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미국 영어 모음 체계의 몇 가지 지역 방언적 차이

        오은진,Oh, Eun-Jin 한국음성학회 2006 음성과학 Vol.13 No.4

        This study aims to describe the vowel system of present-day American English and to discuss some of its phonetic variations due to regional differences. Fifteen speakers of American English from various regions of the United States produced the monophthongs of English. The vowel duration and the frequencies of the first and the second formant were measured.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distinction between the vowels [c] and [a] has been merged in most parts of the U.S. except in some speakers from eastern and southeastern parts of the U.S., resulting in the general loss of phonemic distinction between the vowels. The phonemic merger of the two vowels can be interpreted as the result of the relatively small functional load of the [c]-[a] contrast, and the smaller back vowel space in comparison to the front vowel space. The study also shows that the F2 frequencies of the high back vowel [u] were extremely high in most of the speakers from the eastern region of the U.S., resulting in the overall reduction of their acoustic space for high vowels. From the viewpoint of the Adaptive Dispersion Theory proposed by Liljencrants & Lindblom (1972) and Lindblom (1986), the high back vowel [u] appeared to have been fronted in order to satisfy the economy of articulatory gesture to some extent without blurring any contrast between [i] and [u] in the high vowel region.

      • V-to-C Coarticulation Effects in Non-native Speakers of English and Russian: A Locus-equation Analysis

        오은진,Oh, Eun-Jin The Korean Society Of Phonetic Sciences And Speech 2007 말소리 Vol.63 No.-

        Locus equation scatterplots for [bilabial stop + vowel] syllables were obtained from 16 non-native speakers of English and Russian. The results indicated that both Russian speakers of English and English speakers of Russian exhibited modifications towards respective L2 norms in slopes and y-intercepts. All non-native locus equations generated exhibited linearity. Accordingly, the basic results reported in [17] were reverified by securing a larger subject base. More experienced speakers displayed better approximations to L2 norms than less experienced speakers, indicating the necessity of perception- and articulation-related learning for allophonic variations due to adjacent phonetic environments.

      • KCI등재

        한국어 전설 모음의 포먼트 전이 형태

        오은진(Oh, Eunjin) 한국음성학회 2013 말소리와 음성과학 Vol.5 No.4

        This study investigates formant transition shapes of Korean front vowels produced by native speakers of Seoul Korean. Sixteen speakers (eight male and eight female speakers) produced [pVt] syllables where the vowels were [i, e, ?]. F1, F2, and F3 transition shapes were estimated by presenting formant values at 11 points by dividing the vowel duration into 10 different time interval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male and female speakers overall demonstrated similar formant transition shapes and measurement points arriving at the maximum and minimum formant values for the three front vowels. As for the vowels [e] and [?], both male and female speakers showed similar formant values across the 11 measurement points and similar measurement points arriving at the maximum and minimum values, indicating that the two Korean vowels have been merged not only in the steady-state formant values, but also in the dynamic transition shapes.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성인애착과 대학생활적응에서 대인관계능력의 매개효과

        오은진(Eun-Jin Oh),박순아(Sun-Ah Park)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8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성인애착, 대인관계능력,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성인애착과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능력이 매개하는지 알아보기 위함이다. 본 연구대상자는 J시, M시 소재의 간호대학생 685명으로 자료수집 기간은 2015년 11월 1일부터 25일까지 25일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Hierarchical regression, sobel 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대상자의 성인애착은 7점 만점에 회피애착 4.80점(±0.91), 불안애착 4.51점(±0.76), 대인관계능력은 5점 만점에 3.51점(±0.49), 대학생활적응은 5점 만점 에 3.15점(±0.46)이었다. 간호대학생의 성인애착은 대학생활적응(r=.437, p<.01), 대인관계능력(r=.585, p<.01)과 양의 관계이 었고, 대인관계능력은 대학생활적응(r=.355, p<.01)과 양의 관계에 있었다. 성인애착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능력의 매개역할을 검증한 결과, 간호대학생의 성인애착이 증가할수록 대학생활적응이 높았으며(B=.225, p=.027), 대인관계 능력이 증가할수록 대학생활적응이 높고(B=.145, p=.040), 성인애착이 높아짐에 따라 대인관계능력이 높게 나타났다(B=.396, p=.021). 또한, 대인관계능력은 성인애착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유의하게 매개역할을 하였다(Z=3.560, p<.001). 이에 대 한 설명력은 34.2%이었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높이기 위해서는 성인애착과 대인관계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하며,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성인애착과 대인관계능력을 포함하여 적용해 볼 것을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djustment to college life,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in nursing college students and investigate whether or not interpersonal competence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85 college students located in J-si and M-si, and data were collected for 25 days from November 1 through 25, 2015.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Hierarchical regression, and Sobel test using SPSS 23.0. As adult attachment increased, adjustment to college life was enhanced (B=.225, p=.027); as interpersonal competence increased, adjustment to college life improved (B=.145, p=.040); and as adult attachment increased, interpersonal competence increased (B=.396, p=.021). In addition, interpersonal competence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Z=3.560, p<.001). To enhance adjustment to college life in nursing college students, adult attachment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need to be improved.

