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Role of Public Agency in Housing-led Urban Regeneration Policy Network toward Sustainable Community Building: Happy House of Seoul, Korea

        우윤석 서울연구원 2012 서울도시연구 Vol.13 No.3

        Although the role of public sector and aim of housing-led urban regeneration policy in this era have been changed in the wake of new partnership among various actors, network approach to understand these phenomena is yet under researched particularly in housing and regeneration sector. The focus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ole of public agency representing public sector within policy network toward sustainable community building through housing-led urban regeneration. After analyzing Happy House project of Seoul, South Korea, it was identified that policy network of housing-led urban regeneration was lead organization-type policy community, where Korea Land and Housing Corporation(KLH) favored efficiency, internal legitimacy and stability with public-like top-down relational role. According to the framework of Provan and Kenis(2007), KLH is to be said effective in terms of efficiency and stability but less effective in terms of legitimacy. We hope this study could contribute to better understanding of housing-led regeneration policy network in regeneration policy of Korea and other parts of the world, particularly developing countries.

      • KCI등재후보

        최근 우리나라 국가 물류정책의 비판적 고찰 : 「국가물류체계 개선대책」의 수립과정과 내용을 중심으로 focused on developing process and contents of 「National Logistics System Improvement Scheme」

        우윤석 한국물류학회 2004 물류학회지 Vol.14 No.3

        선진국의 견제와 후발도상국의 추월이라는 이중도전에 직면한 우리나라는 동북아의 중심에 위치한 지정학적 잇점을 활용하여 물류강국으로 거듭나고자 국가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물류시스템을 선진화하고 동북아물류중심으로 자리잡고자 하는 국가전략이 효과적으로 수립되고 있는 바람직한 국가물류정책의 수립·추진을 위한 제언지, 또 가능하고 소망스러운 것인지(feasible and desirable)에 대해서는 의문의 여지가 있다고 보여진다. 이 글에서는 지난 '04.3.2 확정된 「국가물류체계 개선대책」의 수립과정에 참여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그 내용과 수립과정등에 대해 비판적으로 고찰함으로써 향후 국가물류정책 수립에 참고가 될수 있는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Korean government is exerting its national power to emerge as a East-North Asian logistics hub through developing national logistics schemes in recent years. However, it is not clear whether those national schemes are developed effectively, and whether contents of the schemes are feasible and desirable. This article tried to review recently announced national logistics schemes with critical point of view and personal experience from participation in developing process of the schemes. For this purpose, the National Logistics System Improvement Scheme, which was announced 2nd, 3, 2004, is widely reviewed and explained, and then main contents are analysed in terms of limit of national logistics cost as a policy index, background and process of the scheme, overlapping and uncertainty of subjects, swift alteration and nonprofessionalism, and problems of detailed subjects. Afterwards, feasible and desirable alternatives in both of detailed and overall dimensions are suggested for better national logistics policy-making.

      • KCI등재

        동북아 물류중심 정책의 다(多)조직구조적 특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우윤석,성시연 한국물류학회 2006 물류학회지 Vol.16 No.4

        >본 논문은 동북아 물류중심 정책의 추진에 다수의 주체가 공동으로 참여하는 다조직구조(multi-organizational structure)의 상황에서 어떠한 집행문제들이 발생하는가를 분산성과 중복성, 상충성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특성이 발견되었다. 첫째, 동북아 물류중심정책은 건설교통부, 해양수산부, 산업자원부, 재정경제부, 관세청 등 다수의 참여주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통합조정 기능을 수행하는 선도적인 추진주체(Principal Agency)의 부재로 정책추진의 강도가 약화되고 있다. 둘째, 부처 간 사업의 중복으로 정책혼선과 예산 낭비가 초래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셋째, 총괄적인 물류기본법령의 부재로 물류관련 정책의 일관성과 안정성이 확보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동북아 물류중심정책의 추진에 보다 탄력성을 불어넣기 위해서는 Principal Agency의 존재를 명확히 세우고 상설적인 조정 전담역할을 하도록 하고, 관련 부처 간에 명확하게 업무영역을 배분하고 구분함으로써 정책 중복으로 인한 비효율을 방지하며, 물류관련 법령을 일원화할 수 있는 총괄적 법체계 개편이 필요함을 결론으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지방정부 간 협력을 위한 거버넌스 모형의 구상: 미국의 MPO 사례를 중심으로

