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근대소설에서 무능력자의 형상화 양상과 그 의미

        오연희(Oh, Yeon-hee) 한국비평문학회 2014 批評文學 Vol.- No.52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hed light on the method of representation and the meaning of an incompetent person in modern korean literature. But what discussed in this paper are only three short stories of modern Korean literature in 1910’s and 1920’s ; Kim, Dong-in’s Potato, Hyun, Sang-yoon’s Molest, and Yang, Geon-sik’s A life of Han. In the short stories of 1910’s, Hyun, Sang-yoon’s Molest, and Yang, Geon-sik’s A life of Han Incompetence is discussed what is different from poverty. Kim Dong-in’s short story, Potato is representative of 1920’s literature which covered the correlation of poverty. In modern Korean literature of the 1920’s Incompetence is discussed what is not different from poverty. In short the time when Incompetence is first discussed what is different from poverty modern Korean literature is in 1920’s.

      • KCI등재후보

        지역문학에 나타난 폭력의 몇 가지 양상

        오연희(Oh, Yeon-hee) 한국비평문학회 2013 批評文學 Vol.- No.47

        본고는 대전충남지역의 몇몇 문인들의 작품들을 중심으로 지역문학에 나타난 폭력의 몇 가지 양상들을 살펴보았다. 지역문학은 지배적인 문학에 대한 거부, 특히 지배적인 언어가 가진 헤게모니를 거부하고, 지배문화의 언어를 바꾸어 재구성함으로써 피지배 문화의 경험과 전통을 전달하는 대항문학으로서의 가능성을 지닌 문학이다. 본고에서는 대전충남지역문학을 대표하는 세 명의 작가들의 작품들을 중심으로 현실에 편재하는 폭력성을 오늘의 지역문학이 어떤 방식으로 형상화하고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유형을 구분해낼 수 있었다. 이는 지젝이 구분한 세 가지 폭력 유형, 즉 주관적 폭력, 구조적 폭력, 상징적 폭력에 그대로 대응된다. 고립된 주체의 내면과 환상을 통해 외부세계에 편재해 있는 불가시적인 폭력, 즉 구조적 폭력을 문제시한 최상규와, 모든 사물을 의미있음과 하나의 본질로 환원해 버리는 상징적 폭력에 대해 의미없음의 폐색된 공간으로서의 ‘대천’이란 실제하는 지역과 지역민의 삶을 대안으로 제시하는 서희, 그리고 폭력이 편재하는 세상에서 어떤 것이 더 죄/악인가의 문제를 제기한 유용주 등은 각기 자기만의 방식과 언어로 현실 속에 내재한 폭력을 소설로 형상화하고 있다. 제도화된 권력의 폭력성과 잔인함, 모든 권력과 재화를 얻는 방법은 오직 폭력뿐인 현실 속에서 침묵은 더 이상 폭력에 맞서는 대응책이 될 수 없다. 폭력에 대한 대응은 폭력을 논하는 언어, 담론의 힘, 담론의 폭력으로부터 나올 수 있으며, 이는 지배적인 보편언어에 저항하는 힘을 지닌 지역 문학이 폭력에 어떻게 대응해왔고, 또한 대응할 수 있었으며, 앞으로 어떻게 대응해 나가야할 것인지에 대한 탐색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hed light on the method of representation of violence in DaejeonㆍChungnam regional literature. According to Zizek, there are three types of violence today; subjective violence, systemic represented, symbolic violence. This paper found out Zizek’ three types of violence in DaejeonㆍChungnam regional literature, especially Choe, sang-gyu’ short stories and novels, Seo, hee’ short stories, and Yu, yong-ju’ novels. Choe, sang-gyu’ short stories and novels represented the systemic violence in the society of capitalism. Seo, hee’ short stories represented the symbolic represented. And Yu, yong-ju’ novels represented the subjective violence. Today, regional literature has the characters the anti??literature.