      • KCI등재

        모음 공간의 크기 및 모음 변화에 대한 화자 성별의 효과: 한국어의 경우

        오은진 ( Eun Jin Oh ) 한국현대언어학회 2012 언어연구 Vol.28 No.3

        This study explores whether there is a gender difference in vowel space size and vowel changes in Korean. Nine male and nine female speakers of Seoul Korean read [CVt] (C = [p, t], V = [i, e, ε, w, A, a, u, o]) in a carrier sentence. Female speakers demonstrated larger vowel spaces than male speakers as measured on the Hertz, Bark, and normalized Bark scales. Both male and female speakers displayed an overall raising of vowels compared to Yang (1996), The gender difference in F1 values was larger in the low vowel [a] than in high vowels, and the gender difference in F2 was larger in front vowels than in back vowels. Due to the fronting of [u] and the backing of [w], the overlap in F2 between [w] and [u] was considerable both in male and female speech. Due to the raising of [o], the overlap in F1 between [u] and [o] was also considerable. The merging of the vowels [e] and [ε] in Seoul Korean has been completed. Finally, there were indications that female speakers are leading changes in the vowel system of contemporary Seoul Korean as posited by Labov (1990).

      • 능력중심사회에 기반한 여성직업능력개발체계 분석 및 정책과제(Ⅰ)

        오은진(Eun-Jin Oh),신선미(Sun-Mi Shin),장희영(Hee-Young Jang),김미숙(MeeSouk Kim)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6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16 No.-

