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단기상담 훈련프로그램이 대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

        강진구(Kang Jin-ku),이용상(Lee Yong Sang),연규진(Yon Kyu Jin)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05 미래교육학연구 Vol.18 No.2

        본 연구에서는 단기상담 훈련프로그램이 대학생들의 상담자 자기효능감을 높이는지를 다층모형으로 분석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독립변수는 단기상담 훈련을 위한 3단계 프로그램(강진구와 연문희, 2005) 중 제1 및 제2단계 훈련프로그램이었다. 제1단계 단기상담 핵심기법 훈련에서는 공감, 자기노출, 맞닥뜨림 기법을 5주 15시간 동안 처치하고, 제2단계 단기상담 발달단계별 역할훈련에서는 시작단계, 준비단계, 작업단계, 종결단계의 상담자 역할을 6주 18시간 동안 처치하였다. 훈련 방법에는 순환식 훈련, 모델링과 역할놀이, 긍정적 피이드백, 동료 상호작용 등 4요소가 주로 적용되었다. 종속변수는 상담자 자기효능감(COSE) 점수였다. 연구대상은 충청지역 C대학교의 심리학과 4학년 남녀 학생 26명이었다. 이들에게 사전검사, 사후검사1, 사후검사2로 3회 반복측정한 평균 점수를 HLM 6.0으로 다층분석한 결과, 상담자 자기효능감 점수의 발달곡선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개인배경변수인 성별 및 상태불안 초기값에 따른 효과는 없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발된 단기상담 훈련프로그램을 후속연구 차원에서 대상과 기간을 달리하여 처치한 결과, 상담자 자기효능감에 대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둘째, 선행연구의 효과 검증에 추가하여 각 단계별 프로그램의 효과를 규명하였다. 셋째, 다층분석모형(HLM)으로 분석함으로써 시간에 따른 성장 효과와 개인배경변수의 효과를 규명하였다. This study was based on the hypothesis that the brief therapy training program is an effective tool which could increase the counselor's self-efficacy. The hypothesis was tested and analyzed by multilevel model.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the first and second stages of the three stage program for the brief therapy training(Kang, 2005). In the first stage, it provided prospective brief therapists with various skills such as empathy, self-disclosure, and confrontation for 15 hours over 5 weeks. In the second stage, it equiped them with the counselor's roles of each developmental stage such as initial stage, transition stage, working stage, and terminal stage for 18 hours over 6 weeks. The major training methods utilized in these programs were cycling training, modeling, role-playing, and peer interaction. Dependent variable was the scores of counselor's self-efficacy(COSE). The training subjects were consisted of 26 undergraduate-level students who enrolled in counseling practicum course at C University, Daejeon metropolitan city. The results of three repeated measures were analyzed by multi-level analysis method using HLM 6.0.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growth curve of the scores of counselor's self-efficacy but no effects of sex or initial scores of state anxiety(STAI-S). This study provides with the following meanings: First, this study verified the effect of the program on counselor's self-efficacy with different subjects and different periods in the respect of following study of the brief therapy training program. Second, it verified the effect of each developmental stage in addition to effect testing of the previous study. Third, it verified the effect of growth over the period and the effect of individual background variables with HLM.

      • KCI등재

        청소년-부모 진로 일치와 진로결정: 성취를 통한 가족 인정 지향성에 의한 접근목표지향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근영(Geun Yeong Lee),연규진(Kyu Jin Yon) 한국진로교육학회 2019 진로교육연구 Vol.32 No.2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부모 진로 일치와 진로결정의 관계에서 접근목표지향성이 성취를 통한 가족 인정 지향성에 의해 조절된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확인하고자 서울 지역에 소재하는 3개 일반계 고등학교 1, 2, 3학년 남녀학생 390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청소년-부모 진로 일치가 높을수록 접근목표지향성이 증가함으로써 진로결정을 높이는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성취를 통한 가족 인정 지향성 수준이 높을수록 접근목표지향성이 청소년-부모 진로 일치와 진로결정의 관계를 매개하는 영향이 강화되었다. 한편 청소년-부모 진로 일치를 통제하였을 때, 성취를 통한 가족 인정 지향성의 조건부효과에 의해 성취를 통한 가족 인정 지향성이 진로결정 수준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하면 한국의 고등학생들은 부모와 진로에 대해 합의하고 상호 간 노력에 만족할수록 더 배우고자하며 유능감을 증진하고자 하는 접근목표를 지향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진로에 대한 결정을 내리고 그에 대한 편안함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approach goal orientation by family recognition through achieve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parent career congruence and career decision. A self-reported survey was administered to 390 male and female students from 3 academic high schools in Seoul. A moderated mediat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Statistics 20.0 program and PROCESS Macro.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Approach goal orientat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parent career congruence and career decision. Family recognition through achievement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pproach goal orientation and career decision.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score on family recognition through achievement, the more likely it is that approach goal orient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decision. When adolescent-parent career congruence was controlled, a conditional effect of family recognition through achievement indicated that it lowered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In conclusion, approach goal orientation had a moderated mediation effect by family recognition through achieve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parent career congruence and career decision. Further implic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with suggestions of future study.