      • KCI등재

        슬픔을 밀어내는 서사의 힘

        오연희 ( Yeon Hee Oh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인문학연구 Vol.41 No.3

        본고에서는 바르트의 서사 이론을 바탕으로 인간의 실존적 범주로서의 슬픔을 웃음으로 전도시키는 두 편의 서사물 분석을 통해, 슬픔을 밀어내는 서사의 전략을 살펴보았다. 본고에서는 오늘날 대표적인 서사 매체인 소설텍스트와 영상텍스트 1편씩을 분석해 봄으로써 서사가 삶을 개선시키는 힘은 서사물 각각의 장르와 매체의 특성에서 비롯되는 각기 다른 서사전략을 구사함으로써 획득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가령 하근찬의 『흰 종이 수염』에서는 소설 특유의 서사기법인 시점의 선택에서, 베니니의 『인생은 아름다워』에서는 코미디 영화 특유의 장르 문법인 익숙한 것의 생략 기법과 중요 이미지의 반복적 배치라는 서사기법의 구사를 통해서, 각기 다른 방식으로 ``삶을 온전하게`` 만드는 슬픔의 정치학을 텍스트 안에서 실현해내고 있다. 따라서 바르트가 ``옛날의 수사학``이라 하여 비판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과 시학은 비극이란 장르와 매체를 전제로 한 것이었던 만큼, 오늘날의 서사 이론은 각각의 장르와 매체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서사이론을 개발해 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studied the power of narrative that pushes out people`s sorrow. Sorrow as an human existential category is related to other existence that a wholesome existence is envisioned. Narrative has the overthrowing power of the realities of life. Narrative gives us a laugh that we can overcome our sorrow. There are two narrative strategies that can push out our sorrow in the realities of life. One is the method that make forget our sorrow by a laugh, The other is Aristotle`s concept of catharsis, This paper studied the two first sorts of narratives, One is Ha Geuncan`s short story, White Paper Beard (1959), In this text, the writer selected the child`s point of view, Such a foolish point of view is a kind of narrative strategies that push out our sorrow from a laugh, The other is Roberto Benini`s movie, La vita e bella, This text selected the narrative strategies leaving out and repeating image. In short, each narrative has the inherent narrative strategy. There are many narrative strategies in which narrative pushes out our sorrow.

      • KCI등재

        21세기 작문교육의 현황과 인문학적 모색을 통한 전망

        오연희(Oh, Yeon-hee),김화선(Kim, Hwa-seon) 한국문화융합학회 2017 문화와 융합 Vol.39 No.5

        논리적 글쓰기와 창의적인 사유는 엄격하게 분류할 수 없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한국 대학의 작문교육은 결과 중심의 글쓰기, 규범과 형식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글쓰기 교육에 몰두해온 경향이 있다. 본고는 이러한 상황을 문제적으로 인식하고 미국을 비롯한 독일과 프랑스 등 서구 학계의 글쓰기 교육 이론이 전개된 양상을 살펴보고 인문학적 관점에서 21세기가 지향해 가야할 새로운 작문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미국에서 전개된 작문교육의 경우 사회비판적/문화적 글쓰기 수업이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는데, 아이라 쇼어의 해방된 수업은 사회비판적/문화적 글쓰기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사례를 제공해준다. 다만, 리처드 퍼거슨이 지적한 바와 같이 담당교수의 문화적 구조물에 관한 해석은 학생들의 글쓰기에 많은 영향을 끼칠 것이므로 사회비판적/문화적 글쓰기 수업이 지니는 의미를 실제 수업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실천적 방법론을 모색하는 일이 시급한 과제이다. 학습자의 능동적인 참여를 요구하는 독일의 작문교육과 텍스트를 통한 학습자 중심의 통합적 교육을 지향하는 프랑스의 작문교육을 경유하여 본 논문은 프레이리의 대화적 교수법과 비판적 문화이론에 근거한 작문 교수법의 가치에 주목하고 있다. 브라질 출신의 교육학자 파올로 프레이리가 제안한 대화적 교수법과 아이라 쇼어의 해방된 수업을 적용한다면, 교수자와 학습자의 위계를 타파한 ‘해방 학습’ 과정이 대학 작문 교육의 대안으로 논의될 수 있을 것이다. Even though critical or creative cogitation and logical writing are not severely classified, Korean universities’ composition education has been engrossed in writing education that is result oriented and focuses on standard and formality. This research recognizes this situation as a problem and examines a developed aspect of a writing education theory in Western academia. It also suggests the direction of new composition education that should be aimed in the 21stcentury while attempting the general research for instructional strategies that cover lessons along the same lines. The direction of composition education has changed from a formal and cognitive view to a social view. The feature of composition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which had a great influence in composition education in Korea can be seen by comparing the contents of Eight Approaches to Teaching Composition from NCTE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English) in 1980 and A Guide to Composition Pedagogies in 2001. The part we should think in developing composition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as Richard Fulkerson pointed out, is that the value of social critical/cultural writing education is judged by how students write in detail and insight fully to wards the interpretation of cultural structures of their professor. In short, it remains in content based evaluation; thus, it does not suggest a keen alternative to overcome the limitations. In this context, it is an urgent task to seek for practical methods to effectively utilize the value of social critical/cultural writing education in the actual classes.

