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RAW 264.7 Cell에서 납에 의한 NO 생성의 조절에 미치는 Glutathione의 효과

        오경재,권근상,윤욱희,신새론,Oh, Gyung-Jae,Kwon, Keun-Sang,Yoon, Wook-Hee,Shin, Sae-Ron 대한예방의학회 2002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Vol.35 No.4

        Balb/c 마우스의 복강내에 Abelson leukemia virus (A-MuLV)를 주입하여 발생시킨 대식세포주 RAW 264.7 세포의 배양조건에 납과 NAC및 BSO를 첨가하여 세포생존율과 NO 및 ATP 생성량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납을 처리한 기본배양조건에서 RAW 264.7 세포의 생존율은 각 농도에서 차이가 없었으며 NO의 생성량은 $0.5{\mu}M$의 납농도에서부터 용량 의존적으로 감소하였으나 ATP의 생성량은 각 농도군에서 차이가 없었다. NAC을 전처리하고 납을 처리한 배양조건에서의 NO 및 ATP의 생성량은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다. BSO를 전처리하고 납을 처리한 배양조건에서의 NO의 생성량은 납만 처리했을 때와 달리 각각의 농도군에서 대조군과 차이가 있었다. ATP생성량은 역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납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ATP의 생성량은 변화가 없으면서 NO가 감소하는 것을 볼 때, 납에 의한 대식세포에서 NO생성의 억제기전은 수은 및 카드뮴 등과 같이 미토콘드리아에 영향을 미쳐 ATP생성이 억제됨으로 L-arginine-NO경로에서 ATP를 필요로 하는 iNOS가 작용을 못하여 NO 생성이 저하되는 기전과는 다른 기전이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iNOS의 조효소인 세포내 GSH를 증가시키는 NAC을 전처리했을 때 NO의 생성량이 대조군 수준으로 회복되고 세포내 GSH를 감소시키는 BSO를 전처리했을 때는 오히려 NO의 생성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납의 농도에서조차 NO 생성의 감소가 일어난 것으로 볼 때 GSH는 대식세포에서 NO생성을 저하시키는 납의 독성에 보호작용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Objectives : To evaluate the elect of glutathione(GSH) on lead induced modulation of nitric oxide(NO) synthesis, and to examine how lead modulates NO production in macrophages. Methods : This study was observed in a culture of RAW 264.7 cells, which originated from a tumor in a Balb/c mouse that was induced by the Abelson murine leukemia virus. The compounds investigated were lead chloride, N-acetyl-cystein(NAC), and Buthionine Sulfoximine( BSO). Results : ATP synthesis in RAW 264.7 cells was unchanged by each lead concentration exposure in a dose dependent manner. The NO synthesis was decreased when exposed to lead($PbCl_2$) concentration $0.5{\mu}M$. The presence of $300{\mu}M$ NAC, used as a pretreatment in the culture medium, caused the recovery of the lead induced decrease in NO synthesis, but in the presence of $300{\mu}M$ BSO as a pretreatment, there was no recoverey. Pretreatment with NAC and BSO had no affect on ATP synthesis at any of the lead concentrations used. Conclusions :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GSH has a protective effect toward lead toxicity, and suggested that the inhibition of NO production in macrophage due to lead toxicity may be related to cofactors of iNOS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 SCOPUSKCI등재

        수은에 의한 EMT-6 세포의 $NO_2^-$ 및 ATP 생성

        오경재,고대하,염정호,Oh, Gyung-Jae,Koh, Dai-Ha,Youm, Jung-Ho 대한예방의학회 1996 예방의학회지 Vol.29 No.3

