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위험의 일상화와 재난투어 서사 ― 『밤의 여행자들』, 「므레모사」, 「재해지역 투어버스」를 중심으로 ―

        엄미옥 ( Eom Mi-ok ) 현대문학이론학회 2023 現代文學理論硏究 Vol.- No.94

        재난투어는 전쟁이나 대학살처럼 비극적인 참사의 현장이나 대규모 재난 재해가 일어났던 장소를 돌아보며 교훈을 얻는 여행이다. 근대화의 결과가 글로벌 위험사회로의 귀결이라는 역설적인 상황이 되면서 위험이 상품화되고 재난의 장소가 새로운 관광목적지로 부상한다. 본고는 위험사회 혹은 액체근대에 일상화된 재난이 발생한 장소를 여행하는 작품에 나타난 재난의 양상과 인물이 그 장소와의 교감을 통해 발생하는 정동을 살피고, 나아가 텍스트가 제기하는 재난의 윤리를 밝히고자 한다. 『밤의 여행자들』에서 해고의 위기에 처한 요나는 재난여행 상품을 점검하기 위해 무이로 향한다. 무이는 폴로 상징되는 글로벌 자본주의에 의해 철저하게 재난 관광지로 구성된 장소이다. 요나는 현지인 럭과의 만남을 통해 무이의 진정한 장소성을 경험한다. ‘맹그로브숲’으로 대표되는 원주민이 거주하는 이 생태적인 장소는 글로벌 위험사회의 위험과 기후위기의 공포에 대한 대안공간으로서 기능한다. 하지만 작품 말미에 요나의 죽음마저 폴이 기획한 인공 재난상품의 한 요소가 되면서 「밤의 여행자들」은 글로벌 자본의 폭력성을 다시 한번 입증한다. 「므레모사」에서 유안은 유독성 화학물질 유출사고로 한때 봉쇄되었던 므레모사를 관광한다. 므레모사의 회복과 재건을 기대하는 관광객들의 시선은 장애를 극복하고 재기에 성공한 유안을 통해 감동을 얻고자 하는 주변의 기대와 일치한다. 이는 온갖 위험과 공포가 개인화되면서 더욱 강요받는 액체근대의 자기계발 문화를 반영한다. 하지만 유안은 환지통과 의족에 의한 통증이 없는 세계, 정상성에 대한 집착도 없는 세계를 꿈꾼다. 따라서 도약과 정지의 위계가 전도된, 므레모사의 진정한 장소성을 발견하자 그곳에 남기로 한다. 므레모사를 유토피아로 전유하는 유안의 모습은 개인에게 부과된 위험의 개인화가 역설적으로 개인을 얼마나 불안하고 고통스러운 주체로 만드는가를 보여준다. 「재해지역 투어버스」에서 ‘나’는 카트리나가 발생한 뉴올리언스를 여행하면서 한국의 재난을 떠올리는데, 이는 기후위기와 산업재해 그리고 도시 재개발로 인한 참사 등이 파편화 된 이미지로 제시된다. 그 중에서 광우병 촛불시위 광장에서 방언처럼 들렸던 대중의 함성으로부터 촉발된 정동은 뉴올리언즈 재난지역의 장소성과 연결되어 카트리나의 피해를 가장 크게 입은 흑인들의 분노와 고통에 공감하는 정동으로 확장된다. 이러한 재난의 정동은 불안과 불확실성의 위험사회에 균열을 내고 위험을 통제하는 지배적인 정동을 탈영토화하는 생성적인 힘이 될 수 있다. 이상으로 살펴봤듯이 재난 투어서사는 재난이 발생한 장소와의 교감을 통해 글로벌 위험과 파국에 대한 성찰을 도모한다. 파국으로 인한 고통을 목격하고 나아가 타자와 연대하고 공감하는 정동을 생성하는데, 여기서 재난의 정치적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다. 이는 바로 타자에 대한 공감과 책임이 글로벌 위험사회의 위험을 극복할 수 있는 재난의 윤리라는 것을 증언한다. Disaster tourism offers a chance to travel to a scene where a tragic disaster happened such as a war and massacre or a large-scale catastrophic disaster took place and get a lesson from the travel. In a paradoxical situation where the outcome of modernization results in a global risk society, danger is commercialized with disaster places emerging as new tourist destinations. This study aims to examine disaster patterns in works where characters take a trip to places where routinized disasters happened in a risky society or liquid modernity along with the affect between characters and their communion with such places, further shedding light on the ethics of disasters raised by the texts. In The Disaster Tourist, Yona at risk of being dismissed from her work heads for Mui to check a disaster tour package. Mui has been thoroughly created as a disaster tourist destination by global capitalism represented by Paul. She experiences true placeness through her encounter with a local named Luck. This ecological place resided by natives and represented by the “mangrove forest” functions as an alternative space against the danger of the global risk society and the horror of the climate crisis. At the end of the work, however, even Yona’s death becomes an element of the manmade disaster tour package planned by Paul. The Disaster Tourist once again testifies to the violence of global capital. In Mremosa, Yuan goes sightseeing to Mremosa which was once under blockade after the leakage of a toxic chemical. The viewpoint of tourists expecting the restoration and reconstruction of Mremosa matches the expectation of people around her who wish to be moved by her case of overcoming her disability and succeeding in a comeback. This reflects the self-development culture of liquid modernity in which people are further forced by the personalization of all kinds of risk and terror. Yuan, however, dreams of a world free of phantom limb pain, the pain caused by a prosthetic leg, and obsession with normalcy. She thus decides to remain in Mremosa after discovering its true placeness in which the hierarchy of leap and suspension is overturned. The way that she appropriates Mremosa as a utopia shows how the personalization of risk imposed on individuals paradoxically turn individuals into anxious and painful subjects. In The Tour Bus to a Disaster Area, “I” travel to New Orleans hit by Hurricane Katrina and think of disasters that affected South Korea. The novel presents the climate crisis, industrial disasters, and disasters due to urban redevelopment in fragmented images. The affect triggered by the roar of the public heard like a dialect at the square where they held a candlelight vigil against meat infected with the mad cow disease expands into the affect of empathize with the anger and pain of black people who suffered the heaviest damage from Hurricane Katrina, being connected to the placeness of disaster areas in New Orleans. Such affect of disaster can be the generative force to deterritorialize the dominant affect that causes a crack in the risk society of anxiety and uncertainty and control danger. As these stories show, A disaster tour narrative promotes a self-examination of global risks and catastrophes through communion with places where disasters struck. People witness suffering due to a catastrophe and further create the affect of banding together and sympathizing with others. Here, one can discover the political possibilities of a disaster. This testifies that sympathy and responsibility for others is the ethics of disasters to overcome risks in the global risk society.