      • KCI등재

        일선융화의 문화담론과 그 내면

        오연희(Oh Yeon-hee) 한국비평문학회 2021 批評文學 Vol.- No.79

        본고는 일선융화의 문화담론을 통해 근대의 내면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일선융화의 문화담론은 근대의 본질과 의장 사이의 구별불가능한 지점을 보여주는 장소이다. 식민지 시대 일본 제국의 지배논리였던 일선융화라는 문화담론은 일본과 조선 양국의 근대화 구호의 외면과 내면 사이의 모순을 드러내는 대표적인 담론의 장이라 할 수 있다. 새롭지 않은 테마를 새로운 스타일로 말하려고 하며, 본질이 아닌 의장을 끝없이 갱신해 가는 것이 근대성의 특성 중 하나라면, 일선융화의 문화담론이 어떤 방식으로 변모해갔는지를 살피는 것은 본질과 의장 사이의 길항관계에 대한 탐구의 일환일 것이다. 본고가 일선융화의 문화담론을 통해 밝혀보고자 한 것은 서구의 것이든 비서구의 것이든 근대라는 것의 의장 밑에 깔려있는 본질(내면)이 무엇인지를 다시금 확인해보고자 한 시도이며, 이는 법치에 의해 지배되는 민주주의 사회라는 의장의 내면이 제국주의 시대 일선융화 담론과 다를 바가 없다는 문제의식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오늘날 민주주의라는 구호가 여전히 차별과 위선적인 자선의 이면에 깔려있는 위계적 정서를 그 추동력으로 하고 있는 것처럼 식민지 시대 일선융화의 내면에는 현실의 엄혹한 차별과 폭력적 위계가 엄존하고 있었다는 점에서 근대 초기와 포스트 근대 사이에는 본질적인 차이는 없으며 의장의 갱신과 쇄신만이 있어온 것은 아닌지 하는 의문을 제기하지 않을 수 없다. This paper attempted to reveal the inner side of modern times through cultural discourses of Ilseon-yunghwa. The cultural discourse of Ilseon-yunghwa is a place that shows the indistinguishable point between the essence of modernity and the design. The cultural discourse of first fusion, which was the ruling logic of the Japanese Empire during the colonial period, can be said to be a representative place of discourse that reveals the contradiction between the outside and the inside of the modernization slogan of both Japan and Joseon. If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ity is to try to talk about a new theme in a new style, and to constantly renew the design rather than the essence, it is the antagonistic relationship between the essence and the design to see how the cultural discourse of the front-line convergence has changed It will be part of the quest for. What this paper aims to uncover through the cultural discourse of front-line convergence is an attempt to reconfirm the essence (inner) underlying the design of modernity, whether it is Western or non-Western, which is governed by the rule of law. It originated from the consciousness of the problem that the interior of the chairman of a democratic society was no different from the discourse of fusion in the era of imperialism. Just as today"s slogan of democracy still has the hierarchical sentiment underlying discrimination and hypocritical charity as its driving force, there were severe discrimination and violent hierarchies of reality within the colonial era. There is no ess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post-modern period, and it is compelling to raise the question of whether there has been only renewal and renewal of the chairman.

      • KCI등재

        계급적 관점에서 바라본 현대 가족의 두 양상 - 김혜진의 『딸에 대하여』와 정세랑의 『시선으로부터,』를 중심으로

        오연희(Oh, Yeon-hee)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21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학술지 어문논총 Vol.0 No.38

