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Real-time PCR과 Colony forming unit법을 이용한 타액 내 2종의 구강미생물 총량분석

        유수민 ( Su-min Yoo ),정성국 ( Seong-kug Jeong ),유현준 ( Hyun-jun Yoo ),장종화 ( Jong-hwa Jang ) 한국치위생학회(구 한국치위생교육학회) 2017 한국치위생학회지 Vol.17 No.1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colony forming unit (CFU) method and multiplex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MRT-PCR) method for accurate quantitative analysis of bacteria. Methods: We compared the CFU method and the MRT-PCR method, which are still used in Korea, for Prevotella intermedius (P. intermedius), a periodontal disease pathogen selected by MRT-PCR, and Streptococcus mutans (S. mutans), a dental caries causative organis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 patients who visited the C dental hospital. Results: Total microorganisms in MRT-PCR method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both types of bacteria (p<0.05), since DNA of dead bacteria was also analyzed. This was because the periodontal dise(-) anaerobes, and even dead bacteria contain large amounts of toxic substances called LPS in the extracellular membrane, and fimbriae and pili, which are motility structures, still remain as a strong toxic substance in periodontal tissue. Conclusions: Therefore, in terms of the total amount of bacteria found, the MRT-PCR method will be a useful technique for searching all the bacteria in the oral cavity including live bacteria, as well as sterilization.

      • 朝鲜小说『唐太宗传』对『西游记』的改编特征研究

        柳秀旼(Yoo Su Min) 한국중어중문학회 2021 한국중어중문학회 우수논문집 Vol.- No.-

        Dangtaejongjeon (당태종전, 唐太宗傳), a classical Hangul novel by an unknown author in the late Joseon (朝鮮), is a adapted story which was newly composed from the story of the Tang (唐) Emperor Taizong (太宗)’s visit to the underworld in Journey to the West (西遊記). Novel readers in late Joseon had a strong tendency to share Chinese novels which were not original texts but rather adapted works, being gone through their own ‘appropriaton’ process. This study regards Dangtaejongjeon as a novel in such a flow, and thus tries to examine the world of it in terms of appropriaton of the original text. This study considers that the Tang Emperor Taizong (唐太宗) functioned as a ambivalent cultural code in Joseon society and thus adaptation was done on that basis. Contemplation about the aspects of adaptation was conducted with four perspectives in this study. Firstly, the author of this novel pursued historical details. It shows that the author would be a class with some knowledge. Secondly, this novel manifested the entire Buddhist world view by actively embracing Buddhist narratives. Thirdly, this novel also contained realistic Confucian values while expressing the Buddhist world view. These two outlooks did not conflict with each other and coexisted naturally. Fourthly, the description of the underworld has changed in Korea compared to the original. Dangtaejongjeon was written in many parts reflecting the cultural situation and ideological factors of the late Joseon through a process of ‘re-writing’ of Journey to the West. Dangtaejongjeon re-written in this way was able to be enjoyed without any heterogeneity among Joseon public readers. This study tried to dispute on the world of a adapted work of Chinese novel in Joseon in terms of not a simple import or influence relation but the ‘contact, modification, creation.’ I believe that this study would be helpful to enhancement of mutual understanding about classical novel culture and narrative tradition between Korea and China.

