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의 학업과 자기 효능성과의 관계

        유경훈(Kyoung-hoon Lew)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12 Global Creative Leader Vol.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학업 성취 간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교육현장에서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효능감변인을 규명하고자 하는데 있다. 중학생들의 학업성취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것은 스스로 학습하려는 자기효능감을 변인임을 밝히고자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중학생138명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학업성취도 점수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자기효능감은 학업성취와 높은 상관이 있었으며 의미있는 설명력이 나타났다. 이에 따라 과목별 학업성취와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별에 따른 체계적인 추후 분석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the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in junior schoo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38 adolescents in junior sch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s between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were significant. Second, among the variables of self-efficacy motivation, identified regulation, and internal regulation were positively related to academic achievement. Third, self-efficacy motivation and learning achievement had positive effect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self-efficacy learning. self-efficacy had positive effect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 KCI등재

        유아의 성격과 기질이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유경훈(Lew, Kyoung-Hoon),강순미(Kang, Soon-M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5 No.2

        본 논문에서는 유아의 성격, 기질, 또래유능성 간의 관련성 및 설명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되었 다. 연구대상으로 수도권에 위치한 5곳의 유치원에서 만 4세, 만 5세의 유아들의 성격, 기질, 또래유능성 검사를 실시 하여 수집된 총 137명을 대상으로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더니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첫째, 유아의 기질과 성격은 또래유능성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유아의 기질에서 적응성이 또래유 능성에 가장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성격의 외향성과 내향성 하위요인과 기질의 적응성과 생 리적 규칙성은 또래유능성에 의미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이를 고려하여 또래관계에서 유능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아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됨을 알 수 있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what effect personal relationship personality and temperament have on peer competence of a child. To carry out the research, this experiment subjected 137 preschoolers with age range of 4 to 5 years old attending in 5 education institution for preschoolers in Seoul. The result showed that personal relationship personality of a child and his temperament hold certain influence on peer competence. To take a detailed look on this matter we divided the independent variable into low factors. The result showed that the peer competence was influenced by the introverted personality and outgoing personality which are the sub factors of personality and was also affected by physiological regulation and adaptability which is the sub factor of the temperament.

      • KCI등재
      • KCI등재

        창의적 가정환경, 자아존중감, 또래유능성 간의 구조모형 관계연구

        유경훈 ( Kyoung Hoon Lew ),강순미 ( Soon Mee Kang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3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들의 창의적 가정환경, 자아존중감, 또래유능성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선 행연구들을 토대로 하여 각 변인들 간의 관계 및 설명력에 관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여 이를 검정하 는 것에 있다. 연구대상은 수도권의 유치원에 다니는 유아 182명의 자아존중감, 창의적 환경, 또래유 능성을 유아와 그들의 교사와 부모들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를 활용하였다. 그 결과 첫째, 유아의 창의적 가정환경, 자아존중감, 또래유능성의 하위변인들 간에는 의미 있는 상관이 있었으며 높은 정 적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연구모형을 설정하여 경험적 데이터를 활용하여 적합지수들을 비교 분석한 결과, 창의적 가정환경은 자아존중감과 또래유능성을 직접적으로 설명하고 있었으며, 자아존중감은 또래유능성을 직접적으로 설명해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among the creative environment, self-esteem and peer competence of preschoolers b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in confluence approach.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182 preschoolers, selected for a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Korea. In this study, Creative home environment(Oh & Choi, 2006), Self-esteem(Jee et al, 2003), Peer competence of preschoolers Test(Lee, 2011) were used.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by using SPSS 18.0 and AMOS 18.0.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ub factors of creative environment, Self-esteem, Peer competence were very positive relationship. Second, creative environment variables directly affected the children`s self-esteem and peer competence. Third, self-esteem variables directly affected the children`s peer competence.

