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자연휴양림과 수목원 방문객의 이용특성 비교 연구

        유리화 ( Rhee-hwa Yoo ),장윤선 ( Youn-sun Jang ),이정희 ( Jeong-hee Lee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2020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9 No.4

        본 연구는 자연휴양림과 수목원 간의 방문 이용특성과 서비스 만족도, 전반적 만족도 및 충성도(재방문의향, 권유의향)의 관계를 비교,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휴양림의 서비스 만족도, 전반적 만족도, 이용객 충성도 모두 수목원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상대적으로 서비스 만족도가 전반적 만족도나 이용객 충성도에 비해 평균 차이가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자연휴양림의 서비스 만족도는 전반적 만족도, 이용객 충성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 반면, 수목원의 서비스 만족도는 전반적 만족도와 이용객 충성도에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목원 이용객의 전반적 만족도에 미치는 가장 큰 요인은 ‘산림 및 휴양경관’이었으며 재방문의향은 ‘자연경관 체험콘텐츠’와 ‘시설이용요금’이, 권유의향은 ‘자연경관 체험콘텐츠’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전국에 분포한 자연휴양림과 수목원 방문 이용객을 대상으로 공통된 항목을 동시에 조사한 자료를 토대로 분석하여 두 산림휴양공간 간에 이용특성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 향후 이러한 전국 규모의 이용객 실태조사 결과가 산림휴양공간 유형별 차별화된 운영전략 제시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산림휴양공간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전반을 아우르는 공통 조사항목의 개발이 필요하다. 더불어 각각의 산림휴양공간의 조성목적에 부합하는 기능 발휘를 위해 서비스 콘텐츠를 선택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므로 해당 항목을 추가적으로 개발, 모듈화하여 공통 조사항목과 병행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visitors' characteristics and service satisfaction, overall satisfaction and loyalty (revisit intention, recommendation intention) of recreational forests and arboretum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cores given for service satisfaction, overall satisfaction, and loyalty of the users of the recreational forests were all higher than those given by the visitors to arboretums, and the service satisfaction level was relative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overall satisfaction level or loyalty of the users. Second, the service satisfaction level of the recreational forests did not affect the overall satisfaction level and visitor loyalty, whereas the service satisfaction level of the arboretum was found to b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overall satisfaction level and visitor loyalty. The results are meaningful given that the visitors to recreational forests and arboretums are distributed throughout the country; thus, we confirm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visitor characteristics between the two types of forest recreation areas. In order to differentiate operation strategies for each type of forest recreation areas, the development of common survey items covering the entire set of services provided by forest recreation areas is needed. In addition, it would be advantageous to further develop and modularize the relevant items and conduct surveys in parallel with common survey items, as the service contents are operated selectively to function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creating each forest recreation area.

      • KCI등재
      • KCI등재
      • 녹색관광 도입을 통한 사유휴양림 경영 활성화 방안

        유리화(Rhee-Hwa Yoo),오정수(Jeong-soo Oh),박찬우(Chan-Woo Park),서정원(Jeong-Weon Seo) 한국농어촌관광학회 2004 농어촌관광연구 Vol.11 No.1

        This study was performed with the aim to ultimately seek administrative activation of the future private recreational forest by presenting a plan for introducing the green tourism into the above forest. The green tourism and the management of the private recreational forest appear to be oriented toward the common goal in terms of securing the sustain ability of nature environment and pursuing the income increase at the same time. Accordingly, the above plan will be very convincing in that the green tourism is introduced in order to overcome the difficulty in managing the private recreational forest. As a result of the study, it is considered that the link of the green tourism with the forest recreation may allow for : meeting the demand for the green tourism by urban people; increasing the income of the manager of the private recreational forest ; and preventing any unplanned forest development due to the difficulty of management. By doing so, it will ultimately be possible to produce the synergy effect that can efficiently utilize and manage forests. Accordingly, as a specific plan for introducing the green tourism into the private recreational forest, the study has recommended to : raise the flexibility of the administrative structure ; develop and operate differentiated programs; establish networks with communities ; continue the exchange and cooperation between urban regions and mountain regions ; and grow and maintain forests for improving their recreational function.

