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학생과 일반학생의 단어인지 특성 및 하위 변인간의 관계 연구

        우이구 ( Woo Yi Gu ),신은선 ( Shin Eun Sun ),김동규 ( Kim Dong Kyu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7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8 No.2

        읽기는 글을 바르게 읽고 이해하는 일로, 능숙한 독자가 되기 위해서는 먼저 단어인지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다문화학생의 단어인지 특성 및 하위 변인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교 다문화학생과 일반학생의 단어인지 및 음운인식과 음운기억의 특성을 비교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1∼6학년의 다문화학생(36명)과 일반학생(48명), 총 84명을 대상으로 음운 인식, 음운기억 및 단어인지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다문화학생은 일반학생에 비해 음운인식, 음운기억 및 단어인지 능력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둘째, 음운기억과 음운인식, 음운인식과 단어인지 및 음운기억과 단어인지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설명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 초등학생의 읽기지도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number of multicultural students are increasing in Korea and they are difficult to reading. The phonological awareness, phonological memory and word recognition ability are basic skills in read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phonological awareness, phonological memory and word recognition ability between multicultura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Second, to know the relationship between phonological awareness, phonological memory and word recognition. For this study, 84 elementary school students(36 multicultural students and 48 general students) were employed and tested by phonological awareness test, phonological memory test and word recognition test. The data analysis method were two-way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bilities of multicultural students were lower than general students in phonological awareness, phonological memory and word recognition.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phonological awareness, phonological memory and word recognition was significant. The phonological awareness and phonological memory were explanatory variables of word recognition. Based on this results, some suggestions were provided for teaching reading to multicultural students

      • KCI등재

        전국 장애학생 e페스티벌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우정한 ( Woo Jeong-han ),김동규 ( Kim Dong-gyu ),우이구 ( Woo Yi-gu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7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6 No.3

        본 연구는 2003년에 시작되어 2017년 15회째를 맞이하고 있는 전국 장애학생 e페스티벌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특수교사 249명을 대상으로, 전국 장애학생 e페스티벌 대회 준비과정, 성과 및 발전방안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전국 장애학생 e페스티벌 대회 준비과정에서 대회 참여 권유자는 지도교사가 가장 많았고, 대회 참여 이유는 장애학생의 정보화 능력 향상을 위해서였다. 둘째, 대회 성과로는 장애학생의 정보화 능력 및 여가생활이 향상되었고, 장애인식도 개선되었다. 셋째, 대회 발전방안으로는 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계된 종목의 개발 및 교사 참여와 학생 참여 활성화 등이었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향후 전국 장애학생 e페스티벌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warenes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bout the national e - festival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ich began in 2003 and is celebrating its 15th anniversary in 2017. For this study, 249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employed to examine awareness about the preparation process for the e-festival, the outcomes of the e-festival, and the development plans of the e-festival by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in the preparation process for the e-festival domain, person who solicited participation in the e-festival were mostly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he reason for participation was to improve the information ability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Second, the outcomes of the e-festival are improvement of information ability and leisure lif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 recognition of the disabled were also improved. Third, development plans of the e-festival are the development of the e-festival items connected with the school curriculum, and the revitalization of participation of teachers and students with disabilities. Based on these results, we proposed implications and development plans for the mor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national e-festival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 information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한국의 장애학생 스마트러닝 지원 정책 현황과 향후 과제

        노선옥 ( Roh Seon-ok ),우이구 ( Woo Yi-gu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6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8 No.4