      • KCI등재후보

        박완서 노년소설에 나타난 노년의 의미 : 리쾨르의 이야기 정체성을 중심으로

        엄미옥(Eom, Mi-Ok) 숙명여자대학교 숙명인문학연구소 2021 횡단인문학 Vol.7 No.1

        본고는 박완서의 「저물녘의 황홀」과 「여덟 개의 모자로 남은 당신」을 중심으로 노년인물이 지나온 삶을 회상하면서 자신의 정체성을 재정립하는 과정을 리쾨르의 이야기 정체성을 통해 살펴보았다. 「저물녘의 황홀」에서 노년여성은 육체의 쇠락으로 인한 혐오와 죽음에 대한 공포로 정체성이 분열된다. 하지만 유년 시절, 중풍으로 쓰러진 할아버지를 병구완하던 화초할머니의 자기성과 화초할머니와 친할머니의 우정에 기초한 배려를 회상하면서 늙은 육체를 기꺼이 수용한다. 「여덟 개의 모자로 남은 당신」에서 서술자는 죽음 앞에서 의연히 스스로 세운 약속을 이행하는 남편의 자기성을 통해 삶과 죽음에 대해 성찰한다. 또한 남편을 돌보면서 유한성이라는 인간 존재의 취약함을 깨닫고, 남은 삶을 타자와 더불어 사랑하면서 살아가고자 하는 미래에 대한 전망과 함께 정체성을 재정립한다. 요컨대 「저물녘의 황홀」과 「여덟 개의 모자로 남은 당신」은 노년을 혐오하거나 부정하면서 건강하고 행복한 노년의 표상만을 강조하는 성공적 노화의 지배적인 담론에서 벗어나 나이듦의 양상을 직시하고 그 존재론적 의미를 추구한다. 그리하여 삶에 존재할 수밖에 없는 의존성과 유한성을 문제로 만드는 지배적인 노년담론에 균열을 내면서 노년서사의 윤리를 보여준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old people recollecting their lives and reestablishing their identities based on Ricoeur s narrative identity with a focus on Park Wan􋹲seo s The Trance of Falling Sun and You Left with Eight Hats. In The Trance of Falling Sun, the old lady experiences a disruption of identity due to her hatred against her deteriorating body and her fear for death. Recollecting her childhood, the self Identity(ipse) of Grandma Hwacho, who tended the grandfather that fell due to a stroke, and friendship􋹲based consideration between Grandma Hwacho and her paternal grandmother, however, she is willing to accept her old body. In You Left with Eight Hats, the narrator reflects on life and death through the self Identity(ipse) of her husband that is fulfilling his promises bravely before his death. Taking care of her husband, she realizes the vulnerable nature of human beings destined to death and reestablishes her identity with a future prospect of living and loving with others for the remaining of her days. In short, Park s The Trance of Falling Sun and You Left with Eight Hats grow out of the dominant discourse of successful aging to despise or deny old age and emphasize only the healthy and happy representation of old age, looking straight at the patterns of aging and seeking after its existential meanings. Causing a crack in the dominant old age discourse that finds problems in the inevitable dependence and finiteness of life, they show the ethics of old age narratives.

      • KCI등재

        한국 전쟁기 여성 종군작가 소설 연구

        엄미옥(Eom Mi-ok) 한국근대문학회 2010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1 No.1

