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ultural Capital in a Mobile Game : An Analysis of Collection System in AbyssRium

        유승호(Seoung Ho Ryu),김아름(A reum Kim),사영준(Young June Sah) 한국컴퓨터게임학회 2018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Vol.31 No.2

        본 연구는 문화자본의 이론적 틀을 이용해 모바일 힐링 게임 어비스리움의 수집 시스템을 분석하였다. 어비스리움은 정서적 만족감을 제공하는 힐링게임으로, 이용자로 하여금 다양하고 특색 있는 물고기들로 가상의 해저 공간을 아름답게 가꾸도록 유도한다. 이를 위해 수집하는 아이템 중 일반 물고기들은 게임 내 자원을 이용하여 만들어지지만, 희귀 물고기는 특정 기간 혹은 특정 조건이 맞을 때 만 얻을 수 있다. 이용자 온라인 커뮤니티 분석과 표적심층면접을 시행한 결과 이용자들은 게임 내 희귀 물고기들을 문화자본화 하여 다른 유저와 자신의 등급을 차별화 하는데 사용하였고, 이를 통해 우월성과 만족감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축적된 문화자본은 게임 내에서 신규 이용자의 유입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는데, 이를 제거하기 위해 게임 운영사는 물고기 수집에 따르는 비용을 차별화함으로써 게임의 밸런싱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게임 기획 및 운영 전략은 신규 이용자들의 꾸준한 진입을 유도하고 어비스리움의 사회적 생태계를 유지하는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 Using a theoretical framework of cultural capital, the present study analyzed a collecting system in AbyssRium, a mobile healing game. AbyssRium provides users with emotional satisfaction by allowing them to decorate a virtual aquarium using fishes and other sea creatures. We conducted a content analysis using contents generated in online communities and focus group interview with heavy users of AbyssRium. Results suggest that game players feel superiority by possessing rare fishes over others. These rare items were also utilized to distinguish users who collected the items from others not possessing such fishes. Also, the game operator of AbyssRium maintains the game balance by imposing greater costs for experienced users than for novice users in collecting fishes and decorate the aquarium. Such a strategy contributes to sustaining the social ecosystem of Abyssrium by encouraging new users to start to play the game. The current study suggests that a simple mobile game can afford a social interaction and a social system allowing users to constructs social meaning of artifacts presented in the virtual environments. Future research may broaden the generalizability of the cultural capital framework by replicating these findings in different video games.

      • KCI등재
      • KCI등재

        일중독과 남성성에 대한 고찰

        유승호(Ryu, Seoung-Ho)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과학연구 Vol.0 No.40

        한국인은 일중독성향이 유독 강하다. 이것은 일을 더 많이 하는 것을 권하는 사회적 분위기 때문이다. 일중독은 자발적이고 성취 지향적으로 나타날 경우 긍정적인 부분으로 나타나게 되지만, 대부분 자발적인 경우보다 외부환경에 의한 강박적인 형태로 나타나게 된다. 또한 이것이 장기간 지속될 경우, 개인뿐만 아니라 조직에 부정적 영향을 끼친다. 이것은 성취형 인간이어야만 사회에서 살아남을 수 있고, 자신의 남성성을 드러내야만 인정받을 수 있는 한국의 사회적 분위기에 기인한다. 본 논고에서는 한국사회의 일중독이 자발적 성취 지향이기보다는 강박적 성취지향이며, 그 원인 중 많은 부분이 실업의 불안과 남성성의 유지로부터 유래하고 있음을 논하고자 한다. 또한 초식남적 라이프 스타일의 부상은 일중독 사회의 육식남적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저항적, 적응적 형태임을 제언한다. Workaholism issue in Korea arises primarily from stressed work by life unstability. Workaholism would have a positive aspect when appears to be voluntary and achievement-oriented in some way, however workaholism is apparently compulsive by social atmosphere. Whatever workaholism is, it’s the negative influence on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under the long and chronic workaholic condition. In this study, we discuss that workaholism is compulsive achievement-oriented rather than voluntary achievement-oriented in Korea. This has been caused by anxiety from unemployment and masculinity as breadwinner". Also, we suggest that ‘herbivorous men’s lifestyle’ is resistant form to ‘carnivorous men’s lifestyle’ in workaholic society.