        수은이 세포성 면역반응에 미치는 효과와 그 기전을 밝히기 위해 cytokine-EMT-6 cell-NO 모형에 대조군에는 수은을 첨가하지 않았고 나머지 실험군에는 $0.05-0.8{\mu}M$의 mercury chloride를 처리하였다. 그리고 배양시간별, 수은농도별로 세포생존율, 세포성 면역의 지표인 NO를 nitrite로 간접정량하고 대사과정에 필수 에너지요소인 nitrite를 측정한 결과는 아래와 같이 요약된다. 1. EMT-6세포의 세포생존율은 대조군과 36시간째 $0.8{\mu}M(89.50%)$을 제외한 모든 수은첨가군에서 모두 90%이상의 값을 나타내었으며, 배양시간 및 첨가한 수은농도별 군간 차이는 없었고 모든 수은첨가군과에서 대조군에 비해 큰 차이가 없었다. 2. 수은에 노출된 EMT-6 세포의 nitrite 생성량 및 ATP생성량은 배양시간의 경과에 따라 전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시간경과에 따른 nitrite 생성량과 ATP 생성량은 첨가한 수은농도의 변화에 따라 각 군간에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시간경과의 영향을 보정한 상태에서도 첨가한 수은농도의 변화에 따라 각 군간 차이는 모두 현저하게 나타났다. 한편, Nitrite 생성량과 ATP 생성량은 둘 다 수은첨가군 모두에서 대조군의 값에 비해 현저하게 낮았고, 첨가된 수은농도와 nitrite 생성량 및 ATP 생성량 사이에는 높은 음의 상관관계가 있어 수은농도의 증가에 따라 용량-반응의 관계(dose-dependent)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 배양조건에 수은의 첨가로 인하여 nitrite 생성량과 ATP 생성량이 동시에 감소하는 바, 수은에 의한 세포성 면역의 저하는 면역세포의 NO 생성량의 감소에 의한 것으로 사료되며, 이는 수은이 세포내 에너지생산에 관련된 대사과정을 억제시키므로 나타나는 결과라고 판단된다. Effect or mercury chloride on the synthesis or $NO_2^-$ and ATP were observed in EMT-6 cells which were cultured with cytokines$(IL-1\alpha\;and\;IFN-\gamma)$ and various concentrations of mercury chloride from 0.05 to $0.8{\mu}M$. Viability of EMT-6 cells were observed above 90% in almost groups.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viability between mercury supplemented groups and control group. It suggests viability of EMT-6 cells were not influenced by these concentrations of mercury chloride. Results of the synthesis of nitrite showed significant time and group effect. There i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concentration of mercury chloride and culture time. The effect of various concentration of mercury chloride is not the same for all levels of culture tim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ynthesis of nitrite between mercury chloride supplemented groups and control group, and the synthesis of nitrite in EMT-6 cell by the supplement of mercury chlorid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Results of the synthesis of ATP showed a significant group effect, and the time main effect and the $Group{\times}Time$ interaction were also significan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ynthesis of ATP between mercury chloride supplemented groups and control group, and the synthesis of ATP in EMT-6 cell by the supplement of mercury chlorid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a dose - dependent mann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disorder of cell mediated immunity by mercury chloride could be related to the inhibition of nitric oxide synthesis which will be caused by the decreased synthesis of ATP.

      • KCI등재후보

        IT 환경에서 소방공무원의 근골격계 증상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오경재(Gyung-Jae Oh),이정미(Jeong-Mi Lee),양충용(Chung-Yong Yang),박형주(Hyung-Ju Park),박윤희(Yun-Hee Park),유찬욱(Chan-Uk Yoo),강은영(Eun-Yeong Kang),정복희(Bok-Hee Chong) 한국전자통신학회 2014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IT환경에서 소방관의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대하여 작업 관련 근골격계 질환의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평가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직접 대면 면담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연구는 전체 366명의 소방관이 참여하였다. 평가 방법은 근골격계 질환의 증상에 대한 평가를 위해 NIOSH의 증상 표를 이용한 자가 평가식 설문지로 측정하였으며, 건강관련 삶의 질의 평가를 위해 SF-36을 근거로 측정하였다. 근골격계 질환의 유병률은 상지에서 38.0%, 허리에서 35.5%, 하지에서 21.6%이었으며, 59.3%에서 신체의 두 부위 이상에서 증상이 발생하였다. 근골격계 질환의 증상을 갖는 소방관은 상지에 근골격계 질환의 증상을 갖지 않는 소방관보다 감정 기복 제한을 제외한 삶의 질의 7 범주에서 유의한 낮은 점수를 보였다. 반면에 근골격계 질환의 증상을 갖는 소방관은 하지나 허리에 근골격계 질환의 증상을 갖지 않는 소방관보다 삶의 질의 모든 범주에서 유의한 낮은 점수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근골격계 질환이 삶의 질에 부정적 효과를 갖음을 유추할 수 있다. 따라서 소방관에서 근골격계 질환의 예방은 건강 관련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한 효과적인 중재적 전략으로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impact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WMSDs) on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QoL) in the firefighter under the recent IT environment. The data were collected by face to face interview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in the 366 respondents. WMSDs symptoms were measured by a self-assessed questionnaire on symptom table of NIOSH and health-related QoL was measured by SF-36. The prevalence of WMSDs was 38.0% in upper limbs, 35.5% in the low back, 21.6% in lower limbs, and 59.3% in two or more parts of the body. Subjects with symptoms of WMSDs had significantly lower scores in 7 dimensions of QoL except ‘emotional role limitation’ than those without symptoms of WMSDs at the area of upper extremities (neck, shoulder, arm/wrist, and hand/wrist/fingers). On the other hand, subjects with symptoms of WMSDs had significantly lower scores on all QoL dimensions than those without symptoms of WMSDs at the area of lower back or lower extremiti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WMSDs had a negative effect on QoL. Therefore, prevention of WMSDs should be considered intervention strategies for improvement of QoL, especially in firefighters

