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립유치원 재정운영 현황분석을 통한재무, 회계 규칙 제정 기준 탐색

        우명숙 ( Myung Suk Woo ),박경호 ( Kyong Ho Park ),전홍주 ( Hong Ju Ju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연구 Vol.33 No.1

        본 연구는 사립유치원의 재정운영 현황을 분석하여 현실에 적용 가능한 재무·회계 규칙 제정을 위한 기준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법인과 사인 사립유치원 총 네 곳을 선정하여 원장을 면담하였다. 사립유치원의 재무·회계 관련 재정운영 현황을 분석한 결과, 개인이 운영하는 사립유치원이 특히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의 개선을 위해 다음과 같은 기준을 향후 재무·회계규칙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사립유치원의 재무·회계 관리를 개선하기 위하여 재무·회계업무 직원을 배치하거나 시스템을 구비하는 일이 필요하다. 둘째, 건물의 유지 보수 등을 위한 일상적인 경비지출이 아니라 규모가 큰 자금이 필요한 경우 차입금 또는 적립금을 허용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셋째, 예산분야에서 세출예산의 이월 및 계속, 추가경정예산 등 예산 제도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며, 예산의 기본원칙을 지키도록 해야 한다. 넷째, 회계처리는 단식부기를 기본으로 하되 단식부기의 문제점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관할청의 감사도 회계의 투명성을 보장하는 기제가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universal standard for finance and accounting applicable to private kindergartens. Four private kindergartens, including 2 kindergartens established by foundations and 2 kindergartens established by individuals were selected for study. The findings reveal poor fiscal management, especially in the private kindergartens established by individuals. In order to improve the current conditions, the following steps are suggested. 1) Provide experts or staff with special expertise to furnish information regarding the implementation of a fiscal management system. 2) Admit loans or reserve funds to repair decrepit facilities and buildings. 3) Follow a consensus of universal budget principles, including a revised supplemental budget and an established plan for budget carry-over. 4) Establish better bookkeeping with special attention to single entries. 5) Ensure transparency through periodical auditing provided by the Educational Office.

      • KCI등재

        서울시 중학교의 단위학교 및 자치구 수준에서의 교육격차 분석

        우명숙(Woo, Myung Suk)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3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2 No.4

        본 연구는 2009~12년 동안 서울시 중학교를 대상으로 전체 중학교별 자치구별 교육격차를 분석했다. 서울시 전체 중학교간의 교육격차를 포함하여, 특히 강남과 강북으로 대표되는 서울에서의 지역별 차이가 교육에서 어느 정도 나타나고 있는지에 대해 그 추이를 분석했다. 교육격차를 측정하기 위해 교육비의 형평성을 측정하는 척도인 지니계수와 편차지수를 사용했다. 분석 결과, 첫째, 교육의 투입에 대한 분석 결과, 학생일인당 교육비와 자치단체 교육경비보조금에서 서울시 전체 중학교간 차이는 크게 나타났다. 특히 자치단체 교육경비보조금에서 학교별, 자치구별 차이는 매우 크게 나타났다. 학급규모와 정규교원비율은 학교별 자치구별 차이는 크지 않거나 매우 작았다. 둘째, 교육비의 경우 부유한 지역의 교육비가 반드시 높은 것은 아니어서 지역의 경제력과 학교의 교육비간의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고, 따라서 재정적 중립성은 침해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학업성취도를 기준으로 한 교육의 산출 또는 결과에서 교육격차를 측정한 결과, 국어 수학영어 모든 과목에서 학교별 지역별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학업성취도는 지역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교육격차의 분석 결과는 투입에서 보다는 결과에서 심각하게 나타났으며, 지역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향후 지역의 특성이 교육의 결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심층적 연구가 필요하다. 학교별 자치구별 교육격차를 줄이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 특히 교육의 결과에서 학교별 지역별 격차가 심각하다는 점에서 학업성취도가 낮은 학교와 지역에 대해 교육의 투입과 과정에서 추가적인 보완대책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educational equity at the middle school level in Seoul. This study measured Gini Coefficient and Coefficient of Variation for the education equity, and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ocio-economic status and educational inputs and outputs. As a result, first, educational expenditure and educational subsidies by primary local governments were found inequitable among middle schools in Seoul. Secondly, fiscal neutrality was not violated in that the regions of high SES did not spend more than those of low SES. Thirdly, the academic achievements in Korean, math, and English were not equitable. Schools at affluent regions showed high achievements, while those at the disadvantaged regions got low achievemen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policies to fill the educational gap would be needed. Further study should analyze how some characteristics of regions may affect educational outcomes such as academic achievement.