      • KCI등재

        대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 결정 관련 모호함에 대한 인내력의 관계

        이기세(Kise Lee),연규진(Kyu Jin Yon) 한국진로교육학회 2019 진로교육연구 Vol.32 No.1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 결정 관련 모호함에 대한 인내력의 관계에서 멘토링 기능에 의해 조절된 걱정의 매개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학생 382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조절된 매개 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 결정 관련 모호함에 대한 인내력의 관계에서 걱정은 간접 매개 효과를 보였다. 둘째,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 결정 관련 모호함에 대한 인내력의 관계에서 멘토링 기능에 의해 조절된 걱정의 매개 효과가 확인되었다. 종합하면, 한국 대학생들은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이 부족할수록 걱정을 많이 하게 됨으로써 진로 결정과 관련된 모호함을 견디기 어려워하게 되는데, 이러한 부정적 영향은 멘토링 기능 수준이 높을수록 줄어든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진로 상담 장면에서의 적용 가능성과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worry and mentoring function on the relation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career decision ambiguity tolerance. A sample of 382 college students completed self-report questionnaires. SPSS 22 and PROCESS for SPSS 2.16.3 were used to test a mediation effect, a moderation effect, and a moderated mediation effect.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Worry had a significant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career decision ambiguity tolerance. Also, a mentoring function moderated the mediation effect of worry on the relation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career decision ambiguity tolerance. In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indicated that Korean college students have a difficulty in enduring career decision ambiguity when they worry more due to their higher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this negative effect decreased when the mentoring function is high. Based on findings, the implication of the current finding in counseling practic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생들의 부모기대부응과 진로결정수준의 관계

        이기세(Kise Lee),이수정(Soo Jung Lee),연규진(Kyu Jin Yon) 한국진로교육학회 2018 진로교육연구 Vol.31 No.3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부모기대부응과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진로수행회피목표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대학생 343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에 대해 각 변인 간 상관분석과 구조방정식을 통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부모기대부응은 진로결정수준을 정적으로 예측하였고, 진로수행회피목표를 부적으로 예측하였으며, 진로수행회피목표는 진로결정수준을 부적으로 예측하였다. 둘째, 구조방정식 분석 결과, 부모기대부응이 진로결정수준을 예측하는 경로에서 진로수행회피목표가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종합하면, 한국의 대학생들은 부모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할수록 진로와 관련한 수행에 있어서 회피적인 목표를 지향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자신의 진로를 결정하기가 어려워질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진로상담에서의 시사점을 논하였다.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performance-avoidance goal on the path from LPE(Living up to Parental Expectation) to Career decidedness. A sample of 343 college students completed a self-report questionnaire by on-line.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Amos 18.0. As a result, First, LPE positively significantly predicted career decidedness and negatively significantly predicted performance-avoidance goal, Performance-avoidance goal negatively significantly predicted Career decidedness. Second, partial mediating effect of performance-avoidance goal in the relation between LPE and career decidedness was confirmed. The findings suggest that when Korean college students fail to live up to parental expectations, they are likely to set an avoidance goal to avoid negative evaluations. As a result, setting an avoidance goal lead them to experience difficulties in making career decisions.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nd suggestions for career counseling we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생들의 화상상담에 대한 태도 및 인식에 대한 탐색적 연구

        이수정(Soo-Jung LEE),변유나(Yu-Na BYUN),김덕혜(Deok-Hye KIM),김영신(Young-Shin KIM),연규진(Kyu-Jin YON)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1 상담심리교육복지 Vol.8 No.4

        본 연구는 코로나19 상황에서 대학생들의 대면 및 비대면 상담, 특히 화상상담에 대한 태도와 인식을 조사하였다. 전국 484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코로나19 상황에 의해 상담방식 선호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대면상담과 화상상담 태도를 비교하였다. 더불어 향후 화상상담 이용 의사를 조사하고, 그 이유를 CQR-M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일반상황과 코로나19 상황에 따라 상담방식 선호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일반적으로 대학생들의 화상상담에 대한 태도는 대면상담에 대한 태도 보다 덜 긍정적이었는데, 화상상담을 덜 가치있게 느끼고 불편감을 더 크게 느꼈다. 셋째, 소속 대학교에서 상담경험이 있는 학생들의 대면상담과 화상상담 태도는 상담경험이 없는 학생들보다 모두 유의하게 높았다. 넷째, 참가자들의 56%가 향후 화상상담을 이용할 의도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CQR-M 분석을 통해, 화상상담에 대한 인식 및 향후 이용 여부와 관련된 이유들이 다양한 범주와 하위 범주로 도출되었다. We explored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face-to-face counseling and telecounseling among 484 college students during the COVID-19 situation using an online survey. We explored differences in pariticpants’ preferences for counseling format in general and COVID-19 situations and compared face-to-face and videoconferencing counseling attitudes. Also, the intention to use videoconferencing counseling was investigated, and participants reported reasons were analyzed with CQR-M. As a result, first, we foun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ferences for the counseling formats depending on the situation. Second, participants reported less favorable attitude toward videoconferencing counseling than face-to-face counseling; they reported lower value and greater discomfort for videoconferencing counseling. Third, participants with previous counseling experience had more favorable attitudes toward face-to-face and videoconferencing counseling than those without counseling experience. Fourth, 56.2% of participants reported that they would use videoconferencing counseling. Regarding participants reasons related to their intention to use videoconferencing counseling, various categories and subcategories emerg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