair”를 통해서도 통증 및 기능호전을 가져올 수 있다고 여겨진다. 그러나 이를 뒷받침하는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회전근개의 부분봉합술만을 시행한 환자들에서의 임상결과와 방사선학적 변화를 평가하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6월에서 2008년 2월까지 거대 범위에서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에 대해 부분 봉합을 시행 받고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16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27.3개월 (15~46)이었고 수술 시 평균 연령은 66.6세 (57~76)였으며 성별은 남자가 7명, 여자가 9명 이었다.동통과 기능에 대한 Visual Analogue Scale (VAS)을 수술 전 후에 비교하였으며 견관절 기능 평가는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ASES) score와 Korean Shoulder Scoring system (KSS)을 통해 시행하였다. 술 전 및 술 후에 견관절의 방사선검사를 통해 견봉-상완골 간격 및 퇴행성 변화의 진행 여부를 평가하였다. 결과: 동통에 대한 VAS 점수는 술 전 평균 4.4 (±2.50)에서 2.1 (±2.26)로 감소하였고 (p=0.0029) 기능에 대한 VAS 점수는 술 전 46.9 (±16.64)에서 70.0 (±22.80)로 호전된 양상 관찰되었다 (p=0.0023). 견관절 기능 평가인 ASES 점수는 술 전 평균 39.0 (±10.80)에서 80.3 (±16.78)로 증가하였고 (p<0.0001), KSS 점수는 술 후 평균 81.9 (±16.74)로 관찰되었다. 술 전 6.6 cm (±1.74)의 견봉-상완골 간격은 술 후 6.2 cm (±1.69)로 의미 있는 변화가 없었다 (p=0.3874). Hamada classification을 이용한 견관절의 퇴행성 변화 역시 술 전에 비해 술 후에 통계학적으로 진행하지 않았다 (p=0.2663). 만족도에 있어 3명의 환자에서 매우 좋음, 9명의 환자에서 좋음, 3명의 환자가 보통, 그리고 1명의 환자에서 불량을 표시하였다. 또한 추시 기간 동안 추가적인 수술을 시행한 환자는 없었다. 결론: 완전 봉합이 불가능한 광범위 회전근개 파열 환자에 대해서 부분 봉합술 (force couple repair)를 통해서 술 후 평균 2.3년 (15~46개월)에 좋은 임상결과를 가져올 수 있었으며, 견봉-상완골 간격도 의미 있는 변화가 없었으며 관절와 상완관절의 퇴행성 변화 역시 통계학적으로 진행하지 않았다. Purpose: With the better understanding of cuff function, partial repair or “force couple repair” for treating massive irreparable rotator cuff tear has gained some popularity. However, there were few reports on the results of partial repai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port the clinical outcome of massive irreparable rotator cuff tears who received arthroscopic force-couple repair or partial repair. Materials and Methods: From June 2005 to Feb 2008, arthroscopic partial repairs were performed for 16 irreparable rotator cuff tears among the 101 large to massive rotator cuff tears that were operated on. Clinical and radiographic evaluation were done at the final follow-up Results: There were 7 men and 9 women with a mean age of 66.6 years.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27.3 month (range: 15-46). The pain VAS improved from 4.4 (±2.50) to 2.1 (±2.26) and the functional VAS improved from 46.9 (±16.64) to 70.0 (±22.80). The ASES score improved from 39.0 (±10.80) to 80.3 (±16.78) and the KSS score was 81.9 (±16.74) at the final follow-up. The acromio-humeral distance was 6.6 cm (±1.74) preoperatively and 6.2 cm (±1.69) postoperatively without significant change (p=0.3874). The degenerative changes had no statistically progressed (p=0.2663). Conclusion: Partial repair for massive rotator cuff injury patients showed improvement in the clinical score without progression of arthritic change at a mean of 2.3 years follow-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