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적환장에서 발생하는 악취 분포 특성에 관한 연구

        전재식,김은숙,유승성,오석률,최한영,Jeon, Jae-Sik,Kim, Eun-Sook,Yoo, Seung-Sung,Oh, Seok-Ryul,Choi, Han-Young 한국환경보건학회 2013 한국환경보건학회지 Vol.39 No.5

        Objective: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identifying major substances contributing to the production of odor and evaluating the characteristic of odors. Methods: Complex odor and 17 odorous compounds were measured at 18 waste transfer stations located in Seoul. Results: The dilution ratio value of complex odor ranged from 4 to 30 times in the boundary layer of 18 waste transfer stations. At 6 measurement points among the 18 waste transfer stations, the dilution ratio values exceeded standards (15 times). When the results were evaluated in terms of their contribution to the formation of malodor, the patterns indicated that the highest concentration values in the residential waste disposal process were of i-valeraldehyde and acetaldehyde, while butyraldehyde and acetaldehyde accounted for a large proportion of odorous compounds from the waste recycling process. Conclusions: It was found that butyraldehyde and acetaldehyde were the primary compounds released from the food waste disposal process. Overall, aldehyde compounds were the greatest contributor to detectable odor intensity emitted at the waste transfer stations.

      • 서울지역 대형 연소시설에서의 질소산화물 제거효율과 배출계수 산정

        신진호(Jin-Ho Shin),오석률(Seok-Ryul Oh),김정영(Jeong-Young Kim),전재식(Jae-Sik Jean),신정식(Jung-Sik Shin) 대한환경위생공학회 2003 대한환경위생공학회지 Vol.18 No.2

        This surve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NOx emission factors at 3 Municipal Solid Waste Incinerators(MSWI) and 5 Power generation boilers in Seoul. The NOx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control systems. The results were as follows.<br/> 1) The NOx reduction efficiencies of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 using ammonia as reducing agent ranged from 53.7% to 89.9%. The NOx reduction efficiencies of SCR using methanol as reducing agent. Non-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NSCm using ethanol as reducing agent and low-NOx burner were 20.8%, 29.1% and 24.7%, respectively.<br/> 2) The NOx emission factors at A-I. A-2 and A-3 facilities of MSWI were 0.786, 0.127 and 0.594 kg NOx!ton fuel. respectively. The factors of A-I and A - 3 facilities were higher than the average value of Korea.<br/> 3) The NOx emission factors at 13-1. 13-2. B-3. 13-4 and 13-5 facilities of Power generation boiler were 2.109, 0.726, 4.100, 8.378 and 5.168 kg NOx/ton fuel, respectively. The factors of 13-4 and 13-5 facilities were higher than the average value of Korea.

      • KCI등재

        충북지역 폐석면광산 인근주민의 석면노출과 건강위해도 평가

        신진호(Jin Ho Shin),오석률(Seok Ryul Oh),황순용(Soon Yong Hwang),정숙녀(Sook Nye Chung),김지희(Ji Hui Kim),남은정(Eun Jung Nam),이진효(Jin Hyo Lee),최희진(Hee Jin Choi),엄석원(Seok Won Eom),채영주(Young Zoo Chae),박철휘(Chul Hwi Park 大韓環境工學會 2012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4 No.5