        연구목적: 장애학생 스마트러닝 지원 정책과 그 추진 현황을 살펴보고, 향후 장애학생 스마트러닝 지원 정책 방향을 발견한다. 연구방법: 장애학생의 스마트러닝 지원과 관련하여 2011년부터 2016년까지 발표된 정부의 정책 중 인재대국으로 가는 길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 장애학생 스마트러닝 지원 계획, 교육정보화 기본계획, 국가정보화 기본계획, 장애인종합발전 5개년계획 등 5종을 선정하여 장애학생 스마트러닝 지원 내용을 분석하였다. 정책 수행 현황은 특수교육 연차보고서, 교육정보화 백서, 국립특수교육원 사업계획 및 사업운영결과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장애학생 스마트러닝 지원 정책은 2011년 이후 본격적으로 추진된 후 2014년까지는 주로 국립특수교육원을 중심으로 장애학생의 스마트러닝 지원을 위한 기반 구축 사업이 주로 추진되었으며 현재는 국립특수교육원의 콘텐츠 개발 및 감각장애학생의 지원 강화, 시도교육청의 기기 보급, 스마트교실 설치, 교사 역량 강화 등으로 확대되고 있으나 강화되거나 확대되어야 할 과제들이 여전히 남아 있다. 연구의 과정과 결과를 통해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결론: 장애학생들의 스마트러닝의 원활한 추진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문제점의 개선이 필요하다. 첫째, 장애학생을 위한 스마트러닝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서는 스마트기기의 보급과 스마트교실의 설치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하여 교사와 학생 1인 1기기는 물론 인터넷 회선의 확보 및 장애학생을 위한 통신장비 이용료 등의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스마트러닝을 위한 특수교육 영역의 콘텐츠의 개발을 확대하고 강화하여야 한다. 특히 표준화된 콘텐츠의 개발과 특수교육 교육과정에 따른 디지털 교과서 개발의 타당성을 검토하는 한편 교과 이외의 활동에 대한 콘텐츠의 개발 역시 확대될 필요가 있다. 셋째, 특수교육 교육자들은 보다 적극적인 입장에서 스마트러닝을 통한 교수-학습방법을 정의하고, 그에 따른 추진 전략의 마련 및 지원 노력을 필요로 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tasks to achieve for smart learning support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Method: For this study, five policies and three kinds of result reports were to choose and analyze. Results: The policies are knuckling down to from 2011 up to now. National Institute of Special Education was centered around those policies propulsion from 2011 to 2014 to perform basic researches, to develop contents, to improve web-accessability and to manage the advisory panel. After 2015, the offices of education are taken an active parts in the support. Despite their efforts, more tasks to achieve are still remaining. Conclusion: First, physical environment constructing for activated smart learning will be need by smart devices support to the teacher and smart class establishment. Second, in case the contents for smart learning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will be developed, the standards for applying the universal learning design will be prepared. Third, contents of special education will be widen and strengthening for smart learning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Finally, the efforts to improving competency of teachers will be needed for successful smart learning support.

      • KCI등재

        ICT의 효율적 적용을 위한 지원 방안

        김용욱 ( Yong Wook Kim ),우이구 ( Yi Gu Woo ),김영걸 ( Young Gul Kim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1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 No.3

        최근의 발달된 정보통신기술과 정부 주도로 진행된 ‘교육정보화사업’ 및 ‘교단선진화사업’의 결과 초·중등학교에는 전산망 구축과 이에 맞는 멀티미디어 기자재의 보급으로 인해 교육의 물리적인 환경이 첨단 공학화 되고있다. 따라서 일반교육현장에서는 이러한 디지털인프라를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방안으로 정보통신기술(ICT)활용 교육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특수교육현장에서는 디지털 교수·학습 환경이 특수교육대상자의 욕구와 장애영역별 특성이 고려되지 못한 체, 일반교육과 거의 동일한 형태로 제공되었기 때문에 ICT활용 교육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수교육현장에서 첨단교육공학 인프라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ICT교육과 ‘접근권’을 보장하는 보조공학기기의 지원이 절실히 필요하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이에 대한 국가차원의 지원방안과 특수교육이 중심적으로 이루어지는 특수학교에서의 학교장과 교사가 해야 할 역할과 지원방안을 구체적인 활용예시와 함께 살펴보았다. During last several years,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ICT) and ``Education Information Project`` and ``School Advancement Project``, the government has propelled the construction of information network including internet and intranet at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over the nation. In these days, it seems that almost every school in the nation has been facilitated with state-of-art technologies. In addition, with supplying multimedia tools to school field, such physical environment of education is more becoming with advanced technology. And at the same time, the ICT application to education has been being emphasized for effective use of digital infrastructure of education field. However, the digital teaching·learning infrastructure in the special education was facilitated with nearly the same type of technologies at general education. Since the computer facilities such as space and arrangement of computer room, appropriate software and hardware, and assistive devices for access were not properly supplied with considering special needs and characteristics of disabilities, the ICT has not been actively practiced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In order to apply ICT effectively at special education field, the ``accessibility`` should be preceded with providing assistive technology as well as cutting-edge computer technolog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suggest possible supporting plans regarding ICT application and assistive technology from the government and from principles and teachers of special school where special education is mainly practiced.

      • KCI등재

        보편적 학습설계 가이드라인 2.0과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1 비교연구

        김남진 ( Kim Nam-jin ),이학준 ( Lee Hak-jun ),우이구 ( Woo Yi Gu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7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8 No.2

