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범대학 교직과목에 대한 교수와 학생 인식 비교

        우한솔(Hansol Woo)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5 교육과학연구 Vol.46 No.2

        This study aimed to analyze prospective teachers’ percep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profession courses and practice. Data were collected by carrying out a survey targeting 2,231 students and 60 faculty members in colleges of education. This survey was developed to analyze the participants" perception of the instructions in the teaching profession courses. To analyze the survey, two statistical tests were used: cross-tab analysis and independent two samples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i) the faculty of the teaching profession courses emphasized the theoretical and conceptual contents rather than practical knowledge; and ii) students responded that their learning outcomes with regard to theoretical contents are questionable. In other words, there are inherent gaps between teaching and learning in instruction. Based on the results, the faculty should make efforts to bridge the teaching-learning gaps albeit under constraints from situational factors. Also, they should justify why prospective teachers need to learn educational theory. Furthermore, teaching profession courses need to provide a practical curriculum for pre-service teachers. In conclusion, more flexible approaches for teaching profession courses ― breaking down barriers between education and subject-matter education ― are required to prepare influential teachers.

      • KCI등재
      • KCI등재

        대학 단위 외적 책무성 기제가 교수 연구 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김승정(Kim, Seung-Jung),우한솔(Woo, Han-Sol) 한국교육행정학회 2014 敎育行政學硏究 Vol.32 No.2

        국가 경쟁력 제고를 위한 고등교육 기관의 지식 생산과 교육 역량의 강화가 요구되면서 대 학의 책무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기 시작하였다. 이 연구는 대학의 외적 책무성 기제 중 정치 적, 관료적 책무성 기제로서 교수업적평가와 성과급적 연봉제의 활용 현황을 알아보고, 이들이 교수 연구 성과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검증해 보았다. 첫째, 교수업적평가는 재임용, 재계약, 승진, 정년보장에 활용되어 직업 유지의 최소한의 책무 조건으로 기능하고 있었으며, 구체적인 평가 지침은 대학별로 상이하였으나, 활용 면에서는 대학별 차이가 거의 없었다. 교수업적평가 의 활용 정도는 국제 학술지(SCI/SCOPUS) 수 증가에 영향이 있었으나 국내 학술지에는 별다 른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둘째, 성과급적 연봉제는 보수 체계의 변화를 통하여 교수의 책임과 실적을 높이기 위한 기제로 작용하며 국공립대학과 일부 사립 대학교를 중심으로 활용되고 있 었다. 성과급적 연봉제의 효과는 2011·2012년도에 국내 학술지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국제 학술지(SCI/SCOPUS)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이중차분모형(DID)을 활용하여 성과급적 연봉제의 실시 전후를 비교해 본 결과 유의한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외적 책무성 기제 중 승진과 임용을 위한 업적평가는 교수의 연구 성과를 높인다고 볼 수 있으나 성과급적 연봉 제는 오히려 연구 성과의 질적 하락을 가져온다고 해석할 수 있다. 추후 지속적으로 연구 성과 자료를 활용하여 정책의 효과를 엄밀하게 재평가해야 할 것이다. Universities in South Korea have started to adopt performance-based assessment policies since social demands for accountability of higher education increas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urrent situations and the effects of the performance-based annual salary and the faculty evaluation policies on research performance in the universities. Data was collected by coding salary system and assessment policies from each universities rule books. We coded 112 universities except universities with professional and specific missions and universities not to open their rule books to the public. As a result, the evaluation of academic works are used in rehiring, renewal, promotion, and tenure of faculties. I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research performance of SCI(SCOPUS). Second, Performance-based salary system have differences between universities and works as mechanism that increases the research performance of the faculties in 2011 and 2012 with multiple regression model, but it does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by using DID(difference in difference) model. These results could be interpreted as external rewards don’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motivation for research and quality of research in faculties. This research have limitations that the data is aggregated data of university level. And, it need to reevaluate the external accountability polices with research performance data in a few years.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에서 운영하는 대학생 대상 장학금 지원 사업의 쟁점 및 개선방안

        정성수(Jung Sung Soo),김훈호(Kim Hoon Ho),이호준(Lee Ho Jun),우한솔(Woo Han Sol)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6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5 No.2

