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식품의약품안전처 SESSION : 식품 중 농약 안전관리 제도의 국제 동향

        우희동 ( Hee Dong Woo ),신유정 ( Yoo Jung Shin ),이중근 ( Joong Keun Lee ) 한국환경농학회 2013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3 No.-

        글로벌화 되고 있는 식품산업 환경에서 요구되는 식품안전 확보에 필수적인 잔류농약 안전관리 국제화 방안 마련을 위해 국제사회의 식품 중 잔류농약 안전관리 제도를 조사분석 하였다. 식품 중 잔류농약의 안전한 관리를 위한 CODEX (국제식품규격위원회) 및 주요 국가의 활동을 파악하기 위해 2013년 5월 개최된 the 45th CODEX Committee on Pesticide Residue (CCPR)의 아젠다 및 주요 회의결과를 분석하였다. 주요 아젠다 중 ``6(a)-Draft and Proposed draft maximum residue limits for pesticides in foods and feeds at step 7 & 4``의 회의결과, 국내에서 제출한 자료를 토대로 Azoxystrobin의 인삼에 대한 MRL을 확정하였고, ``10-Revision of the Risk Analysis Principles applied by the Codex Committee on Pesticide Residues``의 회의결과는 주기적인 검토 대상 성분 관련 내용을 제외한 위험도 분석 (Risk Analysis) 원칙을 세부적으로 검토하여 수정 내용을 다음 단계로 진행하였다. ``12(a)-Outcome of the Pilot Project for JMPR Recommendation of MRLs Before National Governments or other Regional Registration Authorities for a Global joint Review Chemical``에 대한 회의에서는 MRLs의 신속한 국제조화에 필요한 JMPR 및 관련 국가의 자 료심사를 위해 2011년 진행한 Sulfoxaflor에 대해 논의하였다. Pilot Project 수행 및 Joint Review 의 진행 경과는 효율적인 것으로 보고되었고, 일부 국가별로 등록 및 심사 단계의 상이함을 제시 하였다. 그리고 식품 중 잔류농약의 위해평가의 근거자료를 보다 정확하게 산출하기 위해 수행하 는 국가별 농약 사용량 조사 및 식품 중 잔류농약 노출량 평가 방법을 분석하였다. OECD는 농약 사용량 조사를 위한 조사대상 선정방법 및 분석방법 등이 포함된 지침을 수립하여, 조사를 통해 농약 사용 작물 재배 면적, 농약 사용 작물의 비중 등의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미국과 캐나다는 보다 과학적인 잔류농약 노출량 평가를 위해 Percent Crop Treated (PCT)의 통계적 추계방법 확립을 목적으로 하는 공동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에서 주기적으로 과채류, 과수, 벼 및 엽채류에 대해 대표 농가를 선정해서 농약 사용량을 조사하고 있다. 그리고 식품 중 잔류농약 위험도 평가 (Risk Assessment)의 과학화를 위해 국내에서 개발한 식 품 원재료 섭취량 산출 프로그램 및 잔류농약 노출량 산출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유지보수하고 있다. 추후 본 조사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식품 중 잔류농약 안전관리의 국제화 방안을 수립하고 제시할 계획이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마우스 및 랫드에서 botulinum toxin type A의 단회 및 28일 반복투여 독성시험

        전태원,김지영,현선희,김남희,이상규,김춘화,우희동,양기혁,정현호,정태천,Jeon, Tae-Won,Kim, Ji-Young,Hyun, Sun-Hee,Kim, Nam-Hee,Lee, Sang-Kyu,Kim, Chun-Hwa,Woo, Hee-Dong,Yang, Gi-Hyeok,Jung, Hyun-Ho,Jeong, Tae-Cheon 대한수의학회 2003 大韓獸醫學會誌 Vol.43 No.1

