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생체모사 나노전달체 연구와 계면화학

        오승주 ( Seung-joo Oh ),김희진 ( Hee-jin Kim ),한사라 ( Sara Han ),정재현 ( Jae Hyun Jeong ) 한국공업화학회 2017 공업화학전망 Vol.20 No.6

        나노전달체 관련 기술은 다양한 질병 치료에 사용되어 단위세포 수준의 치료를 가능하게 할 뿐 아니라 영상 진단과 접목되어 질병의 진단 및 치료가 동시에 가능한 기술로 진화하고 있다. 본지에서는 이러한 연구 중 하나로 생체모사 나노전달체에 대해 다룬다. 다양한 면역세포 및 백혈구, 적혈구 등의 살아있는 세포의 기능을 나노전달체에 부여하여 전달효율 및 치료효과를 높이고자 하는 기술이다. 지금까지의 나노전달체 연구 및 개발 동향에 대하여 간략하게 살펴보고 특별히 최근 주목 받고 있는 생체모사 나노전달체의 개념, 제조 방법, 응용 및 앞으로의 전망에 대하여 논하였다.

      • KCI등재

        세포주도형 전달시스템을 위한 알지네이트 마이크로젤의 기계적 물성 제어

        오승주(Seung Joo Oh),김희진(Hee-Jin Kim),조성우(Sung Woo Cho),한사라(Sa Ra Han),신성규(Sung Gyu Shin),정재현(Jae Hyun Jeong) 한국고분자학회 2018 폴리머 Vol.42 No.1

        세포전달체의 기계적 물성을 조절하여 세포의 분화 정도에 따라 방출 제어가 가능한 세포주도형 전달시스템을 설계하였다. 먼저, 알지네이트 분자에 메타크릴레이트를 도입하고 순수 알지네이트 분자와 혼합하여, Ca<SUP>2+</SUP> 이온으로 가교된 마이크로젤을 제조하였다. 또한 PEGDA를 첨가하여 이온가교와 함께 화학적 가교가 추가된 마이크로젤을 제조하였다. 메타크릴레이트의 접목도 및 화학적 가교 정도를 조절하여 다양한 강도와 인성을 갖는 마이크로젤을 제조할 수 있었다. 213 J/㎡의 WT(work to fracture)와 7.5 kPa의 E(elastic modulus)를 갖는 마이크로젤 시스템에서 신경세포로 분화가 진행된 세포가 젤을 깨고(hatching) 방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시도한 세포주도형 전달시스템은 세포견인력에 따라 젤의 기계적 물성을 체계적으로 제어한다면 다양한 세포에 적용 가능한 맞춤형 전달시스템으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The cell-instructed delivery system was designed to control the release behavior of cell by tun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cell delivery carrier. First, alginate molecules were substituted with methacrylates and mixed with pure alginate molecules to prepare micro-gel crosslinked with Ca<SUP>2+</SUP> ions. Then, the poly(ethylene glycol) diacrylate (PEGDA) was added to incorporate interpenetrating covalent cross-links in an ionically cross-linked alginate micro-gel. Controlling the degree of substitution of methacrylates and chemical cross-links tuned the alginate micro-gel with varying stiffness and toughness. This study discovered that the cells differentiated into neurons were hatching and released in the alginate micro-gel with WT (work to fracture) of 213 J/㎡ and E (elastic modulus) of 7.5 kPa. Overall,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highly useful in designing cell-instructed delivery devices by systematically controll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gel according to the cell traction forc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가교도가 제어된 콜로이드 마이크로겔의 유변학적 물성 분석

        한사라,신성규,오승주,조성우,정나슬,강부경,정재현,Han, Sa Ra,Shin, Sung Gyu,Oh, Seung Joo,Cho, Sung Woo,Jung, Naseul,Kang, Bu Kyeung,Jeong, Jae Hyun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2019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6 No.2