        Ⅰ. Research Questions and Methodology □ This study was initially planned as a two-year general project with the first year(2016) project focusing on the job training system for middle-aged and older women, which has faced the most significant changes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nd methodology are as follows: - This research aims at discovering the identity of NCS-based job training for women in the middle of the changes in the vocational training system for middle-aged and older women along with the complaints from middle-aged and older female trainees about completing NCS-based programs and areas for its improvement. - This study took a look at the outcome we might expect from the system in terms of the transition of middle-aged and older women to the labor market. - To conduct this research, a number of research methods were utilized such as analysis of administrative DB for identifying the current state of “Vocational Skills Development Account,”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for those related to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s,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for those who completed training programs, and on-site visit to job training institutions. Ⅱ. Analysis of the operation of NCS and the participation of women through Tomorrow Learning Card training program □ In this chapter, we used the HRD-Net materials to collect data on job training institutions and their trainees from January 1, 2015 to December 31, 2015. The data was analyzed by region and gender and on the difference in training periods between the NCS-based trainees and non-NCS trainees, the difference in training cost and employment rate. - Findings from the analysis of the training of the unemployed showed that NCS-based training took up a mere 21% in that area in 2015. - Females accounted for 73% of “Vocational Capability Development Account” trainees and women showed higher participation rates than men in all types of occupation. - The overall employment rate is 39%(men: 39.4%, women: 38.8%). - Regarding the employment rate of those who completed the NCS-based training courses by gender, females posted a relatively higher rate than males with 37.4% while males recorded 36.7%. When it comes to those from non-NCS programs, men were 40.2% while women showed 39.7%, indicating that non-NCS courses were more helpful in getting a job for both genders in 2015. □ Regarding NCS operation rates by the type of occupation, business administration, accounting, and office jobs recorded the highest proportion for both NCS and non-NCS-based training. Those areas have most aggressively introduced and applied NCS from 2015, accounting for 40% of the overall NCS-based training programs. In addition, food service-related jobs take up a significant portion of both NCS and non-NCS. This demonstrates that female-friendly jobs account for a large proportion of the training programs for the unemployed, and these programs have already been in transition to NCS-based courses. Ⅰ. 서론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 본 연구는 2개년도의 일반과제로 기획되었으며 2016년 올해는 1차년도 과제로 NCS의 도입으로 인해 가장 큰 변화를 맞고 있는 중·장년 여성의 직업훈련체계에 대해 초점을 맞춰 연구하고자 하였다. 구체적 연구질문과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중·장년 대상의 직업훈련체계 변화 속에서의 NCS기반 여성직업훈련의 정체성과 중·장년 여성들이 NCS기반 훈련과정을 이수할 때 겪을 애로점 및 개선점, 그리고 향후 이 제도로 인해 중·장년 여성의 노동시장 이행과정에 어떤 구체적 성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해 직업능력개발계좌제의 실질적 현황을 알 수 있는 행정 DB 분석, 직업훈련기관 관계자 대상의 설문조사 및 면접, 직업훈련 수료생 대상의 설문조사 및 면접 그리고 직업훈련현장방문 등 다양한 연구방법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고자 노력하였다. Ⅱ. 여성직업능력개발 지원제도 현황 1. 여성 고용의 특성 □ 우리나라 여성의 경제활동참여율은 2014년 56.9%, 2015년 57.9%로, OECD국가의 2014년 여성 경제활동참여율 62.8%와 비교하면 상당히 낮은 수치를 나타낸다. 같은 기간 연령대별 경제활동 참여율을 보면, 전체적으로 여성 경제활동이 30대에 멈췄다가 40대 이후에 다시 시작되는 경력단절현상은 크게 변화하지 않고 있다. - 2010년에서 2015년 사이 여성과 남성의 고용률은 약간 상승했으며, 여성 실업률은 상승한 반면 남성의 실업률은 하락했다. 특히 중·장년 여성의 고용률이 과거 5년 전보다는 좋아지고 있다. 전반적으로 과거 대비 고용사정은 여성에게 나아지고 있다고 할 수 있으나 남녀 간 고용률 격차는 여전히 20% 이상 차이가 난다. - 전 직종에서 남성은 여성보다 높은 임금을 받고 있으며, 2015년 여성의 임금은 남성 임금의 62% 수준에 불과하다. 2010년 63.9%보다 오히려 임금격차가 증가하였다. - 2010년과 2015년, 여성이 대체로 많이 분포하는 산업은 도소매업, 음식·숙박업, 제조업, 교육서비스업,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등이다. 남성의 경우 대체로 여성보다는 전 산업에 골고루 분포하는 경향을 보이지만 제조업, 도소매업, 건설업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인다. 여전히 여성은 미래 부가가치가 적은 산업에 집중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다. 2. 국내 직업능력개발지원제도의 현황 □ 1997년 외환위기 이후 급격히 증가한 실업자의 취업훈련 요구를 감당하기 위해 정부는 훈련공급자 중심 정책으로 직업능력개발사업을 운영하였다. 이러한 정부의 전달체계는 훈련참여율 저하, 참여기회 양극화, 산업현장과의 괴리 등 여러 문제를 낳았다. 이에 “훈련생의 훈련선택권 확대, 훈련시장 활성화, 훈련의 질 제고” 등을 목적으로 ‘직업능력개발계좌제’가 도입되었다. - 직업능력개발계좌제를 통해 과거 물량배정제보다 훈련과정이 증가하고 훈련생 선택의 폭이 확대되어 “훈련생 만족도 증가, 중도탈락 감소” 등의 성과가 있었으나, 훈련의 질에 대한 우려를 낳았고, 훈련참여자의 선택권이 강조되면서 기업의 훈련수요가 잘 반영되지 못하고, 훈련희망자들이 선호하는 일부 직종의 훈련과정으로 편중되는 등 결국 훈련의 취업성과가 낮아지는 문제가 야기되었다. □ 이에 2014년 정부는 “직업훈련의 산업현장성(NCS) 강화” 및 “품질관리 효율화”를 통해 직업훈련의 성과를 제고하겠다는 직업능력개발훈련 지원체계 개편방향을 밝혔다. 최근 직업훈련을 “성과 지향적”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정부의 개편방향은 더욱 강화되어, 취업률 70% 이상 훈련직종은 “우수직종”으로서 훈련생 자부담이 최소화되고, 취업률 35% 미만 “저성과 직종”은 자부담 수준이 80%까지 증가한다. - 또한 정부는 2016년부터 NCS 활용이 가능한 직종(과정)에는 NCS를 전면 적용하며, 취업성과가 높은 국가기간·전략산업직종, 장기 훈련을 활성화하고 대부분 3개월 미만인 계좌제 훈련은 축소하는 등 실업자 훈련을 개편하고 있다. - 아울러 정부는 “직업능력개발훈련의 품질관리체계 구축”을 위해 2015년부터 정부지원 훈련 위탁자격을 인증하는 ‘훈련기관 인증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인증유예를 받은 기관은 1년간 훈련시장 진입이 차단되며, 2017년부터는 성과(취업률, 수료율 등) 중심 평가를 더 강화할 계획이다. □ 청년층이 주요 대상이고, 장기 훈련이며, 고용보험 가입 사업장으로의 취업률을 기준으로 취업성과가 우수한 국가기간·전략산업직종 훈련을 대폭 확대하는 한편, 내일배움카드 훈련은 축소한다는 정부의 개편방안은 상대적으로 경력단절여성, 중·장년 여성들의 직업훈련 참여를 제한하게 될 우려가 있다.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 진로성숙태도, 전공만족도 간의 관계

