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돈사 내 및 부지경계에서 악취물질 발생 조사 연구

        유용희,김태일,정종원,곽정훈,최희철,송준익,양창범,장영기,김호정,송기봉,Yoo Yong-Hee,Kim Tae-Il,Jeong Jong-Won,Gwak Jeong-Hun,Choi Hee-Chul,Song Jun-Ik,Yang Chang Bum,Jang Young-Kee,Kim Ho-Jung,Song Ki-Pong 한국축산환경학회 2005 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11 No.1

        본 연구는 대규모, 중규모, 소규모 양돈장을 선정 각 성장단계별 돈사내 및 부지경계선에서 악취물질 발생 농도에 대한 1차적인 기초 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였다. 조사한 돈사의 형태는 무창돈사, 개방돈사이며 분뇨처리는 슬러리, 톱밥돈사 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돈사 내에서 악취물질 발생 농도를 조사한 결과 성장단계, 사육규모에 관계없이 암모니아:0.9${\~}$21.0ppm으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 황화수소:51.9${\~}$6,712.4ppb, 메틸머캅탄:N. D.${\~}$12.9ppb, 다이메틸설파이드:N. D.${\~}$5.2ppb, 다이메틸다이설 파이드:N. D.${\~}$2.6ppb 순으로 악취물질 발생 농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지경계의 악취물질 농도는 돈사시설에서 풍하 방향을 고려하여 20m 외곽에서 실시하였다. 조사 당시 풍속은 0.23${\~}$0.73m/s 이었다. 악취물질 발생 농도 범위는 암모니아 0.2${\~}$4.5ppm, 황화수소 0.0l${\~}$0.06ppb, 메틸머캅탄 N. D.${\~}$0.009ppb, 다이메틸다이설파이드 N. D.${\~}$0.002ppb가 측정되었다. 악취물질별로 돈사 내 및 부지경계 기준악취물질 발생농도를 비교한 결과 악취물질 발생농도는 다이메틸설파이드 가장 낮게 검출되었으며 그 다음 황화수소, 암모니아, 메틸머캅탄, 다이메틸다이설파이드 순으로 검출되었다. 금후 돈사 내 악취물질 발생 및 그 원인에 대하여는 돈사 내$\cdot$외 환경 여건 변화에 따라 다양하므로 좀더 많은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A field surve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concentration of odor compounds from pig buildings and that were 20 meters within the boundary area. The odor compounds were measured from large, medium and small farms with enclosed and open housing systems and slurry and sawdust manure fermentation treatment methods. Among the odor compounds investigated, ammonia ($NH_3$) had the highest concentration at 0.9 ${\~}$ 21.0 ppm followed by Hydrogen Sulfide($H_2S$) with a wide variation concentration of 51.9 ${\~}$ 6,712.4 pub, Uethylmercaptan($CH_3SH$) with non-detectable (N. D.) ${\~}$ 12.9 ppb, Dimethylsulphide($(CH_3)_2S$), with N. D. ${\~}$ 5.2 ppb and Dimethyldisulphide($(CH_3)_2S_2$) with N. D. ${\~}$ 2.6 ppb. Considering the prevailing wind direction and air velocity ranging from 0.23 to 0.73 m/s within the boundary area, the odorous matters; $NH_3$, $H_2S$, $CH_3SH$, $(CH_3)_2S_2$ and $(CH_3)_2S$ were 0.2${\~}$4.5 ppm, 0.01 ${\~}$0.06 ppb, N. D. ${\~}$0.009ppb, N. D.${\~}$0.002ppb and N. D. for $(CH_3)_2S$ respectively.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the Odor compounds $(CH_3)_2S_2$ had the lower detection in the boundary area whilst $(CH_3)_2S$ had no detection level within a 20-meter distance only. However, with these results odor compounds from pig buildings has to be further investigated under more controlled environmental factors.