        본 연구에서는 강도를 조절한 마이크로겔을 사용하여 다양한 점탄성을 갖는 콜로이드 마이크로겔을 제조하였다. 하이드로겔의 화학적 가교제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팽윤비는 $2.0{\times}10^4%$에서 $6.0{\times}10^3%$까지 감소하였고, 강도는 22.2 kPa에서 99.7 kPa까지 증가하였다. 이를 $100{\mu}m$ 크기로 분쇄하여 마이크로겔을 제작하였고 이온성 가교결합을 유도하는 분산액과 혼합하여 콜로이드 마이크로겔을 제작하였다. 그 결과, 가교제의 가교도와 분산액에 따라 $10^{-1}rad/s$의 진동수에서 1.679 kPa.s에서 86.485 kPa.s까지 점도를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콜로이드 마이크로겔의 물성을 제어하기 위해 하이드로겔의 가교도를 조절 또는 분산액의 종류와 함량을 조절하여 다양한 유변학적 거동을 갖는 콜로이드 마이크로겔을 제조하였다. 물성을 제어할 수 있는 콜로이드 마이크로겔을 사용하여 향후 콜로이드 현탁액 및 유화를 제조하는 화장품, 제약, 페인트 및 식품 산업에서 목적에 따라 적합한 물성을 갖는 콜로이드 마이크로겔을 제조할 수 있다. In this study, colloidal microgel with viscoelasticity were prepared by using dispersion containing physical crosslinking agents and microgels with various strengths depending on the degree of cross-links.As the chemical crosslinking agent PEGDA400 content increased, hydrogels have various physical properties the swelling ratio decreased from $2.0{\times}10^4%$ to $6.0{\times}10^3%$ and increased viscosity by about 60%. The colloidal microgel was prepared with micro hydrogel grinded to $100{\mu}m$ size and the rheological behavior was confirmed with physical cross linking agent. A colloidal microgel having various viscosities was prepared by controlling starch and alginate based on micro-hydrogel containing 0.75% (w/v) of PEGDA400. In conclusion, these results would be highly useful for applying as a product that can give various physical properties to the colloidal suspensions, cosmetics, paint, and food industry.

      • KCI등재

        ESS 화재전용 소화약제 및 소화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이연호(Yeon-Ho Lee),이주형(Joo-Hyung Lee),김수진(Soo-Jin Kim),전성호(Sung-Ho Chon),최병철(Byoung-Chul Choi),오승주(Seung-Ju Oh),김시국(Si-Kuk Kim) 한국화재소방학회 2020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34 No.2

        This paper present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fire extinguishing agent and extinguishing system for an energystorage system (ESS) fire.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designed to extinguish an ESS fire is a highly permeable fireextinguisher that reduces the surface tension and viscosity while bringing about cooling action. This is the mainextinguishing effect of this type of wetting agent, which displays the characteristics of fire extinguishing agents used forpenetrating the battery cells inside the ESS module. For the fire extinguishing system, a local application system wasdesigned to suppress fire on a rack-by-rack basis. A 360° rotating nozzle was inserted into the rear hall of the ESS module,and general nozzles were installed in the rack to maximize the fire extinguishing effect.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wasstrongly discharged by virtue of the gas release pressure. Experiments on fire suppression performance with ESS module1 unit and module 3 units showed that all visible flames were extinguished in 8 s and 9 s, respectively, by the fireextinguishing agent. In addition, based on confirming reignition for 600 s after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was exhausted,it was confirmed that the ESS fire was completely extinguished without reignition in all fire suppression performanceexperiments. 본 논문은 ESS 화재전용 소화약제 및 소화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이다. ESS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 제작된 소화약제는 침윤제 타입으로 주된 소화효과인 냉각작용과 더불어 질식작용과 함께 표면장력 및 점도를 낮춘 침투성이높은 소화약제로 ESS 모듈 내부의 배터리 셀까지 소화약제가 침투 가능한 특징이 있다. 소화시스템의 경우 랙 단위로 화재를 진압하는 국소방출방식으로 설계하였고, 소화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랙에 장착되는 일반형 노즐과 ESS모듈 후면 홀에 삽입하는 360° 회전형 노즐을 제작하고, 가스방출압력에 의해 소화약제가 강하게 방사되도록 하였다. ESS 모듈 1단위 및 모듈 3단위 화재진압성능 실험결과 소화약제 방사 후 각각 8 s 및 9 s 만에 눈에 보이는 화염이모두 소멸되었다. 또한, 소화약제 방사종료 후 600 s 동안 재발화 여부를 확인한 결과 모든 화재진압성능 실험에서재발화가 일어나지 않고 ESS 화재가 완벽히 진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