        출세주의와 연관된 한국 사회의 가족이라는 맥락에서 2010년 이후 한국소설에서 일종의 변형 가족들이 대거 등장하기 시작했다. 본고에서는 이런 경향성을 집약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두 편의 소설을 대상으로 오늘날 그 안에 재현된 가족을 계급적 관점에서 탐구해 보고자 하였다. 먼저 김혜진의 소설 『딸에 대하여』는 오늘날의 가족이 엄마 노동자, 혹은 그림자 노동이라고도 불리는 여성들의 돌봄노동을 통해 지탱되고 있음을 보여준 소설이다. 그러나 프롤레타리아 가족 구성원의 여성들은 사회적 돌봄 노동에 종사하는 경우가 허다하기 때문에 정작 자신의 가족 안에서의 돌봄 노동에 소홀해질 수밖에 없다. 이에 오늘날 가족해체 현상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 작품은 돈을 매개로 한 돌봄과 사랑을 매개로 하는 돌봄이라는 돌봄의 상반된 방식을 보여줌으로써 오늘날 부르주아 가족의 허상을 고발하고, 진정한 가족의 의미를 타자와 타자성까지도 포용하는 사랑의 체제 속에서 찾고 있다고 보았다. 반면 정세랑의 『시선으로부터,』는 근대화 초기 나혜석과 같이 가부장적 질서의 폭력으로 인해 비참하게 생을 마감했던 여성들이 살아서 가계를 일구었다면, 이라는 판타지에서 출발한다. 하지만 이 소설은 서로 협력하고 연대하는 일종의 시민적 결합으로서의 가족의 모습을 구현해 내고는 있지만, 계급적 관점에서 봤을 때 그런 가족은 어디까지나 일정한 자산과 소유를 전제로 가능하다는 점에서 가족을 지탱하는 것이 돈임을 잠시 잊거나 괄호치자고 제안한다. 이 소설이 판타지스럽게 다가오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고 본다. 오늘날 가족은 가장 첨예한 계급투쟁적 함의를 지닌 영역이다. 사회의 축소판으로서의 가족을 향후 어떻게 정의하고 어떤 모습으로 나아갈 것인지를 전망해 보는 것은 21세기 소설에서 중요한 과제 중 하나가 될 것으로 보인다. 개인화 경향이 강화될수록 사회와 개인을 연결해주는 매개체로서의 가족은 더더욱 중요한 역할을 부여받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In the context of the family of Korean society related to successionism, a kind of transformed family began to appear in many Korean novels after 2010. This paper aimed to explore the class struggle implications of a new family model reproduced in two contemporary two novels that intensively show this tendency. First, Kim Hye-jin’s novel, “About Daughter”, is on that shows that today’s family is supported through the care work of women, also called mother workers or shadow labor. Furthermore, since women in proletarian families often engage in caring work socially, they are bound to neglect caring work in their own family. This is also the cause of the family breakup phenomenon that is occurring today. However, it is to accuse the illusion of the bourgeois family through different ways of caring, caring through money and caring through love, and looking for the true meaning of family in a system of love that embraces the other It may be seen as the political implication of the Kim Hye-jin novel. On the other hand, from Seerang Jeong’s view, starts from the fantasy that if women who died miserably due to the violence of the patriarchal order like Na Hye-seok in the early modernization period lived and built a household. However, this novel embodies the appearance of a family as a kind of civic union that cooperates and solidifies with each other without oppressing individuals whose feminine values are realized, but such a family can only be made on the premise of certain assets and possessions. A suggestion may be made that money itself may be forgotten in the quest for pecuniary gain which leads one to assess the novel as fantastical. Today, the family is an area with the most acute class struggle implications. It seems to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tasks in 21st century novels to view the family as a miniature version, or microcosm, of society as it will be defined in the future. This is because the stronger the individualization trend, the more important the family will be given as a medium connecting society and individuals.

      • 피학대경험이 아동의 비행과 또래관계 소외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오연희 ( Yeon Hee Oh )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센터 2012 사회복지실천 Vol.11 No.-