      • 고상식 육성비육돈사에 적합한 환기시스템에 관한 연구

        유용희,송준익,최동윤,정의수,전경호,이풍연,김상우,정종원,Yoo, Yong-Hee,Song, Jun-Ik,Choi, Dong-Yoon,Chung, Eui-Soo,Jeon, Kyoung-Ho,Lee, Poong-Yeon,Kim, Sang-Woo,Jeung, Jong-Won 한국축산환경학회 2010 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16 No.1

        본 연구 국내 여건에 적합한 돈사시설과 분뇨처리가 일체형으로 조합된 고상식 돈사를 개발하는데 있어 1차적으로 적합한 환기 시스템 선발을 하고자 수행하였다. 고상식 돈사는 가로 29m, 세로 9m, 높이 7.5m 이며, l층 높이는 3.1m, 2층 높이는 2.4m 설계 건축하였다. 각 처리별 환기시스템은 l층으로 부터 2층 중천장까지 처리별로 칸막이를 고상식 돈사 내에 설치하였다. 각 처리별 환기방식은 덕트입기$\rightarrow$측벽배기 (처리 V1), 처마입기 (측벽 천장)$\rightarrow$측벽배기 (처리 V2), 천장입기$\rightarrow$측벽배기 (처리 V3) 3개 환기방식을 조사하였다. 공기흐름도와 공기유속을 조사하였다. 공기유속 조사시 환기량은 최소, 중간, 최대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덕트입기에서 공기흐름도는 2층과 l 층에서 비교적 균일한 수직 하강흐름을 보였고, 처마입기 (측벽천장)는 2층과 1층에서 대칭의 공기유동 하강흐름을 보였다. 천장입기는 중천장을 따라 공기가 우산형태로 퍼지면서 배출되고 느린 공기유속 보이며 l층으로 하강흐름을 보였다 최소환기량일때 하부지점 (돈방 바닥으로부터 80 cm)의 공기유속은 덕트입기, 처마입기 그리고 천장입기 비슷한 경향이었다. 최대환기량일때 덕트입기에서 하부지점의 공기유속이 (0.10~0.26 m/s)로 변화폭이 적었고, 처마입기에서는 공기유속은(0.12~0.63 m/s)로 변화의 폭이 넓고, 천장엽 기는 공기유속이 (0.07~0.15 m/s)로 느리며 변화폭이 적었다. 이상의 결과 덕트입기를 고상식돈사에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나, 돼지 사양과 실증시험으로 좀 더 검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uitable ventilation system for high-rise hog building (HRHB) for growing-fattening with combined slatted floor pen in second story and in situ manure management system in Korea. The HRHB was constructed as 29m long, 9m wide and 7.6m high for outer dimension with an indoor height of 3.1m and 2.4 for lower and upper floor, respectively. Ventilation systems for each treatment were installed in separated rooms of HRHB. The ventilation types installed in each room were following 3 types: ventilation type 1 (V1), where air was pulled through a circular duct inlet and exhausted by fans; ventilation type 2 (V2), where air was pulled through eave inlet (side ceiling inlet) and exhausted by fans; and ventilation type 3 (V3), where air was pulled through baffled ceiling inlet and exhausted by fans. For each ventilation system, investigated air velocity under minimum, medium and maximum ventilation ratio and air flow pattern insid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or air flow pattern from top to bottom, V1 showed a homogeneous vertical type, V2 showed a bilateral symmetry type and V3 showed an vertical umbrella type. Under minimum ventilation ratio, air velocity in upper floor (80cm above the slated floor) was similar for V1, V2, and V3. Under maximum ventilation ratio, air velocity in upper floor was undeviating for V1 (0.10~0.26m/s) and varied for V2 (0.12~0.63m/s) while those for V3 was relatively slow and less varied (0.07~0.15m/s). In conclusion, Duct inlet type (V1) can be applied to the development of a new HRHB with additional evaluations such as field test hog feeding.