      • KCI등재

        산림복지서비스 유형별 공공성 수준 평가에 관한 연구

        장주연(Chang, Chuyoun),유리화(Yoo, Rhee-hwa)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16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20 No.3

        본 연구는 산림복지서비스의 공급전략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행정학 및 사회서비스 분야에서 많이 논의되고 있는 공공성의 개념을 도입하여 산림복지서비스의 공공성을 정의하였으며, 전문가 조사를 통해 공공성의 평가 기준을 도출하고 국내 9개 산림복지서비스 제공 시설을 대상으로 공공성을 평가하였다. 평가결과, 9개 산림복지서비스 유형 중 ‘숲길’에서 제공하는 서비스가 공공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산림레포츠시설’에서 제공하는 서비스가 공공성이 가장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산림복지서비스의 공공성 평가결과의 명확한 해석을 위해 수익성에 대한 평가를 추가로 실시하여 종합적으로 살펴본 결과, 자연휴양림, 치유의숲, 수목원을 통해 제공되는 산림복지서비스의 경우 공공성과 수익성이 모두 높게 평가되었고, 숲길과 산림욕장을 통해 제공되는 산림복지서비스는 공공성은 높지만 수익성이 낮은 서비스로, 수목장림, 숲속야영장, 산림레포츠 시설 등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는 공공성은 낮지만 수익성이 높은 서비스로 평가되었다. 이상의 산림복지서비스의 유형별 공공성과 수익성을 종합해보았을 때, 향후 정부 차원에서는 서비스의 공공성은 높지만 수익성이 낮아 지속적인 운영이 어려운 숲길과 산림욕장을 중심으로 산림복지서비스의 영역을 확대해 나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 반면 수익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수목장림을 비롯한 산림레포츠시설, 숲속야영장, 유아숲체험원 등은 서비스 제공으로 발생 가능한 사회적, 환경적 영향들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규제 기준만 제공하고 민간주체의 참여 및 민간시장을 확대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현재 활발하게 운영 되고 있는 자연휴양림이나 치유의숲은 민간투자를 활성화시켜 운영관리에 대한 공적부담을 줄이는 방향으로 가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suggest supply strategies on forest welfare service. First, this study defines the publicness of forest welfare service with the concept of publicness mainly discussed in public administration study and social service field. Second, it presents assessment elements for the publicness of forest welfare service derived through experts’ survey and evaluates the publicness of 10 types of forest welfare services in Korea. The evaluation shows that services on forest trails have the highest publicness, services on forest leisure sports have the lowest. In order to more clarify the outcomes, an additional survey for profitability among 10 types of forest welfare service is conducted. It shows that services on recreational forest, forest therapy and arboretum are high rated both publicness and profitability and services on forest trails and forest bathing area are high rated in publicness but are low rated in profitability. Services on woodland cemetery, forest camp site and forest leisure sports are low rated in publicness but are high rated in profitability. Based on the above results of experts’ evaluation,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government have to expend forest welfare services like forest trails and forest bathing which have high publicness but are difficult to continue because of low profitability. On the other hand, when it comes to profitable services such as woodland cemetery, forest leisure sports, forest camp site and forest kindergarten, it has to be more open to private sector with expanding market, regulated only for minimizing social and environmental effects by services. Finally, as to services on recreational forest and forest therapy, government has to reduce public burdens on these services by promoting private investment.

      • KCI등재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선방안 도출을 위한 치유의 숲 이용객 특성 분석

        이정희(Lee, Jeong hee),유리화(Yoo, Rhee-Hwa),이정원(Lee, Jeong Won)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16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20 No.4

        향기, 경관 등 자연의 다양한 요소를 활용하여 인체의 면역력을 높이고 건강을 증진시키는 활동을 ‘산림치유’라고 정의하고, 시행할 수 있는 산림과 토지를 ‘치유의 숲’이라 한다. 치유의 숲은 현재 전국 7개소가 운영 중에 있으며, 조성 예정중인 시설을 포함하면 총 41개소이다. 산림을 활용한 건강 증진 활동에 대한 국민적 관심과 인식이 증가하면서 산림치유의 수요와 공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이와 같은 사회적 변화는 각 치유의 숲의 지역적 · 자원적 특성을 반영한 차별화된 서비스와 산림치유 대상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와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 필요성으로 대두되었다. 치유의 숲에서 제공되고 있는 산림치유 프로그램이 국민적 요구를 반영하여 개선하기 위해서는 치유의 숲을 방문하여 프로그램에 참여한 이용객을 대상으로 그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통한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선 대안 마련이 시급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운영 중인 국립 치유의 숲(산음, 청태산, 장성) 3곳에서 산림치유 프로그램 이용객 3,000여명을 대상으로 일반사회학적 요인, 이용특성, 만족도 등 18문항에 대한 1:1 면담조사를 실시한 이후, 2,169명의 자료를 분석하여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선방안은 1) 주요연령대 프로그램 개선, 2) 프로그램 진행시간 최소 2시간으로 구성, 3) 질환에 따른 프로그램의 구성 필요이다. Activities of using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of forest to improve a person’s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health are defined as ‘Forest Therapy’. Suitable places made to conduct such activities are named as ‘Healing Forest’. There are seven healing forests nationwide and the number is expected to be 41, when including places to be opened soon. As the awareness and interests on forest therapy increase, relative supplies and utilization has been also hiked up. In line with this, the demand for customized programs by different customers and facilitities has been also created. For improvement of forest therapy, the study analyzed characteristics of visitors to healing forest to make suggestions. For this, a servey was conducted for 3,000 visitors who experienced the programs at public healing forest in 2015 and collected data by conducting one?on-one interviews with 20 questions including visitor’s general social factors, characteristics of usage and satisfaction. From this research, we can deduce an implication to improve the current program. 1) Improvement on subject who visit most not satisfied least should be performed. 2) the duration of the program should be at least 2 hours as the satisfaction was the highest among 2-hour program. 3)the program should be differentiated whether the visitor have any medical symptom or not.

