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꽃송이버섯의 미네랄, 아미노산, 비타민 함량분석

        신현재,오득실,이희덕,강형봉,이철원,차월석,Shin, Hyun-Jae,Oh, Deuk-Sil,Lee, Hee-Duck,Kang, Hyeong-Bong,Lee, Chul-Won,Cha, Wol-Suk 한국생명과학회 2007 생명과학회지 Vol.17 No.9

        꽃송이 버섯을 이용한 의약품 및 건강기능성 식품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의 목적으로 자실체의 미네랄, 아미노산 및 비타민 함량을 조사하였다. 꽃송이버섯 자실체의 건조중량 100g을 기준으로 조사한 미네랄성분은 K, P, Na, Mg가 주성분을 이루었으며 이 중 K가 1,299.44 mg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유리아미노산의 총 함량은 3,233.45 mg이며 이중 glutamic acid 724.46 mg로 함량이 가장 높았고 전체 유리아미노산의 22.5%를 차지하였다. 총 아미노산의 함량은 8,230 mg이며 이 중 glutamine와 glutamic acid의 합이 1,960 mg로 전체 구성아미노산의 23.8%를 차지하였고 구성아미노산 중 필수아미노산은 2,985 mg이었다. 검출된 8가지의 비타민 중 vitamin E 408.5 mg, vitamin C21.58 mg로 높은 함량을 보였고 특히 칼슘보충에 도움을 주는 vitamin $D_3$은 0.166 mg로 곰보버섯보다 3배 이상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The nutritional composition of fruiting body of Sparassis crispa has been analyzed for medicinal and edible uses. Minerals in S. crispa were found to be as follows; potassium (1,299.44 mg), phosphorus (104.73 mg), sodium (98.21 mg), magnesium (54.86 mg), calcium (8.39 mg), iron (7.61 mg), zinc (6.37 mg), copper (1.31 mg) and manganese (0.63 mg) based on 100 g of mushroom dry weight. In 20 kinds of total amino acids found in S. crispa, sum of glutamic acid and glutamine content was the highest (1,960 mg/l00 g) and sum of aspartic acid and asparagine, tryptophan, leucine and alanine were followed. Concerning free amino acids, glutamic acid, tryptophan, glutamine and aspartic acid were dominant. Among 8 vitamins detected, the vitamin E content was the highest (408.5 mg) based on 100 g of mushroom dry weight, then vitamin C, niacin and pantothenic acid were followed.

      • KCI등재

        난대 상록활엽수림과 곰솔림 임분 특성 및 NVOCs 발산 특성

        김광일,김상미,박인택,이계한,오득실,Kim, Gwang-Il,Kim, Sang-Mi,Park, In-Teak,Lee, Kye-Han,Oh, Deuk-Sil 한국환경생태학회 2022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6 No.4

        본 연구는 주요 난대 상록활엽수종인 붉가시나무, 구실잣밤나무, 동백나무, 황칠나무 등 4종 임분과 곰솔림을 대상으로 2019년 5월~2020년 1월까지 각 산림의 임분 특성 및 NVOCs 발산특성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분석 결과, 각 조사구의 계절별 기온 및 습도는 여름철에 고온다습하고 겨울철 저온건조한 일반적 우리나라의 기후적 특성을 보였고 기압은 대체적으로 겨울이 높았으며 봄, 여름보다 가을과 겨울의 기압이 높았다. 조사구 5개소의 총 NVOCs는 전체적으로 여름철에 가장 높았으며 봄, 겨울은 황칠나무림, 가을은 구실잣밤나무림, 여름은 붉가시나무림의 NVOCs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특성을 보였다. 수종별로 살펴보면, 침엽수종인 곰솔림보다 난대 상록활엽수종인 붉가시나무, 구실잣밤나무, 동백나무, 황칠나무의 NVOCs 발산량이 낮지 않거나 오히려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NVOCs 발산에 기온(r=0.590, P=0.000), 습도(r=0.655, P=0.000)는 양(+)의 상관관계, 기압(r=-0.384, P=0.000)과 풍속(r=-0.263, P=0.018)은 낮은 음(-)의 영향이 있었다. 미기상인자 중 습도(β=0.507, P=0.000)가 NVOC 발산량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온, 기압, 풍속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each forest's stand characteristics and the NVOCs emission characteristics for Quercus acuta, Castanopsis sieboldii, Dendropanax trifidus, Camellia Japonica which are major warm temperate evergreen broad-leaved species, and Pinus thunbergii.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2019 to January 2020. The seasonal temperature and humidity of each research site indicated the typical climatic characteristics of Korea, which are hot and humid in summer and cold and dry in winter. Also, the atmospheric pressure was generally high in winter and higher in autumn and winter than in spring and summer. Overall, the total volume of NVOCs (Natur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from the five research sites was the highest in the summer. The concentration of TNVOCs was relatively high in the Dendropanax trifidus forest in spring and winter, the Castanopsis sieboldii forest in the autumn, and the Quercus acuta forest in the summer.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centrations of NVOCs emission of warm temperate evergreen broad-leaved species such as Quercus acuta, Castanopsis sieboldii, Dendropanax trifidus and Camellia Japonica were not lower but rather higher than Pinus thunbergii. The correlation was positive (+) between NVOCs emission and temperature (r=0.590, P=0.000) or humidity (r=0.655, P=0.000), whereas it was negative (-) between NVOCs emission and atmospheric pressure (r=-0.384, P=0.000) or wind speed (r=-0.263, P=0.018). Among the micrometeological factors, humidity (β=0.507, P=0.000) was found to have the greatest effect on NVOC emission, followed by temperature, atmospheric pressure, and wind speed.