      • 사용한 한우 깔짚에서 배출되는 CH<sub>4</sub> 및 N<sub>2</sub>O의 배출 특성

        박규현,최동윤,유용희,Park, Kyu-Hyun,Choi, Dong-Yoon,Yoo, Yong-Hee 한국축산환경학회 2012 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18 No.3

        한우 깔짚 더미에서 배출되는 $CH_4$의 일별 배출량은 측정 시작일의 273.013 ${\mu}g\;m^{-2}\;s^{-1}$ (SE : ${\pm}1.047{\mu}g\;m^{-2}s^{-1}$)을 최대로 하여 점차 감소하여 측정 마지막 일에는 2.309 ${\mu}g\;m^{-2}\;s^{-1}$ (SE : ${\pm}0.061{\mu}g\;m^{-2}\;s^{-1}$)이었다. $N_2O$의 일별 배출량은 $CH_4$의 배출량과 달리 측정 시작일에는 0.267 ${\mu}g\;m^{-2}\;s^{-1}$ (SE : ${\pm}0.018{\mu}g\;m^{-2}\;s^{-1}$)로 미미하였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수적으로 증가하여 시험 시작 후 43일째에 3.596 ${\mu}g\;m^{-2}\;s^{-1}$ (SE : ${\pm}0.454{\mu}g\;m^{-2}\;s^{-1}$)로 최대를 기록한 후 서서히 감소하여 마지막 일에는 1.888 ${\mu}g\;m^{-2}\;s^{-1}$ (SE : ${\pm}0.012{\mu}g\;m^{-2}\;s^{-1}$) 이었다. 지구온난화지수를 이용한 $CH_4$과 $N_2O$ 배출량을 $CO_2$-eq로 환산했을 때, 시험첫 날 $CH_4$에 의한 $CO_2$-eq가 전체 환산량의 약 99%였다. 이후 $CH_4$의 배출량이 감소하고 $N_2O$의 배출이 증가하면서 34일 째에 $CH_4$과 $N_2O$에 의한 CO-eq 비율이 50:50이 되었으며 이후 $N_2O$의 영향이 더 컸다. $CH_4$과 $N_2O$의 배출량 변동성을 보기 위해 $CH_4$과 $N_2O$의 일 평균 배출량에 대한 일별 표준오차의 비율을 계산하였다. $CH_4$의 경우 그 비율이 11일째까지는 1.0% 이하였으나 시간이 지날수록 증가하여 57일 후에는 10.9%까지 증가하였다. $N_2O$의 경우 $CH_4$에 비해 그 비율이 컸는데 (0.4%~51.0%), $CH_4$의 경우와 달리 초기에 높았으며 시간이 지날수록 줄었다. $CH_4$과 $N_2O$의 생성이 활발할 경우 일 평균 배출량에 대한 일별 표준오차의 비율이 적으나 그렇지 않을 경우 비율이 높아졌는데 이는 배출장소의 비 균질성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퇴비화 과정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서는 $CH_4$ 감소를 위해 초기 공기 공급을 늘리며, 교반 등을 통해 비균질성을 감소시켜야 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easure methane ($CH_4$) and nitrous oxide ($N_2O$) emissions from the 6 month old litter stockpile used for korean native cattle (Hanwoo) from August 3, 2007 to October 4, 2007. Daily mean $CH_4$ emissions was peaked to 273.013 ${\mu}g\;m^{-2}\;s^{-1}$ (SE : ${\pm}1.047{\mu}g\;m^{-2}\;s^{-1}$) on first day and then gradually decreased to 2.309 ${\mu}g\;m^{-2}\;s^{-1}$ (SE : ${\pm}0.061{\mu}g\;m^{-2}\;s^{-1}$) at the end of this experiment. Daily mean $N_2O$ emissions was as little as 0.269 ${\mu}g\;m^{-2}\;s^{-1}$ (SE : ${\pm}0.018{\mu}g\;m^{-2}\;s^{-1}$) on first day, but exponentially increased up to 3.569 ${\mu}g\;m^{-2}\;s^{-1}$ (SE : ${\pm}0.454{\mu}g\;m^{-2}\;s^{-1}$) on 43rd day and then slowly decreased to 1.888 ${\mu}g\;m^{-2}\;s^{-1}$ (SE : ${\pm}0.012{\mu}g\;m^{-2}\;s^{-1}$) at the end of this experiment. Carbon dioxide equivalent ($CO_2$-eq), calculated by global warming potentials of $CH_4$ or $N_2O$, of $CH_4$ on first day occupied approximately 99% of sum of $CO_2$-eq of $CH_4$ and $N_2O$. Methane emissions decreased and $N_2O$ emissions increased so that $CO_2$-eq ratio of $CH_4$ to $N_2O$ was 50:50 on 34th day. The effect of $N_2O$ on the ratio was increase thereafter. The ratio of daily mean $CH_4$ and $N_2O$ emissions to daily error of the mean was calculated to find daily fluctuation of $CH_4$ and $N_2O$ emissions. The ratio of $CH_4$ was less than 1.0% till 11th day but increased to 10.9% on 57th day. The ratio of $N_2O$ (0.4%~51.0%) was higher than that of $CH_4$, showing high in early stage and then gradually decrease, which was different from the pattern of $CH_4$. The ratio of daily mean emissions to daily error of the mean was little in case of active $CH_4$ or $N_2O$ generation period, which would be caused by the temporal and spatial heterogeneity of composting process. Hence more air supply on early stage to decrease $CH_4$ generation and proper turning to reduce spatial heterogeneity are needed to mitigate greenhouse gas emissions.