      • KCI등재
      • KCI등재

        초등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학업적 효능감 및 학업성취 간의 관계

        유경훈(Kyoung-Hoon Lew)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아동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학업적 효능감과 학업 성취 간의 관계를 검증함으로써 교육현장에서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규명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초등학교 6학년 197명을 대상으로 자기주도 학습능력 검사, 학업적 자기효능감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학업성취도 점수를 수집하였다.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학업성취를 더 잘 설명하는 자기주도 학습능력 검사, 학업적 자기효능감 검사의 하위변인들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학업적 효능감과 학업성취는 정적인 상관이 있었으며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 취에서도 높은 정적 상관이 밝혀졌다. 회귀분석에 의한 설명력을 살펴보면 학업적 효능감에서는 자기조절 효능감과 과제난이도가 의미있게 설명하는 변인이었으며, 자기주도 학습능력에서는 자신의 학습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자기평가력과 스스로 학습을 선택하고 계획하며 자신의 과정을 확인하며 결과까지 평가하는 독립성 변인이 유의한 설명변인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학업성취를 높이기 위하여 교육현장에서 학업적 효능감과 자기주도학습의 이러한 변인들을 높이기 위한 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97 sixth grad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s amo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were significant. Second, among the variable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academic self-efficacy, self-confidence, preference for task difficulty, self-understanding of learner and independent mind of learning were positively related to academic achievement. These results imply the need for measures to increase these variables of academic efficac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the field of education in order to improv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 KCI등재

        초등 저학년 학생의 창의·정서 함양을 위한 통합 프로그램 개발

        유경훈(Kyoung-Hoon Lew)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5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창의·정서능력증진을 위한 통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실시되었다. 이 프로그램은 문제 해결에 필요한 창의적 사고 능력과 창의적 성격을 함양하고, 정서 표현 및 조절 능력을 길러 타인과 긍정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방법을 익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우선, 창의적 사고 요소로는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정교성, 상상력, 민감성과 창의적 성격의 호기심, 민감성향, 모험심, 유머, 독립심, 과제집착력, 문제해결리더십을 포함한다. 창의성을 계발시키기 위하여 선정된 창의성 기법은 강제결합법, 마인드맵, 브레인스토밍, 육색모자기법, 희망열거법, 스캠퍼기법, PMI기법을 활용하였다. 다음으로 정서 교육 요소로는 자기 및 타인 이해, 자기표현, 감정조절, 존중 및 협동의 4가지 요소를 추출하였다. 통합 프로그램은 총 12개의 주제 및 차시로 구성하였으며, 한 차시의 수업 시간은 초등교육과정과 같은 40분으로 설정하였다. 구성한 프로그램은 경력 10년 이상의 초등 현직 교사에 의해 모의 수업의 형태로 실시되었고,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 내용을 반영 후 수정 및 보완하여 최종 프로그램을 완성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integrated program to improve the creative and emotional ability of lower grade students. This program aimed to cultivate creative thinking and creative personality for problem solving, and to learn how to interact positively with others by developing emotional expression and control. Creative thinking ability includes 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elaboration, imagination, and sensitivity. Creative personality includes curiosity, sensitivity, adventure, humor, independence, task commitment, and problem solving leadership. We selected 6 creative thinking skills such as mind-map and brainstorming. Emotional factors consist of self /other understanding, control of emotional effect, self-expression emotionally, and respect for others for cooperation. The integrated program consisted of 12 themes, and the class time was set to 40 minutes, which is the same as the elementary curriculum. The program was conducted by a teacher with 10 years" experience.

      • KCI등재

        초중고 학생들의 개인창의성과 집단창의성 및 환경변인의 집단별 영향력 비교연구

        유경훈(Kyounghoon, Lew) 한국영재교육학회 2015 영재와 영재교육 Vol.14 No.1

        본 연구는 초중고 집단별로 개인창의성과 집단창의성 간에 의미있는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또한 개인창의성, 집단창의성, 가정환경, 교실환경 변인들 간의 구조모형을 검증하여 초중고 집단별로 경로계수가 다른지의 여부를 다집단분석을 활용하여 밝혀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초등학생 225명, 중학생 181명, 고등학생 329명으로 총 735명 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개인창의성과 집단창의성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집단창의성 점수가 개인창의성 점수보다 의미있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별로는 학교급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구조모형 검증의 결과는 가정환경은 개인창의성과 집단창의성에 의미있는 영향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실창의성은 집단창의성에 의미있는 설명력이 나타났다. 초등학생의 경우는 교실창의성이 개인창의성을 설명해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학생의 경우는 가정환경이 개인창의성을 의미있게 설명해주었으며, 고등학생의 경우 개인창의성이 집단창의성을 가장 잘 설명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creativity of an individual and a group level. Another purpose i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school level o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home environment, classroon climate, individual creativity, and group creativity using test of the structural model invariance across the group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25 elementary school student, 181 middle school students, 329 high school students, total 735 school student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the following: First, the present study proposed that the score of group creativity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a the score of individual creativity and the score of subfactors of creativity is different by the school level. Second, home environment directed affect individual creativity and group creativity and classroom climate directed affect group creativity. Classroom climate directed affect individual creativity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home environment directed affect individual creativity in middle school students, individual creativity directed affect group creativity in high school students.