        충북의 D-석면광산 인근지역에서 석면이 포함된 토양으로부터 대기 중으로 비산되는 석면조사와 주민들의 일상생활이나 토양을 경작하는 농업활동 등의 석면노출이 가능한 주요활동에 대한 인체 위해도를 평가하여, 지역주민의 건강 위해성을 미연에 방지하는 대책을 수립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대기 중 석면 모니터링을 위해 바람의 방향을 고려하여 지역주민의 거주지 근처에 시료채취지점을 선정하였다. 이를 위상차현미경으로 분석한 결과, 20개 지점 중에서 12개 지점은 검출한계 이하이고, 8개 지점도 0.0025~0.0029 f/cc 범위로 석면안전관리법의 공기질 관리기준 0.01 f/cc 보다 매우 낮은 수준이었다. 또한 투과전자현미경으로 이 섬유상 물질을 분석한 결과도 석면이 아니거나 검출한계 이하로 나타났다. 일반 대기 중 석면의 악영향은 거의 없는 것으로 추정된다. 둘째, 현장조사와 지역주민의 설문조사를 토대로 활동근 거시료채취 시나리오를 현지 실정에 맞게 설정하였으며, 그 중에서 예초기 작업과 흙파기, 마당쓸기 시나리오의 경우에 위해도의 95% 신뢰상한치가 석면에 대한 활동별 초과생애 발암위해도의 허용치 1×10-4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 교란활동이 수반되는 농경활동에는 토양에 함유된 석면섬유상 물질이 많이 비산되는 것으로 판단되며, 지역주민의 세심한 주의가 요구된다. 따라서 이에 대한 결과를 바탕으로 환경성 노출원을 가능하다면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석면노출을 최소화하고, 지역주민들에게 석면노출 가능성이 있는 환경에 대해 널리 알림으로써 토양을 교란하여 석면이 비산되는 행위를 제한하는 등의 석면으로 인한 건강피해를 줄이는 체계적인 관리대책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To investigate the exposure and health risk assessment for the residents near the D-asbestos mine in Chungbuk, Korea. We analyzed asbestos in the 20 ambient air and 23 activity based samples near the mine, The airborne sample results are showed that 8 of 20 samples ranged between 0.0025 to 0.0029 f/cc (fiber per cubic centimeter) and the others were below the detection limit by phase contrast microscopy (PCM), In addition, asbestos fibers were under the detection limit or not being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Based on interview and survey targeting the local residents, we made the activity based sampling (ABS) scenarios fit to the conditions of field. At the same time, we calculated the excess lifetime cancer risk (ELCR) of these ABS scenarios according to the ELCR average value and 95% upper confidence limit (UCL). At the case of weed whacking, soil digging and sweeping yard scenario, 95% UCL of ELCR exceeded the 1×10-4, acceptable risk range for exposure. Based on our study results, it is necessary safety measures such as risk communication, abatement or management of naturally occurring asbestos (NOA).

      • KCI등재

        서울지역 생활환경주변의 공기 중 석면분포 특성에 관한 연구

        이진효(Jin Hyo Lee),이수현(Su Hyun Lee),김지희(Ji Hui Kim),오석률(Seok Ryul Oh),신진호(Jin Ho Shin),엄석원(Seo Kwon Eom),채영주(Young Zoo Chae),이진숙(Jin Sook Lee),구자용(Ja Yong Koo) 大韓環境工學會 2013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5 No.9

