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시설재배지 주변 소하천에서 영양염류의 유출특성

        유찬,윤용철,안병관,옥정훈,Yu Chan,Yoon Yong Cheol,Ahn Byung Kwan,Ok Jung Heun 한국관개배수위원회 2004 한국관개배수논문집 Vol.11 No.2

        In this study, the runoff characteristic of nutrients in the small sized stream was investigated with seasonal change. The area considered was greenhouse site situated near Nam river, Jinju, Korea. In this site, groundwater was used for the irrigation and

      • 토양염분이 TDR의 측정값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유찬 ( Yu Chan ),옥정훈 ( Ok Jung-heun ),유시창 ( Ryu Si-chang ) 한국농공학회 2004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4 No.-

        TDR은 파형발생기에서 발생되는 구형의 전자기파가 매질내의 전송선을 통하여 흐르다가 전송선의 변화에 따라 전자기파가 반향되는 특성을 이용하여 매질의 유전상수(dielectrical constant, Ka)와 전기전도도(electrical conductivity, E.C.)를 측정하는 장치이다. 최근에 이 장치를 이용하여 토양의 함수비와 토양수내의 용매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Topp 등(1980)의 경험식에 의해서 TDR을 이용한 함수량 측정법이 제안된 이래 많은 연구자들에 의하여 이 방법의 유용성이 확인되었으며, 토양의 전기전도도가 클 경우 반향되는 전자기파가 토양내로 흘러가기 때문에 TDR을 통하여 측정되는 반향파의 전압 강하차이로 전기전도도도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Roberto(2002)에 따르면 토양의 전기전도도가 4dS/m보다 큰 경우에는 TDR의 측정 값이 토양 염분의 영향을 받아 측정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TDR을 이용한 토양 함수비 측정에서 토양의 염분농도가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실내실험을 실시하여 알아 보았다. 실험결과에서는 염분 농도의 변화뿐만 아니라 포화도 그리고 세림분의 함량까지도 TDR의 측정값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기존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 Topp(1980) 경험식은 이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으며, 따라서 본 연구에서 확인된 토양의 염분이나 세립분 함량 그리고 포화도 등의 인자들이 미치는 영향을 반영할 수 있는 경험식이나 실험식의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Experimental laboratory tests were carried out to assess the effect of soil salinity on the measurement of TDR. In the test, the concentration of soil salinity and the contents of fine particle in soil sample were considered as a major factors. It was expected that the measurement by TDR can be affected by the soil salinity level, the soil type(the degree of fine particle contents) and the degree of saturation. So, future study was needed to develop the new formula which can reflect the influence of various factors for the various application of TDR.

      • GRACE 위성영상 기반 토양수분자료를 활용한 밭가뭄 분석

        전민기 ( Min-gi Jeon ),남원호 ( Won-ho Nam ),옥정훈 ( Jung-heun Ok ),황선아 ( Seon-ah Hwang ),허승오 ( Seung-oh Hur ) 한국농공학회 202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0 No.-

        최근 전 세계적으로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로 인해 기상재해의 피해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최근 10년간 매년 국소적으로 가뭄이 발생하였으며 가뭄의 발생 빈도와 피해가 증대되고 있다. 농업수리시설물에서 관개용수를 공급받는 논과 비교하여 밭작물의 경우 관정을 통해 용수를 공급받고 있으나 밭 관개전의 비율이 18.5%에 그쳐 가뭄에 더욱 취약하다. 자연 강우를 통해 필요한 용수량을 공급받는 천수답이 대부분이고 관개시설이 부족하기 때문에 강우로 인한 밭작물의 수분 공급에는 한계가 있으며, 충족되지 못한 수분 부족량은 관개를 통해 공급하여야 한다. 이 경우 공급해야 하는 양은 작물의 증발산량 뿐만이 아니라 토양내 수분의 이동을 고려하여 산정해야 한다. 토양수분을 소비함으로써 생육하는 밭작물은 작물의 생육 시기와 기후, 농업 환경에 민감하며, 토양수분 부족 및 가뭄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다. 가뭄이 지속되면 토양수분 결핍이 발생하고 식생 수분 스트레스가 증가하여 밭작물 생산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때문에, 토양수분은 작물 생산 및 농업적 가뭄 평가의 지표가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항공우주국(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NASA)와 독일 항공우주연구소 DLR에서 2002년 발사한 저궤도 중력측정 위성인 GRACE (Gravity Recovery and Climate Experiment)의 토양수분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밭가뭄 분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 밭가뭄에 따른 지하수위 및 토양수분 변동성 분석

        전민기 ( Min-gi Jeon ),남원호 ( Won-ho Nam ),홍은미 ( Eun-mi Hong ),옥정훈 ( Jung-heun Ok ),황선아 ( Seon-ah Hwang ),허승오 ( Seung-oh Hur ) 한국농공학회 202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2 No.-

        국내 논 재배의 경우 저수지, 양수장 등 농업수리시설물에서 농업용수를 공급받고 있으나, 밭의 경우 농업수리시설물 등에서 용수를 공급받는 관개전은 전국 밭 면적의 18.5% 수준으로 가뭄 대비 및 대응 능력이 부족한 실정이다. 농업수리시설물에서 용수공급을 받지 않는 대부분의 밭작물은 자연강우에 대부분의 용수공급을 의존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장기간 가뭄 발생 시 극심한 피해가 발생한다. 따라서 가뭄 발생 주기가 짧아짐에 따라 미래 가뭄 발생에 대한 선제적인 밭가뭄 위험지역 예측이 필요하다. 현재 기상청, 농업가뭄관리시스템, 국가가뭄정보포털 등 다양한 기관에서 가뭄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나, 작물의 특성과 실제 재배기간을 고려한 가뭄 분석은 이루어지지 않아 밭가뭄 대응에 어려움이 있다. 미국지질조사국(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USGS)에서는 월 단위 지하수위 데이터를 보통 이하(Below-normal), 보통(Normal), 보통 이상(Above-normal) 3단계로 구분하고 있으며, 지하수위 데이터가 전체 기간중 하위 25%의 보통 이하 단계를 가뭄으로 판단하고 있다. 토양수분의 경우 밭작물 생육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인자 중 하나로 평가되고 있으며, 농촌진흥청의 토양수분관측망 실측 자료 및 토양 특성과 포장용수량 및 위조점을 활용한 토양유효수분율을 밭가뭄 모니터링으로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발생했던 밭가뭄 사상을 바탕으로 지하수위 및 토양수분의 변동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토양수분의 경우 농촌진흥청 토양수분관측망에서 전국 농업기상대와 연계하여 표토 10cm 지점에 토양수분센서를 설치하여 토양수분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으며, 전국 168개 지점에 설치 및 운영되고 있다. 기상관측망의 경우 기상청에서 종관기상관측소(Automated Synoptic Observing System, ASOS) 102개 지점, 방재기상관측소(Automatic Weather System, AWS) 510개 지점에서 기상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지하수위는 농림축산식품부와 환경부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