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대학의 수직화 과정 : 1990년대 후반부터 진행된 사립대학과 사학재단의 물리적 확장사례를 중심으로

        오도영(Do Young Oh) 한국공간환경학회 2021 공간과 사회 Vol.31 No.1

        이 논문은 서울의 대형 사립대학이 진행한 여러 수직적 확장사례들을 발전주의 도시화 (Urban Developmentalism) 개념을 바탕으로 분석한다. 이를 통해 대학을 다양한 도시 행위자의 일부로 개념화하고, 한국의 도시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이해를 추진하는 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본순환론과 성장기구론을 검토하였으며, 대학이 자본의 전환을 통해 자본을 축적하고 지대를 추구하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학은 교육 목적뿐만 아니라 경제적, 정치적, 상징적 목적 등 다양한 동기에서 수직적 확장을 추진하며, 이 과정에서 생산되는 공간은 이질적이고 불균등한 성격을 가지게 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 논문은 이러한 대학의 공간들이 도시 공간의 상업화를 가속하고 공간적, 사회적 불균등을 재생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고 주장한다. This paper analyzes various verticalization cases conducted by private universities in Seoul, South Korea, based on the concept of developmental urbanism. By doing so, this paper conceptualizes the university as one of the various urban actors and attempts to contribute to promoting a more heterogeneous understanding of the urbanization process in South Korea. To this end, this paper reviews the theories of capital circulation and growth machine and investigates processes of capital accumulation and rent-seeking through capital switching led by the university. As a result, it can be observed that the university promotes verticalization not only for educational purposes but also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economic, political and symbolic ones, and the space produced by this process tends to be exclusive and uneven. Finally, this paper argues that such university spaces accelerates the commecialization of urban spaces and reproducing spatial and social inequality.

      • KCI등재

        금융화(financialization) 과정 속에서 본 영국의 저렴주택 제도

        오도영(Do Young Oh) 한국공간환경학회 2017 공간과 사회 Vol.27 No.3

        이 논문은 현재 도시연구 분야에서 활발한 논의가 진행 중인 ‘금융화(financialization)’개념을 활용하여 2010년 이후 영국의 주요 주택정책으로 등장한 부담 가능 주택 프로그램(affordable housing programme)을 분석하고자 한다. 금융화는 자본축적 과정에서 ‘생산 없는 이익’의 비중이 점차 커지는 자본주의의 진화 과정으로 세계화와 더불어 오늘날 사회현상을 이해하는 유용한 분석적틀을 제공한다. 금융화는 전통적으로 비영리·비금융의 영역으로 여겨지던 사회 각 분야의 금융에 대한 의존도를 증가시키게 되는데, 영국 정부의 부담 가능주택프로그램은 공공임대주택의 금융화 과정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영국 정부는 복지예산 감축과 자가 소유의 확대를 위해 주거복지 정책을 개편하고 있으 며, 이 과정에서 주거복지에 대한 부담이 공공임대주택 거주자와 민간영역, 지방정부 등으로 전가되는 문제점이 발견되고 있다. This paper analyzes Affordable Housing Programmes that implemented as a flagship social housing policy in the UK since 2010 by using the concept of ‘financialization’. Financialization is an evolutionary process of contemporary capitalism based on the principle of ‘profiting without production’ in the process of capital accumulation, which is frequently discussed by urban studies scholars recently. It provides a useful analytical framework to understand the present socio-economic transformation of our everyday lives along with globalization. We now see that non-financial and non-profit sectors are increasingly dependent on financial capital through the financialization process. The UK government’s Affordable Housing Programmes are a prime example showing how social housing is transformed through the process of financialization. The UK government has been restructured its social housing policy to reduce welfare budget and to expand homeownership. It is found that under this process, the responsibility of welfare is transferred to residents of social housing, the private sector, and local government.