        본 연구에서는 서울지역 생활환경주변의 공기 중 석면농도 실태를 조사하기 위해서 PCM과 TEM을 이용하여 분기별로 지하철역사 13개소, 서울지역 대기측정소 4개소 및 각각의 인근 도로변 지역 1개소, 하천 6개소의 석재 주변, 주요 서울시내 터널 4개소 등에서 공기 중 석면농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일반대기 중 석면농도와 대표적 기후인자인 온도와의 상관성을 살펴보았으며, 기존 측정지점 중 비교적 많은 시민들이 이용하거나 환승이 되는 지하철역사 2개소와 대표적 대기측정소 2개소를 측정대상으로 시간대별 석면농도 변화추이를 파악하였다. PCM 분석결과, 전체 223개 시료 중 111개 시료에서(50%) 검출한계(7 fiber/mm2) 이하로 나타났으며, 이 중 최대값은 0.0130 f/cc로 나타나는 등 일부시료에서 관리기준을 초과하였지만 TEM법을 이용한 추가분석 결과, 모두 불검출로 나타났다. 또한 TEM 분석결과, 124개 모든 시료에서 석면이 검출되지 않았다. 지하철역사, 서울지역 대기측정소 및 각각의 인근 도로변 지역, 하천 석재 주변, 터널에서의 평균농도는 각각 0.0041±0.0027 f/cc, 0.0015±0.0011 f/cc, 0.0024±0.0012 f/cc, 0.0016±0.0020 f/cc로 모두 실내공기질 관리기준 0.01 f/cc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대기 중 석면농도와 온도와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석면농도는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시기에 높게 나타나는 등온도와의 상관성(r = 0.660)이 어느 정도 유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하철역사와 대기측정소를 대상으로 한 시간대별 공기중 석면농도를 조사한 결과, 지하철역사의 경우,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고, 유동인구가 많은 시간대에 석면농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반면에 대기측정소의 경우, 실외지역에서의 시료채취라는 특성 때문에 일일 중 시간대별 농도변화에서 일정한 패턴을거의 찾아볼 수 없었다. This study is purposed to evaluate the airborne asbestos concentrations in life environment surroundings in Seoul. In study, we investigated airborne asbestos concentrations in thirteen subway stations, four monitoring networks and each vicinity roadside, six stream surroundings, four tunnels quarterly and we also investigated relationship between the airborne asbestos concentrations and ambient temperature in monitoring networks and time-based airborne asbestos concentration variability for two typical monitoring networks, two subway stations transferred and used by lots of people through Phase Contrast Microscopy (PCM)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The airborne asbestos concentrations by PCM for 4 objects of study were less than the detection limit (7 fiber/mm2) in 111 (50%) out of 223 samples. The highest concentration was 0.0130 f/cc. But additional TEM analysis result for samples exceeding the guideline value for indoor air quality (0.01 f/cc) propos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no asbestos was detected. Similarly TEM analysis result for 124 samples, no asbestos was detected. The average airborne asbestos concentrations by PCM in subway stations, monitoring networks, streams and tunnels were 0.0041±0.0027 f/cc, 0.0015± 0.0011 f/cc, 0.0024±0.0012 f/cc and 0.0016±0.0020 f/cc. All objects of study were satisfied with the guideline value for indoor air qualit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irborne asbestos concentrations and ambient temperature in monitoring networks was generally positive correlation (r = 0.660). The higher ambient temperature was and the more transient population was, the airborne asbestos concentrations by time for two subway stations were increased. While the airborne asbestos concentrations for two monitoring networks showed no variation pattern according to time.

      • KCI등재

        충북 폐석면광산지역의 석면 실태조사

        신진호 ( Jin Ho Shin ),이승철 ( Soung Cheoul Lee ),정숙녀 ( Sook Nye Chung ),오석률 ( Seok Ryul Oh ),김남진 ( Nam Jin Kim ),황순용 ( Soon Yong Hwang ),김지희 ( Ji Hui Kim ),남은정 ( Eun Jung Nam ),엄석원 ( Seok Won Eom ),채영주 ( 한국환경분석학회 2011 환경분석과 독성보건 Vol.14 No.2

        To investigate the quality of surface water and groundwater, and the airborne asbestos concentrations in ambient air near the Dong-a inactive mine, 21 water samples and 20 airborne sampl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s a result, Anthophyllite fibers were detected in monitoring well at the quarry and no asbestos fibers were detected in other groundwater samples. On the other hand, 8 samples among 13 groundwater samples exceeded the standard for drinking water, especially for F- and NO3-N. Analyzed by PCM, the concentrations of airborne fibers in ambient air without site activity ranged between 0.0025 f/cc and 0.0029 f/cc at 8 samples of 20 airborne samples, below the guideline for indoor air quality (0.01 f/cc). However, additional airborne sample results by PCM indicated higher concentrations (0.0025~0.6130 f/cc) of fibers in the air based on four site activity scenarios (i.e. plowing, sweeping, weeding and grass cutting). Even though asbestos fibers were not detected in the ambient air samples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airborne asbestos fibers can be exposed to ambient air by agricultural activities. Therefore, in order to identify potential impact on surrounding receptors owing to airborne asbestos caused by site activities, site-specific studies such as risk assesment based on activity-based sampling are required.

