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래동요를 활용한 집단 활동이 유아의 이야기꾸미기능력과 또래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

        엄은나(Eom Eun na),강정원(Kang Jeongwon),박성희(Park Sung he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전래동요를 활용한 집단 활동이 유아의 이야기꾸미기 능력 및 또래 수용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위치한 S어린이집과 Y어린이집의 만 4세 유아 51명이며, 9주 동안 실험집단에 전래동요를 활용한 집단 활동을 총 26회 실시하였다. 이야기꾸미기 능력 및 또래 수용도 검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가각 t-검증과 공변량 분석을 통해 처치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에는 이야기꾸미기 능력에 차이가 있었다. 또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의 또래 수용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전래동요를 활용한 집단 활동이 유아의 이야기꾸미기 능력 및 또래 수용도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나타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how applying Traditional Korean Songs to group activities affects young children's storytelling abilities and peer acceptance. The study involved 51 four-year-old children (28 in the experimental group, 23 in the comparative at the 'Y' and 'S' daycare centers in a middle-class town in Seoul. Activities using traditional Korean songs were played for 9 weeks for a total of 26 times. In the study, children were asked to view a text-free picture book and to tell the story connected to it. The storytelling ability of the child was determined after evaluating the structure of the story, vocabulary, power of expression, and imagination. Also, the effect of the activities on peer acceptance was examined and a peer rating score was given through an interview with both groups. The data of the survey were analyzed using T-test and Ancova. According to this stud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quality of vocabulary, the story structure, expressions, and imagination of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versus comparative group. In addition, peer acceptance was more significantly enhanced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e comparison group. We concluded that the group activities involving traditional song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enhancement of storytelling ability and peer acceptance in young children.

      • KCI등재

        의사소통 능력 향상 프로그램이 유아의 또래상호작용 행동 및 또래수용도에 미치는 효과

        엄은나(Eom Eun Na)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2 No.1

        본 연구는 유아를 위한 의사소통 능력 향상 프로그램이 유아의 또래상호작용 행동 및 또래수용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노원구에 소재한 H어린이집과 S어린이집의 만 5세 유아 64명이며, 실험집단에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12주 동안 총 36회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 행동에 대한 교사평정 검사와 또래수용도 측정을 위한 또래평정 검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를 이용하여 공변량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또래상호작용 행동의 모든 항목 및 또래수용도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이 유아의 또래관계 증진에 효과 있음을 시사해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communication competence enhancement program on children's peer interaction and peer-acceptance.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on 64 (32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32 children in the comparative group) 5-year-old children at the 'H'care center and the 'S'care center in Nowon-Gu, Seoul. This communication competence enhancement program was carried out with the experimental group children three times a week for 12 week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communication competence enhancement program, a peer rating test was given by means of an interview to all children and a teacher's evaluation questionnaire on peer interactions was answered by both groups of teachers. SPSS was used for the analysis of covariance of the collected data.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peer interaction act test, there was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in all fields. Also,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peer-acceptance test, the mean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mparative group. These results prove that the communication competence enhancement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peer relationships among children.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인성과 자아탄력성, 행복감, 교사효능감의 관계

        엄은나(Eun na Eom)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6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인성, 자아탄력성, 행복감, 교사효능감의 수준을 알아보고 인성과 각 변인들과의 관계를 밝힘으로써 예비유아교사 인성교육의 방향 및 방안 모색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서울, 경기도, 강원도, 전라도 지역의 5개 대학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517명으로 2015년 9월 한 달 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인성, 자아탄력성, 행복감, 교사효능감 수준은 학년, 전공 만족도, 교우관계 만족도에 따라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성의 하위요인들과 자아탄력성, 행복감, 교사효능감의 하위요인들 간에 높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긍정적 자아개념은 자아탄력성, 행복감, 교사효능감의 하위요인 모두와 높은 상관을 보여 그 중요성이 두드러졌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양성과정에서의 인성교육 강화 및 예비유아교사의 긍정적 자아개념 향상에 중점을 둔 인성교육 실시의 필요성을 시사하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surve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sonality, ego resilience, happiness, and teacher efficacy, to explai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bles, and ultimately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s and strategies of personality education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17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ampled from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of five universities in Seoul, Gyeonggi do, Gangwon do and Jolla do, and they were surveyed using a questionnaire for a month in September, 2015.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sonality, ego resilience, happiness, and teacher efficac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school year, major satisfaction, and peer relationship satisfaction. Second, a high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sub factors of personality and the sub factors of ego resilience, happiness, and teacher efficacy. In particular, positive self concept showed a high correlation with the sub factors of ego resilience, happiness, and teacher efficacy, suggesting its importance with regard to these variables. These results suggest the necessity to reinforce personality education in the teacher training course and to introduce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s for enhanci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ositive self concept.