        Single and 28-day repeated dose toxicity studies of botulimnn toxin type A were carried out in ICR mice and Sprague-Dawley rats, respectively. In the single dose toxicity study, botulinwn toxin was injected intraperitoneally to male and female mice at a single dose of 40, 59, 89 133 and 200 ng/10 ml saline/kg. All animals died from 59 ng/kg group. Some clinical signs, such as decrease in locomotor activity, dyspnea, prone position and ptosis, were observed in most of both sexes from 59 ng/kg group, but no signs were seen in all animals at 40 ng/kg group.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edian lethal dose of botulinum toxin might be in the range of 40-59 ng/kg in both sexes. In the repeated dose toxicity study, the test material was administered intradermally for 28 days at doses of 0 (vehicle-treated control), 1.25, 2.5, 5.0 and $10.0ng/head/50{\mu}{\ell}$ saline in male and female rats. No test material-related changes were noted in survivals, clinical signs, food and water consumptions and gross finding in any group. Botulinum toxin treatment significantly decreased the body weight gain rate in male of 5.0 ng/head group and over and in female of 10.0 ng/head group compared to vehicle-treated control. One or more relative organ weights (i.e., spleen, thymus, liver and kidney)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5.0 ng/head group compared to vehicle-treated control in both sexes. Serum biochemistry revealed increases in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creatine phosphokinase, total protein and albumin in male, and increases in AST and ALT and decreases in $K^+$ and $Cl^-$ in female without dose-pendent manners. In the histopathological study, physical stimulation by needle caused slight inflammations of dennis. In addition, botulinum toxin treatment induced denervation of nerve cell and disuse of muscle, resulting in atrophy of skeletal muscle in both sexes from 2.5 ng/head group. When the antibodies to toxin were determined in all animals, a significant increase in serum antibodies was observed from 5.0 ng/head group.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OAEL of botulinum toxin might be 1.25 ng/head for 28-day repeated dose toxicity in rats.

      • KCI등재

        미세캡슐화 마늘분말의 안정성 및 관능특성

        이창민 ( Changmin Lee ),김영은 ( Yeong Eun Kim ),우희동 ( Hee Dong Woo ),고상훈 ( Sanghoon Ko ) 한국산업식품공학회 2015 산업 식품공학 Vol.19 No.4

        본 연구에서는 마늘 특유의 매운 맛과 냄새를 억제하고 대표성분인 alliin을 보호하기 위해 코팅물질과 건조방법을 달리하여 미세캡슐화하였다. 코팅물질은 말토덱스트린(MD), 분리유청단백질(WPI), 전지분유(WMP), 탈지분유(SMP)로 하고 건조방법은 분무건조(spray-drying)방법과 동결건조 (freeze-drying)방법을 이용하여 캡슐화 후 코팅물질 별, 건조방법 별 alliin 보호특성, 관능특성 그리고 분산성을 알아보았다. 코팅물질을 증류수에 완전히 분산시키기 위해 24시간 동안 교반한 후 동결건조 마늘분말을 천천히 첨가하였다. 1:1 비율의 동결건조마늘분말과 코팅물질을 혼합한 용액을 균질기를 이용하여 균질화하고, 분무건조기 또는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코팅물질을 달리하여 분말화하였다. 미세캡슐화된 마늘분말의 추출물을 HPLC로 alliin 함량을 정량 분석하였다. HPLC 분석결과 전지분유를 코팅물질로 하고 분무건조방법으로 캡슐화한 마늘분말의 alliin함량이 4.131 mg/g으로 최대함량을 보였으며, 관능평가 결과로서 코팅물질을 분리유청단백질로 하고 분무건조방법으로 캡슐화한 마늘분말이 매운 맛과 냄새를 억제하는데 효과적이었다. 또한 혼탁도 측정을 통한 캡슐화된 마늘 분말의 분산성을 측정했을 때, 전지분유로 캡슐화한 마늘분말의 안정성이 가장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코팅물질 중 유지방과 단백질이 황화합물에서 발생하는 특유의 매운맛과 냄새를 억제해주며 alliin의 보호에도 기여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실험결과, 지표물질 보호특성, 이취개선 등의 기초자료는 기능성 식품 산업에 있어서 마늘 소재 개발을 위한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encapsulate lyophilized garlic powder with various coating materials for reducing its unpleasant taste and odor and to investigate their physiochemical and taste masking properties. All coating materials used in this study were edible ones such as maltodextrin (MD), whey protein isolate (WPI), whole milk powder (WMP), and skim milk powder (SMP). To produce encapsulated garlic powders, lyophilized garlic powder was mixed with coating materials at the ratio of 1:1 followed by homogenization for 30 min, and then spray- or freezedried. Physiochemical property measurements and quantitative analyses were carried out for the encapsulated garlic powders. Encapsulated garlic powder using WMP with spray drying method showed the highest alliin concentration (4.131 mg/g) compared to those coated with other coating materials. Sensory evaluation showed that encapsulated garlic powder using WPI and WMP reduced unpleasant garlic taste and odor effectively. Milk fats in the WMP and hydrophobic chains of the proteins in WPI might bind with volatile and hydrophobic odor emitting molecules. In the evaluation for aqueous stability, encapsulated garlic powder using WMP showed better stability compared to others. This garlic taste and odor masking study can contribute to a number of possible health benefits by adding garlic powder to a wide variety of functional foods.

