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공간 빅데이터의 개념 및 서비스 프레임워크 구상에 관한 연구

        유선철,최원욱,신동빈,안종욱,Yu, Seon Cheol,Choi, Won Wook,Shin, Dong Bin,Ahn, Jong Wook 한국공간정보학회 2014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22 No.6

        본 연구는 수요 및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공간 빅데이터의 개념설정과 이를 기반으로 공간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서비스 프레임워크를 개념적으로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공간 빅데이터는 정형 반정형 비정형 공간 빅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수집 저장 관리하는 동시에 공간정보와 융합된 다양한 속성정보에 대해 실시간 통합 분석을 수행하여 의미 있는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미래에 대응할 수 있는 기술이라 할 수 있다. 또한 공간 빅데이터는 기존 빅데이터가 가지는 3V(Volume, Variety, Velocity) 특성에 4V(Veracity, Visualization, Versatile, Value)가 추가된 특성을 가지며, 저장 관리, 분석, 서비스로 구분하여 활용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공간 빅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한 서비스 측면에서의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관리, 서비스 콘테이너, 서비스 모니터링의 구성요소로 구상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참조로 새로운 기술 및 기법들을 적용하여 수정 보완하고, 향후 개발예정인 저장 관리, 분석 기술개발과 연계하여 구체적인 서비스 제공방안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defines concept and service framework of Geo-Spatial Big Data(GSBD). The major concept of the GSBD is formulated based on the 7V characteristic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big data with 3V(Volume, Variety, Velocity); Geo-spatial oriented characteristics with 4V(Veracity, Visualization, Versatile, Value). GSBD is the technology to extract meaningful information from Geo-spatial fusion data and support decision making responding with rapidly changing activities by analysing with almost realtime solutions while efficiently collecting, storing and managing structured, semi-structured or unstructured big data. The application area of the GSBD is segmented in terms of technical aspect(store, manage, analyze and service) and public/private area. The service framework for the GSBD composed of modules to manage, contain and monitor GSBD services is suggested. Such additional studies as building specific application service models and formulating service delivery strategies for the GSBD are required based on the services framework.

      •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LULUCF 부문 통계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유선철,안종욱,옥진아,Yu, Seon Cheol,Ahn, Wook,Ok, Jin A 한국공간정보학회 2015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23 No.3

        본 연구는 IPCC의 2003 우수실행지침에 따른 국제기준의 온실가스 인벤토리 LULUCF 부문의 통계 구축방안제시를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우리나라의 온실가스 인벤토리 LULUCF 부문 통계는 현재 전용된 정보를 구축하지 못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선행연구들도 각 카테고리 내에서의 정보구축에 한정하고 있었다. 이에 경기도를 사례로 위성영상, KLIS, UPIS 등의 각종 정보를 활용하여 LULUCF 부문의 변화정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LULUCF 항목별 분류체계 마련, 위성영상을 활용한 통계 정확도 향상, 구축방법에 대한 추가적 연구가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사례분석을 통해 향후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LULUCF 부문의 체계적 통계구축을 위해 과거 20년간의 전용정보의 체계적 구축, 위성영상과 각종 토지정보체계를 활용한 토지이용 변화 매트릭스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참조로 온실가스 통계 구축을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construction the plan of the statistics for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ies of international standards. Currently, the statistics of the greenhouse gas inventories of South Korea, has a problem that is not able to build the changed information. In previous studies, it has been limited to the construction of the information within each category.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argeting Gyeonggi province, we analyzed the land use change by utilizing the various information such as satellite images, KLIS, UPIS. As a result, we suggested the following implementation, classification system of LULUCF category, improvement of accuracy by utilizing satellite images of high resolution, additional research for methodology. Based on these contents, we suggested the construction plan of the statistics for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ies(LULUCF sector). Frist,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of land use change informations for the past 20 years, Then, it need to create the matrix of land use change by utilizing satellite images and various land information systems.

      • 수치지도 수정.갱신을 위한 건설공사 준공도면 활용방안 연구

        신동빈,유선철,Shin, Dong-Bin,Yu, Seon-Cheol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2008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Vol.10 No.4

        최근들어 공간정보의 최신성에 대한 요구가 늘어나고 있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지도수정체계로는 국토정보 변화에 대한 대응이 곤란하여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도화된 내용을 토대로 준공도면을 활용하여 1/5,000 수치지도의 수정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에 작성된 준공도면과 수치지도를 비교 검토하고, 다양한 국내외 사례와 각종 규정을 검토하였다. 또, 준공도면의 유형별로 대상지역을 선정하고, 준공도면을 활용하여 수치지도를 수정하였다. 다음으로 준공도면과 관련된 각종 제도 및 규정에 대한 검토 후 개선방안과 준공도면 활용방안을 마련하여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지속적인 노력을 통해 신속하고, 정확한 지리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Increased demand for the latest spatial information,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complement current map updating systems for responding the diverse environment of the national territory information. This study suggests the way to update 1/5,000 digital maps with the application of as-built drawings based on current systems. This study compares current as-built drawings with digital maps, and consider intra and international related cases and regulations. This study also selects case areas based on different types of as-built drawings and updates digital maps with the application of as-built drawings. After the consideration of systems and regulations related to as-built drawings, the research results, including the improvement and the application of as-built drawings, are presented. It is expected that the foundation to provide more rapid and accurate geographic information can be achieved from the research result.

