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식시기에 따른 고랭지 양배추의 수확 및 저장중 품질변화

        엄향란(Hyang Lan Eum),이영훈(Young Hoon Lee),홍세진(Sae Jin Hong),신일섭(Il Sheob Shin),용영록(Young Rok Yeoung)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2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1 No.2

        본 연구는 해발 750m 이상의 고랭지에서 재배된 양배추의 정식시기 및 수확 시 기상환경이 품질에 미치는 영향과 수확 후 저장 중 품질변화를 조사하기 위해서 수행하였다. 수확 된 양배추의 품종 별 구중은 정식시기 및 수확시기가 늦으면 구중이 감소하는 양상을 보이며 상품성이 낮았다. 반면 8월 23일(3차)에 수확된 양배추 품종은 정식시기 및 수확시기가 8월 3일(1차)과 8월 13일(2차)에 비해 늦었음에도 불구하고 수확기의 기상환경이 좋아 경도 및 가용성 고형물의 함량이 높았다. 가용성 고형물의 함량은 수확 전후의 기상환경에 영향을 받아 수확 전 3일 이상 강우가 없을때 수확하는 것이 높게 유지하였고, 경도는 늦은 정식 시기가 경도를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배추의 색도는 수확기에 따른 변화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으며, 품종간에도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공시품종 중 수확 시 품질은 ‘Speed king’과 ‘Minix 40’ 품종이 가장 우수하였다. 양배추 저장은 8월 3일(1차), 8월 23일(3차), 그리고 9월 10일(4차)에 수확된 양배추를 상온(25℃, 60% RH)과 저온(3℃, 85% RH)에 각각 저장하여, 수확시기와 수확기의 기상환경이 상온 및 저온저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양배추의 생리장해는 수침, 시들음, 냉해가 저장기간 4일경부터 발생하여 상품성을 상실하였다. 양배추 6개 품종의 저장기간은 수확 시 기상환경에 따라 상온저장의 경우 3~5일, 저온저장의 경우 9~10일 정도 가능하였다. 특히 8월 3일(1차)에 수확한 양배추는 수확일 전후의 열악한 기상환경으로 실온 및 저온 저장기간이 가장 짧아 실온 2일 그리고 저온은 4일의 저장기간을 보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limate conditions during cultivation and harvesting on the quality and storability of fresh bulb cabbage (Brassica oleracea L. var. capitata). Plug seedlings of six cabbage cultivars were transplanted to Gangneung-Wonju University high elevation research station in Gangwon province (780 m above sea level, lat. 37.5°N.) and harvested with four different harvest times like August 3 (1<SUP>st</SUP>), August 13 (2<SUP>nd</SUP>), August 23 (3<SUP>rd</SUP>), and September 10 (4<SUP>th</SUP>), respectively from 50 days after transplanting. Weight loss, Hunter color factors, firmness, and soluble solids content (SSC) of the cabbage bulbs were investigated during storage at 3℃ (85% RH) and 25℃ (60% RH). Decreased bulb weight and poor quality cabbages were apparent at the late transplanting (July 14) and harvest (September 10) respectively. Quality index such as firmness and SSC at August 23 (3<SUP>rd</SUP>) harvested cabbage was better than August 3 (1<SUP>st</SUP>) and August 13 (2<SUP>nd</SUP>) cabbages due to the good weather condition just before harvesting. The cv. ‘Speed king’ and ‘Minix 40’ showed good qualities among the cultivars, especially when the bulbs were harvested during sunny day conditions from one week before harvesting. Also SSC was influenced by weather condition before harvesting rather than transplanting date, while firmness was influenced by transplanting and harvest date. However, the differences among the cultivars were not significant. The potential of storage as maintaining the quality was different, depending on weather conditions at harvest time. Generally the storage periods of six cultivars were around 3~5 days and 9~10 days at room and low temperature, respectively. However, the August 3 (1<SUP>st</SUP>) harvested cabbage lost their marketable quality very fast because of rainy and cloudy weather condition before harvesting and also storability of bulbs was 2 days and 4 days at room temperature and 3℃, respectively. Quality index was also not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cultivars.