      • KCI등재

        자본주의 불평등에 맞서는 공적 인간의 복원:

        유승호(Ryu Seoung Ho) 동양사회사상학회 2015 사회사상과 문화 Vol.18 No.1

        신자유주의가 초래한 불평등은 오늘날 그 대가를 치르고 있다. 그것은 생활의 영역에서 일의 영역까지 전 영역에 걸쳐져 있다. 불평등은 일상생활에서는 개인에게 수치심과 모멸감을 안겨주었고 일의 영역에서는 노동자들의 기업에 대한 신뢰, 고용주에 대한 충성, 작업장에서의 공동체 문화, 스스로 동기화된 업무 책임감을 화석화시켰다. 리처드 세넷은 그의 연구에서 현대사 회가 경제적 불평등만큼이나 시민적 불평등으로 고통 받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세넷은 그런 비판에만 골몰하지 않고 ‘움츠러든 중산층’을 위한 온전한 삶과 공동체에 대한 고민을 시도한다. 그것은 새로운 인센티브 방식의 프로그램이 아닌, ‘장인’과 ‘협력’, 그리고 ‘도시’라는 ‘삼각론’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세넷의 삼각론에 대해 집중적으로 고찰할 것이다. 그 과정에서 세넷이 자본주의 보완재로서의 복지시스템이 갖는 허점을 비판하는 것에 주목하여, 허약한 복지 시스템이 개인의 ‘성인 발달 기회’를 빼앗아 ‘자기 의존’의 기회가 박탈되는 사회적 결과를 논할 것이다. 세넷의 비판이론은 상호 존중과 상호 인정, 자기 의존과 자기 존중이 공존하는 ‘자유로운 개인의 공적인 인간화’를 추구한다. 이는 자기 인생의 이야기를 완성함으로써 독립적이며 자기배려적 ‘인격’을 완성하는 ‘반디불적 시민’과 같다. 결론적으로 세넷의 궁극적 연구목표란 타인을 인정하고 상호소통하며 자아를 완성해가는 공적 인간의 복원임을 확인할 것이다. Richard Sennett s discourses provide us with the view of not only the personal consequences of change in the nature of work and life but also their effects during the flexible capitalism. He takes up the corrosion of character as moral dimension of a person s identity and the flexibilities and uncertainties of current working life are eroding the integrity of the self, the sense of voluntary loyalty to employer and the motivated responsibility for their mission. This article, in response to “withdrawal of the people in the middle” lamenting the fall of public man, argues that urban residents and workers are constantly remaking public space of cities and redefining the human character through their lived experience of craftsmanship and collaboration. Following post-Richard Sennett research, this article questions the insistence on a traditional welfare state, which is competing “counter-publics and counter-adult development,” and blurring of self and public. In conclusion, Sennett s arguments for revitalizing public man over meritocracy and private gossips reveal the confirmation of futuristic model of better society, suggesting new forms of “firefly citizenship” and offering new critical arenas of sociology.

      • KCI등재

        컴퓨터게임과 공간인지능력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유승호(Ryu, Seoung-Ho),김보영(Kim, Bo-Young) 한국게임학회 2007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Vol.7 No.2

        이 연구는 "모차르트 이펙트"를 통해 밝혀진 모차르트 음악이 지능향상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와 비교하여 온라인 게임 이용자의 게임 후 시 공간 능력에 어떤 영향이 나타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10대 후반에서 20대 초반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이번 연구에서 게임 이용 시 시공간 인지 능력의 차이는 공간 인지 능력의 차이에서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악, 애니메이션, 온라인 게임(카트라이더)을 이용한 세 집단의 공간인지 능력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온라인게임을 선호하는 집단이 '모양맞추기' 점수가 높아 온라인게임 이용이 이용자의 시 공간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This study deals with how computer game affects spatial-temporal capability of game users. Focusing on college students, this study shows almost the same results as 'Mozart effect' by Gordon Shaw's previously famous study for music on spatial-temporal capability. Additionally, in comparison to music and animation, on-line racing game has more positive influence on a specific spatial-temporal capability.