        한국 전쟁기 여성종군작가의 작품은 반공에 기초한 근대국민국가의 기획 속에 여성을 국민으로 호명하면서 여성이 전쟁에 어떻게 동원되고 있는가를 설명한다. 장덕조와 최정희의 작품 속에서 어머니는 반공과 애국심으로 고취된 아들에 의해 계몽되어 개인적이고 이기적인 모성을 반성하면서 군국의 어머니로 거듭난다. 병사의 용맹성이 찬미되고 아들을 잃은 어머니의 체념이 미화된다. 또한 상이군인과의 결혼을 자원하는 처녀의 고결한 희생정신과 헌신이 찬양된다. 국가를 반공적으로 재조직하는 기획에 내포된 젠더정치를 그대로 반영하는 것이다. 최정희와 장덕조의 한국 전쟁기 작품은 식민지 총동원 체제 속에서 발표한 담론과 소설을 상기시킨다. 그들이 식민지 총동원 체제 속에서 경험한 국민으로서의 경험과 기억은 한국 전쟁기에 환기되고 투영되었다. 한편 그들이 한국 전쟁기에 반공국가주의의 동원 논리에 적극적으로 앞장섰던 것은 부역혐의에서 벗어나고자 했기 때문이다. 반면 여성 종군 작가 안에서도 손소희와 전숙희 그리고 윤금숙의 작품은 반공주의를 다른 양상으로 전유한다. 이들은 여성을 국가주의 모성을 실현하는 존재로 제시하면서 반공주의를 극단적으로 유표화하지 않는다. 여성을 주 초점자로 하여 피난민의 소외된 삶을 그림으로써 전쟁기 여성의 예속된 앎과 개인의 기억을 서사화한다. 전쟁체험의 개인적인 편차와 위치를 드러내어, 반공국가주의에 의해 균질화된 국민으로 수렴되지 않는 지점을 보여준다. 그러나 피난민 여성의 일상을 규율화하는 논리에는 여전히 반공주의가 미시적으로 작동한다. 그것은 작품 속에서 비윤리적이고 악한 사람은 모두 부역자로 표상되면서 그들이 텍스트에서 소거됨으로써 윤리적 처벌을 받는 형태로 드러난다. 이는 반공주의가 여전히 내면화되어 전쟁기 여성을 삶을 규율하고 있음을 방증한다. Works of female war writers during the Korean War, with a scheme for building a modern nation state based on anti-communism, called women nationals and described how they were mobilized for the war. Mothers in the works of Jang Duk Jo and Choi Jung Hee were transformed from mothers whose love was limited to their families to mothers of the country by the influenced of their sons who were inspired with anti-communism and patriotism. Braveness and heroism of soldiers were glorified and resignation of a mother who lost her son was glamorized, and sacrifice and devotion of a woman who married a disabled veteran was praised. It reflected gender politics aiming at reconstruction of the country with anti-communism. Works of Jang Duk Jo and Choi Jung Hee about the Korean War remind us of discourses and novels written in the situation of the colonial mobilization. Their experience and memory of war under the colonial mobilization system were recollected and reflected in their experience and memory of the Korean War. And the reason why they actively supported for logic of mobilization of anti-communist nationalism was that they wanted to avoid the suspicion of treason. On the other hand, among female war writers, Shon So Hee, Jun Sook Hee and Yoon Geum Sook depicted anti-communism from different aspects. They did not suggest anti-communism in an extreme manner by depicting women as those who achieved nationalist motherhood. They portrayed the subordinated life women during the war and their personal memories by narrating the alienated life of war refugees in the eyes of women. Their works show personal differences between them and disclose their views that were not uniformized by the anti-communist nationalism. However, there was still some remnant of anti-communism in their logic in their stereotyping the lives of women during the war by describing immoral and vicious people as communists and putting ethical punishment on them. That evidently shows anti-communism was instilled into women and controlled their lives during the war.