      • KCI등재

        언론의 조류인플루엔자 보도에 대한 조류사육업자와 비사육업자의 태도 비교

        오경재(Gyung-Jae Oh) 한국농촌의학 지역보건학회 2009 농촌의학·지역보건 Vol.34 No.1

        배경 : 이 연구에서는 조류인플루엔자에 대한 가금류 사육업자의 신고의지 및 이에 대한 언론보도에 의한 영향 등을 파악함으로써 조기감시 및 방역 등에서 중요한 대상인 가금류 사육업자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홍보 전략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 연구는 가금류 사육업자 28명과 비사육업자 6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사육업자는 ‘08년도 조류독감 유행지역에서, 비사육업자는 유행이 없었던 지역에서 선정하였다. 조사기간은 2008년 7월-8월 2개월이었다. 설문내용은 대상자의 일반 특성, 조류인플루엔자에 대한 주관적 지식 및 인지 수준, 언론보도에 대한 영향 및 신뢰수준 등으로 구성하였다. 결과 : 조언론보도가 자신과 다른 사람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제3자 효과’는 사육업자에서 32.1%로서 비사육업자의 10.0%보다 높게 나타으며(p<0.05) 조류인플루엔자와 관련된 언론보도에 대한 신뢰수준은 사육업자(2.86)에서 비사육업자 (3.43)보다 낮게 나타났다(p<0.05). 조류인플루엔자 유행을 인지한 경우 신고의지는 사육업자 71.4%, 비사육업자 90.0%로서 전자에서 낮게 나타났다(p<0.05). 신고의지가 없는 사람들에서 신고하지 않겠다는 이유로는 사육업자는 ‘신고시 감수해야 하는 경제적 손실에 대한 우려’가 87.5%로서 가장 많았다. ‘언론보도에 대한 신뢰도’는 ‘제3자 효과’와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조류인플루엔자에 대한 관심도나 심각성에 대한 인지수준이 높을수록 제 3자 효과는 증가하며 제3자 효과가 증가할수록 언론보도에 대한 신뢰도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결론 : 조류인플루엔자와 관련된 질병관리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가금류 사육업자의 조류 인플루엔자에 대한 올바른 인식 및 지식의 습득뿐만 아니라 언론보도의 내용이나 방향성에서 정확한 정보 제공과 더불어 사육업자의 심리 및 감성을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s: Active participation of poultry breeder in surveillance system of Avian Influenza (AI) is very important.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esent basis data for active report of AI that is affected by media"s coverage in poultry breeder. Methods: Subjects were 88 persons, 28 who were poultry breeder at epidemic area of AI and 60 who were general person at non-epidemic area. Data were collected by the trained investigator from Jul. 1 to Aug. 31, 2008. Respondents were interviewed by means of a structured questionnaire. Results: The third-person effect among perceptions of influence in media"s report on the AI was higher in breeder (32.1%) than in non-breeder (10.0%). However, Confidence to media report on the AI was lower in breeder than in non-breeder. Intention to report of the AI was 71.4% in breeder respectively, was 90.0% in non-breeder.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lower in breeder than non-breeder. The cause of avoidance of report was "economic damage" for 87.5%, which acocounted for the majority of cases. Confidence to media report on the AI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concern on the AI and perception on seriousness of the AI, but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third-person effect. Conclusions: These results showed that intention to report of the AI of breeder was susceptible to influenced by the third person effect and confidence in media"s report on the AI. Therefore we should give a special attention to increase active report of poultry breeder during epidemic period of AI which is consideration of reasonable strategy of media"s coverage, including mind and emotion state of poultry breeder.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농림어업인의 당뇨병 관리 수준

