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집(Special Review)-골수증식종양: 진단과 치료의 발전 : 골수섬유증 치료의 발전

        엄기성 ( Ki Seong Eom ) 대한내과학회 2016 대한내과학회지 Vol.90 No.4

        Myelofibrosis (MF) is a classical Philadelphia chromosome-negative myeloproliferative neoplasm characterized by clonal proliferation of pluripotent stem cells, dysfunctional kinase signaling, and abnormal cytokine release. MF is a heterogeneous disease, ranging from asymptomatic to being associated with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problems: profound anemia, splenomegaly, constitutional issues, and even rapid progression to overt leukemia. Recently, important progress has been made. A Janus kinase (JAK) 2 mutation affects both pathogenesis and prognosis. Conventional treatment is primarily palliative and has only limited effects on the natural course of the disease. Allogeneic stem cell transplantation is the only curative treatment, but is presently limited to eligible intermediate-2 and high-risk patients. Ruxolitinib, the first drug approved by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or treatment of intermediate-2 and high-risk patients, is currently the best available therapy for symptomatic MF patients. Additional JAK inhibitors are under investigation. Emerging therapies include immunomodulators and inhibitors of histone deacetylase (HDAC), mammalian target of rapamycin (mTOR), and telomerase. A better understanding of disease pathogenesis will lead to the development of better treatments modifying the disease course and, ultimately, curing the condition. (Korean J Med 2016;90:293-297)

      • 고등급 표면(High Grade Surface) 골육종 - 증례 보고 -

        이봉진,이성락,유태열,엄기성,하창원,Lee, Bong-Jin,Lee, Sung-Rak,Yoo, Tae-Yeul,Eom, Ki-Seong,Ha, Chang-Won The Korean Musculoskeletal Tumor Society 2002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8 No.1

        High grade surface osteosarcoma is the most rare subtype of osteosarcoma arising on the surface of bone, accounting for less than 1% of the total number of osteosarcomas. Only a few case reports and studies have been reported in the world. In Korea, only one case out of 127 osteosarcomas has been described up to now, but there was no information about the patient, clinicopathologic features and treatment. We experienced a case of high grade surface osteosarcoma in the subtrochanteric area of a 66-year-old female and treated her with neoadjuvant chemotheraphy, wide resection and limb salvage operation with tumor prosthesis and adjuvant chemotheraphy. This tumor is identical to conventional high grade intramedullary osteosarcoma in histology, treatment and prognosis. So, this tumor should be differentiated from other surface osteosarcomas such as parosteal osteosarcoma and periosteal osteosarcoma. 고등급 표면(high grade surface) 골육종은 골의 표면에서 발생하는 골육종의 희귀한 아형으로, 발생빈도는 전체 골육종의 1%에 못 미친다고 한다. 몇 편의 증례 보고와 연구 논문에서 이 고등급 표면 골육종을 소개하였는데, 국내의 경우 127예의 골육종 중 1예가 고등급 표면 골육종이었음을 기술한 논문이 있으나, 환자 및 진단과 치료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았다. 저자들은 66세 여자 환자의 대퇴골 전자하부에서 발생한 고등급 표면 골육종 1예를 진단하고, 수술 전 항암 화학 요법, 광범위 절제술과 사지 구제술 및 수술 후 항암 화학 요법을 시행하였다. 이 종양은 위치만 골 표면에서 발생할 뿐 조직학적으로 전형적인 골수강내 골육종과 같으며, 다른 표면 골육종과는 달리 치료나 예후에 있어 전형적인 골수강 내 골육종과 같기 때문에, 진단과 치료에 있어 방골성 골육종이나 골막성 골육종 등의 표면 골육종과 구별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 KCI등재

        뇌 CT에서 출혈로 오인된 소뇌의 허상: 증례보고

        이지훈 ( Ji Hun Lee ),엄기성 ( Ki Seong Eom ),김태영 ( Tae Young Kim ) 대한외상학회 2015 大韓外傷學會誌 Vol.28 No.3

        Artifacts can seriously degrade the quality of computed tomography (CT) images, sometimes to the point of making them diagnostically unusable. Here, we report an unusual CT artifact that could have resulted in the misdiagnosis of a hyperdense hemorrhagic lesion in a 55-year-old man. The author recommend that when hemorrhagic lesion in posterior fossa is suggested on CT, the physician should carefully consider all patient-related clinical data prior to considering surgical intervention or a biopsy. Crani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can help in preventing the misdiagnosis as hemorrhage of CT scan. [ J Trauma Inj 2015; 28: 195-197 ]

      • KCI등재

        증례 : 관해 유도 후 글리벡과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으로 치료한 필라델피아 염색체 양성 급성 골수성백혈병 3예