        우윤석 국토연구원 2009 국토연구 Vol.60 No.-

        Since inauguration of new government, 5+2 Mega Economic Region Plan and reshuffling of local government administration system have been highlighted among academia and public policy networks. Considering political resistance, it would be more desirable to cope with expanded public service demand without changing jurisdictional boundaries through developing cooperative governance model. This study tries to develop cooperative governance model among local governments, particularly for those within metropolitan regions, in this transient phase. For this, we scrutinized related theories and found Multi-governance model is appropriate for this intergovernmental governance. Also, we applied case study approach to benchmark best practice from council of government, i.e. Metropolitan Planning Organization, in US. For this, Metro and SCAG were selected and analysed to find suitable implications. Based on these, we developed two types of intergovernmental models according to their authorities which could be applied for Korean situation and identified main issues in terms of inter and intra-relational governance, legal status and budgetary basis. As another main issue is how to resolve conflict among members of governance, we identified possible aspects of conflict and suggested future direction of conflict management. We believe this study could contribute to achieving cooperation among local governments within this framework and. 신정부 들어 5+2 광역경제권과 행정구역개편 논의가 대두되면서 지방정부 행정구역 개편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제도개선에 대한 행정적 필요성이 큼에도 불구하고 정치적 실현가능성이 낮은 점을 감안할 때 보다 바람직한 대안은 행정구역 체계를 변경하기보다 가급적 정치적 지형도의 변화를 초래하지 않으면서 행정구역을 넘는 행정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지방정부 간 협력을 위한 거버넌스 체계의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 우선 이론적 검토를 통해 다층적 거버넌스가 지방정부 간 협력적 거버넌스에 적합함을 확인하고, 사례연구 접근법(Case Study Approach)을 활용하여 미국의 지방정부 간 다층적 협력체인 COG(Council of Government)와 MPO(Metropolitan Planning Organization)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론연구와 사례분석을 통해 도출된 시사점을 바탕으로 대도시를 중심으로 한 우리나라 지방정부의 협력적 거버넌스 모형을 대내외적 거버넌스, 법적 지위, 재원조달을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광역경제권이나 지방행정구역 개편이 정치적 제약요인이 많음에 비해 본 연구에서 제시된 협력적 거버넌스 모형은 정치적 제약이나 커다란 제도변화 없이 기존 제도적 범위 내에서 현실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협의체 내외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공공갈등을 유형화하고 이에 필요한 갈등관리의 기본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자율적이고 협력적인 거버넌스가 구현될 수 있는 요건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특별지방행정기관의 운영타당성 검토: 국도와 국가하천 사례

        우윤석 국토연구원 2013 국토연구 Vol.76 No.-

        This study tried to re-examine the relevance of management authority for major road and nation river, which have been regarded as representative areas to be transferred to local government, from more empirical perspective than theoretic and normative viewpoint. As a result, main features of major road and national river are revealed as semi-pure public goods, network type, non-consistence with local administration jurisdiction and thus it is suggested that more unified management is necessary. According to this analysis, a question arises whether it is suitable to transfer management authority from administrative field agency of central government to local government who is in charge of only in limited jurisdictional area instead of whole area of influence. The reason of continual failure of transferring the management authority to local government may be attributed to such inappropriateness rather than simple lack of driving force or other environmental factors. Pushing ahead such transferring policy regardless of management capacity or willingness of local government as seeing it as a given desirable goal is another problem to be re-examined. In future, we need to examine the particular features of policy targets in detail before making a decision of transferring the management authority. 본 논문은 그동안 이론적˙규범적 차원에서 주로 논의되어 온 특별지방행정기관 지방이양 문제를 대표적인 이관대상으로 손꼽히는 국도와 국가하천의 특성을 중심으로 관리주체의 적정성에 대해 실증적˙사례 분석적 차원에서 재조명해 보았다. 분석 결과 국도와 국가하천은 지역공공재가 아닌 순수공공재에 가까운 성격이고 네트워크적 특성이 있으며 행정구역 단위와 일치하지 않으므로 통일적인 유지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에 따르면 특정 구간에 해당하는 지역을 담당하는 개별 지방정부에 국도와 국가하천의 관리를 이양하는 것이 과연 적절한 것인가에 대해 의문이 들 수밖에 없다. 그동안 특별지방행정기관의 지방이양이 여러 차례 추진됐음에도 불구하고 계속 실패하고 있는 것은 단순히 추진의지 미약과 같은 환경적 요인 때문이 아니라 본 논문에서 살펴본 것처럼 국도와 국가하천 같은 경우 지방이양 대상으로 적합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해석하는 것도 가능하다. 지방정부의 관리역량이나 의사와 무관하게 특별지방행정기관의 지방이양을 규범적으로 ‘주어진’ 목표로 간주하고 추진해온 것도 짚어 보아야 할 문제이므로 앞으로 이관 대상의 특성을 감안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