      • 식물원료 첨가가 In vitro 반추위 메탄가스 발생에 미치는 영향

        양승학,이세영,조성백,박규현,박중국,최동윤,유용희,Yang, Seung-Hak,Lee, Se-Young,Cho, Sung-Back,Park, Kyu-Hyun,Park, Joong-Kook,Choi, Dong-Yoon,Yoo, Yong-Hee 한국축산환경학회 2011 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17 No.3

        각 시판되고 있는 식물을 2개의 그룹으로 나눠 첨가 후 각 시간별 배양을 실시한 후 pH, $NH_3$, VFA 발생량, 총 가스발생량, $H_2$, $CO_2$, $CH_4$ 발생량을 조사하였다. 그룹 1은 상추와 대파첨가구에서 암모니아 농도가 높았고 고추첨가구에서 낮았다 (P<0.05), 그룹 2는 마늘첨가구에서 암모니아 농도가 낮았고 (P<0.05) 깻잎, 무순과 부추첨가 구에서 높았다 (P<0.05). 마늘과 고추첨가구에서 단백질분해과정 중 아미노산에서 암모니아로 분해되는 과정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사료된다. 총 VFA 농도는 대파첨가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P<0.05) 그 외 시험구에서는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다. Acetate와 propionate의 비율에서 볼 때 마늘첨가구가 propionate의 량이 상대적으로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모든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가스발생량이 대체로 높았으며, 대파와 양파 첨가구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P<0.05). 마늘과 깻잎 첨가구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에서 가스 발생량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P<0.05). 생강목에 속하는 강황과 생강첨가구는 pH와 총 가스발생량에서 비슷한 결과를 나타냈으며 in vitro 발효를 높였다. 마늘첨가구는 반추위내 총 가스발생량이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P<0.05). 모든 시험구에서 총 가스발생량과 $CO_2$ 발생량은 대체로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마늘첨가구는 총 가스발생량은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으나 $CO_2$ 발생량은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P<0.05). 마늘첨가구의 $CH_4$ 발생량은 배양시간과 관계없이 매우 낮은 수준을 유지했으며 48시간 배양 후 대조구의 약 1/3 수준으로 낮았다 (P<0.05). $H_2$는 거의 모든 시험구에서 미량 발생되었는데, 대조적으로 마늘첨가구에서만 매우 높은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마늘첨가구에서 g단위 DM 당 $CH_4$ 발생량이 현저히 낮았으며 다른 처리구는 대체로 대조구에 비해 높았다. 본 시험에서는 allium속의 마늘, 부추, 양파, 파를 포함한 시판 중인 채소를 이용하여 in vitro 발효조절시험을 실시하였는데 특정 식물들은 in vitro 발효 대사에 영향을 주었으며 특히 마늘 첨가는 $CH_4$ 생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준 것으로 사료된다. The researchers have tried to reduce ruminal methane gas ($CH_4$) and to convert it into beneficial nutrient for several decad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creen the methane-reducing vegetables among lettuce, hot pepper, spring onion, onion, turmeric, sesame leaf, garlic, radish sprout, leek and ginger nutritiously on the in vitro ruminal fermentation. The heat-treated vegetables at the 10% of substrate (timothy) were used to reduce methane production on the in vitro anaerobic experiment of 0, 6, 12, 24 and 48 h incubation time. Total gas production, pH, ammonia, $H_2$, $CO_2$, $CH_4$, and volatile fatty acid (VFA) were measured as indicators of in vitro fermentation product containing methane gas. All treatments except garlic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in total gas production. The result of ammonia showed that garlic and hot pepper affected rumen bacteria concerned protein metabolism and that lettuce and spring onion increased ammonia production. Garlic decreased $CH_4$ production in inverse proportion to $H_2$. Lettuce, spring onion, onion, garlic, radish sprout, leek and ginger increased propionate of VFA. Garlic balanced the ruminal fermentation in the pH, $H_2$, $CH_4$, acetate and propionate. This results showed that methane production at in vitro study was inhibited by heat-treated garlic supplementa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ruminal fermentation covering methane production might be controled by proper vegetables.