      • 표고버섯(Lentinula edodes)의 지역적합 우량균주 선발

        김현석 ( Hyun Seok Kim ),오득실 ( Deuk Sil Oh ),위안진 ( An Jin Wi ),오찬진 ( Chan Jin Oh ),박화식 ( Hwa Sik Park ) 한국임학회 2014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지구온난화에 따라 표고버섯의 재배여건이 변화함에 따라 그에 적합한 새로운 표고버섯의 개발이 절실하다. 특히 전남지역에서는 온도상승과 새로운 병해충에 적응력이 강한 새로운 품종의 개발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UPOV에 대비하여 경쟁력이 있는 품종을 확보할 필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전남산림자원연구소에서 야생에서 채집한 표고버섯 자실체로부터 순수분리하여 보유하고 있는 균주를 이용하여 Di-mono, mono-mono법을 이용하여 육종한 JF00-52, 53, 54, 55, 56의 총 5가지 균주를 대상으로 하여 ``10~13년까지 4년간 생산량 및 자실체 특성을 조사하였다. 자실체 특성조사는 갓의 크기별로 1~4등급(1등급: 8cm이상, 2등급: 8~6cm, 3등급: 6~4cm, 4등급: 4cm미만)으로 나누어 조사하였으며, 품질별로 화고, 동고, 향고, 향신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총생산량에 있어서 JF00-54 균주가 75,914g으로 다른 균주에 비해서 월등히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JF00-52균주와 JF00-53균주는 각각 49,535g, 45,894g으로 비슷하게 나타났다. 반면 JF00-55 균주와 JF00-56균주는 각각 1,174g, 5,067g으로 매우 낮은 생산량을 나타났다. 품질을 조사한 결과 JF00-54 균주가 화고와 동고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JF00-52균주와 JF00-53균주는 향신의 비율이 매우 높은 것으로 조사되어 총생산량 조사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JF00-52, 53, 54균주를 대상으로 자실체 특성을 조사한 결과 갓 두께, 갓 직경, 대 길이, 대 직경, 생중량의 모든 조사항목에서 3균주 모두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Cultivation environment is changed by global-warming and suitable new cultivation method need to be developed. Especially, development new strains that the temperature and pest resistant is required in Jeonnam region. Also, UPOV against the development of competition strains are needed. In this study, used JF00-52, 53, 54, 55, 56 strains developed by Di-mono, mono-mono method and research yield and characteristic of fruit-body for 4 years. Characteristic of fruit-body was researched 1~4 grade(1: 8cm over, 2: 8~6cm, 3: 6~4cm, 4: 4cm under) by size of the cap and Hwago, Dongo, Hyangsin, Hyanggo by quality. In yield, strain JF00-54 was best, 75,914g. Also yield of strain JF00-52 and JF00-53 were same, respectively 49,535g, 45,894g. But yield of strain JF00-55 and JF00-56 were low, respectively 1,174g, 5,067g. In quality, strain JF00-54 was investigated that ratio of Hwago, Dongo is high. And strain JF00-52 and JF00-53 was investigated that ratio of Hyangsin is high. Result of characteristic of fruit-body was same on thickness of cap, diameter of cap, length of stem, diameter of stem, weight of fruit-body in three strain, JF00-52, JF00-53, JF00-54.