      • KCI등재

        독일, 일본, 한국의 베트남 교육개발협력정책 비교 연구

        우명숙(Woo, Myung-Suk),채재은(Chae, Jae-Eun) 한국비교교육학회 2014 比較敎育硏究 Vol.24 No.1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의 교육개발협력 추진방식의 문제점을 상세히 살펴보기 위하여 베트남에 대한 3개국(독일, 일본, 한국)의 교육개발협력정책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으로 베트남을 선정한 이유는 그동안 우리나라가 교육 ODA를 가장 많이 지원한 국가이기 때문이다. 분석 결과, 3개국 모두 베트남의 사회경제개발전략의 실현을 지원하기 위해 '숙련 인력 양성'을 우선 지원하고 있는 공통점이 있었으나, 국가 차원의 개발협력 경험과 정책 방향에 따라 세부 전략면에서 차이가 있었다. 독일과 일본은 협력전략에 있어서는 차이가 있지만 양국 모두 오래전부터 국가 차원의 개발협력의 틀에 근거하여 베트남과의 교육개발협력을 추진해옴에 따라 베트남의 개발수요와 자국의 강점을 모두 고려하여 체계적으로 인력양성을 지원하고 있었다. 반면에 한국의 경우 그동안 정상회담과 같은 외교행사 등에 의해 베트남 교육개발협력이 산발적으로 추진되어 왔고, 아울러 직업훈련원 건립 위주의 단기 프로젝트가 주로 추진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차이들은 우리나라가 아직은 OECD/DAC 회원국으로서 걸음마를 내딛고 있음을 여실히 보여주며, 따라서 선진공여국의 벤치마킹을 통해 교육개발협력의 수준을 높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conduct a comparative analysis of educational development and cooperation strategies in Vietnam, focusing on those of Germany, Japan, and Korea. Vietnam was chosen for a study since it has received the largest education ODA out of all that Korea has provided to developing countries over the past several decades. The results of study show that the three nations have supported the training of 'skilled labor force of Vietnam' with some differences in experiences and strategies of educational development and cooperation. Germany and Japan have fostered workforce coherently, based on the frameworks and strategies of educational development and cooperation which reflected Vietnam's needs and their own strengths. On the contrary, Korea has occasionally provided education ODA to Vietnam, followed by diplomatic events such as summit meetings. As th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and cooperation to Vietnam has focused on short-term projects such as the construction of vocational training institutes, the effects of these development programs have been limited.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 and Germany and Japan indicate that Korea is still at the early stage as a member of OECD/DAC. These results suggest that Korea should improve educational development and cooperation strategies through benchmarking advanced OECD/DAC member countries.

      • KCI등재

        장학금 지원 정책이 대학생의 학업성취도와 학업몰입에 미치는 영향 분석

        우명숙(Myung Suk Woo),김지하(Ji-Ha Kim) 韓國敎育財政經濟學會 2015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교육고용패널(KEEP) 자료에서 8차년도와 10차년도의 중학교 코호트 데이터를 활용하여 정부의 장학금 지원정책이 4년제 대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학업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방법으로는 경향점수매칭(Propensity Score Matching) 방법과 이중차분법(Difference-in-Differences)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이중차분법에 의한 추정 결과에서는 2013년에 장학금을 수혜한 집단과 미수혜자 집단 간에는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경향점수매칭 방법에 의한 추정결과에서는 미미한 학업성취도 향상의 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장학금 정책이 학업몰입(학업 태도, 교수와 면담횟수, 전공공부시간)에 주는 영향력 분석 결과에서는 이중차분법과 경향점수 매칭 방법을 적용한 모든 모형에서 장학금 수혜 여부가 학업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제한적으로 2012년 이후 전면 시행된 국가장학금 정책효과로 해석될 수 있으며, 현행 국가장학금 제도의 지급 기준으로서 이수 학점과 성적기준, 가계소득 등의 요인이 고려됨에 따라 성적우수(merit-base) 장학금과 재정보조(need-base) 장학금의 성격이 혼재되어 학업성취도와 학업몰입의 긍정적 효과에 대한 통계적 유의미성이 낮음을 시사한다. 향후 국가장 학금 정책의 장기적 성과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2012년 이후 3년 이상 축적된 종단자료에 의한 추가 분석이 필요하며, 장학금 수혜 기준 다양화에 따라 학생들의 소득과 사전성취도 등의 이질성을 고려하여 보다 정교한 정책효과 분석이 요구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the Korean government Scholarship program for the university student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involvement by using the Korea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KEEP)s. The PSM(propensity score matching) and DID(difference in differences) analyses were employed as the empirical strategies. The academic engagement was measured by the academic attitude, the interaction with the faculty members for the academic advice and careers, the commitment to the project in the courses and the participation in the class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recipients of the scholarship program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 compared with the non recipients despite marginal improvement of GPA in PSM analysis. Also the recipients of the scholarship program did not show higher academic attitude compared with non recipients in both PSM and DID analyses. These results implied that more rigorous policy evaluations should be conducted to consider the heterogeneous characteristics of the recipients of the programs.