      • KCI등재

        GIS 공간분석을 활용한 사회 취약지역의 분석에 관한 연구

        이명호(Lee, Myeong Ho),유선철(Yu, Seon Cheol),안종욱(Ahn, Jong Wook),신동빈(Shin, Dong Bin) 대한공간정보학회 2016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4 No.4

        본 연구는 사회 복지 취약지역의 부문별 지표를 선정하고 이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사회 취약지역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와 이론적 배경을 검토하였으며 분석지표와 기준을 선정하였고 이후 지표에 해당하는 적정 데이터를 수집하고 구축하였다. 분석의 지표 기준 및 데이터를 기반으로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를 서울특별시로 선정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사회 취약지역에 관한 부문별 하위 10% 지역이 도출되었다. 부문별 취약지역을 취합하여 분석한 결과 중구 용산구 서대문구와 같은 일부 지역이 최종 취약지역으로 도출되었다. 특히 중구는 가스, 전력 등 에너지 사용이 낮고 건물의 노후 심화, 교통 의료 교육 시설과의 접근성이 모두 취약한 지역으로 분석 되었다. 용산구는 주거부문 의료부문이 가장 취약하였다. 또한 종로구는 교육부문이 서대문구는 주거부문, 교육부문에서 취약성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용도지역을 검토해 보면 제1종, 2종, 3종 주거지역에서 에너지, 주거, 의료, 교통, 교육 등 모든 부문에서 취약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사회 취약지역 분석기법은 다양한 데이터의 결합을 통해 시스템, 플랫폼 등으로 활용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분석결과 및 과정 등을 활용하여 공공부문에서의 정책지원, 시간, 인력의 절약을 기대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lect the sectoral vulnerable areas index in welfare field and analyze the socially vulnerable areas from comprehensive analysis. For this study, preceding research and theoretical background were reviewed. Through this, we selected for the analysis index and criteria, and data corresponding to the index are collected. Based on the index and criteria, the data analysis was performed in Seoul Metropolitan City selected as the spatial extent of this study. From the results of analysis, the sectoral lower rank 10% of social vulnerable areas was determined. In addition, Junggu, Yongsangu, and Seodaemungu from the comprehensive analysis of individual vulnerable areas were derived as a final vulnerable areas. In particular, Junggu was weak in all sectors; Yongsangu was in the medical sector; and Seodaemungu was poor in housing and education. Lower vulnerability index of all sectors (energy, housing, medical, transportation, and education) in 1st, 2nd, and 3rd residential areas by examining use zoning was showed.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can expect time and labor saving of policy support in public sector.

      • KCI등재

        지하정보 데이터 모델 설계에 관한 연구

        정다운(Jeong, Da Woon),유선철(Yu, Seon Cheol),민경주(Min, Kyung Ju),이지연(Lee, Ji Yeon),안종욱(Ahn, Jong Wook) 대한공간정보학회 2021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9 No.1

        정부에서는 지하 안전 관리의 강화를 목표로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을 제정하고, 지하 공간을 구성하는 15종의 지하정보를 3차원 기반으로 통합 구축하고 있다. 그러나 데이터 모델의 부재, 갱신 체계의 미흡, 낮은 정확도 등의 문제점으로 인해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국내·외 지하정보 관련 표준 및 선행연구들을 검토한다. 이후 국제 표준 간의 비교·검토를 통해 지하정보 데이터 모델의 참조 모델을 선정한다. 다음으로 기구축 시스템에서의 문제 해결을 위한 객체별 용어, 분류 체계, 기하 및 위상 관계 정의를 통해 표준화된 형태의 데이터 모델에 관한 논리적 모델을 설계하여 제시한다. 본 연구를 통해 그간 지적되어온 데이터의 정확성 문제 및 데이터 모델의 부재에 관한 이슈들을 개선하고, 공간정보 데이터 모델 관련 연구를 지하 영역에까지 그 범위를 확장했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government enacted 『Special act on underground safety management』 with the aim of strengthening underground safety management. This integrated construction of 15 kinds of underground information that composes the underground space on a three-dimensional basis. However, it is urgent to prepare a solution to this problem due to problems such as insufficient update system, low accuracy, and information security. This study reviews underground information related standards and previous studies. Then, a reference model of the underground information data model is selected through comparison and review between international standards. Next, we defined the object name, classification system, geometry, and topology to solve the problem of the existing system. Based on this, we designed a logical model for a standardized data model.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improve the issues related to the accuracy of data and the absence of a data model. It is also considered to be of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the scope of research related to the spatial information data model has been extended to the underground area.

      • 수치지도 갱신을 위한 건설공사 준공도면 활용 문제점에 관한 연구

        신동빈(Dong-Bin Shin),유선철(Seon-Cheol Yu) 대한공간정보학회 2008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08 No.6

        현재 우리나라의 수치지도는 5년 주기로 갱신되고 있어 국토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수치지도를 건설공사 준공도면을 활용한 수시갱신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건설공사 현황, 관련규정, 해외사례 검토, 준공도면을 이용한 수치지도의 시범제작을 통해 현재의 관련규정 및 제도상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종합한 결과 수치지도 수시갱신을 위해 준공도면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첫째, 준공 도면의 명확한 정의와 세부지침의 마련이 필요하다. 둘째, 준공측량의 제도적 근거 마련과 성과심사가 필요하다. 셋째, 준공도면 작성비용의 부담주체 설정해야 한다. 넷째, 정보공유협력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 준공도면을 활용하여 수치지도를 수정하는 방법은 매우 효율적인 것으로 판단되며, 준공도면 제출제도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노력을 통해 신속하고 정확한 수치지도를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