      • KCI등재

        대도시의 도서관과 독서공중의 형성 : <뉴욕라이브러리에서>를 중심으로

        유승호(Ryu, Seoung-Ho) 인문콘텐츠학회 2020 인문콘텐츠 Vol.0 No.56

        본 연구에서는 와이즈만의 다큐멘터리를 사례로 삼아 대도시에서 도서관이 ‘독서공중’에 미치는 영향력과 ‘제도로서의 도서관’이 개인들에게 부여하는 경험과 성장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뉴욕라이브러리에서>는 다큐멘터리 영화로서 시민에게 도서관의 의미를 재고하도록 하는 기회를 준다. 감독의 직접적인 개입 없이 관찰하는 일련의 숏들은 시민으로서의 관객 내면에 침전하면서 의식 안에 깊숙이 개입한다. 사적 개인들 내부에 침전된 지식들은 영화보기와 책읽기를 매개로 공통의 지식이 되고 이를 통해 공중으로서의 유대감이 시작된다. 이러한 과정은 근대 공중의 탄생과정과 유사하다. ‘타인의 편지 읽기’로부터 시작된 ‘공감적 경청’은 공중이 탄생하는 계기가 되었고 사적 개인들 간의 담화는 공적인 영향력을 발휘하게 되었다. 서간체로 이루어진 책들을 통해, 즉 타인의 감정과 상황에 빠져드는 흡입적 소설읽기를 통해 소수의 권위 있는 사람들만이 가질 수 있었던 지적 생산물에 접근할 수 있는 기회가 열린 것이다. 누구나 자신의 해석으로 타인과 토론할 수 있는 장을 공중들이 요구했고, 그 이후 ‘독서 토론회’, ‘독서회’ 등 책읽기 공동체가 만들어졌다. 곧이어 도서관과 서점, 커피하우스들이 생기면서 ‘독서공중’은 급격히 확대되었다. 그러나 자본주의의 시장경쟁이 격화되면서 근대의 공중은 수동적 소비자로 밀려난다. 도서관도 시장경쟁을 위한 시험공부의 장으로 전환되었다. 또다시 도서관은 시험공부의 장으로 단순 지식을 습득하는 곳에 머물기보다는 주민들과 소통하며 공감을 나누는 공중의 공간으로 복구되어야 한다는 시대적 요청을 받고 있다. <뉴욕라이브러리에서>는 도서관이 그 기원의 목적을 충실히 수행하면서 모든 사람이 도서관에서 정보를 얻을 권리를 지켜주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는 장면들을 지속적으로 보여준다. 이를 통해 독서공중 확산에 기여하는 도서관이 대도시 랜드마크로서 독서공중을 위한 거점으로 거듭나야 하는 이유를, 그리고 새로운 독서공중의 거점이 되고 있는 독립서점이 도서관과 공존하며 독서공중을 위해 적극적인 개입을 해야 하는 이유를 환기시킨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library on ‘reading public’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experience and growth of individual for which ‘library as institution’ perform. 〈Ex Libris〉 is a documentary film that gives the audience an opportunity to reconsider the meaning of the library through New York Public Library(NYPL). A series of shorts that observe without the direct intervention of the director make sedimentation deeply in the consciousness within the audience. The knowledge settled within private individuals soon becomes a common knowledge, and the bond of publicness begins. The ‘empathic listening’, which started from reading letters, became the moment when the public was born and the discourse among private individuals became publicly influential. There was an opportunity to access the intellectual output through reading novels with epistolary style that are absorbed by the feelings and situations of others. Everyone asked the public for a public space where they could discuss with others through their own interpretation. Since then, a book reading community such as ‘Reading Discussion’ and ‘Reading Book’ has been created. Soon after, libraries, bookshops, and coffee houses emerged, and the ‘reading public’ expanded rapidly. The library space was a public space that communicated with others and shared empathy, not staying in the place where they read from their birth. In 〈Ex Libris〉, NYPL constantly shows scenes where the library is faithfully performing its goals and endeavors to ensure everyone has the right to obtain knowledge from the library. Especially, it is reminded how libraries that contributes to the public reading diffusion should be reborn as a big city landmark as a base for reading public, and recalls the reason why the library and bookstore should actively intervene in the reading public.