      • KCI등재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한 고령친화관련식품부문의 타산업 파급효과에 관한 연구

        진현정(Hyun-Joung Jin),김병용(Byeong-Yong Kim),우희동(Hee-Dong Woo) 한국산업경제학회 2013 산업경제연구 Vol.26 No.3

        본 연구에서는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하여 고령친화관련 중심적인 식품군이 될 가능성이 높은 특수용도 식품과 건강기능식품부분이 타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그 크기를 전체식품산업의 영향력과 비교하였다. 현재 한국은행에서 제시된 산업연관표 상에서 특수용도식품/건강기능식품들을 포함하고 있는 76-기타식료품을 외생화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전체식품부문과 고령친화관련부문을 비교하기 위해, 관련 전문가 8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기타식료품부문과 특수용도/건강기능 식품의 부가가치와 고용 창출 그리고 타산업에 미치는 파급효과에 대한 의견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보면, 전체음식료품부문은 농림수산부문에 가장 많은 생산을 유발하고, 다음으로 화학제품, 도·소매, 부동산 및 사업서비스, 석유 및 석탄제품, 운수 및 보관, 광산품 순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타식료품부문은 전체음식료품에 가장 많은 생산을 유발하고, 다음으로 농림수산부문, 화학제품, 부동산 및 사업서비스, 석유 및 석탄제품, 광산품, 운수 및 보관, 도·소매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체식료품부문보다 기타식료품부문이 타산업에 미치는 생산, 부가가치, 고용유발효과 모두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문가 설문조사 결과 특수용도식품/건강기능식품이 기타식료품 평균보다 타산업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크다는 의견이 나타났다. 따라서 이는 특수용도식품/건강기능식품의 파급 효과가 전체식료품부문의 평균적인 파급효과보다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ripple effects of the sectors of foods for special dietary uses and health functional foods that would be main products for foods-for-elderly, using the input-output model. Further, the effects were compared to those of the entire food industry. Research questions in this study are 1) which industry will be the most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growth of the foods-for-elderly sector and 2) whether or not the production inducement effects by the foods-for-elderly sector surpass those by the entire food industry. Results show that the entire food and beverage industry has the highest ripple effect on agriculture, followed by chemicals, wholesale and retail, real estate and business services, petroleum and coal products, transport and storage, and mining products. The other-groceries sector has the highest ripple effect on the entire food and beverage industry, followed by agriculture, chemicals, real estate and business services, petroleum and coal products, mining products, transportation and storage, and wholesale and retail. Results further suggest that the sizes of production inducement, employment inducement, value-added inducement effects of the other-groceries sector exceed those of the entire food and beverage industry. The results of the survey toward experts in the food sector present that the ripple effects of the special dietary uses and health functional foods are larger than those of the other-groceries sector. It therefore suggests that in terms of the ripple effect, the special dietary uses and health functional foods that would be the main items for foods-for-elderly are superior to the entire food industry.