      • KCI등재

        PCM과 TEM을 이용한 서울지역 일부 공공 건축물의 실내공기 중 석면농도 조사

        정숙녀 ( Sook Nye Chung ),남은정 ( Eun Jung Nam ),황순용 ( Soon Yong Hwang ),오석률 ( Seok Ryul Oh ),신진호 ( Jin Ho Shin ),엄석원 ( Seok Won Eom ),채영주 ( Young Zoo Chae ) 한국산업위생학회 2011 한국산업보건학회지 Vol.21 No.3

        Objectives: This investigation is purposed to evaluate the airborne asbestos concentrations in the public buildings having asbestos containing materials(ACMs) in Seoul. Methods: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carried out an asbestos survey to the city-owned public buildings to identify the level of risk exposure, classified into low, moderate and high risk. To evaluate the airborne concentration of asbestos, 11 sampling sites in ten buildings based on the survey were selected. The air samples from the eleven sites were analyzed by Phase Contrast Microscopy(PCM)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and compared the analytical results from the both. Results: 1. The airborne fiber concentrations by PCM were less than the detection limit(7 f/mm2) in 9(82%) out of 11 sampling sites. The highest concentration was 0.0043 f/cc, but it was below the guideline value for indoor air quality(0.01 f/cc), propos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2. In two sampling sites, having moderate risk level, the chrysotile was identified and showed it`s concentrations of 0.0102 s/cc and 0.0058 s/cc, less than 5 μm lengths. 3. The ACMs identified in the two sampling sites were a packing material(65% of chrysotile) in mechanical area and a thermal system insulation(5% of chrysotile) in a boiler room. Having more possibility of asbestos emission in the mechanical area, it would be required to set up and carry out the asbestos management plan.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airborne asbestos concentrations in the public buildings with ACMs were generally lower than the guideline value for indoor air quality. There are widespread concerns about the possible health risk resulting from the presence of airborne asbestos fibers in the public buildings.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about airborne asbestos analysis in Korea were performed based on PCM method that asbestos and non-asbestos fibers are counted together. In the public and commercial buildings, having ACMs, it is suggested that the asbestos be analyzed by TEM method to identify asbestos due to concerns about asbestos exposure to workers and unspecified people.

      • 하수찌꺼기에서 초음파를 활용한 인(P) 회수시스템(PRS) 개발

        최예덕 ( Ye-duk Choi ),이준연 ( Jun-yeon Lee ),하현주 ( Hyun-ju Ha ),장주호 ( Joo-ho Chang ),조승희 ( Seung-hui Cho ),임찬섭 ( Chan-sub Lim ),오석률 ( Seok-ryul Oh ),이목영 ( Mok-young Lee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21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21 No.-

        인(P, Phosphorus)은 질소(N) 및 칼륨(K)과 더불어 비료의 3요소로 잘 알려졌다. 현재 우리나라는 인(P)의 주원료로 사용되는 인광석을 대부분 해외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인광석 매장량은 모로코, 미국, 중국 및 러시아 등의 국가가 전 세계 매장량의 80% 이상을 차지한다. 그러나 많은 전문가들에 의하면 경제성을 가진 인광석은 100년 이내에 고갈될 것으로 전망되어 대체자원 확보 및 자원화기술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하수찌꺼기는 하수처리장에서 부산물로 발생하는 폐기물로써 하수도 통계(2018)에 따르면 전국에서 연간 약 409만톤에 이르는 엄청난 부피의 하수찌꺼기가 발생하고 있다. 과거에는 다량의 하수찌꺼기를 해양에 투기하여 처리하였으나 폐기물의 해양투기를 규제하는 런던협약(‘12년)에 따라 하수찌꺼기를 대부분 육상에서 처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서남물재생센터 혐기성소화공정에서 발생한 소화찌꺼기를 대상으로 초음파 조사시간, 교반속도 및 체류시간 등의 최적의 인(P) 용출조건을 도출하였다. 또한 인(P) 회수에 유리한 탈리여액 생산을 위해 약품 비용을 줄이고 탈수찌꺼기의 함수율을 대폭 개선할 수 있는 탈수시스템을 개발하고 특허등록을 완료하였다. 소화찌꺼기 탈수시스템은 초음파용출조, 폴리머 투입조, 멤브레인-필터프레스 및 탈리여액조 등으로 구성하였다. 향후 하수찌꺼기에서 초음파를 활용한 인(P) 회수시스템(PRS) 상용화를 통해 대체자원 확보 및 폐기물 자원화를 위한 기반 구축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 하수 슬러지를 재활용한 인(P) 흡착에 관한 연구