      • KCI등재

        재일디아스포라 문학에 나타난 언어경험 양상 ―김학영, 이양지, 유미리의 작품을 중심으로―

        엄미옥 ( Mi Ok Eom ) 한민족문화학회 2012 한민족문화연구 Vol.41 No.-

        이 글은 재일 디아스포라 작가의 작품에서 공통적으로 드러나는 언어의 경험양상을 살피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들의 작품에는 모어인 일본어와 모국어인 한국어 사이의 긴장과 갈등 문제가 지속적으로 그려진다. 먼저 김학영은 재일한국인이라는 처지가 말더듬이 현상을 더욱 심화시키고, 같은 재일한국인 내에서도 성적, 세대적 차이로 인한 위계화 속에서 언어적 소외와 억압이 발생하는 상황을 형상화한다. 이양지는 한국인으로서 정체성을 확립하고자 유학 온 인물들이 모어와 모국어 사이에서 겪는 갈등을 통해 모어와 모국어가 픽션화된 하나의 관념에 불과함을 보여준다. 유미리의 작품은 두 작가의 작품과는 달리 언어에 들러붙은 민족성이나 역사성을 배제하고 글쓰기의 수단으로서 언어의 보편성에 천착하고 있다. 이러한 재일 디아스포라 작가의 작품에 나타난 언어경험 양상은 비단 재일한국인뿐 만 아니라, 디아스포라의 보편적인 언어경험을 증언한다. 요컨대 국어와 민족, 국가가하나의 등식으로 연결되어 다수의 언어 내셔널리스트가 소수의 언어 사용자를 배제하고 억압하는 근대국가에 의문을 제기하고, 국민이라는 공감공동체를 형성하는 국어 이데올로기의 자명성에 균열을 가하는 것이다. This article aims at figuring out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linguistic experiences in the Korean-Japanese Diaspora literature. Those works continually describe the tension and conflict between Japanese as mother tongue and Korean as native language. First of all, Kim Hak Young embodies the situation in which stuttering is deepened and linguistic alienation and oppression in the hierarchy is created due to sexual and generation differences even in Koreans in Japan. Lee Yang Ji argues that mother tongue and native tongue are nothing but a fictional concept through the conflicts between the two which students, who came to establish Korean identity, experienced. Different to the two writers, Yu Mi Ri``s works exclude any national or historic characteristics attached to language and pursue universality of language as a means of writing. Such linguistic experiences in the works of Korean-Japanese Diaspora demonstrate linguistic experiences of general Diaspora as well as Korean-Japanese Diaspora. To sum up, it raises an objection of the modern state in which majority linguistic nationalists exclude and oppress minor language users by linking national language, nation and state as an equation. And it also breaks the solid national language ideology with which sympathetic community as nation people is formed.