        오은진 ( Oh Eun Jin ),공정현 ( Kong Jeong Hyeon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3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J시, S시 소재 2곳의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 250명 이었고, 자료수집기간은 2016년 10월 2일부터 10월 30일까지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1.0 프로그램으로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은 3.57(±0.42)점, 진로태도성숙은 3.14(±0.34)점, 전공만족도는 3.79(±0.54)점이었고, 감성지능은 전공만족도과 양의 상관관계에 있었다.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지원동기, 감성지능이었고,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27.4%이었다. 이에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감성지능 프로그램 제공이 필요하며, 감성지능이 낮은 학생을 대상으로 감성지능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연구를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the major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50 nursing students enrolled in two nursing departments in J and S cities.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October 2, 2016 to October 30, 2016.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21.0 program.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the nursing college students was 3.57(±0.42), the career attitude maturity was 3.14(±0.34), and the major satisfaction was 3.79(±0.54). The nursing students` motiva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were the factors affecting their major satisfaction level,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was 27.4%. This study suggests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motional intelligence programs for students with low emotional intelligence.

      • KCI등재

        출산 · 육아기 모성보호제도 활용이 여성 경력단절에 미치는 영향

        오은진(Eunjin Oh),김소연(Soeyon Kim)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21 아시아여성연구 Vol.60 No.1

        저출산, 고령화 사회의 인구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여성 경제활동의 활성화, 안정화가 필수적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여성의 경력유지나 단절에 출산전후휴가, 육아휴직과 같은 모성보호제도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중심으로, 2015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전반적으로 기혼여성들은 고용 안정성이 높을수록, 경력단절 위험이 낮았다. 또한, 출산전후휴가나 육아휴직과 같은 모성보호제도를 사용할수록, 자녀 출산 전후 시점에서 경력단절 위험을 낮추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종사상 지위가 비정규직이거나, 민간기업 종사자일수록, 경력단절의 위험은 일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한편, 여성의 육아, 가사노동시간 비중은 높을수록, 경력단절 위험이 높아졌다. 이러한 결과는 여성들이 보다 안정적인 경제활동을 지속하기 위해, 직장유형이나 종사상 지위 등의 조건에 관계없이 모성보호제도가 보다 확장될 필요성이 높음을 시사한다. 동시에, 남성의 육아, 가사노동 시간량을 늘리는 등의 양성평등한 사회적 노력의 병행도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한다. In order to address population-related problems stemming from the ageing society with low birth rates, it is integral to have women’s economic activity empowered and stabilized.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to ascertain the impact of such maternity protection policies as maternity leave and parental leave on women’s career continuation and career interruptions. To do so, an analysis was conducted on 2015 National Fertility and Family Health and Welfare Survey. Overall, married women with higher employment stability are less vulnerable to career interruptions. Moreover, the utilization of maternity protection policies including maternity leave and parental leave are inversely correlated to career interruptions in women prior and subsequent to childbirth. Nevertheless, part-time employees and those working in a private sector are prone to career interruptions. Greater time commitments to childcare and household chores also appear to increase the risk of career interruptions in women.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policy be expanded to ensure women’s stable economic activities regardless of their type of employment or employment status. Concurrently, it also suggests that social endeavors be made for gender equality, including men’s increased time commitments to childcare and household chores.