      • KCI등재
      • KCI등재

        자연휴양림 이용객의 방문선택속성에 대한 연구

        장주연(Chang, Chuyoun),유리화(Yoo, Rhee-hwa),린 주안 탈카센(Lynn Juan Talkasen)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16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20 No.2

        본 연구는 자연휴양림 이용객들을 대상으로 자연휴양림 선택 시 중요하게 생각하는 속성을 조사·분석하여 수요자 중심의 양질의 산림복지서비스 제공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국립자연휴양림 이용객을 대상으로 62개 방문선택속성을 제시하고 각 속성에 대해 이용자들이 생각하는 중요도를 설문 조사하였다. 329명의 설문응답을 요인 분석한 결과, ‘프로그램 운영관리’, ‘산림경관’, ‘서비스 이용편의성’, ‘편의서비스 제공’, ‘경영관리’, ‘환경관리’, ‘시설안전관리’, ‘숙박시설’, ‘생물종다양성’, ‘프로그램다양성’, ‘위생적인 편의시설’, ‘친환경 건축’의 12개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이 중 ‘산림경관’에 대한 속성이 자연휴양림 이용객들이 공간을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속성으로 나타났고, ‘프로그램의 다양성’과 ‘프로그램운영관리’요인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자연휴양림 서비스 이용객 유형별 선택속성에 대한 중요성 인식 차이를 살펴본 결과, 단체방문객이 가족이나 친구와 방문하는 이용객보다 자연휴양림의 ‘경영관리’영역을 보다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산림치유 및 산림휴양서비스를 이용하는 집단이 ‘위생적인 편의시설’을 자연휴양림 선택 시 보다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 일반 국민들은 주로 산림복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공간을 선택할 때 산림환경 및 이용 편의와 연계되는 시설요소를 고려하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자연휴양림 서비스의 이용 목적에 따른 인식차이는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향후 보다 양질의 산림복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건강한 산림환경과 시설이용 편의성을 확보해야 하되, 이용자 유형 및 목적에 특화된 프로그램과 관련 정보를 제공하여 보다 적극적인 이용을 이끌어 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make basic data needed to provide user-oriented forest welfare service of good quality by surveying visitors and examining service use attributes that play an important role in individual choice of forest welfare service. To this purpose, a survey of visitors to the National Recreation Forest, a presentative forest welfare service of Korea, was conducted with questionnaire consisted of 62 service choice attribut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329 responses, choice attributes can be categorized into 12 factors; program operation and management, scenic landscape and forest environment, convenience of service use, providing convenience service, overall management for good service, environmental management, facility safety management, comfortable and clean accommodation, biodiversity, variety of programs, hygienic convenience facility and eco-friendly architecture. It shows that‘scenic landscape and forest environment’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visitors to choose recreation forest. On the other hand, ‘variety of programs’ and ‘program operation and management’ were less important attribute in service choice. When it comes to examining the difference of choice attributes by visitors’ groups, the group visitors place great importance on ‘management’ related to insurance and manual which can be used in emergency. Also, people who want to use forest therapy and forest recreation service place great importance on hygienic convenience facility. To sum up, this study indicates that people primarily consider attributes of forest environment and facility related to use convenience when they choose and use forest welfare service. However, it also shows that attributes influencing visitors’ choice is different depending on different purposes of visit. Therefore, in order to provide forest welfare service of much better quality in the future, recreational forest have to manage forest environment sustainable and prepare specific programs depending on users’ needs and typ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