      • 돈분뇨 액비의 폭기수준에 따른 여름철 온실가스 배출량 비교

        최동윤,박규현,조성백,양승학,황옥화,곽정훈,안희권,유용희,Choi, Dong-Yoon,Park, Kyu-Hyun,Cho, Sung-Back,Yang, Seong-Hak,Hwang, Ok-Hwa,Kwag, Jung-Hoon,Ahn, Hee-Kwon,Yoo, Yong-Hee 한국축산환경학회 2011 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17 No.3

        본 시험은 돈분뇨 액비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CH_4$, $N_2O$) 발생량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하였으며, 처리구별로 메탄 및 아산화질소의 발생량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돈분뇨 액비에서 발생하는 메탄량은 단순 저장, 폭기 1.0, 폭기 2.5, 폭기 $5.0m^3$/톤/시간 처리구에서 각각 315.6, 13.9, 17.9, $9.6{\mu}g/m^2/s$, 아산화질소량은 각각 0.173, 0.157, 0.131, $0.241{\mu}g/m^2/s$로 나타났으며, 이를 이산화탄소 발생량으로 환산하면, 각각 6,618.4, 340.8, 416.0, $276.4{\mu}g/m^2/s$였다. 또한 폭기처리 시 전기 사용에 따른 이산화탄소 발생량은 각각 0, 81.6, 204.0, $407.9g/m^2$/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기사용량을 고려한 돈분뇨 액비화 과정의 폭기처리 수준에 따른 총 이산환탄소 발생량은 각각 577.3, 111.0, 239.9, $431.8g/m^2$/일로서 돈분뇨 액비화 처리과정시 호기적 처리를 하게 되면 단순저장에 비해서 메탄 및 아산화질소 등의 온실가스 발생량이 저감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적절한 폭기량은 $1.0{\sim}2.5m^3$/톤/시간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greenhouse gas (GHG), $CH_4$ and $N_2O$, emission from liquid swine manure according to aeration levels in summer.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operation methods on GHG emissions, liquid swine manure were applied with different rates of aeration (store without aeration, $1m^3/ton/h$, $2.5m^3/ton/h$, and $5m^3/ton/h$).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liquid swine manure applied no aeration, $1m^3/ton/h$, $2.5m^3/ton/h$, and $5m^3/ton/h$ aeration rates released 315.6, 13.9, 17.9 and $9.6{\mu}g/m^2/s$ of $CH_4$ and 0.173, 0.157, 0.131, and $0.241{\mu}g/m^2/s$ of $N_2O$, respectively. Liquid swine manure applied no aeration released the most amount of GHG ($6,681.4{\mu}g/m^2/s$ $CO_2$-Eq.) and followed by $5m^3/ton/h$ ($276.4{\mu}g/m^2/s$ $CO_2$-Eq.), $2.5m^3/ton/h$ ($416.0{\mu}g/m^2/s$ $CO_2$-Eq.), and $1m^3/ton/h$ ($340.8{\mu}g/m^2/s$ $CO_2$-Eq.). Our results reveal that the aerated system may reduce GHG emissions compared to no aeration. Consequently, aeration and mixing were effective at reducing GHG emissions during liquid swine manure storage.