        이인걸 ( In-geol Yi ),최예덕 ( Ye-duk Choi ),장주호 ( Zoo-ho Jang ),김지성 ( Ji-sung Kim ),이준연 ( Jun-yeon Lee ),오석률 ( Seok-ryul Oh ),이목영 ( Mok-young Lee ),신용승 ( Yong-seung Shin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20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20 No.-

        하수처리공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슬러지는 소각, 매립 등으로 처리 시 많은 비용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부수적인 환경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러지를 연료, 건설자재, 매립지 복토재 등으로 재활용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져 왔고, 일부 기술은 실용화되어 있다. 몇몇 연구에서는 폐 슬러지를 흡착제로 활용하여 수계 내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방안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한 바 있다. 한편 인(P)은 유기체의 생명 활동에 필수적인 미량원소이자, 화학 비료 및 합성 세제 등의 주요 성분으로써 인간 활동 전반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인이 수계에 과량 존재할 경우 질소와 함께 하천 및 호소, 해역등지에서 부영양화를 유발하여 심각한 환경 문제를 야기하므로, 적절한 처리 공정을 통한 엄격한 배출 규제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울 소재 S 물재생센터의 탈수 공정에서 발생하는 슬러지를 수중의 인을 제거하는데 활용하여, 흡착제로서의 재이용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탈수 슬러지를 24시간 동안 105℃에서 추가로 가열 건조시킨 후, 곱게 분쇄하고 체를 이용해 100 μm 이하의 크기로 분류하여 완성된 분말을 흡착제로써 회분식 실험에 이용하였다. 건조 슬러지의 화학적 구조 및 특성은 XRF, XRD, FT-IR 등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슬러지에 대한 인의 흡착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슬러지 용량, 반응 시간, 초기 인 농도, pH 등의 변화에 따른 영향을 관찰해 보았다.

      • 하수슬러지에서 초음파를 활용한 고효율 탈수시스템 개발

        최예덕 ( Ye-duk Choi ),이준연 ( Jun-yeon Lee ),하현주 ( Hyun-ju Ha ),장주호 ( Joo-ho Chang ),이진용 ( Jin-yong Lee ),조승희 ( Seung-hui Cho ),임찬섭 ( Chan-sub Lim ),오석률 ( Seok-ryul Oh ),이목영 ( Mok-young Lee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20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20 No.-

        환경부에서 발표한 하수도 통계(2018)에 따르면 전국에서 발생하는 하수찌꺼기는 약 409만톤/년이며 서울시의 하수찌꺼기 발생량은 연간 70만톤 이상으로 알려졌다. 국내 하수처리장은 폐기물의 해양투기를 규제하는 런던협약(‘12년)에 따라 하수찌꺼기 처리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하수찌꺼기는 해양배출 금지로 인해 부분 육상에서 소각하거나 매립하고 있다. 최근에는 하수처리장에서 강화된 총인(P) 법적기준에 대응하기 위한 총인처리시설 도입으로 인해 하수찌꺼기 발생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보통 하수찌꺼기의 함수율은 건조 또는 소각공정의 에너지 비용을 크게 좌우한다. 하수찌꺼기 처리과정 중 많은 약품비가 소요되는 탈수공정 개선은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하수처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좋은 대안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서남물재생센터에서 발생하는 소화찌꺼기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약품비용을 줄이고 함수율을 대폭 개선할 수 있는 탈수시스템을 공동 개발하였다. 탈수시스템은 인간이 들을 수 있는 가청주파수 상한치(20kHz) 이상의 초음파, 폴리머 투입조 및 멤브레인-필터프레스 등으로 구성하였다. 탈수시스템 운전을 통해 초음파 조사 여부, 개질제 및 폴리머 투입에 따른 탈수케익 함수율과 탈리여액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소화찌꺼기 부피 저감과 인(P) 회수시 탈리여액을 고려하여 탈수시스템의 최적 운전인자를 도출하였다. 향후 실험결과를 토대로 초음파를 활용한 탈수시스템은 기존의 탈수공정을 대체하고 하수찌꺼기 자원화를 위한 기반 마련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