      • KCI등재

        표고버섯이 고지방식이로 유도한 비만 흰쥐에 미치는 항비만 효과

        이미라(Mi Ra Lee),오득실(Deuk Sil Oh),위안진(An Jin Wee),윤병선(Byung Sun Yun),장순애(Soon Ae Jang),성창근(Chang Keun Su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3 No.2

        본 연구는 표고버섯 물추출물의 항비만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6주령의 수컷 C57BL/6 마우스를 이용하여 고지방식이와 함께 표고버섯 물추출 분말을 1%, 3%, 5% 수준으로 첨가하여 12주간 공급하였다. 고지방 식이섭취는 체중, 혈청지질 농도 및 지방조직 무게를 증가시켰다. 표고버섯 물추출물 섭취는 고지방식이로 증가된 혈청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LDL-콜레스테롤 농도를 현저히 감소시켜 대조군보다 더 낮은 값을 나타냈다. 또한 5% 표고버섯 물추출물 첨가군은 고지방 식이군보다 체중 및 피하지방량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변배설량은 3%와 5% 표고버섯 물추출물 첨가군에서 고지방 식이군보다 현저히 증가하였다. 표고버섯 물추출물 섭취는 고지방식이로 인해 증가된 간조직의 지방축적과 지질과산화물 형성을 억제하였으며, 특히 5% 표고버섯 물추출물 섭취군에서 지질과산화물 형성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고 총 항산화 활성도 유의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고지방식이군은 간조직의 조직염색에서 지방간이 심하게 진행된 것이 발견되었고, 표고버섯 물추출물 섭취군은 지방세포에 지방이 침투하지 않은 간지방증 소견을 보였다. 위의 결과를 통하여 볼 때 표고버섯은 체중 및 체지방 감소, 그리고 혈청지방 농도 개선에 효과가 있어 비만관리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besity effects of Lentinus edodes water extract powder (LEP) in mice fed a high fat diet (HF, 45% kcal fat). Mice were administrated a HF diet supplemented with 1%, 3%, or 5% LEP for 12 weeks. Consumption of HF diet caused increases in body weight, serum lipid profiles, and adipose tissue weights. Serum TC and TG levels in the LEP-supplemented groups were lower than those in the NC group. Supplementation with 5% LEP significantly suppressed body weight gain and reduced the weight of subcutaneous adipose tissue compared to the HF group. HF diet ingestion resulted in higher lipid content and increased lipid peroxidation in the liver. However, LEP supplementation inhibited accumulation of hepatic lipids induced by HF diet, considerably decreased MDA levels, and elevated total antioxidant activity in the livers of mice in the 5% LEP group. Histopathological analysis indicated that the livers of mice fed HF diet developed hepatic steatosis, whereas LEP-treated groups showed small fat drople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long-term supplementation with LEP may also have an ameliorating effect on HF-induced obesity.

      • 참바늘버섯( Mycoleptodonoides aitchisonii)의 인공재배를 위한 최적배지 조성 개발

        김현석 ( Hyun Seok Kim ),오득실 ( Deuk Sil Oh ),왕승진 ( Seoung Jin Wang ),위안진 ( An Jin Wi ),오찬진 ( Chan Jin Oh ),박화식 ( Hwa Sik Park ) 한국임학회 2014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참바늘버섯은 영양학적·약리적 효능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연구결과가 발표되고 있음에도, 그재배가 어려워 아직까지 인공재배가 이루어지지 않고 자연에서만 채취하여 섭취하는데 만족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참바늘버섯 인공재배를 위한 최적배지 조성 및 재배조건의 최적화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배지조성은 톱밥과 영양원의 종류 및 비율에 따라 11가지 처리구로 나눠 조사하였다. 배양 및 재배 조건은 배양(온도 25℃, 상대습도 60%, 암조건), 황변유도(온도 25℃, 상대습도 60%, 광조건 20일), 후숙(온도 15℃, 상대습도 90%, 광조건 10일), 원기유도(온도 15℃, 상대습도 90%, 광조건 10일), 재배(온도 15℃, 상대습도 90%, 광조건 20일)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 배양완료에 소요되는 기간은 처리구 3~11에서 약 20일로 다소 빠른 균사생장을 보였으며, 황변정도는 처리구 5,8, 10, 11에서 황변이 잘 되었다. 원기형성 소요일수는 처리구 1, 2, 8, 10, 11에서 약 6일로 매우 빨랐으며, 자실체 생산량은 처리구 2, 10에서 각각 평균 82.9g, 75.4g으로 조사되었다. 위의 결과를 종합했을 때 처리구 10(발효참나무톱밥 8 : 맥아 1 : 감자분 1 )이 참바늘버섯 인공재배에 가장 적합한 배지로 조사되었다. Mycoleptodonoides aitchisonii is known very excellent natrituonally and pharmacological by research. But because of artificial-cultivation is very difficult, depend on wild mushroom. 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search about optimal media composition and cultivation condition for artificial-cultivation. Media is consist of eleven treatment and each treatment has different ratio of sawdust and various nutrient. Conditon of incuvation and cultivation are Incuvation(25℃, 60%, night-condition), Yellowing-induction(25℃, 60%, day-condition for 20days), Ripening(15℃, 90%, day-condition for 10days), Primordiuminduction( 15℃, 90%, day-condition for 10days), Cutivation(15℃, 90%, day-condition for 20days). Incuvation period was fast about 20days on treatment 3~11 and Yellowing was good on treatment 5, 8, 10, 11. Formation period of ripening was fast about 6days on treatment 1, 2, 8, 10, 11. Yield was best on treatment 2, 10, respectively 82.9g, 75.4g. As the result, optimal media condition was treatment 10(fermentation-oak sawdust 8 : malt 1 : potato minutes 1) for artificial cultivation.