      • KCI등재후보

        언어적 보상에 따른 아동의 창의성 프로그램 효과

        유경훈(Lew, Kyoung-hoon),박숙희(Park, Sook-hee) 한국영재교육학회 2009 영재와 영재교육 Vol.8 No.3

        보상이 창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그렇지 않은 가에 대한 상반된 견해가 오랫동안 대립해왔다. 그러나 이제는 보상이 효과가 있다 없다의 흑백론적 논의로서 보상을 사용할 것인가의 문제가 아니라 보상을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의 문제로 귀결된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연구를 통해 창의성을 신장시키기 위한 창의성 프로그램을 수행함과 동시에 언어적 보상을 실시한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3개 초등학교의 4학년 학생 350명으로 사전검사는 창의적 사고능력 검사(TTCT)와 창의적 인성검사(CPS)를 실시하였다. 3개의 집단으로 나누어서 한 집단은 창의성 프로그램과 언어적 보상을 제공하였고 다른 한 집단은 프로그램만을 실시하였으며 비교집단은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만을 측정하였다. 사후검사는 창의적 사고력과 창의적 인성을 측정하였다. 창의성 프로그램은 4주 동안 8차시에 걸쳐 실시되었으며 세 집단의 창의적 사고력과 창의성 인성점수에 있어 의미있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의성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창의적 사고력에 있어 유의한 증진효과가 나타났으며 언어적 보상을 함께 제시한 집단은 통제집단과 창의성 프로그램만을 실시한 집단과 비교할 때 창의적 사고력과 창의적 인성 모두에서 유의한 증진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교육현장에서 언어적 보상이 창의적 사고력과 창의적 인성에 어떠한 효과를 미칠 지와 앞으로 연구방향에 대해 제안하였다. The controversy over the effect of reward on creativity between cognitively oriented investigators and behaviorists. Finally, the conditions under which rewards can be effectively used in actual industrial sett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erbal feedback as a reward on children's creative thinking ability and creative personality. An 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ole of verbal feedback on 350 fourth-grade students. The tool used for measuring the research was the TTCT, CPS(Creative Personality Scale, Hah, 2001)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COVA analysis to convincing verification between the groups into practice by using SPSS 14.0 program.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xecute creative program have significant effect on the students creative thinking ability, but not on creative personality. Second, Verbal feedback have significant effect on the students' creative personality. The value of this research is, as we seeing how the verbal feedback affect students' creative thinking ability and creative personality either. And offering the data that gives us how to use verbal feedback at education. In brief, it is desirable that we give more verbal feedback like as praise, encouragement, assent for evaluation in creative thinking ability, and have much more effectiveness on creative personality.

      • KCI등재

        초등 고학년 학생의 창의·정서 통합 프로그램 개발

        유경훈(Kyoung-Hoon Lew)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23 Global Creative Leader Vol.1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들의 창의·정서 함양을 위한 통합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학생들의 문제해결 능력에 필요한 창의성을 함양하고, 정서지능 발달을 증진시켜 자신의 감정을 잘 표현하며, 타인과의 협동능력을 길러 상호작용 역량을 함양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수업구성 내용은 총 10차시이며, 한 차시의 수업 시간은 초등 교육과정과 동일하게 40분으로 설정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교사 2인과 창의성 박사 연구자 2명이 선행연구 고찰과 함께 초등학교 고학년의 발달수준 및 교육과정 내용에 부합하는 프로그램 내용을 개발한 뒤 내용타당도를 검증한 후, 초등학교 고학년 담임교사 2인에게 적합성을 검증하여 초등학교 고학년을 위한 창의·정서통합 프로그램을 완성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창의성 발달을 위하여 창의적 사고와 창의적 성격 요인을 계발하기 위한 마인드맵, 브레인스토밍 등의 확산적 사고기법을 활용하였고, 정서지능 교육 요인으로는 자기와 타인이해, 자기표현, 감정조절, 존중 및 협동 요소를 포함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integrated program cultivating creativity and emotion that fosters creativ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develop their emotional expression, cooperative ability and interactive ability. The contents of the class consisted of a total of 10 sessions, and the class time for each session was set at 40 minutes, the same as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In this program, thre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wo researchers with doctoral creativity developed program contents that match the developmental level and curriculum contents of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long with previous research. After verifying the validity of the content, the determination was that it was appropriate for two upper elementary school homeroom teachers to complete the creative and emotional integration program. This program utilized divergent thinking techniques such as mind maps and brainstorming to develop creative thinking and creative personality factors for creativity development. Emotional intelligence education factors include understanding self and others, self-expression, emotion regulation, respect and cooperative ele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