      • KCI등재

        바우하우스의 장인과 디자인 민주주의 : 예술과 기술의 충돌과 협력

        유승호(Seoung-Ho Ryu)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12

        대부분의 근대예술영역에서 시도된 자본주의적 저항운동은 예술과 기술의 융합, 즉 상징적 경계의 새로운 형성을 통해 진행되었다. 러스킨과 모리스로 대표되는 이러한 저항운동은 수공예 장인의 부활을 통한 장인적 예술의 복원이 목표였지만 결과적으로 예술의 계급화를 초래하게 되었고 자율적인 노동을 배제하게 되는 탈장인적인 예술이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장인적 노동의 복원을 위한 노력으로서 유일하게 기계제대공업이 가져온 조건을 적극 활용하는, 즉 ‘기술과 예술 그리고 기계와 산업의 융합’을 통해 상징적 경계의 해체와 새로운 융합을 시도하였던 바우하우스에 주목하여 그것의 행위자들actors을 중점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16세기 르네상스 예술부흥운동, 19세기 미술공예운동, 그리고 바우하우스의 예술적 사조가 역사적으로 연계되어 있다는 것을 전제로 <생산으로서의 장인적 예술, 예술소비로서의 민중의 권리, 표현방식으로서의 근대기술>의 교량역할을 수행했던 바우하우스 실천가들과 그들 사이의 협력과 갈등에 대한 고찰을 통해 바우하우스가 디자인 민주주의 이념을 구현하려 하였다는 점을 주장하고 있다. 더 나아가 현대 메타기술의 시대가 디자인과 기술의 융합을 통한 민주주의로의 이행을 추동하고 있어 바우하우스의 ‘협력과 갈등’그리고 ‘위기와 해체’로부터 반면교사해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The capitalistic resistance movement attempted in most modern art areas was carried out through a complete convergence of the art and skill, which was the new formation of the symbolic boundary. Although this resistance movement was aimed at restoring artisan art through the revival of tbe work of handicraftsmen, it consequently caused the stratification of the art and became a de-artisan art excluding the autonomous labor. Hereupon, this study would focus on Bauhaus which attempted to dismantle the symbolic boundary through the convergence of the technology and art which actively used the condition the great industry brought only as an effort for the restoration of artisan labor, and would examine the actor-network of Bauhaus. Therefore, this study would examine the Bauhaus artistic trend, the 16C Renaissance art promotion movement, and the 19C art crafts movement in the network-oriented relation, and would analyze the Bauhaus ideological source which expressed design democracy through the bridging role of 〈artisan art as the production, peoples right as the artisan consumption, modern skill as the expressive method〉 and analyze the artisan art and the mechanism that had the new technology fused. Furthermore, the convergence possibility of the collaboration spirit being embodied as a philosophy of the democracy in the design continues with the tremendous influence of the new technology.

      • KCI등재

        장인 문화에 대한 해석적 접근

        유승호(Ryu, Seoung-Ho),선원석(Sun, Won-Suk) 인문콘텐츠학회 2014 인문콘텐츠 Vol.0 No.32

        본 연구는 모노즈쿠리가 직업의 차원을 넘어 일상적인 삶과 어떻게 연결되었고, 그 전통이 어떻게 지속적으로 전수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일본의 각 지방을 대표하는 9명의 쇼쿠닌(장인)들을 인터뷰하였다. 본 연구의 발견은 크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는 기술을 중시하는 모노즈쿠리 정신에 일본 공동체의 문화가 내재해 있다는 것이다. 둘째는 모노즈쿠리의 기술적 연계성이다. 장인들의 의식은 한마디로 ‘살아있는 박물관’을 지향하며, 시간측면에서의 상위해석수준(high construal level)을 보이고 있었다. 셋째로는 일을 통한 자기 세계의 구축과 외부 세계와의 관계설정이다. 이러한 고유의 자기세계 구축은 일의 위생조건(hygiene factor)을 넘어 내재적 동기가 극대화된 상태로 인간욕구의 최상의 단계에 속한다. 하지만 급변하는 시장 환경에 따라 일본의 모노즈쿠리쇼쿠닌들도 위기에 처하고 있다. 이에 현재 장인들은 도제식교육과 함께 현대적 교육을 이수한 후 다시 전통적 장인기술을 계승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자기(집안) 고유의 기술>과 <변화에 적응하는 기술>의 적절한 결합점을 찾는 노력의 일환으로서, 이를 통해 기술과 제품을 개선하는 일로 시장의 변화에 대처하고 있다. This article investigates how the life of japanese craftsmen(monozukuri) combines with their labor and occupation and how their crafts hand down generations. The key finding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craftsmanship(monozukuri) is embedded with japanese culture of community which dominate japanese mind-set. Second, craftsmanship characterize time-honored skill with high construal level, what is so called ‘working museum’. Third, craftsmen relate his own little inner world to the outer world through their labor and occupation, which is beyond hygiene factor of work. At the mercy of profound changes in markets, japanese craftsmen are coping with crisis on the basis of apprentice education cooperated with modernized one.

