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재난복구 시 재난관리 주체의 의사결정에 대한 비대칭정보 문제의 적용

        오금호(Keum Ho Oh)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07 Crisisonomy Vol.3 No.1

        When disaster occur, people are subjected to make continuous decisions and to perform prompt activities along with the emergency situation in order to save lives and properties. In the course of decision making for efficient disaster management, numerous stakeholders such as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the defected, citizen, NGOs, enterprises, and so on are likely to attempt to reflect their own concerns and informations. However, these individualistic efforts may result in the inefficiencies in disaster management largely due to the differences in informations. Based upon the theory of markets with asymmetric information, this study attempts to explain the problems of asymmetric information under the light of disaster management. From the perspectives of market failure and government failure caused by information imperfection, the study elaborates attempts to re-interpret, under the light of asymmetric information, the causes raised by major problems in disaster management, viz. i) lack of preventive investment by the primary management groups, ii) lack of public safety services in the damaged or vulnerable areas, iii) increase of malpractices associated with disaster recovery projects. As the rational approaches to the problem of symmetric information in disaster management, the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1) it would be necessary to develop the tasks for information scanning as well as dissemination and to activate the investment to these sectors, and 2) it is required to launch regional offices which mediate, monitor and assess the recovery projects. 재난이 발생하면 재난관리 주체별로 긴급한 상황에서 생명과 재산을 지키기 위해서 일련의 의사결정과 대응활동을 수행하게된다. 정부, 피해자, 일반시민, 민간단체, 기업 및 언론기관등 다양한 재난관리주체들은 각각의 소유한 정보와 개별적 입장등을 반영하여 의사결정을 하게 된다.그러나 서로다른 정보를 소유하고 있기때문에 재난관리활동은 비효율적으로추진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경제학에서 제시하고 있는 비대칭 정보 문제를 재난관리 상황에 적용하였다. 시장구조와 정부의 재난관리역할에 대한 한계점을 재난관리에 있어서 정보의 역할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재난관리주체의 예방투자 노력미흡 피해지역 공공안전 서비스 공급의 부족, 피해복구관련 비위사례 증가 등 재난관리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의 원인을 비대칭 정보관점에서 재해석하였다.이를 바탕으로 정보탐지 및 전파를 위한 재난관리업무의 개발과 적극적인 투자와 재난관리를 위한 사전예방차원의 감시제도, 재난복구사업 총괄조정 조직마련을 재난관리 정책의 개선점으로 제안하였다.

      • KCI등재

        고유진동수를 이용한 확대기초 교각의 세굴 건전성 평가

        박병철,오금호,박승범,Park. Byung-Cheol,Oh. Keum-Ho,Park. Seung-Bum 한국방재학회 2005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5 No.2

        우리나라에서는 홍수로 매년 90여개 이상의 교량이 붕괴되고 있으며, 이러한 교량의 붕괴는 대부분 기초의 세굴에 기인하고 있다. 그동안 교량의 설계 및 유지관리 분야에서 세굴에 대한 교량의 건전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평가기법 개발에 관한 연구는 체계적으로 수행되지 못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홍수 발생 후 교각의 세굴 건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긴급점검기법으로써 세굴로 인한 교각의 고유진동수 변화를 이용하기 위한 동적특성 평가실험을 수행하였다. 세굴을 모의한 확대기초 교각 모형의 동적특성 평가 실험결과 교각의 1차 모드 고유진동수를 이용하여 기초의 세굴을 평가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In Korea more than ninety bridges are collapsed every year by flood, which causes the scour of pier foundation. Researches on the quantitative assessment method to assess the integrity of bridge against scour have not been organized systematically in the bridge design practice and maintenance area. In this study, dynamic characteristics assessment experiments are carried out as an emergency inspection method to assess the integrity of the pier foundation for scour after a flood. According to the dynamic characteristics assessment experiment, which simulates foundation scour of the spread footing pier, foundation scour can be evaluated by the first mode natural frequency of the pier.