      • KCI등재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한 식품 섭취량 산출 방법 개발: 들깻잎 섭취량을 중심으로

        김승원 ( Seung Won Kim ),정준호 ( Jun Ho Jung ),이중근 ( Joong Keun Lee ),우희동 ( Hee Dong Woo ),임무혁 ( Moo Hyeog Im ),박영식 ( Young Sig Park ),고상훈 ( Sang Hoon Ko ) 한국산업식품공학회 2010 산업 식품공학 Vol.14 No.4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 1998년(제1기)부터 2008년(제4기 2차) 조사까지 총 5기의 식품섭취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들깻잎, 생것`, `들깻잎, 데친것`, `들깻잎, 찐 것`, `들깻잎, 통조림`의 섭취자 및 섭취량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였다. 특히,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식품 섭취량 자료로부터 합리적이고 객관적으로 들깻잎 섭취자의 수 및 섭취량을 산출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들깻잎의 섭취량에 대한 분석은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전체 응답자의 평균 섭취량(응답자 평균 섭취량), 들깻잎 섭취자의 평균 섭취량(섭취자 평균 섭취량), 상위 5%의 극단 섭취자의 평균 섭취량(극단 섭취량), 남성 및 여성의 평균 섭취량, 20세 미만과 20세 이상의 평균 섭취량의 5가지의 항목으로 구분하여 분석되었다. 들깻잎 섭취자의 수 및 섭취량을 분석한 결과 들깻잎 섭취자의 수는 조사연도별로 균일한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1일 7-10명 중 1명이 들깻잎을 섭취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남성과 여성의 섭취자 비율은 여성이 남성에 비해 평균 1.22배 더 많았다. 응답자 평균 섭취량은 2.20 g이었으며, 섭취자의 평균 섭취량은 2005년에서 가장 높았고(21.40 g), 1998년과 2008년에 비하여 0.24 g 정도 증가하였다. 대부분의 조사연도에서 남성의 섭취량이 여성에 비해 높았고, 20세 미만의 섭취량은 전체적으로 20세 이상 섭취량보다 낮았다. 극단 섭취량 1998년에서 2005년까지의 섭취량이 평균 78.02 g으로 높았지만, 2007년과 2008년에는 평균 55.58 g로 낮아졌다. 들깻잎 섭취형태를 분석한 결과 `들깻잎, 생것`, `들깻잎, 통조림`, `들깻잎, 데친것`, `들깻잎, 찐것` 순으로 응답자 수 및 섭취량순위가 결정되었다. 그 중 `들깻잎, 데친것`, `들깻잎, 찐것`의 데이터가 충분치 않아 결과가 좋지 않게 나왔다. 또한 국민건강영양조사 식품 섭취량 데이터는 2007년부터 상시 조사를 시작하였으며, 그 이전에는 시행된 연도에 따라 조사 기간 및 계절이 1998년과 2001년에는 11-12월, 2005년에는 4-6월로 일관되지 않았기 때문에 연간 일일 섭취량을 판단하는데 한계가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확대하면 들깻잎 이외의 다른 농산물, 축산물, 수산물 및 이들의 가공품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식품의 섭취량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는 농축수산물 및 가공식품을 통해 의도 또는 비의도적으로 섭취하는 화학 잔류물질의 위해성 평가를 위한 좋은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The safety and security of food supply should be one of the primary responsibilities of any government. Estimation of nation`s food commodity intakes is important to control the potential risks in food systems since food hazards are often associated with quality and safety of food commodities. The food intake databases provided by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are good resources to estimate the demographic data of intakes of various food commodities. A limitation of the KNHANES databases, however, is that the food intakes surveyed are not based on commodities but ingredients and their mixtures. In this study, reasonable calculation strategies were applied to convert the food intakes of the ingredients mixtures from the KNHANES into food commodity intakes. For example, Perilla leaf consumed with meat, raw fish, and etc. in Korean diets was used to estimate its Korean intakes and develop algorithms for demographic analysis. Koreans have consumed raw, blanched, steamed, and canned perilla leaf products. The average daily intakes of the perilla leaf were analyzed demographically, for examples, the intakes by gender, age, and etc. The average daily intakes of total perilla leaf were 2.03±0.27 g in 1998, 2.11±0.26 g in 2001, 2.29±0.27 g in 2005, 2.75±0.35 g in 2007, and 2.27±0.20 g in 2008. Generally, people equal to or over 20 years of age have shown higher perilla leaf intakes than people below 20. This study would be contributed to the estimation of intakes of possible chemical contaminants such as residual pesticides and subsequent analysis for their potential risk.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