      • KCI등재

        명대 소설 『봉신연의(封神演義)』에 표현된 신선·도교문화

        유수민(Yoo, Su-Min) 한국도교문화학회 2021 道敎文化硏究 Vol.55 No.-

        본 논문은 명대 소설 『봉신연의』에 표현된 신선·도교문화를 서사적 상상력의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논의는 다음의 네 가지 논점을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첫째, 주요 등장인물들이 모두 선인(仙人)이라는 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선인은 불사를 추구하며 주술적 비상(飛翔)을 실현하는 존재이다. 그리고 천계에서 수립한 이른바 ‘봉신계획’이란 인간계의 은주혁명과 맞물리며 전투에서 희생되어 죽은 자들을 신으로 봉하는 계획으로, 바로 이 선인들의 품계를 정하는 계획이라 할 수 있다. 둘째, 삼시(三尸)의 제거가 등장인물들의 주요 과업이라는 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체내에 존재하는 삼시는 인간의 잘못을 사명에게 고해바쳐 인간의 수명을 단축시키므로 삼시의 제거는 곧 장생불사를 이루기 위한 주요 과업이 된다. 그러나 소설에 등장하는 선인들은 대개 삼시를 제거하지 못한 상태이며, 그로 인해 살겁(殺劫)을 수행하는 봉신 전투에 참여하는 운명을 맞이하게 된다. 그 중에서도 더 많이 희생되는 쪽은 은(殷)의 편에 선 절교(截敎) 선인들로, 그들의 충동과 분노의 정서는 바로 삼시의 작용과 맞닿아 있다고 볼 수 있다. 셋째, 기(氣) 수련을 통하여 개체변환을 이룬 선인들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개체의 변환은 기화우주론의 사고방식을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절교 선인들 중에는 본래 동물·사물이었다가 기의 수련을 통해 인간으로 변화한 후 득선한 자들이 많은데, 이를 통해 신선가학론의 입장이 수용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그러나 그들은 끝내 출신 때문에 천교(闡敎) 선인들을 능가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신선기품론이 기저에 깔려 있음도 확인된다. 넷째, 각종 법술(法術)의 운용에 대해 논의하였다. 우선 거울 조요보감(照妖寶鑑)과 채찍 타신편(打神鞭), 자웅편(雌雄鞭)의 경우를 통해 신선설화에 등장하는 축귀구마의 주구가 소설에서 주요 법보로 활용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또한, 본래 위해로부터의 방어 및 질병 치료가 주요 기능인 부적·주문 활용 법술이 소설에서는 상대를 공격하고 위험에 빠뜨리는 법술로 묘사되고 있음을 고찰하였다. 본고의 논의는 신선·도교문화가 『봉신연의』의 중요한 서사적 상상력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나아가 신선·도교문화는 비단 전통적 상상력으로서만 유효한 것이 아니라 오늘날 대중들이 향유하는 ‘선협(仙俠)’이라는 장르의 문화콘텐츠에서도 중요한 상상력으로 작용하고 있기에 이에 대한 다각적 논의가 필요하며, 이는 후일을 기약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immortal-Taoist culture expressed in the Ming novel Fengshenyanyi (封神演義) from the perspective of narrative imagination. The discussion was based on the following four points. First, it was discussed that almost all of the main characters are immortals (仙人). Immortal is a being who pursues immortality and realizes magical flight. So-called ‘Fengshen (封神) Plan’ established in the heavens is a plan to entrust the dead who died in the battle in conjunction with the Shang and Zhou Revolution (商周革命) in the human world, and it can be said that it is a plan to determine the ranks of these immortals. Second, it was argued that the removal of Three Corpses (三尸) is the main task of the characters. The Three Corpses that exist in the body shorten the lifespan of humans by confessing their mistakes to the god Si Ming (司命), so the removal of the Three Corpses soon becomes the main task to achieve longevity and immortality. However, the immortals in the novel actually have not been able to get rid of the Three Corpses, and as a result, they are destined to participate in the Fengshen battle of killing each other. Among them, the most sacrificed are the immortals of JieJiao (截敎) sect who are on the side of Shang (商), and their impulses and emotions of anger are directly in contact with the action of the Three Corpses. Third, the immortals who achieved individual transformation through qi (氣) training were discussed. The individual transformation is made based on the thinking of the Cosmology of Qi-Hua (氣化宇宙論). Among the immortals of JieJiao, there are many people who were originally animals and things, but through the training of qi, they changed into humans and finally became immortals.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position that one can learn and become an immortal is accepted. However, it is also confirmed that the position that an immortal is born with innate quality is underlying in that they cannot outperform the immortals of ChanJiao (闡敎) sect because of their origin. Fourth, the operations of Taoist magic (法術) were discussed. Through the case of the mirror ZhaoYaoBaoJian (照妖寶鑑), the whip DaShenBian (打神鞭), CiXiongBian (雌雄鞭), it was examined that the magic tools to chase away ghosts and demons appearing in the immortal tales are being used as the main magical weapons in the novel. In addition, it was considered that the magic of using amulets and spells, whose main functions are defense from harm and treatment of diseases, is depicted as a magic that attacks and endangers the opponent in the novel. The discussion in this paper is intended to reveal that immortal-Taoist culture is acting as an important narrative imagination of Fengshenyanyi. Furthermore, since immortal-Taoist culture is not only effective as a traditional imagination, but also works as an important imagination in the cultural content of the genre of "XianXia (仙俠)" that the public enjoys today, a multifaceted discussion is needed.