        본 연구는 지자체가 출연하는 대학생 대상 장학금 지원 사업의 운영 현황 및 주요 쟁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83개 지자체 출연 장학재단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지자체와 한국장학재단, 대학 등의 장학금 사업 관계자 13명을 면담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지자체의 경제적 여건에 따라 출연한 장학금의 규모가 달랐으며, 장학금 사업 운영 일정이나 신청자 모집, 장학금 수혜 대상자 선발, 장학금 지급 및 전달 방식, 이중지원방지시스템 등록 여부 등에서도 상당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런 차이는 지자체 장학금 지원 사업의 '형평성'이나 장학금 사업 운영의 '효율성', 장학금 지원의 '투명성' 및 '충분성' 측면에서 다양한 쟁점들을 유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장학금 수혜의 형평성을 제고하기 위해 정부 및 한국장학재단과 지자체 출연 장학재단이 장학금 신청 학생의 소득분위 정보 및 장학금 수혜 정보를 공유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장학금 사업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통합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필요하며 장학금 지원 대상자 선발 및 지급 시점을 새로운 학기 시작 전으로 조정할 필요가 있다. 셋째, 장학금 사업의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해 지자체 출연 장학재단이 정부의 이중지원방지시스템에 참여하도록 관련 사항을 법제화할 필요가 있다. 넷째, 장학금 지원 규모의 충분성을 확보하기 위해 지원 범위를 학생의 등록금뿐만 아니라 생활비 지원까지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on the actual condition and current issues of college student financial aid programs from local governments in Korea, and to elicit improvement plans. In order to analyze the research questions, survey which was targeted for 83 local governments were distributed and in-depth analysis was made through interviewing 13 personnels who are in charge of financial aid programs in various stakeholder including local governments, KOSAF(Korean Student Aid Foundation) and universities. As a result, the current issues of student financial aid program from local government are as follows: First, the amount of financial aid differs by economic status of local governments. Second, each local government has different schedules and methods for recruitment, selection, payment, enrollment on the government's double support prevent system, and assessment. It was found that such kinds of differences are causing problems related to issues regarding equity, efficiency, transparency, and sufficiency of financial aid. Based on the analysis of this study, suggestions to local governments' financial aid program are as follow: First, in order to verify information on financial aid program recipients more efficiently and appropriately, further data on quantiles of household income, student grades, and student's financial aid record needs to be provided. Second, a centralized, integrated database system is needed to achieve holistic approach of the financial aid program. Also, the study suggests that it may be useful to adjust selection and payment schedules before the semester begins to achieve more effectiveness. Third, in order to guarantee equity and transparency of financial aid programs, official reporting system needs to be legally institutionalized for local governments to prevent double payment error. Finally, to secure sufficient effect of financial aid to the recipients, institutions should consider supporting living expenses of university students and tuition fees as well.

      • KCI등재

        한국 대학의 개발교육 사례분석

        박환보(朴桓甫),최정윤(崔禎允),김안나(金安?),길혜지(吉惠芝),정연내(鄭然內),우한솔(Woo, Hansol)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5 아시아교육연구 Vol.16 No.1

        이 연구는 KOICA의 대학교 국제개발협력 이해증진사업(이하 이해증진사업)을 중심으로 대학 내에서 이루어지는 개발교육 교육과정의 내용과 운영 실태를 분석하고, 향후 대학의 개발교육에 주는 시사점에 관해서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선, KOICA ODA 교육원의 내부 자료와 국가 수준의 고등교육 통계자료를 통해 2009년부터 2013년까지의 교과목 개설 및 수강생 현황을 개괄하고, 2013년도 사업에 참여한 대학의 결과보고서를 토대로 각 대학 교육과정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수강생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담(Focus Group Interview, FGI)을 실시하여, 수강생이 교육과정에 대해서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이해증진사업을 통해 국내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개발교육이 확대되어 왔으나, 여전히 대학 수준에서의 개발교육 기회는 부족하였으며, 특히 지방소재 대학일수록 교육기회의 격차가 심하게 나타났다. 둘째, 이해증진사업 교과목을 통해 학생들의 국제개발협력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졌지만, 개발교육의 내용이 국제개발협력 인지제고 및 홍보에 편중되어 있고 다양한 개발교육의 이슈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었다. 셋째, 이해증진사업 교육과정은 대학별로 거의 차이가 없었지만, 강의내용의 깊이와, 강사진의 역량, 해외현장활동과의 연계 정도 등에는 대학에 따라 편차가 존재했다. 이러한 개발교육 기회의 격차는 개발교육 관련 특강, 행사 및 기관 등이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고, 지방에는 이에 대한 정보의 접근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대학별 교육과정이 거의 유사하게 나타나는 것은 이해증진사업 교과목이 ODA재원으로 개설되어, 교과목 내용 구성 및 운영이 행·재정적 제약을 받는 태생적인 한계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해증진사업 관계자와 교과목 담당교수는 개발교육의 분명한 철학과 장기적인 비전을 토대로 개발교육의 교과과정을 심화·발전시키고, 각 대학에서도 교양강좌의 개설을 통해 개발교육 기회와 저변을 확대하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courses in development education offered by 57 Korean universities that participated in the "Development Awareness Program" of KOICA from 2009 to 2013, thereby suggesting how to improve development education. To achieve this goal, this research analyzed the status of course offerings and enrollment in development education, using the KOICA ODA data and the national statistical data of higher education. This research also analyzed characteristics of curricular of development education courses, drawn from the final reports prepared by 43 Korean universities that participated in the 2013 KOICA program.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students" perspectives on the course offering including the structure and content of the curriculum in development education as well. Findings from this research show that the development education courses through the KOICA program have contributed to enhancing college students" awareness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Yet, learning opportunities are still limited, particularly at the universities located in the Non-Seoul Metropolitan Area. According to the research findings, development education courses are limited in that they do not fully address diverse issues of international develop cooperation. Lastly, while most of the curricula displayed high level of similarities, the depth of the courses and the level of expertise of lectures still vary across universities. These discrepancies among universities reflect limited funding resources and information available for the universities located in the Non-Seoul Metropolitan Area. These discrepancies also partly result from that development education courses are offered at universities mostly through a limited channel including the KOICA program.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research suggests that goals and visions of development education as well the curriculum of development education should be elaborated. It is also suggested that individual universities make efforts to expand learning opportunity of development education by opening new development education courses as a part of liberal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