      • 돼지분뇨슬러리의 액비조내 저장깊이별 고형물 및 질소, 인의 함량분포에 관한 연구

        정광화,정의수,박치호,곽정훈,최동윤,유용희,Jeong, Kwang-Hwa,Chung, Eui-Soo,Park, Chi-Ho,Kwag, Jung-Hoon,Choi, Dong-Yoon,Yoo, Yong-Hee 한국축산환경학회 2006 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12 No.3

        본 연구는 돼지분뇨 슬러리의 액비화시 저장깊이(매 30m 깊이별)에 따른 액비의 수직 적층형 단면을 구분하여 각 단면별로 유기물 및 질소와 인의 농도변화 및 고형물의 분포 형태를 분석하여 액비의 수직 단면별 특성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침전깊이가 깊어짐에 따라 총고형물 농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에 총고형물중에 함유된 용해성 물질은 감소하였다. 2. 침전깊이별 오염물 농도는 깊이에 따라 증가하여 저장조 전체깊이 대비 약 70% 정도 내외에서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3. 총질소와 총인 역시 침전깊이가 깊어짐에 따라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는데, 이러한 경향은 총 인의 경우에 있어 더 뚜렷했고 질소의 농도변화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4. 저장 깊이가 깊어짐에 따라 Cr과 Ni 등의 함량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그 증가 경향치는 SS의 농도변화와 유사하였다. This paper describes the changes of characteristics of pig slurry according to storing depth. Most of the substances containing pollutants, such as were Management of manure and wastewater from animal confinement facilities is a critical factor for pollution control. With proper treatment processing method in both solid and liquid forms, it can be used as a fertilizer and soil conditioner. In Korea, liquid-manure handling system is very popular because its treatment and application is easy and labor saving. In the storage tank treatment, the period of fermentation process and solids-liquid separation averages six months and the supernatant liquid is being used as a fertilizer. In this study, the changes in chemical characteristics of pig slurry at varying depths of the storage tank were investigated. Results showed that the pH value of the fermented pig slurry was > 7, while the major pollutants such as BOD, SS, N and P were highest in the bottom of the tank. Therefore, the above findings proved that varying depths in the storage tank can influence the concentration of pollutants of the fermented pig slurry.

      • 폭염시 착유우 고온스트레스 경감을 위한 빗물관수시스템 이용 효과

        최동윤,조성백,박규현,양승학,황옥화,곽정훈,정광화,송준익,유용희,안희권,Choi, Dong-Yoon,Cho, Sung-Back,Park, Kyu-Hyun,Yang, Seong-Hak,Hwang, Ok-Hwa,Kwag, Jung-Hoon,Jeong, Kwang-Hwa,Song, Jun-Ik,Yoo, Yong-Hee,Ahn, Hee-Kwon 한국축산환경학회 2012 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18 No.suppl.