      • KCI등재

        ‘설향’ 딸기의 생장점 배양 시 MS 배지 농도에 따른 발아율 및 생육특성

        김혜진(Hye Jin Kim),이종남(Jong Nam Lee),임학태(Hak Tae Lim),용영록(Young Rok Yeoung) 한국원예학회 2014 원예과학기술지 Vol.32 No.1

        본 실험은 일계성 딸기 ‘설향’의 조직배양묘 생산 시 발아율 향상을 위해 MS 배지의 적정 농도를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딸기 생장점은 엽원기가 1매 붙은 0.2mm-0.3mm 크기로 적출하였으며, MS 배지 농도는 1/4, 1/3, 1/2, 1배 등 4 수준으로 실시하여 배양 8주 후 발아율 및 생육 특성을 조사하였다. 일계성 딸기 ‘설향’과 ‘대왕’의 생장점을 1배 농도의 MS 배지에 치상한 결과, ‘대왕’의 발아율은 93.6%인 반면에 ‘설향’의 발아율은 31.6%로 매우 낮았다. ‘설향’의 발아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MS 배지 농도별 실험한 결과, 1배 농도의 발아율은 31.6%, 1/2배 농도는 75.0%, 1/3배 농도는 94.4%로 배지 농도가 낮아질수록 발아율이 향상되었으나, 1/4배 농도에서 발아율이 54.5%로 낮아졌다. 생장점 배양 8주 후 MS 배지 농도별 생육을 비교한 결과, 초장은 1배 농도에서 0.9cm, 1/2배 농도에서 1.2cm, 1/3배 농도에서 1.6cm, 그리고 1/4배 농도에서 1.9cm로 배지 농도가 낮아질수록 초장이 길어졌으나, 잎수 및 뿌리수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실험의 결과 일계성 딸기 ‘설향’의 생장점 배양 시 1/3배 MS 배지에서 발아율이 가장 높고, 생육이 우수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optimal MS medium strength to improve sprouting rate of apical meristem of strawberry ‘Seolhyang’ in vitro. Strawberry apical meristems at size (0.2 mm to 0.3 mm) with leaf primordials were cultured on the MS media with four strength levels (1/4×, 1/3×, 1/2×, and 1×) and the sprouting rate and growth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after eight weeks after cultivation. Shoot rate of ‘Daewang’ apical meristems was 93.6% whereas ‘Seolhyang’ apical meristems were sprouted with 31.6% on 1× MS medium strength. Different sprouting rates were observed in ‘Seolhyang’ apical meristem with 31.6% in 1× medium, 75.0% in 1/2× medium, and 94.4% in 1/3× medium. The sprouting rate was improved with the decrease of medium strength, but the shoot rate in 1/4× medium decreased up to 54.5%. Shoot length was 0.9 cm in 1× medium, 1.2 cm in 1/2× medium, 1.6 cm in 1/3× medium, and 1.9 cm in 1/4× medium. Shoot length was longer as medium strength decreased and numbers of leaves and roots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medium strengths. As a result, sprouting rate was highest and plant growth was best in 1/3× MS medium compared to the others.

      • KCI등재

        딸기 조직배양묘의 생물반응기 배양 시 Polyethylene Glycol 처리에 따른 기내 생육억제 효과 및 순화율 향상

        김혜진(Hye Jin Kim),이종남(Jong Nam Lee),김기덕(Ki Deog Kim),임학태(Hak Tae Lim),용영록(Young Rok Yeoung) 한국원예학회 2015 원예과학기술지 Vol.33 No.6