        오경재(Gyung-Jae Oh),이영훈(Young-Hoon Lee) 한국농촌의학 지역보건학회 2017 농촌의학·지역보건 Vol.42 No.3

        본 연구는 당뇨병이 있는 지역사회 성인을 대상으로 농림어업인과 비농림어업인으로 구분하여 당뇨병 관리 지표들의 차이를 살펴보았으며, 특히 다양한 사회경제적 특성들을 보정한 이후에도 직업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평가하였다. 2015년 지역사회건강조사에 참여한 대상자 중, 당뇨병을 진단받은 19세 이상 22,127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카이제곱검정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농림어업인과 비농림어업인 간의 당뇨병 관리 수준을 비교하였다. 성, 연령, 교육수준, 월평균 가구소득, 국민기초생활수급, 혼인상태의 사회경제적 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정하여 교차비(odds ratio; OR)와 95% 신뢰구간(confidence interval; CI)을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당뇨병 대상자 중 농림어업인은 3,712명(16.8%), 비농림어업인은 18,415명 (83.2%)이었다. 모든 사회경제적 상태를 보정한 후, 비농림어업인에 비해 농림어업인에서의 교차비(OR, 95% CI)는 당뇨병 비약물요법(0.72, 0.66-0.79), 당화혈색소 측정(0.61,0.55-0.67), 당뇨병성 안질환 검사(0.76, 0.70-0.83), 당뇨병성 신장질환 검사(0.75, 0.70-0.81), 비음주 또는 적정음주(0.70, 0.64-0.78), 영양표시 독해(0.83, 0.71-0.98), 저염 선호(0.85, 0.78-0.93), 구강검진(0.60, 0.54-0.66), 스케일링(0.84, 0.77-0.93), 정기적 칫솔질(0.66, 0.58-0.76), 당뇨병 관리교육(0.84, 0.77-0.92)이 유의하게 낮았다. 반면, 농림어업인에서의 낮은 스트레스(1.39, 1.26-1.52)와 적정 수면시간(1.22, 1.13-1.32)의 교차비는 비농림어업인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전반적으로 농림어업인의 당뇨병 관리 지표들의 수준은 비농림어업인에 비해 양호하지 못하였다. 농림어업인의 당뇨병 관리 수준을 개선하여 합병증을 예방하고 건강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농림어업인의 직업적 특성을 고려한 특화된 당뇨병 개입전략이 필요하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iabetic management indicators between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y workers (AFF) and other occupational adults (non-AFF) in community-dwelling diabetes. Methods: The study population consisted of 22,127 diabetic population ≥19 years who participated in the 2015 Community Health Survey. Chi-square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compare the diabetic management indicators between AFF and non-AFF.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such as age, gender, education level, monthly household incom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status, and marital status was sequentially adjusted. Results: Among total diabetic population, 3,712 people (16.8%) was AFF and 18,415 people (83.2%) was non-AFF. The fully-adjusted odds ratio [OR] (95% confidence interval [CI]) of current non-medical treatment (0.72, 0.66-0.79), measurement of hemoglobin A1c (0.61, 0.55-0.67), screening for diabetic retinopathy (0.76, 0.70-0.83), screening for diabetic nephropathy (0.75, 0.70-0.81), non-alcoholic or moderate drinking (0.70, 0.64-0.78), nutrition label reading (0.83, 0.71-0.98), low salt preference (0.85, 0.78-0.93), dental examination (0.60, 0.54-0.66), scaling experience (0.84, 0.77-0.93), regular toothbrushing (0.66, 0.58-0.76), and diabetes management education (0.84, 0.77-0.92) was significantly lower in AFF compared to non-AFF. In contrast, the fully-adjusted OR (95% CI) of AFF’s low stress level (1.39, 1.26-1.52) and adequate sleep duration (1.22, 1.13-1.32)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non-AFF, which are better indicators of diabetic management in AFF. Conclusions: Overall, the level of diabetes management of AFF was not as good as that of non-AFF. In order to improve the level of diabetes management of AFF, a delicate diabetes intervention strategy considering the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of AFF will be needed.