      • KCI등재
      • 보릿가루가 첨가된 침엽수 톱밥을 이용한 꽃송이버섯 재배

        박현(Hyun Park),이봉훈(Bong-Hun Lee),오득실(Deuk-Sil Oh),가강현(Kang-Hyeon Ka),박원철(Won-Chull Bak),이학주(Hak-Ju Lee) 한국산림바이오에너지학회 2005 산림바이오에너지 Vol.24 No.2

        꽃송이버섯은 1,3-β-D-glucan의 함량이 다른 버섯에 비하여 훨씬 높은 식용버섯이다. 이 버섯은 항암 및 면역증강 효과가 큰 식용버섯으로 알려지면서 최근에는 일본과 한국에서 재배하고 있다. 하지만, 쉽게 재배할 수 있는 방법이 알려지지 않고 일부 기업이 특허권의 범주 내에서 재배를 하고 있는 형편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간단한 공정으로 꽃송이버섯을 재배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한 것이다. 낙엽송, 소나무, 잣나무의 톱밥을 이용하여 보릿가루와 설탕을 80:20:3의 중량 비율로 섞은 후 수분함량을 65% 내외로 맞춘 병배지에서 꽃송이버섯을 생산할 수 있었다. 톱밥 종류 및 균주에 따라서 자실체 생산성은 다르게 나타났는데 650g의 배지에서 최고 177g(수율 27%)를 수확할 수 있었다. 따라서 실용적인 꽃송이버섯 재배방법으로 이 배지를 적극 추천한다. 단, 생산성 향상을 위해서는 보릿가루의 적정 농도와 톱밥종류에 맞는 균주의 선발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Cauliflower mushroom (Sparassis crispa) is an edible mushroom that shows remarkably high contents of 1,3-β-D-glucan compared to other edible mushrooms. The mushroom is known to give high antitumor and immunologic activities, thus the mushroom is recently cultivated in Japan and Korea. However, cultivation methods are being kept in secret or under patents by some companies with complicated procedur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olve the problem by providing a simple method for the cultivation of cauliflower mushroom. We could produce the mushroom using sawdust-based media of Larix leptolepis, Pinus densiflora and P. koraiensis with addition of barley flours and sugar. The ratio of the sawdust:barley flours:sugar used for this study was 80:20:3 in dry-weight base, and the water content was adjusted as 65%. The productivity was somewhat different among the species of sawdust media and the strains of Sparassis crispa for the cultivation, and the mushroom production reached up to 177g from 650g base (productivity:27%). Thus, this medium is strongly recommended as a practical cultivation method for cauliflower mushroom. By the way, further study for the determination of adequate concentration of barley flour and the selection of proper strain for each sawdust species is needed.

      • KCI등재

        추출 용매에 따른 예덕나무 수피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암 활성 연구

        조유진 ( Eugene Cho ),김현우 ( Hyoun-woo Kim ),오찬진 ( Chan-jin Oh ),오득실 ( Deuk-sil Oh ),김진 ( Jin Kim ) 조선대학교 공학기술연구원 2020 공학기술논문지 Vol.13 No.2

        Mallotus japonicus, belonging to Euphorbiaceae, has been known to possess various physiological activities such as anti-bacterial, anti-virus,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activity and anti-tumor effect of the Mallotus japonicus bark extracts with water and ethanol. The amount of total polyphenolic compounds was measured using gallic acid as a standard material. The ethanol extract showed higher contents (143.6±1.57 mg GAE/g) than the water extract (120.4±6.11 mg GAE/g). Based on this result, a modified DPPH assay was conducted for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water and ethanol extracts. The ethanol extract revealed 80%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compared with the 60% activity of water extract. To identify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es of ethanol extract, LC/MS/MS method was applied to 15 standard materials. The result showed the highest contents of bergenin and the existence of other materials except resveratrol and oxyresveratrol. Cytotoxicity test was performed with MTT assay. Whereas the ethanol extract showed no cytotoxicity to 293T of a normal cell, the effects of ethanol extract on Fadu cell (head and neck carcinoma cells) appeared to be toxic in a 125-250 μg/mL range of concentrations. These results imply the value of developing anti-oxidant and anti-tumor agents using the ethanol extract of Mallotus japonicus bar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