      • KCI등재

        교육봉사활동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교사 자질 함양에 대한 기대와 자기평가

        서동미(Seo, Dong-Mi),엄은나(Eom, Eun-N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expectation and selfevalua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nhancement through teacher volunteer activity. For this purpose, data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of third and fourth grade student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were analyzed.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high expectation about the enhancement of teacher qualification through the service volunteer activities. Self‐evaluation level was lower than expected. In addition, particularly, the result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time of classroom service, the way of classroom assignment, and whether to have the pre‐education and post‐evaluation of college and volunteer organizations. The expectation and self‐evaluation of teacher’s qualification enhancement through the education volunteer activiti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areas of teacher qualification. Through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systematic pre‐education and reflective evaluation for the educational volunteer activities, and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o be part of a single class and have plenty of time for in‐class volunteer activities, which can help provide a useful experience in the enhancement of teacher qualification. 본 연구는 교육봉사활동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교사 자질 함양에 대한 기대와 자기평가의 차이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유아교육과 3,4학년 재학생 대상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은 교육봉사활동을 통한 교사 자질 함양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높은 기대를 나타냈다.자기평가수준은 기대에 비해 낮았으며, 특히 학급 내 봉사활동 시간, 담당학급 배정방식, 대학 및 봉사활동기관의 사전교육 및 사후평가 유무에 따라 다른 결과를 보였 다. 교육봉사활동을 통한 교사 자질 함양에 대한 기대와 자기평가는 교사 자질의 전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교육봉사활동 사전교육 및 반성적 평가를 체계적으로 실시하고, 예비유아교사가 단일 학급에 소속되어학급 내 봉사활동 시간을 충분히 갖도록 하는 것이 교사 자질 함양에 유익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원내 자율장학에 대한 유치원 경력교사의 인식

        이경민(Lee Kyung Min),엄은나(Eom Eun Na)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2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경력 6년 이상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원내 자율장학에 대한 그들의 생각이 무엇인지를 살펴봄으로써 경력교사의 인식에 기초한 역량 강화방안과 원내 자율장학 지원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경기지역 유치원 1급 정교사 자격 연수에 참여한 현직 유치원 교사 200명을 대상으로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반성적 저널, 원내 자율장학에 대한 자기진단 및 조별토의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유치원 경력교사들은 원내 자율장학이 수업을 보여주는 것이라는 제한적 관점과 자신의 부족함을 지적받는 평가라는 부정적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원내 자율장학이 자신의 의지나 요구보다는 위의 지시에 따라 수동적, 강제적으로 이루어지며 지속적이고 체계적이지 못하고 1회성 행사로 끝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경력교사들은 원내 자율장학이 지닌 긍정적인 가치와 의미를 동시에 인식하면서 교사로서의 성장을 위한 디딤돌로 인식하고 있었다. The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find the experienced teachers' perception on the kindergarten-based supervisio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00 teachers who have more than 6 years career in kindergarten.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ividual journals, self-examination, and group discussi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The experienced teachers recognized that kindergarten-based supervision is very important. But they avoid kindergarten-based supervision because of negative attitude, difficult preparation, compulsion, one time performance, and lack of time. So, they considered kindergarten-based supervision as troublesome work. Even though experienced teachers have a feeling of obligation and unwillingness, many teachers try to participate kindergarten-based supervision frequently for development of teacher's expertise.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raise active support for teacher’s positive attitude and expertise about kindergarten-based supervision.