      • KCI등재

        재난관리 공시체계를 통한 지방자치단체 재난역량강화 방안

        유병태(Byung Tae Yoo),오금호(Keum Ho Oh)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3 Crisisonomy Vol.9 No.5

        최근 대형화ㆍ복합화 되고 있는 재난환경 속에서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보다 건강하고 안전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재난안전기술의 선진화 및 방재대책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중앙정부, 지방정부 및 지역주민 간의 상호 긴밀한 협력ㆍ지원 체계를 바탕으로 재난관리 역량 강화의 중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서는 지방정부에서 전년도 재난의 발생 및 수습현황, 재난예방조치 실적, 재난관리기금의 적립 현황 등의 재난관리 실태를 공시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나, 공시항목에 대한 구체적인 제시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재난관리 공시제도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보다 체계적인 공시항목을 제안하였다. 지방자치단체 중심의 자발적인 재난관리 역량강화를 위한 단계로서 취약성 단계, 재난관리역량 지표화 단계, 역량평가 및 개선단계, 지역사회 참여단계로 구분하였다. 9개의 대분류 지표항목으로 서 지역재난특성파악, 재난관리 기반체계, 재난관리계획마련, 재난예방사업추진, 자원 확보 관리, 상황관리체계관리, 재난대응계획수립, 교육ㆍ훈련ㆍ정보 공유, 성과목표달성을 선정하였고, 각 대분류 지표항목에 58개의 중분류지표항목을 세부적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제안된 공시지표가 목적별로 활용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지방자치단체의 재난관리 역량강화를 위해서는 스스로 지역의 취약성을 분석하여 개선사항을 도출하는 노력과 함께 이를 지역주민에게 공시함으로서 지역사회의 참여를 바탕으로 최적의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New paradigm to the advancement of technologies and policies for disaster management is required for building resilient and safe society which can protect life and properties of the citizens from the complex disaster environment. In these circumstances, enhancing the capacity of disaster management of local society has become important issues, which is based on the interactive system among central authority, local authority and citizens. The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Basic Act prescribes that local government should announce the emergency management capacity in public. However, It does not describe in detail which items should be announced by local government. In this study, the public announcement items designed for explaining the emergency management capacity of local government are suggested. The conceptual framework of public announcement system is categorized into 4 stages, such as assessing the vulnerability, indexing the emergency management capacity, evaluating and improving the capacity, and participating of local society. The 9 index categories are suggested; (1)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disaster in the local area, (2) disaster management system, (3) preparation of disaster management plan, (4) disaster mitigation project, (5) logistics of emergency resources, (6) emergency operation system, (7) preparation of disaster response plan, (8) participating and sharing education/training/information, (9) assessing the outcomes based on the goal. And 58 detailed index under the 9 categories are suggested. This study provides some examples that show how the suggested index can be used for assessing the emergency management capacity. It is expected that the enhancement of emergency management capacity of local society can be achieved by the efforts of local government analyzing and improving the vulnerability as well as the participation of local society who recognize the emergency management capacity of their area announced by the local government.

      • KCI등재

        재난안전관리 체계 개선 방안 연구 - 해양오일유출 확산방지기술 중심으로 -

        유병태 ( Byung Tae Yoo ),오금호 ( Keum Ho Oh ),백종배 ( Jong Bae Baek ) 한국안전학회(구 한국산업안전학회) 2015 한국안전학회지 Vol.30 No.2

        In Korea for 20 years(1993-2012), total number and average annual number of oil spills were 6,608 cases and total volume and average annual volume of oils spilt were 57,328 ㎘and nearly 2,866 ㎘/year, respectively. The annual number of oil spills and annual amount of oil spilt tended to decrease with the lapse of year in Korea. As oil transportation worldwide continues to increase, many communities are at risk of oil spill disasters and must anticipate and prepare for them. Factors that influence oil spill consequences are myriad and rage from the biophysical to the social. In this paper, we analysed the emergency response systems and recovery apparatuses for oil spill accident in marine and proposed a developed oil diffusion apparatus which can be used to initial response stage by crew, and to extend golden times. This system can be minimized casualties for rescued people in disaster.

      • GIS를 활용한 캠핑장 안전등급 및 재난위험성 분석

        손세련(Se-Ryeon Son),박소순(So-Soon Park),정성희(Seong-Hui Jeong),오금호(Keum-Ho Oh) 대한공간정보학회 2014 한국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5

        최근 주5일 근무의 확산으로 국민의 여가활동의 증가와 더불어 캠핑 관련 시설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캠핑장 안전 관련법이 없어 캠핑장에서의 각종 사고와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안전점검 체크리스트를 활용하여 전국 캠핑장의 운영 및 안전관리 실태를 조사·분석하고, 두 가지 방식을 이용하여 안전등급을 부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GIS를 활용하여 침수와 산사태 재난위험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국 캠핑장의 79%가 안전등급이 최하위인 E등급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430개 캠핑장 중 침수위험은 27개소, 산사태위험은 3개소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캠핑장에 있어서 안전관리 및 재난유형 분야별 취약함을 알 수 있었으며, 법제도 마련과 재난관리체계 구축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