      • KCI등재

        국경을 넘는 서사와 장소의 정치학 ― 『리나』와 『바리데기』를 중심으로 ―

        엄미옥 ( Eom Mi-ok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7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71

        『리나』와 『바리데기』는 1990년대 중반 ‘고난의 행군’시기를 정점으로 한 극한의 굶주림과 억압적인 통치로부터 탈출하여 국경을 넘어 보다 나은 삶의 기회를 위해 새로운 장소를 찾아가는 이주여성을 중심인물로 다룬다. 또한 이 작품들은 사건의 지속과 배열이 선조적으로 제시되는 것이 아니라, 이동하는 장소에서 인물이 장소를 지각하고 인식하는 이야기가 각각 대등하게 병치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본고는 이러한 전제를 바탕으로 먼저 스토리와 담론 차원에서 공간의 이동과 장소가 재현되는 방식을 살피고, 장소경험에 의해 인물의 정체성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작품에서 궁극적으로 구현되는 장소성이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했다. 리나와 바리는 국경을 넘어 이주하는 과정에서 인신매매를 당하고, 폭력과 강간의 위험에 노출되며 성산업과 서비스업에 종사한다. 또한 『바리데기』에서 런던에 정착한 바리는 다국적 인종들과 함께 백인 거주 지역과는 다르게 구획된 연립주택에서 생활하게 된다. 즉 인물의 장소의 이동과 경험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자본뿐만 아니라 젠더와 인종의 요소가 긴밀하게 작동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리나』는 국경을 넘는 장소경험을 통해 지구화된 가부장적 자본주의의 흐름에 의해 구성되는 장소성을 재현하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억압된 욕망을 분출하는 상상의 장소를 축제와 무대를 통해 보이면서 지구화된 가부장적 자본주의에 저항하는 새로운 장소성을 형성한다. 한편 『바리데기』에서 강조하는 타인과 세상에 대한 희망과 연민을 갖는 일은 장소를 경계지어진 것이 아니라 개방된 것으로 보고, 서로 돕고 연대하는 사회적 관계와 이해의 네트워크가 접합하는 지구적 장소감을 실현하는 행위이다. 요컨대 리나와 바리는 국경을 넘는 이주여성의 장소경험을 통해 신자유주의 시공간 압축과 지리적 불균등이라는 전 지구적 흐름 속에서 생산되는 장소에 대한 문제제기와 더불어 대안적인 장소의 구축을 모색하고 있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Lina and Baridegi cover a migrant woman’s story who has escaped from the extreme poverty and violent oppressions of the ruling power by the time when the North Korea had a life-threatening famine known as the Arduous March by crossing boarders to find a better life in a new place. In the story, the sequence and arrangement of each incident is not presented in a chronological order. Rather, each story is equally organized in juxtaposition with another story as the main character recognizes and identifies the spatiality in a new place. Based on this understanding, this thesis is aimed at revealing how the identity of the characters changes according to their experiences of places and what the ultimate sense of place realized in the novel is by analyzing how the mobility of spaces and places is reproduced in terms of story and discourse. On their transboundary journey, Lina and Bari have experienced sex trafficking, were exposed to the danger of violence and rapes, and worked in the sex industry and service business. In Baridegi, Bari who settled in London came to live in a terraced house with other multiethnic people, segregated from the residential areas where Caucasians live. It shows how genders and races along with capital intensively work together in one’s decision-making process that affects their choices of places and experiences. While Lina, through the transboundary place experiences, realizes a sense of place composed by the globalized flow of patriarchal capitalism, it also forms a new spatiality rebelling against the globalized flow of patriarchal capitalism by presenting a place of imagination where one’s suppressed desires are spurted through a festival and a stage. Meanwhile, in Baridegi, having a hope and compassion toward the world and others is described as being open, not limited by a sense of place. It is an action of realizing a global place where the social relations and the network of understanding through which people help each other and collaborate are connected. In summary, through the space experiences of the transboundary women, Lina and Baridegi raise questions about the places that are produced by the global flows of neoliberalism time-space compression and geographical inequality, and seek an alternative place.