      • KCI등재후보

        예비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 전공만족도, 직무수행효능감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서동미(Seo, Dong Mi),엄은나(Eom, Eun Na) 한국영유아교육지원학회 2020 영유아교육지원연구 Vol.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 전공만족도, 직무수행효능감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 지역의 3년제 유아교육과 재학생 31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집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학년에 따라 자아탄력성, 전공만족도, 직무수행효능감, 진로성숙도에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1,2학년과 3학년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자아탄력성, 전공만족도, 직무수행효능감, 진로성숙도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자아탄력성과 전공만족도, 직무수행효능감이 예비유아교사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예비유아교사들이 유아교사의 삶을 준비하고 직업세계로 안정적인 입문을 할 수 있도록 자아탄력성 및 전공만족도와 직무수행효능감 향상을 지원하는 교육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go-resilience, major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effica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on their career maturity. To this e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319 students of the three-year colleg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the collected result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ego-resilience, major satisfaction, job performance efficacy, and career maturity according to the grad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and in particular,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graders group and the third graders group. Second, it is found out that there are static correlations among the ego-resilience, major satisfaction, job performance efficacy, and career matur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to each other. Third, it was found that ego-resilience, major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efficacy wer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career matur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Among the variables, the effect of ego-resilience on career maturity was found to be the highest, followed by major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efficacy in order. These results imply the need for immediate previous education programs that supports the improvement of ego-resilience, major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efficacy so that pre-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can prepare for the lif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be provided with a stable entry into the professional world.

      • KCI등재후보

        교사로 성장하는 과정을 통해 본 ‘좋은 교사’의 의미 탐색

        서동미(Seo Dong-Mi),전우경(Chun Woo-Kyeong),엄은나(Eom Eun-Na)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2008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한 유치원 교사가 초임 시기부터 원감이 되기까지의 경험을 회고해봄으로써 좋은 교사가 되기 위해 노력해온 과정에서 나타난 변화와 그러한 경힘들 속에 내재되어 있는 ‘좋은 교사’의 의미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경력 13년의 유치원 원감교사이며, 심층 면담과 참여관찰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의 경력이 증가함에 따라 유아, 수업, 학부모 및 동료교사와의 관계에 대한 교사의 관점이 질적으로 변화하였다. 유아에 대한 관점은 통제해야 할 대상에서 개별 유아를 수용하는 관점으로, 수업에 대한 관점은 이론-실제의 갈등에서 이론-실제의 균형 찾기로, 학부모에 대한 관점은 가르치는 입장에서 공감하는 입장으로, 그리고 동료교사와의 관계에 대한 관점은 심리적 의지 대상에서 전문적 도움을 주고받는 대상으로 변화되었다. 또한 그러한 경힘들의 의미를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좋은 교사란 ‘타인을 사랑하고 배려하는 교사’, ‘자신을 사랑하고 존중하는 교사’, ‘협력하는 교사’, ‘잘 가르치는 교사’를 의미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changes in the process of making efforts to be a good teacher and to clarify the meanings of "a good teacher" by recalling the course of a kindergarten teacher from the first appointment as a teacher until being the director of a kindergarten. The participant of this study was a kindergarten director with 13 years" experience,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 depth interview and participant observ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teacher"s views on the relations with children, classes, parents and colleague teachers were changed along with the increase of experience. In the teacher"s views, children were changed from the subjects to be controlled to individuals to be accepted, classes from conflicts between theories and practices to finding balance between theories and practices, parents from those to be taught to those to sympathize with, and colleague teachers from the objects for psychological dependence to the objects for the exchange of professional help. In the course of restructuring the meanings of these experiences, it was found that "a good teacher" means one who loves and considers others, loves and respects himself or herself, cooperates with others, and teaches children we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