      • KCI등재

        二郞神 楊戩 형상의 서사적 재현 고찰

        유수민(Yoo, Su-Min) 한국도교문화학회 2016 道敎文化硏究 Vol.45 No.-

        灌口 二郞神은 중국에서 가장 널리 숭배되는 도교의 신격 중 하나로, 다양한 이미지들이 유전되고 축적되어 온 신이다. 중국 민간에서 그의 형상은 秦 蜀郡太守 李冰의 치수신 이미지, 隋煬帝 때 교룡을 퇴치한 趙昱의 호법신으로서의 이미지뿐 아니라, 寶蓮燈 전설의 ‘산을 쪼개 모친을 구하는(劈山救母)’ 모티프까지 모두 덧입혀져 있다. 본고는 이러한 이랑신이 明代 『西遊記』, 『封神演義』 등 神魔小說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캐릭터로 형상화되었음에 주목했다. 『西遊記』 에서는 아무도 손대지 못했던 제천대성 손오공을 사로잡는 강력한 인물로, 『封神演義』에서는 姜子牙의 오른팔로서 무왕벌주의 과업을 달성하는 핵심인물로 그려져 있으며, 각 작품 속 이러한 형상들은 기존에 존재해온 이미지들을 상호텍스트적으로 수용 및 변형하면서 도교적 환상성을 잘 표현하고 있음을 고찰했다. 나아가, 이러한 특징들을 지닌 고전 서사가 오늘날의 디지털 환경 속 문화콘텐츠들에 매우 유효한 레퍼런스가 되고 있음을 디지털 게임 『王者榮耀』 의 경우를 통해 논의했다. Erlangshen(二郞神) who has a variety of images that had been handed down and accumulated for a long time, is one of the most widely worshipped and popular gods in Chinese Taoism. There are three major types of story with regard to Erlangshen and they are mixed among Chinese ordinary people. The first one is the story of Li Bing(李冰) as a god of water-regulation, the chief of Shu(蜀) Province in Qin(秦). The second one is the story of Zhao Yu(趙昱) as a guardian who beat a flood dragon in Sui(隋). The last one is the story of hero Yang Jian(楊戩) who ‘broke open the mountain to rescue his mother(劈山救母)’, from the Bao lian deng(寶蓮燈) folklore. I focused on the fact that Erlangshen had been described as a figure who had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god-evil novel(神魔小說) of Ming like The Journey to the West(西遊記) and The Legend of Deification(封神演義). In The Journey to the West, he was depicted as a very strong wizard who even captured the Monkey King, nobody dared deal with. In The Legend of Deification, he was portrayed as a key figure who achieved the goal of crusade against King Zhou(紂) of Shang(商) by King Wu(武) of Zhou(周) while working as Jiang Ziya(姜子牙)’s right arm. I pointed out that the Elrangshen features in these texts were well illustrated by inter-textual acceptance and modification of the characteristics that had been all along, and which fully demonstrated the fantasy based on Taoism. In addition, I argued that these properties of classic story motif can be effective references to cultural contents in the current digital environment, by investigating the case of a digital mobile game-The Glory of the King (王者榮耀).

      • KCI등재

        브라이스 마던(Brice Marden)의 후기 문자추상화를 응용한 패션디자인 연구-선의 율동미를 중심으로-

        유수민 ( Yoo Su Min ),주보림 ( Joo Bo Lim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1