      • 사람 백혈구 및 위 조직중의 8-Hydroxy-2'-Deoxyguanosine 측정에 관한 연구

        강호일(Hoil Kang),엄미옥(Mi Ok Eom),박미선(Misun Park),염태경(Tai Kyung Ryeom),지승완(Seung Wan Jee),전해명(Hea Myung Jeon),김옥희(Ok Hee Kim) 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 2005 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지 Vol.25 No.1

        In the present study, we have measured 8-hydroxy-2'-deoxyguanosine in DNA of stomach cancers, adjacent stomach cancer tissues, normal stomach tissues and peripheral blood leukocytes of the same stomach cancer patients (n=48) to investigate their etiological association with gastric cancer and possibility whether peripheral blood leukocytes can use surrogate marker for early stomach cancer diagnosis by HPLC/ECD system. In normal stomach tissues, we found that 8-hydroxy-2'-deoxyguanosine levels in tissues infected with Helicobacter pylori were 1.4 fold higher than those in tissues without infected with Helicobacter pylori. However, in adjacent stomach cancer tissues, we found that 8-hydroxy-2'-deoxyguanosine levels in tissues infected with Helicobacter pylori were 1.5 fold lower than those in tissues without infected with Helicobacter pylori. In stomach cancer tissues, 8-hydroxy-2'-deoxyguanosine levels in tissues infected with Helicobacter pylori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in tissues without infected with Helicobacter pylori. In Helicobacter pylori-negative specimens, 8-hydroxy-2'-deoxyguanosine levels of adjacent stomach cancer tissue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normal stomach and cancer tissues. The 8-hydroxy-2'-deoxygnanosine levels of female were 1.7 fold higher than those of male in peripheral blood leukocytes of the same stomach cancer patients. The 8-hydroxy-2'-deoxyguanosine levels in Helicobacter pylori-negative specimens among adjacent stomach cancer tissues were found to be reversely correlated with those in peripheral blood leukocytes, suggesting that 8-hydroxy-2'-deoxyguanosine in peripheral blood leukocytes may not use as surrogate marker for the early diagnosis of human stomach cancer.

      • 마우스 피부암 발생과정에 있어서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TCDD)처리에 의한 유전자발현 변화 연구

        염태경(Tai Kyung Ryeom),김옥희(Ok Hee Kim),강미경(Mi Kyung Kang),박미선(Misun Park),지승완(Seung Wan Jee),엄미옥(Mi Ok Eom),강호일(Hoil Kang) 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 2005 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지 Vol.25 No.1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 (TCDD) displays high toxicity in animals and has been implicated in human carcinogenesis. Although the mechanism of carcinogenesis by TCDD is unclear, it is considered to be a non-genotoxic compound and tumor promoter. In our experiment,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CDD on gene expression in mouse skin carcinogenesis. We used cDNA microarray to detect the differential gene expression in tumors induced in hairless mouse skin by MNNG plus TCDD protocol. We found that erb-2, c-ets2 and p27^(kip1) were significantly up-regulated, but TNFR2, AKT-1, integrin β1, maspin, IGF-1, c-raf-1, Rb were significantly down-regulated, in tumor region, respectively. We also found that the expression of 53 genes involved in cell cycle, signal transduction, apoptosis, adhesion molecule, angiogenesis, and invasion, were changed two fold more, in tumor surrounding region, These data suggest that TCDD alters the expression of a large array of genes involved in apoptosis, cytokine production and angiogenesis in mouse skin carcinogenesis.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