      • KCI등재

        장학금과 소득분위별 대학교육의 기회와 교육경험의 변화 추이 분석

        우명숙(Myung Suk W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3

        본 연구는 장학금제도가 상대적으로 미미했던 2000년대 중반과 국가장학금이 도입되고 확대되었던 2010년대 초반의 조사 자료를 사용해 대학생 장학금이 소득분위별 대학교육의 기회와 소득분위별 대학교육의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첫째, 2005년 고등학교 3학년이 대학을 진학한 2005~07년 시기에 비해 2011~12년에 대학을 진학한 학생의 경우 소득분위별 대학교육의 기회에서 나타나는 격차는 다소 완화된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더 선별적인 수도권 4년제 대학의 진학에서는 두 시기 모두 가장 소득이 높은 5분위만이 진학할 확률이 더 높게 나타나 대학교육의 기회에서 소득의 격차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둘째, 대학 진학 후 장학금이 소득분위별 대학생의 수업관련 활동과 학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소득을 통제한 후 두 시기 모두 장학금을 가장 많이 집단은 장학금을 전혀 받지 못한 집단에 비해 수업관련 활동 수준이 높았다. 소득을 통제한 후 장학금이 성적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결과, 2005~08년에는 장학금을 전혀 받지 못한 집단에 비해 장학금 비율이 가장 높은 집단(평균 52.2%)이 미미하게 학점이 높았다. 그러나 2011~14년 조사에서 장학금을 전혀 받지 못한 집단에 비해 등록금대비 장학금의 비율이 평균 11.9%(3분위), 35.3%(4분위), 86.8%(5분위) 집단의 학생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학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d the opportunities of university education and the effect of scholarship on the experience of university education by income quintile, using two data during the 2004 to 2008 and 2010 to 2014 periods. Scholarships began to expand significantly during the latter period. First, in 2010-12, when financial aids including scholarships were introduced and expanded, the gap in terms of the opportunities for higher education seems to have eased somewhat compared to the previous period. However, only the students in the highest income quintile were more likely to enter the four-year univers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in both periods. Second, in both periods, after controlling for income, the groups with the highest level of scholarship were more likely to participate in the class activities, compared to those who did not receive any scholarships at all. Regarding the effect of scholarships on grades after controlling income, students receiving scholarship on average 11.9 percent, 35.3 percent, and 86.8 percent out of total tuition were more likely to get higher grades, compared to those who did not receive any scholarships at all.

      • KCI등재

        시ㆍ도 교육청 수준에서의 교육재정 형평성 분석

        우명숙(Myung-Suk Woo) 한국교육행정학회 2007 敎育行政學硏究 Vol.25 No.4

        이 연구는 시ㆍ도 교육청 수준에서 학생 또는 가중학생 일인당 교육비의 형평성에 대하여 수평적, 수직적 형평성을 지방교육재정교부금 배분방식이 변경된 시점을 전후로 2000년, 2004년, 2005년 3개 연도에 걸쳐 분석하였다. 수직적 형평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첫째 학교급별 및 학교규모별 차이를 반영한 가중학생수를, 둘째 저소득층 가정의 학생 및 특수학생의 높은 교육비를 반영한 가중학생수를 각각 산출하였다. 시ㆍ도 교육비특별회계의 학생 일인당 교육비를 분석한 결과 수평적 공정성보다 수직적 형평성 측면에서 지수값이 더 공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급별, 학교규모별, 저소득층 학생, 특수학생에 대한 가중치를 모두 계산한 가중학생수를 사용한 수직적 형평성 분석에서 교육비는 모두 공정하거나 비교적 공평하게 지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비를 총세출액, 시설비를 제외한 세출액, 인건비로 분류하여 형평성 지수를 모두 분석한 결과 총세출액에서 공정성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시설비를 제외한 세출액, 인건비 순으로 공정하게 지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로는 2000년보다 2004년에 더 공정하게 교육비가 배분되었으며, 2004년과 2005년은 형평성 지수가 동일하거나 2005년에 더 악화 또는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d horizontal and vertical equity of educational resources at the Local Education Office level in 2001, 2004, and 2005. For the vertical equity, it calculated weights on students depending on school-level, school size, and student characteristics such as students from low-income families and specials students. The analysis found that the educational resources were distributed in a vertically equitable way rather than in a horizontally equitable way. The educational resources were the most vertically equitable when additional high weights on students in higher-level schools and small-sized schools and students from low-income families and special students were applied. Total spending per pupil was the most equitable and followed per pupil spending excluding money for school building and salaries for teachers and staff. The equity was improved in 2004 and 2005 as compared with 2001. However, the equity level in 2004 was the same as, decreased, or improved in 2005.