        본 실험은 생물반응기를 이용한 딸기 조직배양묘의 대량증식 시 순화 생존율 향상을 위하여 polyethylene glycol(PEG 6000)을 농도별, 처리시기별로 실험하였고 기내생육조사는 배양 6주 후에 실시하였다. 모든 PEG처리구의 생장량은 대조구에 비해 매우 감소하였고, 농도가 높아질수록 생장억제효과가 급격히 나타났다. PEG 5g·L<SUP>-1</SUP> 처리 시 초장은 대조구의 7.9㎝보다 매우 짧아졌고, 특히 생체중은 1.60g으로 대조구보다 감소하였다. PEG 5g·L<SUP>-1</SUP>의 배양1주차에서 4주차까지의 처리시 초장이 3.0-3.9㎝ 범위로 대조구보다 매우 짧았으나, 배양5주차 처리의 초장은 5.3㎝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EG 5g·L<SUP>-1</SUP>의 처리시기별 순화 생존율은 대조구에 비해 배양4주 처리에 5.4%, 배양5주차 처리에 8.7% 향상되었다. 따라서 생물반응기를 통해 대량증식된 딸기 조직배양묘의 순화율 향상을 위해 PEG는 5g·L<SUP>-1</SUP>의 농도로 배양 5주차에 처리하는 것이 적당하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reatment of polyethylene glycol (PEG) in order to increase of survival rate of acclimated plants of strawberry’s in vitro plantlets through bioreactor culture. We used PEG with molecular weight 6000 (PEG 6000) in this study. Concentration of PEG is non-treatment, 5, 10, 15, and 20 g·L<SUP>-1</SUP> each bioreactor. 5 g·L<SUP>-1</SUP> of PEG was treated at 1<SUP>st</SUP>, 2<SUP>nd</SUP>, 3<SUP>rd</SUP>, 4<SUP>th</SUP>, and 5<SUP>th</SUP> week during culture. We investigated growth characteristics of in vitro plantlets after 6 weeks cultivation. Growth amount of all PEG treatment decreased as compared to non-treatment. The more concentration increased, the more plant growth decreased. In 5 g·L<SUP>-1</SUP> of PEG, shoot length was shorter than non-treatment that shoot length was 7.9 ㎝ and especially fresh weight that is 1.6 g was more decrease than non-treatment. Shoot length was ranged 3.0-3.9 ㎝ at 1<SUP>st</SUP> week treatment to 4<SUP>th</SUP> week treatment of 5 g·L<SUP>-1</SUP> PEG. The shoot length was not significant by 5.3 ㎝ at 5<SUP>th</SUP> week treatment. The survival rate was improved 5.4% at the treatment of 4<SUP>th</SUP> week and was improved 8.7% at the 5<SUP>th</SUP> week as compared to non-treatment. In order to improve of survival rate of strawberry’ in vitro plantlets through bioreactor culture, the method is suitable that adding 5 g·L<SUP>-1</SUP> of PEG in the medium and 5<SUP>th</SUP> week’s treatment is suitable.

      • KCI등재

        사계성 신품종 딸기 ‘고하’의 기내배양을 위한 배지의 적정 조건

        이종남(Jong Nam Lee),김혜진(Hye Jin Kim),김기덕(Ki Deog Kim),권영석(Young Seok Kwon),임주성(Ju Sung Im),용영록(Young Rok Yeoung),임학태(Hak Tae Lim) 한국원예학회 2010 원예과학기술지 Vol.28 No.6

        본 실험은 신품종 사계성 딸기 ‘고하’의 무병주 생산을 위해 기내배양 시 적정조건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식물재료로는 생장점 배양 후 4주된 유식물체를 이용하였다. 배지 종류는 MS배지, Gamborg B5배지 및 White배지 등 3종류를 사용하였다. MS배지 농도는 1/3배, 1/2배, 1배, 2배, 3배 농도 등 5처리, sucrose 농도는 1, 3, 5 및 8% (w/v) 등 4처리를 두었다. 배지 종류별 실험 결과, MS배지의 관부직경이 2.1㎜로 가장 굵었다. 생체중은 MS배지가 482㎎으로 Gamborg B5배지의 394mg과 White배지의 222㎎에 비해 88g, 260g 각각 더 무거웠다. MS배지 1/2배 처리가 생체중, 건물중, D/F율 등의 생육량이 다른 농도에 비해 높았다. 초장은 sucrose 1%에서 3.6㎝로 가장 길었으며, 농도가 높아질수록 점점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생체중은 sucrose 3% 농도까지 증가하다가 5%이상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사계성 딸기 ‘고하’의 기내배양 시 1/2 MS 배지에 sucrose 1%을 첨가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suitable in vitro culture conditions of new ever-bearing strawberry (Fragaria ananassa Duch.), ‘Goha’. Four-week old plantlets which were derived from the meristem culture were used in this study. Three different culture media including MS, Gamborg B5 and White medium were used for the plant culture and the medium concentrations were at the 5 levels of 1/3×, 1/2×, 1×, 2× and 3×. Sucrose content ranged at four levels of 1, 3, 5 and 8% (w/v). Crown diameter on the MS medium was thicker (2.1 ㎜) than in other media. Fresh weight on the MS medium was 482 ㎎, which was heavier than 88 mg or 260 ㎎ of Gamborg B5 or White medium, respectively. Particularly, 1/2MS medium was found to have higher growth rate than these in other treatments (fresh weight, dry weight and D/F rate). Shoot length in the treatment of 1% sucrose concentration was 3.6 cm which was the longest. Shoot length was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increasing concentration of sucrose. Fresh weight was increased up to 3% sucrose concentration, but decreased above 5% sucrose concentration. From the results, we found that the best condition for in vitro culture of new ever-bearing strawberry ‘Goha’ was 1/2MS medium supplemented with 1% sucrose concent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