        이 연구는 UDL 가이드라인 2.0과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1을 내용요소별로 살펴봄으로써 웹을 통한 UDL의 실현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UDL 가이드라인 2.0과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1에 대한 내용검토를 연구문제로 선정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유사점과 차이점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1은 여전히 많은 부분 접근성 자체에 초점을 두고 있었다. 따라서 다양한 방식으로 정보를 제시해야 한다는 UDL의 원리를 충분히 충족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습자가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하거나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UDL원리를 만족시킬만한 지침은 상대적으로 제한적이었다. 따라서 향후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에 따라 UDL을 웹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지침의 보완을 통해 접근성에 초점을 두기 보다는 표현 및 참여 방법에 있어서도 다양성을 보장하는 방향으로 나갈 필요가 있음과 오프라인을 통해 UDL을 실행하는 경우에는 웹 접근성 지침을 준수함으로써 접근성이 담보된 웹을 우선 적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결론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UDL guideline 2.0 and Korean 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 2.1 by content element, ultimately showing the feasibility of UDL through the web.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contents of the UDL Guideline 2.0 and the Korean 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 2.1 were selected as the research problems, an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ere suggested based on this. As a result, the Korean 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 2.1 still focused on accessibility. Therefore, it is shown that the UDL principle can be satisfied sufficiently to present information in various ways. However, the guidelines to satisfy the principle of allowing learners to express or participate in various ways were relatively limited. Therefore, in order to implement UDL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move toward the direction of diversity in interaction and participation rather than merely focusing on accessibility through complementing the guidelines. It is concluded that web accessibility should be preferentially used by complying with web accessibility guidelines.

      • KCI등재

        고등교육기관의 장애학생지원센터 모델 연구 2: 장애학생 지원 실태 조사

        김용욱 ( Yong Wook Kim ),김남진 ( Nam Jin Kim ),우이구 ( Yi Gu Woo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8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9 No.3

        본 연구는 장애대학생의 개인적ㆍ법률적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장애학생종합지원센터(가칭)의 표준 모델 구안을 궁극적인 목적으로 하는 ‘고등교육기관의 장애학생지원센터 모델연구’의 두 번째 기초연구 단계로, 독립기구를 설치 운영하는 30개 대학과 부서를 통해 지원을 제공하는 177개 대학을 대상으로 장애학생 지원 실태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같다. 첫째, 독립기구 및 부서 운영에 있어 교내 협력체제와 고용 관련 기관과의 협력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제외하고는 집단 간에 차이가 많다. 둘째, 관련 부서를 통해 지원을 제공하는 학교는 교수자에 대한 지원, 평가지원, 생활지원, 진로지원, 장학지원 등 전 영역에 걸친지원의 정도가 독립기구가 설치된 대학들에 비해 미흡하다. This study is the second one in sequence of studies regarding development of service center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ality of current supporting program, there were total 207 universities and colleges surveyed in this study. Researchers divided 207 universities with two groups such as 30 universities with an independent organization as one group and 177 universities with only supporting office as the other group to test differences between groups on significant variables. The major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ings: 1) Many differences in plan and operation found between groups except the need of cooperation with external institution relating to employment, 2) universities with only supporting office were insufficient in supporting evaluation, living, employment, and scholarship than those services from universities with an independent organization.