      • KCI등재

        영국 주거복지정책의 변화

        오도영(Oh, Do-Young),박준(Park, Joon),김혜승(Kim, Hye-Seung) 한국공간환경학회 2015 공간과 사회 Vol.25 No.2

        영국의 주거복지정책은 2010년 보수당 중심의 연립정부 등장 이후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큰 사회론(Big Society)’으로 대표되는 정책기조는 기존 영국의 신자유주의적 정책이 다시 한 번 어떻게 진화하고 있는지를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이 정책기조에서는 주거복지에 관한 국가 역할의 축소와 개인 및 지역사회의 역할 확대가 강조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를 통해 중앙정부가 복지에 대한 책임을 개인에게 전가하려는 경향이 드러나고 있다. 이 연구는 제2차세계대전 이후 영국의 주거복지정책을 세 시기로 나누어 전반적으로 살펴본다. 특히 2010년 이후 진행 중인 주거복지정책의 신자유주의적 변화를 주거복지 업무의 주체 이관, 사회주택 개념의 확장, 복지제도 개혁을 통한 주거복지 기능 축소로 나누어 자세히 살펴보고 그 영향을 검토한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recent trends in housing policy of the UK focusing on its ongoing neoliberal transformation processes from 2010. The coalition government from 2010 to 2015 has been actively promoting the neoliberal ideology on housing policy under the ‘Big Society’ and ‘Localism’ agendas, which can be distinguished from past regimes in terms of the supportive role of the state to create a more responsible society. For investigating such differences, the paper surveys the historical trajectory of housing policy in the UK since the inception of the Welfare State, and divides that into three stages highlighting key characteristics. This paper then focuses on the current neoliberal transformation of housing policy emphasising its major characteristics and how they differ from previous stages. The current housing policy in the UK aims to scale down the roles of the national government and emphasise the roles of civil society for promoting public welfare. In order to do that, the UK government has been actively restructuring supply-side and demand-side housing policies. Under this restructuring process, rights of vulnerable tenants who need secure homes tend to be threatened by the government. Finally, this research argues the characteristics of current neoliberal housing policy of the UK as follows: 1) shifting responsibility from the national to local government and civil society while holding actual power in terms of social housing provision and management; 2) false expansion of housing policy by blurring the concept of social housing; and 3) cutting back housing support through series of welfare reform.

      • KCI등재

        사회적 혼합(social mix)에 관한 쟁점과 과제 : 영국, 네덜란드, 캐나다의 사례를 중심으로

        오도영(Oh Do young),유승동(You Seung dong),김규희(Kim Kyohee),박준(Park Joon) 한국공간환경학회 2021 공간과 사회 Vol.31 No.2

        이 논문은 사회주택(social housing)을 기반으로 진행된 사회적 혼합(social mix)과 관련한 주요 쟁점을 검토하고, 사회적 혼합 정책이 장기간 진행된 영국, 네덜란드, 캐나다의 사례를 분석하여 한국의 향후 사회적 혼합 추진과 관련한 시사점을 도출한다. 3개국의 경험을 분석한 결과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혼합은 단순한 주택 거주형태의 혼합만이 아닌 효과적 갈등 예방과 해소를 위한 참여 기반 관리체계 수립과 계층 간 자연스러운 교류를 촉진할 수 있는 물리적 환경 조성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혼합은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사회적 경제주체 등 여러 행위자 간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사업의 기획 단계에서부터 추진되어야 하며, 여러 계층 간 발생할 수 있는 갈등을 효율적으로해결할 수 있는 관리체계의 확립이 필수적이다. 셋째 사회주택의 재고량이 부족할수록 사회적 낙인과 배제의 문제가 심각해지므로 효과적인 사회적 혼합을 위해 사회주택 재고량자체를 충분히 늘리는 정책이 전제되어야 한다. This paper examines issues and challenges related to social mix in social housing estates focused on the cases of the UK, the Netherlands, and Canada, where social mix has been promot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Then this paper aims to draw implications for Korea’s future provision of social mix. The interest in the social mix as a means to prevent spatial exclusion and social segregation of low-income households has been growing since 2000. This paper concludes that a simple mix of different tenures cannot easily achieve a social mix. It also confirms that a successful social mix needs a participation-based management system for effective conflict prevention and resolution and a physical environment that can promote natural exchanges between residents having different backgrounds. On the other hand, an insufficient inventory of social housing tends to lead to stigma and exclusion of social housing residents. Therefore, policies aimed at increasing the social housing stock need to be implemented first and foremost.