        `글자는 소리의 그림`이라는 말이 있듯이 글과 그림은 인류의 원시에서 현 시점까지 우리 생활 속에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고대에는 상형문자를 사용함으로써 글씨를 알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편의로써의 기능을 했다면 현대사회에서는 문자와 그림을 융합시켜 새로운 추상적 회화의 형태로 구현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텍스트를 이미지화 시켜 회화의 형태로 발전시킨 브라이스 마던의 회화작품을 모티브 소스로 삼고 모든 조형 디자인에 있어서 기본구성을 하는 선의 율동미를 연구하여 차별화 된 현대 패션디자인을 제시함에 목적이 있다. 직선과 곡선이 가지고 있는 부드럽고 강한 조형미와 문자추상이 가지고 있는 기호성을 확장시키고 인간의 감성이 담긴 회화적 이미지를 창출해 내는데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방법으로는 마던의 작품의 조형특성, 선의 개념 및 정의 그리고 종류 및 특징의 고찰등과 작품 제작을 위한 실증적인 연구 방법을 취하였다. 학위 논문, 단행본 및 원서 등을 통한 문헌조사를 실행하였고, 이를 통해 선의 율동미와 문자추상의 조형미를 분석하였다. 또한 웹, 패션 컬렉션 등을 종합하여 패션에 있어서 그 표현방법 사례를 조사하였다. 선의 율동감을 담아낸 독창성을 지닌 패션디자인 연구를 진행하여 총 5착장으로 작품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문자추상에서 표현된 선의 이미지를 패션디자인의 다양한 모티브로 응용하여 표현함으로써 선을 단순히 의복에서의 기능적인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디자인을 위한 장식적인 측면까지 그 활용범위를 넓힐 수 있었다. 둘째, 문자추상화에서 모티브를 얻어 흑백으로 전체 작품을 진행함으로써 문자 추상화의 색채 조형성을 그대로 구현할 수 있었다. 셋째, 선의 율동미와 중첩의 효과를 통해 입체감과 공간감을 극대화 시킬 수 있었다. 넷째, 인터록의 다양한 표현기법을 통하여 선의 역동적인 리듬감 표현의 강조가 가능했고 면사의 두께감의 정도에 따른 섬세함과 조합되어 입체적 재질감과 문자추상화가 가지고 있는 붓으로 그려낸 선의 특징을 나타내기 적합했다.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differentiated contemporary fashion design by referencing the fine arts of Brice Marden which he used the rhythmical asethetics of lines as a basic componet of all formative designs such as using the imagitifacted letters as the main motif and turning them into a form of paintings. The study seeks to find its meanings and implications in expanding the soft and strong aesthetic values of lines and symbolism and to create picturesque images with human sensitiveness incorporated in them. The reserch findings and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scope of application of clothing could be widened by expanding the role of lines from its functional aspects as part of the clothing to the decorative aspects. Secondly, formativeness of colors could be achieved by conducting the whole works using black and white only which were inspired by letter abstraction. Thirdly, visual depth and spaciousness could be maximized by overlaying the rhythmical beauty of lines. Lastly, the dynamic sense of rhythm could be expressed and emphasized by using various interock techniques and characteristics of lines drawn with a brush could also be expressed by controlling the thickness of cotton yarns.

      • KCI등재

        자기주권 신원증명 기반 스마트 계약 구현을 위한 자격증명 시스템 제안

        유수민(Su-Min Yoo),유수빈(Soo-Bin Yoo),조정화(Jung-Hwa Jo),손애선(Ae-Seon Son) 한국정보기술학회 2020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12

        Modern society has introduced a public key infrastructure that verifies the proof of data senders while ensuring data leakage on the Internet, providing digital certificate technology based on symmetric and asymmetric key encryption for safe data exchange and identity authentication online. But CAof security is fragile, CA of all users using digital certificates are also vulnerable, and also in a data breach. There is a secondary damage that can be caused by information leaked. In order to prevent damage caused by digital certificates and key leaks, this paper proposes a system to ensure the integrity of data by using the distributed ledger environment, the Block chain, and secure the security to exchange the open key safely in a decentralized structure using the open key of the DID (Decentralized Identifier) Document registered in the block chain.

      • KCI등재
      • 배경제거를 이용한 파프리카 병해 분류 정확도 증가 방법

        김서정 ( Seo-jeong Kim ),정성환 ( Sung-hwan Jeong ),김선형 ( Seon-hyeong ),박근호 ( Keun-ho Park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1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8 No.2

        본 논문에서는 딥러닝 영상기술을 활용해 파프리카 잎에서 나타나는 병해를 분류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비파괴 방법으로 파프리카 잎 뒷면을 촬영하면 잎을 잡는 손이 파프리카 잎을 가리는 영역이 부분적으로 나타나고, 이는 학습을 방해하는 요소가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잎의 영역을 먼저 찾고 그 외의 배경영역을 없애고, 병해를 진단할 수 있도록 모델을 설계하였다. 잎의 영역을 찾아내는 모델은 86.7%의 IoU(Intersection over Union)의 값을 얻었고, 병해를 진단하는 분류 정확도는 86.4%을 얻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