      • 중·고등학교 교과용도서 장애관련 내용분석 : Focusing on the Views of Disability

        우이구,김수연,권택환,박은영 국립특수교육원 2004 연구보고서 Vol.- No.4

        제 7차 교육과정은 장애학생의 통합교육을 강조하여, 교과용 도서에서도 장애관련 내용이 적지않게 수록되어 있다. 장애관련 내용이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것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어떤 내용이 어떠한 관점으로 제시되어 있는지 분석하고, 학생들의 장애이해교육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지원 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이 연구는 2003년 유ㆍ초등학교 교과용 도서의 장애관련 내용 분석 연구의 후속연구로, 중ㆍ고등학교 교과용 도서의 장애관련 내용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중등교육에서의 장애학생 통합교육은 초등에 비해 양적인 면에서도 매우 부족하고 질적인 면에서도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또한 교사양성 교육에서도 중등교사는 특수교육 관련 과목을 제대로 이수하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 장애인에 대한 태도는 어릴 수록 용이하게 변화될 수 있으며, 청소년은 초등 학생에 비해 개인의 능력이나 외모의 차이에 더욱 민감한 시기이다. 또한 중등교육의 목표 중에 대학 입학 준비가 주요한 비중을 차지하므로, 장애학생 통합 및 개인의 다양성 수용을 강조하는 인성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힘든 조건이다. 따라서 중ㆍ고등학교 교과용 도서에 장애관련 내용이 어떠한 수준으로 제시되어 있는지 분석하고, 매일의 수업에서 접하는 교과서를 통해 장애이해교육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은 절실하게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이에 이 연구는 중ㆍ고등학교 교과용 도서에 수록된 장애관련 내용을 분석하였다. 우선 초등학교 교과용 도서 분석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가장 장애관련 내용이 많은 국어, 사회, 도덕 교과목을 선정하였다. 분석 방법은 내용분석으로 총 52권의 교과서에서 장애 관련 내용(장애관련 용어, 삽화, 인물, 시설, 소계 등)내용을 학년별, 교과별로 분류하였다. 분류한 내용을 바탕으로 장애관련 용어는 별도로 정리하고 장애인 묘사를 통해 드러난 장애인관을 분석하였으며, 주제별 분석을 하였다. 주제별 분석을 하기 위해 공통 주제어를 추출하였다. 두명의 연구자가 독립적으로 내용을 읽으면서 관련 주제어를 기록하고 연구자 협의를 통해 공통으로 기록한 주제어를 추출한 다음, 다르게 기록한 주제어는 합의를 거쳐 최종 분석 주제어를 도출하였다: 1) 장애체험활동, 2) 장애관련 인물, 3) 보조도구 및 편의시설, 4) 개인의 차이 수용 및 인권 존중 장애인 묘사는 다시 세부적으로 분류하였다: 1) 봉사활동의 대상으로서의 장애인, 2) 장애인을 돕는 장애인, 3) 장애인 본인의 목소리, 4) 문학작품 속에 그려진 장애인, 5) 장애인과 비장애인과의 관계 중ㆍ고등학교 교과용 도서에 나타난 장애관련 용어와 삽화, 장애인 묘사, 그리고 4가지 주제로 분석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관련 용어는 몇 가지 수정되어야 할 용어가 있었다. (예, 장애자, 벙어리, 귀머거리, 장애 기사) 국어교과서에는 현대에는 사용하면 안되는 장애관련 용어가 문학작품이라는 이유로 빈번하게 언급되었다. 이는 교과서의 각주와 교사용지도서에 별도의 안내가 보강되어야 하겠다. 둘째, 장애관련 삽화는 휠체어를 탄 장애인이 가장 많이 등장하였다. 또한 중등교과서는 그 내용이 심화되고 분량이 많으므로 장애 관련 내용이 직접 언급되기보다 삽화와 삽화설명을 통해 제시된 경우가 많았다. 본문의 내용에 적합하지 않은 삽화는 수정되어야 하며, 장애인 수용시설의 사진은 좀더 신중하게 선정되어야 하겠다. 미국의 사회 교과서와 비교하였을 때 삽화에 있어서 분명한 차이를 느낄 수 있었다. 미국의 사회 교과서에도 휠체어 탄 장애인이 많이 등장하였는데, 다른 사람이 휠체어를 밀어주는 모습은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장애인 묘사에서 드러난 장애인관을 살펴보면, 장애인 개인 또는 집단의 목소리를 통해 주체적인 모습을 느낄 수 있는 내용도 있기는 하였으나, 많은 내용은 일반인의 봉사나 도움의 수혜자로서 그려지고 있었다. 성공한 장애인이라 할지라도 장애는 극복의 대상이며, 초인간적인 영웅의 모습으로 묘사되어 있었다. 넷째, 공동체 사회의 구현과 정의로운 복지사회의 실현을 위해 장애인을 비롯한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와, 현대 사회의 다양한 집단의 권리 존중의 측면에서 장애인의 권리가 보호되어야 한다는 내용을 사회교과서에서 찾아볼 수 있었다. 각 출판사마다 장애관련 내용의 비중과 수준에 있어서 다소 차이가 있음이 드러나 장애 관련 내용에 대한 표준 지침이 마련되어야 함이 지적되었다. 이 연구결과에 의하면 초등학교 교과용 도서와 마찬가지로 중ㆍ고등학교 교과용 도서에도 장애관련 내용이 적지 않게 수록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통합교육이 확산되어가는 현 시점에서 매우 바람직한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앞으로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올바르지 않은 용어와 삽화, 그리고 지문의 내용은 수정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청소년들에게 장애이해 교육이 좀더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세한 지도방법과, 교과용 도서 출판 지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econdary textbook contents concerning disabilities. We employ content analysis as our research method, 3 different subject textbooks of secondary school according to grades and subjects. We devise five frameworks of analysis are as follows: (1) the description of disabilities (2) the simulation of disabilities (3) accommodative devices and facilities (4) the acceptance of individual differences and the respect for human rights (5) people with disabilities. To summarize our findings is as follows. First, there are some words that need to be changed (e.g. cripple, handicapped person). Second,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y appear predominantly in the illustrations depicting disabilities. For the most part, they receive help from others. To increase illustrations that portray person with disabilities to participate actively in inclusive community is required. Third, they suggest the simulative experience of disability as the major way to understand the uncomfortable situation of disability. They also propose that the expansion of accommodative devices and facilities is considered one of the most importantmain support for disabilities. In conclusion, we find out that current instructional materials for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secondary textbooks of 7th national curriculum contain a considerable amount of contents concerning disability. We regard this as very encouraging. When the textbook is revised, our study will help to choose more proper words, illustrations, and contents. We suggest that more detailed guidelines for understanding disability that help teachers to teach appropriate contents in a more effective and perceptive way in the classrooms of secondary school should be provi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