      • KCI등재

        교육생산함수를 활용한 교육자원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분석

        우명숙(Woo, Myung-Suk) 韓國敎育財政經濟學會 2010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19 No.1

        본 연구에서는 교육자원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교육생 산함수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연구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를 활용하여 교육자원으로는 학급당 학생수, 교사의 경력? 학력?사기 및 열의?능력 등 교사자원, 학생 1인당 교육비 또는 학생 1인 당 교수학습활동비를 변수로 포함하였고,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는 국어?영 어?수학의 평균 척도점수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교육생산함수에서 학생 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대표적 변수로 포함하는 학생, 또래집단, 학 교의 특징과 관련된 변수를 통제변수로 투입하였다. 분석결과 학급당 학생 수 변수, 교사자원 변수, 학생 1인당 교육비는 학업성취도에 모두 통계적으 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난데 비해 학생 1인당 교수학 습활동비는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 한 결과는 교육자원이 학업성취도와 관련하여 더 직접적이고 효과적으로 투자될 필요성을 강조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educational resources on academic performance, using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It used data of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offered by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Data included educational resources such as class size, teacher resources, and educational expenditures per pupil, and test scores besides data on characteristics of students, peer groups, and schools which may affect test scores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production function. This study found that class size, teacher resources, and total speding per pupil did not affect test scores, after controlling for variables of characteristics of students, peer groups, and schools. However, it found that instructional spending per pupil had a positive effects on test scor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ducational resources should be invested on activities related directly with activities of learning and teaching.

      • KCI등재

        경기도 혁신학교 중학생의 교육적 성장 : 역량을 중심으로

        우명숙(Woo, Myung S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0

        본 연구는 경기교육종단연구 4~6차(2015~17년)자료를 사용해 혁신학교 중학생의 교육적 성장을 역량을 중심으로 다층성장모형으로 추정했다. 분석 결과, 첫째, 창의적 사고역량 중 언어적 수학적 사고능력으로 국어 수학 영어 학업성취도를 분석한 결과, 초기 중학교 1학년 평균값에서 국어는 혁신학교 학생이 더 높았으며, 수학과 영어에서는 일반학교의 평균값이 더 높았다. 그러나 혁신학교 학생의 성장률은 영어와 수학 교과에서 유의한 수준으로 높았으며, 국어 교과에서는 유의미한 수준이 미미했으나 더 높게 나타나 학년이 올라갈수록 혁신학교 학생의 학업성취도는 높아졌다. 결과적으로 중학교 2, 3학년에서는 세 교과에서 혁신학교의 평균 성취도가 일반학교보다 높았다. 둘째, 자기관리역량은 중학교 1학년 평균값에서 일반학교가 더 높게 나타났으나 성장률에서 혁신학교가 일반학교에 비해 미미한 수준으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학교의 자기관리역량은 중학교 3개 학년 동안 혁신학교에 비해 높았다. 셋째, 공동체역량 중 시민의식은 중학교 1학년 평균값에서 혁신학교가 일반학교에 비해 더 높았으나 성장률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중학교 기간 동안 혁신학교의 시민의식은 일반학교에 비해 높았다. 경기도 혁신학교에 대한 학력저하 비판은 실증적으로 입증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혁신학교 학생의 역량을 분석했지만 조사 자료의 한계로 인해 핵심역량을 총체적으로 분석하기에는 제한점이 많다. This study estimated the educational growth of students at the Innovation Middle School using the data from the 4th to 6th (2015-17) of the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GEPS) and a multilevel growth model. The important findings as follows: first, academic achievements in Korean, Math, and English were analyzed as linguistic and mathematical thinking abilities as part of the creative thinking competence. The average Korean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at Innovation Schools was higher at the first grade, compared to those of the non-Innovation Schools, while the average Math and English academic achievements of Innovation School students were lower than the non-Innovation School students. However, the growth rates of Innovation School students in Korean, English, and Math were higher than the non-Innovation School students,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self-management competence of the non-Innovation School students was higher at the first grade, compared to the Innovation School students. The growth rate of self-management competency of Innovation School students was higher,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0.1 significance level). Third, citizenship of community competence of the Innovation School students was higher at the first grade, compared to the non-Innovation School students. The growth rate of citizenship of Innovation School student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riticism of poor academic performance against Innovative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is not empirically prove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cluding prior studies.