        본 연구는 아동학대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비행과 또래관계 소외의 예방 및 치료를 강화하며 사회적 지지의 역할을 모색하고 다양화하는 계기를 마련하여 개입 방안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총 네 개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아동의 피학대경험이 비행행동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아동의 피학대경험이 또래관계소외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아동의 피학대경험은 비행에 미치는 영향이 사회적 지지에 의해 조절되는가? 넷째, 아동의 피학대경험은 또래관계로부터의 소외에 미치는 영향이 사회적 지지에 의해 조절되는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분석 자료로서 서울아동패널 3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였다. 종속변수는 비행과 또래 관계 소외이며, 독립변수는 신체적 학대, 정서적 학대, 방임으로 구성되었다. 조절변수인 사회적 지지는 부모 유대감, 또래지지, 참여활동 및 서비스로 설정하였고 인구사회학적 요인(성별, 빈곤, 자아존중감, 부모의 학력, 가족 구성형태)을 통제변수로 보았다. 연구문제 및 가설을 감정을 검증하기 위해서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 하였다. 인구사회학적 요인을 통제하였을 때, 첫 번째 연구문제에서는 정서적 학대가 비행을 유의미한 수준에서 설명 하였다. 두 번째 연구문제 분석결과에 따르면 또래관계소외를 유의미한 수준에서 설명하는 독립변수는 없었다. 세 번째 연구문제 분석결과, 조절효과를 보기 위해 학대경험과 사회적 지지의 상호작용변수를 추가하였지만 유의미하게 비행을 설명하는 변수는 없었다. 네 번째 연구문제에서는 상호작용을 투입하였을 때, 조절변수인 부모 유대감이 유의미하게 또래소외를 설명했는데 이는 신체적 학대경험이 높은 아동의 부모유대감이 높을수록 또래 소외정도가 높아짐을 말한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해 볼 수 있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피학대경험에 대한 비행과 또래 관계 소외라는 문제를 동시에 다뤘다는 부분에 의의를 갖는다. 둘째,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보았는데 여기서 사회적 지지가 받고 있는 서비스 및 참여활동을 포함하여 보다 거시적 맥락의 사회적 지지를 다루었다는데 의의를 갖는다. 셋째, 본 연구의 분석결과, 신체적 학대뿐만 아니라 정서적 학대와 같은 비가시적인 학대유형도 사회문제로 인식하고 예방하는 제도화가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hat people recognize the severity of child abuse, intensify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elinquency and peer rejection, and offer useful information about intervention strategy by exploring role of social support and making various opportunity. The author sets four study questions to make an object of this study. First, does child abuse affect to their delinquency? Second, does child abuse affect to their peer rejection? Third, the impact of child abuse in delinquency is controlled by social support? Fourth, the impact of child abuse in peer rejection is controlled by social support? The author used Seoul Panel Study of Children(SPSC)`s third data as analyzing data to solve these study questions. In this study, a dependent variable is consist of delinquency and peer rejection, and a dependent variable is consist of physical abuse, emotional abuse, and neglect. Social support which is a moderating variable is set by parent-child bond, peer support, and service. Then, demographic factors(sex, poverty, self-esteem, parents` education level, and family form)are regarded as control variables. To verify study questions and hypothesis`, the author use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hen demographic factors are controlled, emotional abuse which is one of child abuse is significant at delinquency in first question result. In second study question result, There is no independent variable which is significant at peer rejection. In third study question result, there is no variable which is significant at delinquency despite of adding interacting variables about experienced abuse and social support to observe moderating effect. In fourth study question result, parents`bonding which is moderating variable is significant at peer rejection. It means that if parents` bonding is low, peer rejection will be high. There are some implications based on above results. First, this study handles the impact of child abuse in delinquency and peer rejection at the same time. Second, a meaning for this study to include social service. Third, it shows that people should recognize not only physical abuse but also emotional abuse as one of social problem, and need a system to prevent these problems.