        본 연구는 우리나라 여름철 고온기, 특히 폭염 시에 젖소의 생산성을 유지시켜 주기 위한 방법으로 빗물저장시스템을 이용하여 착유우사 지붕에 저장빗물 관수를 실시했을 때와 실시하지 않았을 때의 우사내외 온도, 착유우 산유량, 호흡수 및 직장온도 등의 변화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1. 사료섭취량은 옥수수사일리지의 경우, 우사지붕에 관수를 하지 않았을 때는 29.7 kg을 섭취한 반면에 관수를 했을 때는 34.9 kg을 섭취했으며, 농후사료는 각각 9.2, 10.2 kg을 섭취하였다. 2. 우사지붕에 관수를 했을 때와 관수를 하지 않았을 때의 온도를 상호비교를 해 보면, 우사지붕의 온도는 관수를 했을 때는 관수를 하지 않았을 때보다 $3.6^{\circ}C$가 낮았고, 우사 내부의 온도도 $4.4^{\circ}C$가 낮았다. 3. 시험기간 중 두당 일평균 산유량을 보면 우사지붕에 관수를 하지 않았을 때는 24.5 kg으로 조사되었고, 관수를 했을 때는 27.4 kg으로 조사되어 관수를 실시했을 경우, 관수를 하지 않았을 때보다 11.8%의 산유량이 증가하는 효과를 보였다. 4. 착유우 호흡수는 우사지붕에 관수를 하지 않았을 때는 114.0회/분으로 조사되었고, 관수를 했을 때는 96.7회/분으로 조사되었으며, 관수를 실시했을 경우, 관수를 하지 않았을 때보다 호흡수가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5. 착유우의 직장온도는 우사지붕에 관수를 하지 않았을 때는 $40.6^{\circ}C$로 조사되었으나, 관수를 했을 때는 $39.8^{\circ}C$로 조사되어 관수를 하지 않았을 때보다 직장온도가 $0.8^{\circ}C$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여름철 폭염기에 착유우의 고온스트레스를 경감시켜 착유우의 생산성을 지속시키기 위해서는 빗물저장시스템을 이용하여 우사 지붕을 관수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Since the temperature during summer is higher than the temperature which is suitable for milking cows, high temperature stress have severely affected dairy farmers due to decreased milk producti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ainwater sprinkling system for reducing heat stress in milking cows during intense heat time. Treatment conditions were divided into 2 types ; No rainwater sprinkling (T1) and Rainwater sprinkling (T2). Temperature in the milking cow shed, feed intake, milk yield, respiration rate and rectal temperature were measur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ot environment on the physiological, productive responses in milkig cows.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 The daily milk yields were 24.5 and 27.4 kg per head in T1 and T2 during experimental period. The respiration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1 than those of T2. The rectal temperature in T1 ($40.6^{\circ}C$) was higher than those of T2 ($39.8^{\circ}C$). It was suggested that rainwater sprinkling system installed in the dairy cow shed was effective means to reduce heat stress of milking cow.

      • 혼합미생물제가 육우 송아지의 체내환경에 미치는 영향

        양승학,김현섭,조원모,김상범,조성백,박규현,최동윤,황성구,유용희,Yang, Seung Hak,Kim, Hyeon Shup,Cho, Won Mo,Kim, Sang Bum,Cho, Sung Back,Park, Kyu Hyun,Choi, Dong Yoon,Hwang, Sung Gu,Yoo, Yong Hee 한국축산환경학회 2012 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18 No.suppl.

        증체량은 모든 처리구(281.4~294.5 kg)가 대조구(271.4 kg) 보다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PS구를 포함한 모든 처리구의 DM, CP 및 TDN 함량이 대조구에 비해 3~8% 향상되는 결과를 얻었으나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모든 시험축군에서 수의적 치료를 요하는 질병은 발생되지 않았다. ES구가 모든 처리구와 비교할 때 총 단백질량은 낮고 BUN은 높은 경향을 보였다(P>0.05). 면역물질인 IgG항체 농도는 전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혈중 glucose 농도는 대조구(114 mg/dl)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97.8~104 mg/dl)에서 낮은 경향을 보였다(P>0.05). ES구(109.8 mg/dl)의 총 cholesterol 농도가 대조구(86.3 mg/dl) 보다 26%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간상피세포 손상여부와 관계있는 GOT, GPT는 대조구(56, 14IU/L)에 비해 모든 처리구(45~49, 11~13.8 IU/L)에서 낮은 수치를 보였으며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비타민 A는 PS구(36.1 IU/dl)가 다른 처리구(30.9~34.4 IU/dl) 보다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비타민 C는 ES구(3 mg/L)가 다른 시험구(3.7~3.9 mg/L) 보다 낮았으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또한 모든 처리구의 비타민 E(150.1~155.4 IU/dl)는 대조구(143.7 IU/dl) 보다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Effect of commercial Direct Fed Microbials (DFM) or protease treated feed (PTF) supplementation on growth rate and biogenic substances such as BUN, glucose, IgG, GOT, GPT and Vitamin A, C, E from Holstein steers was studied for 7 months. Thirty two steers aged 2~3 months were separated with 4 groups for control, DFM (PS), protease (ES) and their mix (PS + ES) supplementally fed 0, 100, 100 and 50 + 50 g/day respectively. Weight gain was averagely higher in PS than any others, although there were no differences significantly. All treatments enhanced to 3~8% of control in dry matter, crude protein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 (P>0.05). Metabolic diseases with veterinary cure had not shown in this study. Plasma GOT and GPT were lower in the PS and ES than control. Plasma glucose concentration was also lower in PS than the others. Total cholesterol of ES was higher than the others but that of PS is the lowest. Plasma vitamin C was higher in PS than the others. It was shown that dietary PS affected change from glucose to vitamin C with not overloading liver. Conclusionally, PS and ES were shown to enhance metabolic health of steers during growing period.