      • KCI등재

        벤처기업의 지분투자실태와 투자성과분석

        오은진 ( Oh Eun-jin ),박성환 ( Park Seong-hwan ) 한국회계정책학회 2005 회계와 정책연구 Vol.1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코스닥 벤처기업의 지분투자의 실태의 분석과 지분투자의 성과를 일반기업과 비교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첫째, 벤처기업이 일반기업에 비해 지분투자손실을 기록한 기업수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벤처기업이 일반기업에 비해 투자기업수에 있어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벤처기업의 경우 지분투자의 상대적 규모(총자산에 대한 투자주식규모, 총투자주식수)가 클 수록 장기지분투자성과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분투자의 규모가 유사하다고 할 때 일반기업의 장기지분투자성과가 벤처기업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지분투자의 규모의 확대가 기존사업으로부터의 수익성(자기자본경상이익률)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T산업에 대한 추가검증결과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다.결론적으로 코스닥 벤처기업의 경우에 지분투자의 결과는 성공적이지 못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기업가치의 증가나 투자수익의 증가나 내부적인 경영효율성의 증가나 어느 면에서도 기여하였다고 보기 어렵다. 또한 전반적으로 벤처기업이 일반기업에 비해 지분투자의 성과 면에서 열악하게 나타났다는 사실은 벤처기업은 일반기업과는 다르다는 주장들이 근거가 없음을 확인시켜준다. 따라서 지분투자를 통한 사업확장 보다는 선택과 집중이 벤처기업의 진정한 가치를 높이는 길로 판단된다.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equity investments and the performance on equity investments of ventures in the Kosdaq. The 181 firms(101 venture firms and 181 other firms) in the Kosdaq are selected as an sample of this study.As a result of analysing the equity investments on 282 sample firms, the number of firms which they report equity loss from equity investments under the equity method on the average is more than that of firms which they report equity gain from equity investments under the equity method. The number of loss firms in total equity performance is also more than that of gain firms. The relative frequency of loss firms in performance of equity investments tend to be higher in ventures than other firms.The long-term average performance on equity investments is generally higher in the low equity investment group than the high equity investment group. The long-term average performance on equity investments is significantly decreas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investees.The long-term average performance on holding equity securities and the long-term average stock return in ventures are generally less than other firms. In particular, total equity investment performance(the sum of equity income and other equity income) and the long-term average stock return are significantly less in ventures than in other firms.The return on equity (except for the performance on equity investments) of ventures tends to be less in the high equity investment group than the low equity investment group. In addition,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turn on equity (except for the performance on equity investments) between ventures and other firms.In additional analysis of the IT industry, the results are basically the same as the pooled sample case.In conclusion, the equity investments in ventures were generally not very successful in improving the investor's managerial efficiency and increasing it's value. This fact indicates that to increase its value, ventures need to focus on the core business rather than increase its equity investments.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및 주관적 행복감 간의 관계

        오은진 ( Eunjin Oh ),조경진 ( Gyeongjin Jo ),정윤경 ( Yunkyung Ju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6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이 경험하는 학업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및 주관적 행복감 정도를 조사하고 제 변수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간호대학생의 과중한 학업스트레스에 대처할 수 있는 효과적인 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를 마련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편의표집 하였다. J시에 소재한 H대학 간호대학생 218명 중 결측치가 있는 28명을 제외한 190명이 최종 대상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2.0 program을 이용하여 피어슨 상관관계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는 자아존중감과 주관적 행복감에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자아존중감은 주관적 행복감과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의 과중한 학업스트레스에 대한 대처 방안으로 본인 스스로 자기 자신이 가치 있고 소중하며 긍정적인 존재라고 믿는 마음이 증진 될 수 있는 자아존중감과 주관적 행복감을 활용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제언한다. This study is a narrative to establish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an effective intervention program that can cope with the excessive academic stress of nursing students by investigating the degree of academic stress, self-esteem, and subjective happiness experienced by nursing students, and b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variables. It is a research study. Data were conveniently sampl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Of the 218 nursing students at H university located in J city, 190 were finalists, excluding 28 with missing value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for Pearson correlation using the SPSS WIN 22.0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academic stress of nursing student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subjective happiness.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subjective happiness. As a way to cope with the heavy academic stres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it is suggested to develop a mediation program that utilizes self-esteem and subjective happiness that can promote the self-esteem and subjective feelings of self-belief that oneself is valuable, valuable, and posi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