      • KCI등재

        기술적 대상들의 인간화, 혹은 기술적 대상과 관계맺기 - 질베르 시몽동의 『기술적 대상들의 존재양식에 대하여』 읽기

        오연희(Yeon-hee Oh ) 한국리터러시학회 2022 리터러시 연구 Vol.13 No.3

        이 글은 1958년질베르시몽동의 박사학위부 논문인『기술적 대상들의 존재양식』을 문학연구자의 관점에서 읽은 것이다. 주지하다시피시몽동은 개체 발생적 존재론과 기술철학으로 1990년대 이후 급부상하고 있는 프랑스 철학자이다. 마르쿠제, 보드리야르, 들뢰즈를 비롯하여, 마수미, 비르노, 네 그리, 하트와 같은 현대 정치철학자들과 스티글러, 라투어와 같은 현대기술철학자들은 시몽동으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시몽동의『기술적 대상들의 존재양식』을 몇 가지인 문학적 키워드를 통해 읽고자 한다. 오늘날인 문학이 처한 딜레마는 인간에 대한 연구로서의 인 문학이, 인간 아닌 외부자의 시각에서 인간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혹은인간 아닌 존재들과 인간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한 것인가라는 문제와 관련되어 있다. 이같은 문제에 대한 일말의 실마리를 시몽동의『기술적 대상들의 존재양식』에서 찾아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외, 문화, 노동, 기술적 대상등이 책의 중요 개념들을 이전의 사유전통과 비교해 가면서 읽어볼 것이다. 이를 통해 시몽동의『기술적 대상들의 존재양식』이 지닌 현재적 의미를 밝혀내고자 한다. 시몽동의 대전제는 오늘날의 문화가 예전의 일반적인 성격을 잃어버렸다는 것인데, 그것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기술적 대상들의 의미와 가치를 철학적으로 사유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같은 시몽동의 견해는 날로 발전하는 기술정보화 사회에서 제대로 적응하지 못하고 떠도는 현대인으로 하여금 현대사회의 소외를 발본적으로 이해할 수있는 실마리를 제공함과 동시에 그것으로부터 벗어날 수있는 사유를 촉발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This article is a reading of Gilbert Simondon’s Ph.D. dissertation in 1958, “Modes of Existence of Technical Objects” from the perspective of a literary researcher. As is well known, Simondon is a French philosopher who has been rapidly emerging since the 1990s with his ontology ontology and philosophy of technology. Simondon influenced many modern political philosophers such as Marcuse, Baudrillard, Deleuze, Masumi, Virno, Negri, and Hart, and modern technological philosophers such as Stigler and Latour. To this end, I try to read Simondon’s ‘Modes of Existence of Technical Objects’ through the important concepts of this book, such as alienation, culture, labor, and technological objects. Simondon’s premise is that today’s culture has lost its general character, and in order to recover it, the meaning and value of technological objects must be philosophically considered. Simondon argues that this will provide a clue to more fundamentally understand the alienation of modern society. Furthermore, unlike the previous theory of alienation, which raised the problem of alienated labor, Simondon pointed out that labor itself is alienated.

      • KCI등재

        근대문학 정전을 통해 본 근대적 글쓰기의 수사학 -1930년대 문학선집을 중심으로

        오연희 ( Yeon Hee Oh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3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52

        본고는 한국 근대문학의 정전 형성기의 정전 선정의 원리로 작용한 담론의 수사학을 살펴보고, 근대적인 글쓰기의 배치도가 형성되게 된 과정과 맥락을 문제시하여 향후 새로운 글쓰기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중요한 참조점을 마련해 보려는 시도이다. 특히 1930년대는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문학선/전집의 출간이 활발하게 이루어진 시기로서 근대문학의 정전화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진 시기이다. 1930년대 독자대중의 성장 속에 명작을 유통, 소비하려는 사회적 요구와 근대 출판제도가 맞닿으면서 근대문학의 정전은 형성되었고, 이는 오늘날까지도 이어지고 있다.근대문학과 수사학의 관계는 이후 한국근대문학의 정전 형성 과정에서도 중요한 선집 원리로 작용하고 있다. 근대문학을 제도화 정전화하는 과정에서 사용된글쓰기의 수사학은 또한 한국 근대문학을 세계문학 속에서 바라보게 하는 시선을 제공했다. 가령 근대문학 선/전집의 광고에 자주 등장했던, ‘서에 도스도옙스키, 동에 엽상섭’, ‘조선의 고리키, 최서해’, ‘조선의 문호, 이광수’(『삼천리』 1935. 8 광고)식으로 외국 문호들에 기대어 그 권위를 드러내려는 수사학은 한국근대문학의 정전 형성에 어떤 무의식이 작용하고 있는가를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 나아가 세계명작에 대한 욕망은 독자 대중의 교양에 대한 욕망과 맞물려 1930년대 이후 한국근대문학의 폭발적인 양적 성장을 가능케 한 중요한 요인들 중 하나였음을 알 수 있다. 요컨대 1930년대 문학선/전집을 중심으로 한국근대문학의 정전형성 과정에서 동원된 대표적인 수사학인 세계문학과의 은유와 환유는 한국근대문학을 세계문학속에서 보게 하는 새로운 시선을 부여해 줌으로써 20년대 문학의 내셔널리즘을 어느 정도 극복하는 데 일조했던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나아가 한국 특유의 닦음의 수사학이 어떻게 문학적 글쓰기를 대중 설득의 한 전략으로 활용해 왔는가를 살펴볼 수 있었다. This paper has studied the Rhetoric of Modern Writing using in which Modern Korea Literature Canon was making. This paper aims to look into the method of canonization of Modern Korea Literature in the 1930`s. There are many rhetoric strategies in canonization of Modern Korea Literature in 1930`s. Specially this was connected to planning magazines. In Those days many publishing company`s process of selecting masterpieces was proper to find out the fact that the process of composing canonization in the colonial period was very strategic. There were two narrative strategies in making the canonization of Modern Korea Literature in 1930`s : Metaphor and Metonym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