      • KCI등재후보

        시설참외 및 수도작 농작업자의 농부증 비교

        박종섭(Jong-Seup Park),오경재(Gyung-Jae Oh) 한국농촌의학 지역보건학회 2008 농촌의학·지역보건 Vol.33 No.1

        이 연구에서는 시설참외 농작업자와 수도작 농작업자들의 농부증 유병양상 및 특징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시설참외 농작업자들의 농부증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일개 농촌지역에 소재하는 시설 참외 농작업자 73명, 수도작 농작업자 87명이었다. 자료수집은 연구자로부터 교육을 받은 면접원들에 의해 수행되었으며 자료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직접면접법을 통해 수집하였다. 조사항목은 일반특성, 건강관련 행위, 농작업 관련 특성, 농부증, 농사일 및 관련 증상 등이었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시설참외 농작업자에서 수도작 농작업자보다 연령이 상대적으로 낮고 학력 및 소득수준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한편, 농작업 종사에 따른 성별, 결혼상태, 동거인 수, 생활행태(흡연, 음주, 운동, 비만) 등의 분포 차이는 없었다. 농작업 종사 경력은 시설참외 및 수도작 농작업자에서 각각 23.4년, 33.9년으로 분포 또한 시설참외 농작업자에서 상대적으로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일 농작업 시간은 시설참외 및 수도작 농작업자에서 각각 8.3시간, 6.5시간이었으며, 분포 또한 시설참외 농작업자에서 상대적으로 긴것으로 나타났다(p<0.05). 농부증 총점수는 시설참외 농작업자(5.9)에서 수도작 농작업자(4.6)보다 높게 나타났다(p<0.05). 농부증 유병률은 시설참외 농작업자(38.4%)에서 수도작 농작업자(22.6%)보다 높은 분포를 나타내었으나 유의수준은 경계성(p=0.059)을 나타내고 있었다. 직접표준화 방법을 이용하여 연령을 보정한 결과에서의 농부증 유병률은 시설참외농작업자에서 수도작 농작업자보다 높은 분포를 나타내었다(p<0.05). 농부증 증상은 두 군 모두 어깨결림 및 요통, 야간빈뇨, 수족감각 둔화에서 높은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어깨결림, 허리통증, 야간빈뇨 등은 시설참외 농작업자에서 수도작 농작업자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이러한 연구결과로부터 시설참외 농작업자들에서의 농부증 유병률을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과중한 노동강도 및 노동시간에 노출됨을 방지할 수 있는 농작업 환경 개선, 농기구의 개발, 주기적 휴식 및 운동 등의 방안이 다른 농작업보다 적극적으로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differences in Farmer"s syndrome between greenhouse-melon farmers and rice farmers. Methods: The study included 160 residents, who lived in rural community. Of those subjects, 73 and 87 subjects were assigned to the greenhouse-melon farmers and rice farmer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June 1 to July 30, 2006. Respondents were interviewed by means of a structured questionnaire. Results: This study showed that greenhouse-melon farmers had a lower average age, shorter experience of farming, more working hours per day than rice farmers (p<0.05). Prevalence of the Farmer"s syndrome in greenhouse-melon farmers was 38.4% respectively, the prevalence in rice farmers was 22.6%.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valence of Farmer"s syndrome between greenhouse-melon and rice farmers (p<0.05). The most frequent symptoms among eight symptoms that constitute the Farmer"s syndrome were lumbago, shoulder pain and nocturnal urination regardless of type of farming. But greenhouse-melon farmers had higher prevalence of muskuloskeletal symptoms, such as lumbago and shoulder pain, than rice farmers (p<0.05). Conclusions: These results showed that prevalence of Farmer"s syndrome was more common in the greenhouse-melon farmers than rice farmers. Therefore we should give a special attention to develop farming tools which reduce physical burden and take a rest and exercise periodically during work in the greenhouse-melon farm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