      • KCI등재

        후기 근대와 공간적 전환

        유승호(Ryu, Seoung Ho) 한국이론사회학회 2013 사회와 이론 Vol.23 No.-

        근대의 시공간에 대한 논의는 공간에 대한 시간의 우위였다. 그러나 장기간의 진화 속에 갇혔던 개인을 복구하며 인간주체에 대한 논의가 부각되면서 후기 근대는 개인에게 ‘공간적 개체성’을 부여한다. 후기 근대의 공간적 전환은 이러한 시대적 패러다임에 기반하며 새로운 사회이론의장을 열었다. 본고는 사회 이론의 공간적 전환을 주창한 주요 사상가들의 논의를 살피고 사회 이론에서 공간적 전환이 ‘물리적 공간’에서 ‘관계의 공간’으로 이전하는 접근을 세 가지 차원에서 설명한다. 첫째로는 공간을 권력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푸코와 르페브르의 접근으로서, 푸코는 통치술 개념을 중심으로 공간의 조직화가 자본주의의 구조에 중요한 기능적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였으며, 이는 르페브르의 논의와 함께 권력의 장이 역사라는 시간에서 공간으로 전환했음을 지시하고 있다. 두 번째로는 하비와 카스텔로 대표 되는 정치 경제학적 시각으로서, 하비는 자본의 순환과 건조 환경의 결합이라는 측면에서 도시 공간을 분석, 결국 공간적 확장의 형태는 초국적인 자본의 확대로 귀결된다는 점을 언급하였으며, 카스텔은 공간적 확장이 도시라는 형태의 내부와 외부에서 단절과 확장이라는 이중적 형태로 발전하고 있음을 통찰하였다. 그리고 세 번째 시각으로서, 짐멜과 워스, 부르디외 그리고 바우만의 논의를 거치면서 공간은 권력과정치의 공간에서 도시와 개인의 일상생활을 지배하는 ‘사회적 공간’으로 진척된다. 짐멜은 도시의 형식에서, 워스는 도시의 생활양식에서, 부르디외는 아비투스적 공간에서, 바우만은 액체공간이라는 논의를 통해서 공간의 사회적 차원을 부각시켰다. 이러한 논의의 흐름은 결국 공간은 단순히 물리적인 것이 아닌 사회적 관계의 총체로서의 ‘사회적 공간’이며, 이는 사회적 관계가 공간의 프레임을 통해 ‘탈물질화의 물질화’를 이루어내는 형식임을 보여준다. In the course of long-term evolutionary perspective of modernity, individuality had been dominated by temporality, not spatiality. However, confronting with lots of conflicts of regions in modernized world, spatiality had been emerged with the individuality affiliated to community. This article aimed to the reason and elements of spatial turn on the basis of major thoughts in social theory, which draws ‘social space’ out of physical space. In both Foucault’s and Lefebvre’s perspectives, space became key actor in determining power distribution, conceptualizing the governmentality by Foucault and the rhythm analysis by Lefebvre. For Harvey and Castells, spatial expansion results in maximization of the trans-national capitalism to the extreme. Eventually, major social theories such as urban form by Simmel, urban lifestyle by Wirth, liquid space by Bauman and arbitus by Bourdieu have accomplished the social space as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to finalize ‘materialization of de-materialization’ with regard to social space.

      • KCI등재

        한국의 슬리퍼 히트 영화 사례와 그 특징에 관한 연구

        유승호(Ryu Seoung-Ho),류설리(Ryu Seol-Ri) 한국문화산업학회 2008 문화산업연구 Vol.8 No.1

        The movie industry is uncertain due to 'nobody knows' principle. Movie industry is not simple but complex so that there should be special approach to the success of movie industr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ritical success factor of movie success, we took the cases of 'sleeper hit movie' which becomes successful with a small amount of cost in production. Through the sleeper hit movie, we get to know how movie can have a huge success especially during the depression of Korean movie industry. This paper shows that sleeper hit movies have really and persistently existed in Korea and it is one of the best ways to increase Korean movie industry if there are lots of support for Sleeper hit movie by government or public sector since sleeper hit movie is centered on story-oriented characteristic and high attraction to audiences. The movie industry is uncertain due to 'nobody knows' principle. Movie industry is not simple but complex so that there should be special approach to the success of movie industr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ritical success factor of movie success, we took the cases of 'sleeper hit movie' which becomes successful with a small amount of cost in production. Through the sleeper hit movie, we get to know how movie can have a huge success especially during the depression of Korean movie industry. This paper shows that sleeper hit movies have really and persistently existed in Korea and it is one of the best ways to increase Korean movie industry if there are lots of support for Sleeper hit movie by government or public sector since sleeper hit movie is centered on story-oriented characteristic and high attraction to audie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