      • KCI등재

        유전 및 육종 : 초위성체 표지를 이용한 한국재래돼지 집단의 분자유전학적 고찰

        연성흠 ( Seong Heum Yeon ),이승수 ( Seung Soo Lee ),조창연 ( Chang Yeon Cho ),진현주 ( Hyun Ju Jin ),유용희 ( Yong Hee Yoo ),이풍연 ( Poong Yeon Lee ),위미순 ( Mi Soon Wee ),고응규 ( Yeoung Gyu Ko ),손준규 ( Jun Kyu Son ) 한국동물자원과학회(구 한국축산학회) 2011 한국축산학회지 Vol.53 No.1

        초위성체(MS) 표지를 이용하여 한국재래돼지 집단의 각각의 분자유전학적 특성을 조사하고 그 평가를 통해 한국재래돼지에 대한 품종 및 계통분류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각 재래돼지 집단 내 및 집단간의 유전적 변이성을 확인하고, 그 분류 및 특성평가를 위한 MS 분석체계를 마련하여 국내 가축유전자원 관리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국내 관리기관 및 농가에서 보유하고 있는 6개 재래돼지 집단을 중국의 4개 재래돼지 집단 및 외래종 돼지 7개 집단과 함께 분석하였다. 도합 17집단 648두를 대상으로 26개 MS 표지로 분석한 결과, 한국재래돼지 집단은 외래종과 중국재래돼지로부터 분자유전학적으로 별개의 집단으로 확연히 구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국재래돼지 집단의 기대이형접합도(HE)는 0.65의 값을 보인 두 집단(B, D)을 제외한 나머지에서 0.48~0.55의 수준을 보여 전반적으로 외래종에 비해 낮았다. 한국재래돼지 집단간의 유전거리 또한 0.12~0.34 정도로 비교대상에 비하여 낮았다. 분석대상 한국재래돼지 6집단 중 세 개의 집단은 높은 유전적 균일도를 보였으나, 두 집단에서는 일부 집단의 혼입을, 나머지 하나의 집단에서는 둘 이상의 집단으로부터의 복잡한 혼입이 의심되는 매우 낮은 유전적 균일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한국재래돼지 집단간의 유전적 차이 및 동질성, 그리고 집단내의 유전적 균일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국내유전자원의 고유성을 인정할 수 있는 과학적인 근거로서, 국가수준의 가축유전자원 평가, 관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study was conducted to select and optimize microsatellite(MS) markers for evaluation of Korean native pig(KNP) populations in order to provide standard for the classification and breed definition of the indigenous breeds. The study also aimed to characterize and classify each KNP populations. A total of 648 pigs from 17 pig populations including six KNP, four Chinese native pig and four commercial pig populations were analyzed with 26 MS markers. KNP populations formed separate cluster from those of Chinese native pig and introduced pig populations. Expected heterozygosity(He) of KNP populations were 0.48~0.55 except two populations with 0.65. Genetic distances between KNP populations were relatively shorter: 0.12-0.34. Among six KNP populations, three showed high genetic uniformity, two showed lower uniformity and one showed high level of impurity and heterozygosity. The results can be used to evaluate and manage animal genetic resources at national scal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