      • KCI등재후보

        직업재활 활성화를 위한 보조공학 활용 실태 및 욕구에 관한 조사 연구

        오길승(Kil-sung Oh),오도영(Do Young Oh),남세현(Se Hyun Nam) 한국직업재활학회 2006 職業再活硏究 Vol.16 No.2

        본 연구는 기존 문헌에 대한 고찰과 근로장애인 및 구직장애인 대상의 조사를 통해 국내 장애인들의 재활보조기구활용 실태 및 서비스 욕구를 파악하여 국내 직업재활 영역에서의 보조공학 서비스 접목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보조공학의 개념과 국내 현황, 직업상황에서의 보조공학 활용, 직업조정과 보조공학에 대 한 선행 문헌을 분석ㆍ정리를 하는 동시에 국내 장애인들의 직업재활 관련 보조기구 활용 실태, 관련 서비스에 대한 욕구를 파악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양적 조사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기 위한 심층 면접을 병행 실시하였다. 연구 조사 결과 체계적인 보조공학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정보제공과 홍보의 강화, 보조기구 지원 사업 등 서비스의 수행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련 인프라의 구축도 시급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This study is to obtain the fundament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in the Korean vocational rehabilitation fields by identifying the actual situation and service needs concerning utilization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through the previous studies review and the survey on the workers with disabilities and job seeking people with disabilities. For this. the previous literatures concerning the concept of assistive technology. present state of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in Korea. utilization level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in job situation. and concept of job accommodation were investigated and analysed and. at the same time. a questionnaire survey was actually conducted to identify the current utilization state of job adaptive devices and the needs of Korean people with disabilities toward the related services. In order to compensate the weak points of the quantitative study. a in-depth interview technique was used simultaneously.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strengthening of information provision and public relation activities and the financial assistance for the systematic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was necessary and the construction of the related infra like a service delivery system was urgently needed.

      • KCI등재후보
      • 비영리단체의 보조기구 관련 사업 전망 분석에 관한 연구

        오도영,한중석,강인학 대한재활공학회 2008 보조공학저널 Vol.2 No.1

        본 연구는 보조기구 산업에 관심을 갖고 있는 비영리단체들을 중심으로 보조기구에 대한 인식 수준과 보조기구 관련 산업 전망을 살펴봄으로써 현재 제기되고 있는 보조기구 관련 사업의 과제와 가능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비영리단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각각의 문항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영리단체들의 일반적 특성으로는 정부 의존도가 높고, 주로 복지 및 고용 분야의 단체들이 보조기구 관련 사업에 대한 관심이 높았으며, 사회적 기업으로의 전환 아이템으로써 보조기구에 대한 관심이 높게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보조기구 관련 사업적 측면에서는 조사 대상 단체들은 보조기구에 대한 적극적 이해가 부족한 상태이며, 보조기구에 대한 충분한 검토 없이 직관적으로 보조기구 사업에 참여하고자 하는 경향이 있었다. 반면 현재 비영리단체의 특성을 기반으로 한 기회요인에 대한 이해도가 높게 분석되었다. 아울러 보조기구 관련 사업 수행의 가장 우선적 과제로 정부 정책 및 제도 등을 통한 실중적 지원이 핵심적인 것으로 요구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assignment and possibility of assistive devices related business proposed currently positively by examining cognitive level of non-profit institutions with interest in the assistive devices industry on assistive devices and the prospect of assistive devices related industry. To realize the purpose, the study carried out a survey of non-profit institutions and analyzed each ques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generally non-profit institutions had high dependence on the government and welfare and employment related institutions took a lot of interests in assistive devices related business. Also, the study analyzed that they had a lot of interests in assistive devices as a conversion item to a social company. Second, in the side of assistive devices related business, the surveyed institutions were not enough to have a positive understanding about assistive devices and had a tendency to participate in the assistive devices business intuitively without enough examination about assistive devices. On the contrary, the study analyzed that they had a high understanding about opportunity focused on non-profit institution's characteristics. Also, the study analyzed that it was important to have a positive support through policies and systems of the government as the most preferential assignment in doing assistive devices related busi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