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요인에 대한 메타분석

        엄정영(Eom Jeong Young),김영길(Kim Young Gil),전옥례(Jeon Ok Rye) 전북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5 교육문제연구 Vol.21 No.1

        이 연구는 메타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의 수행을 위해 1996년부터 2014년까지 국내 석ㆍ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논문 36편의 효과 크기를 분석하였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요인의 전체 평균 효과크기는 얼마인가? 둘째, MB정권 전ㆍ후에 나타난 변인군의 효과크기는 어떠한가? 이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첫째,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전체 평균 효과크기는 0.489(SD=0.436)으로 MB정권 이전은 0.499이며, 이후는 0.476으로 타나났다. 둘째, 효과크기 순을 보면, MB정권 이전은 교사변인(es=0.684)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이후는 학교변인(es=0.667)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사변인의 하위변인 교사직무만족, 직무만족도와 학교변인의 하위변인 학교SES의 효과크기가 크다. 이는 Coleman(1966)의 학생의 가정배경에서 교사변인과 학교변인으로의 변화를 알 수 있다. 본 연구 결과 MB정부 이후 학교변인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준다는 연구가 많은 것은 MB정부 이후 고교다양화 등의 정책 추진과 그 맥을 같이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affecting factors on academic achievement using meta-analytic method. For the research, we analyzed the effect size of 36 Master’s and Doctor’s dissertations(1996~2014) in Korea. To achieve these goals, the following tasks has ben chosen: first, How big is the mean effect size of the affecting factors on academic achievement?; second, How big is the effect size of variables which appeared around the MB’s administration. We conclude from this research: first, the mean effect size of the affecting factors on academic achievement is 0.489(sd=0436). The mean effect size is 0.499 before MB’s administration and the size is 0.476 after the administration.; second, The biggest one is the effect size of teacher variables(es=0.648) and second one is the school variables(es=0.667). Especially, teachers occupational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which are lower factors of teachers variable and school SES which is lower factors of school variable have the big effect size. We could know that the student’s family background which said Coleman(1966) changed from teacher and school variable. And we assume that there are many research which demonstrated that school variable has influence to academic achievement, since MB’s administration proceeded with educational policy like a diversity of high school pattern.

      • 교육복지에 대한 주요일간지 사설 분석

        김윤진(Kim Yun jin),엄정영(Eom Jeong young),고득환(Koh Deuk hwan) 전북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5 교육문제연구 Vol.21 No.1

        이 연구의 목적은 교육복지에 대한 국내 5대 일간지의 이해도와 입장을 파악하여 교육복지의 논의방향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누리과정과 무상급식이 쟁점이 되었던 2014년 말에 5대 일간지(조선, 중앙, 동아, 한겨레, 경향)에 게재된 교육복지관련 사설내용을 대상으로 내용 분석과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주류 언론의 교육복지에 대한 개념정립과 이해도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문의 성향에 따라 주장의 내용요소가 다른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교육복지의 ‘실천 방향 설정’에 앞서 교육복지에 대한 ‘사회적 개념정의’가 필요하다는 근거를 제시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discussion about education & welfare by grasping the understanding and position of the 5 domestic major daily newspapers in relation to education & welfar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contents analysis and text network analysis targeting editorial contents related to education & welfare printed by the 5 domestic major daily newspapers(Chosun, Chungang, Dong-A, Hangyeoreh, and Kyunghyang) at the end of 2014 when Nuri Curriculum and Free School Meals became the issue.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was found that the mainstream media were deficient in their concept establishment and understanding of education and welfare, and according to a newspaper tendency, the content elements in argument differed from each other. This study suggested the grounds for necessity of ‘Social Concept Definition’ of education and welfare before setting the implementation direction of education & welfare

      • 교육복지 정책 경향에 대한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

        김윤진(Kim Yun Jin),고득환(Koh Deuk Hwan),엄정영(Eom Jeong Young) 전북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5 교육문제연구 Vol.21 No.1

        교육복지정책은 John Rawls의 정의론(1971)에 입각해 사회적 약자를 배려한 결과적 평등관이라는 맥락으로 진행되어 왔다. 역대 정권 또한 교육복지정책에 관심을 갖고 정책을 실행해왔으나 정권에 따라 정책에 대한 일관성은 없었다. 이 연구는 문민정부(1993)부터 박근혜 정부(2015)까지 교육백서와 업무계획을 중심으로 교육복지 정책과 경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대상은 정권별 교육백서와 교육부 업무계획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교육복지 영역에 대한 개념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은 채 정권이 바뀔 때 마다 축소, 확대되었다. 둘째, 시대적 상황을 반영하는 새로운 항목들이 신설되었다. 셋째, 교육복지 영역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없어 정권별 교육복지 항목은 정권별 자의적 해석의 결과물이었다. 결론적으로 교육복지 정책은 포퓰리즘 형태로 쟁점화 되어 인기에 영합하는 정책으로 비춰졌으며, 정권이 바뀔 때 마다 교육복지 정책은 표류해 왔다. 미래 교육복지 정책은 ‘무상’ ‘공짜’의 개념이 아닌 국민이 누려야 할 ‘권리’ 개념으로 전개되어야 하며, 정권의 성향에 의해 해 마다 바뀌는 정책이 아니어야 한다. 교육복지와 교육복지정책에 대한 전체적 합의를 통해 하고 싶은 정책이 아닌 해야 할 정책, 국민이 필요로 하는 정책이 무엇인지에 대한 연구와 실천이 논의 되어야 할 것이다. The educational welfare policy has been implemented toward the context of ultimate equality in which the marginalized in society are cared based on A Theory of Justice (1971) authored by John Rawls. Korean governments to date have also pushed forward relevant policies with a great interest, but the policies have lacked consistency. This study looks at white papers on education and work plans releas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ince the civilian government in 1993 to the current Park, Geun-Hye Administration, aimed at analyzing educational welfare policies and the trend. To achieve this purpose, the text analysis method was used and white papers as well as work plan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from each government were studied. The result is: First, the range of educational welfare to be covered fluctuated whenever the government changed, as a consensus on the concept between parties was not achieved. Second, new policies that reflect the times were created. Third, the issue of educational welfare was interpreted arbitrarily depending on the ruling government and each policy only reflected each different understanding, due to lack of transparent definition or standards. In conclusion, educational welfare policies have become a hot-button issue and evolved in the form of populism, leading to a misunderstanding in public and, therefore, they were often adrift whenever the ruling party changed. The concept over the educational welfare policy should become different for the future. It should be evolved from ‘free-riding’ or ‘free of charge’ to a justified ‘right’ to be enjoyed. It also should be consistent at any given year regardless of political orientation. In a collective consensus, educational welfare and its policies which are necessary not just favorable should be considered. Studies and practices on required policies by the public should also be further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