      • KCI등재후보

        학자금 지원 효과 분석: 취업 후 상환 학자금 대출을 중심으로

        우명숙(Myung Suk Woo)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2016 지방교육경영 Vol.19 No.1

        본 연구는 취업 후 상환 학자금(든든학자금) 대출이 대학생들의 학업활동, 근로시간, 학습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대학의 교수·학습 질 제고 전략 탐색 연구 조사(NASEL: National Assessment for Student Engagement in Learning」의 2011년과 2014년 데이터를 사용해 분석했다. 본 연구는 선택편의의 문제점을 고려해 준실험적 연구방법인 경향점수매칭 방법을 사용해 든든학자금 대출의 효과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첫째, 든든학자금 대출이 수업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2011년에는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난데 비해 2014년 분석에서는 긍정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든든학자금 대출제도가 대출이율이 2011년 4.9%인데 비해 2014년에는 2.9%로 상당히 낮아졌다는 점에서 대학생들이 재학 중 학업에 더 집중할 수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둘째, 든든학자금 대출은 교내근로 시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든든학자금 대출이 2011년 교외근로 시간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2014년에는 대출을 받은 실험집단 학생들의 교외근로 시간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한 수준에서 더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성과와 관련해 든든학자금 대출이 2011년의 경우 학습성과(학생들이 인식한 역량의 제고)에 유의미한 수준에서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친 반면, 2014년에는 이러한 유의미성이 나타나고 있지 않았다. 든든학자금 대출이 학생들의 근로시간과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추후 더 심도 있는 분석이 필요해 보인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financial aid on student learning, hours of work, and competencies, focusing on Income Contingent Loan(ICL). The study used data both in 2011 and 2014 from National Assessment for Student Engagement in Learning and performed propensity score matching analysis, controlling for selection bias. The study found that receiving ICL significantly enhanced learning activities in 2014. Interset rate in 2014 which was lowered to 2.9% from 4.9% in 2011 might be related with students` immersion into learning activities. Receiving ICL has no effect on work-study or work at universities. However, students receiving ICL significantly work more outside universities in 2014. Students receiving ICL perceived that their competencies were enhanced significantly in 2011. The effects of ICL on hours of work outside universities and competencies need to be explored further.

      • KCI등재

        통합운영학교 예산운용 실태 및 쟁점 분석 : 2개 도교육청 사례연구

        우명숙(Woo, Myung Suk),김민희(Kim, Min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3

        목적 본 연구는 학생수 감소, 소규모학교 증가 및 미래 교육환경 변화에 따라 통합운영학교의 예산 운용 실태 및 쟁점을 분석하고, 향후 정책방향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방법 이를 위하여 2개 교육청 초⋅중 통합운영학교 및 중⋅고 통합운영학교 등 총 4개 학교 교장 및 교감, 행정실장 등 포커스그룹 면담 및 교육청 담당자 분석 후 면담 내용분석, 학교별 예산서 분석 등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결과 분석결과에 의하면, 통합운영학교는 여전히 별개의 학교로 운영되면서 당초 취지에 맞지 않는 예산 운영이 이루어지는 쟁점이 나타났다. 추가 소요 예산 발생 등 측면에서 통합운영학교의 특성을 살리지 못하며, 시설통합 운영의 한계,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통합 운영 요구, 교사 배치 등의 한계와 쟁점도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통합운영학교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예산 운영 측면에서 학교기본운영비 별도 산식 개발 및 배분이 전제되어야 하며, 교육과정 및 교사 자격 통합, 학제개편 등 시스템 개편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향후 전국의 통합운영학교 예산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을 통해 예산 운영 실태 분석 및 배분 산식개발 등의 후속 실증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d the actual situation and issues of school budget management and explored the direction of policies. Methods The study conducted interviews with principals, vice principals, heads of the administration at four combined schools at the elementary-middle combined school and the middle-high combined school levels in two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combined schools were still operated as separate schools. And there were limitations and issues such as generating additional budgets, limiting integrated facility operation, demanding integrated curriculum and program operation, and teaching at the different school level.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at curriculum and teacher certificate system should be integrated and that a separate formula for basic operating expenses at the combined schools should be introduced. The school system should be reorganized as well. Studies such as empirical analysis using budget data for combined schools nationwide should be conducted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