        윤재호 ( Jae Ho Yoon ),김희제 ( Hee Je Kim ),남해성 ( Hae Seong Nam ),박윤정 ( Yun Jung Park ),엄기성 ( Ki Seong Eom ),민우성 ( Woo Sung Min ),김춘추 ( Chun Choo Kim ) 대한내과학회 2007 대한내과학회지 Vol.72 No.3

        필라델피아 염색체 양성 일차성 급성 골수성백혈병은 보편적으로 치료에 반응을 잘 하지 않아 예후가 나쁘지만, 글리벡을 항암화학요법과 병용할 경우, 관해를 유도하고 유지하는데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소개되었다. 장기적인 관해 유지를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을 고려해야 하나, 국내외적으로 증례가 드물고 예후가 나쁘기 때문에 필라델피아 양성 일차성 급성 골수성백혈병에 대한 표준적인 치료법을 제시할만한 근거가 부족하다. 글리벡을 병용하는 것에 대한 몇몇 국외 증례가 있으나, 근거 확립을 위해 더 많은 증례 보고가 필요하리라 생각되며, 저자들이 제시한 것처럼 항암 화학요법과 글리벡의 중간 요법으로 안정된 관해 상태를 유지하고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을 시행하여 효과적인 치료 결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h-chromosome is the hallmark of chronic myelogenous leukemia (CML), but it has also been reported infrequently for de novo AML. This cytogenetic variant of AML is characterized by a poor prognosis associated with extraordinary drug resistance. Experience with the use of imatinib mesylate for Ph-chromosome-positive de novo AML is limited because of the rarity of the disorder. Thus, allogene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HSCT), as a post-remission therapy, should be considered. In three patients with Ph-chromosome-positive AML, we achieved complete remission with induction chemotherapy and the use of an imatinib cycle as an interim therapy. Subsequently, all patients received consolidation chemotherapy followed by imatinib cycles, bridging the time to allogeneic HSCT. All patients were successfully transplanted, and have been in excellent condition, with a median follow-up duration of 15 months (range, 2-25 months). We report on these cases and present the treatment strategy of induction chemotherapy, maintenance with imatinib mesylate, and final allogeneic HSCT as a representative paradigm for the treatment of Ph-chromosome-positive de novo AML. (Korean J Med 72:326-330, 2007)

      • KCI등재

        녹색종이 동반된 AML의 조혈모세포 이식 4예

        추은호 ( Eun Ho Chu ),김태석 ( Tae Suk Kim ),신은중 ( Eun Jung Shin ),엄기성 ( Ki Seong Eom ),김희제 ( Hee Je Kim ),민우성 ( Woo Sung Min ),김춘추 ( Chun Choo Kim ) 대한내과학회 2008 대한내과학회지 Vol.75 No.2

        녹색종은 미성숙 골수구로 이루어진 침윤성의 골수 외고형 종양이며 급성 골수성 백혈병 환자의 임상경과 중 소수에서 동반되어 나타날 수 있다. 급성 골수성 백혈병에서 녹색종이 동반될 경우 좋지 않은 예후를 보이지만 아직까지 적절한 치료 원칙이 정립되지 않은 상태이다. 저자들은 녹색종이 동반된 급성 골수성 백혈병 환자에서 관해 후 조혈모세포 이식을 시행한 4예를 경험하여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Chloroma is an invasive extramedullary tumor composed of immature myeloid cells, which complicates the clinical course in a minority of patients with acute myeloid leukemia (AML). The presence of myeloid sarcoma is known to be a poor prognostic indicator in patients with AML. However, the optimal treatment of AML with concurrent chloroma has not been determined. We report four patients with AML accompanied by concurrent chloroma from the time of initial diagnosis. All of the patients underwent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after complete remission. We also present a review of the literature. (Korean J Med 75:230-236, 2008)

      • KCI등재후보
      • 비혈연간 조혈모세포이식 후 발생한 횡문근 융해증 1예

        엄기성,김동욱,민창기,김유진,박윤희,김희제,이석,이종욱,민우성,김춘추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2002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지 Vol.7 No.2

        횡문근 융해증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광범위한 임상 및 생화학적 소견을 보이는 사망의 가능성이 있는 증후군이다. 근육통, 혈색소뇨, 혈청 creatinine kinase 활성도의 증가가 흔한 소견이며 전격성 횡문근 융해증은 심한 대사성 이상과 여러 장기의 침범을 동반하게 된다. 심정지, 구획증후군 및 급성 신부전이 주된 합병증으로 치명적인 합병증의 정도는 조기진단과 적절한 치료에 의해 좌우된다. 조혈모세포이식 후의 횡문근 융해증은 드문 합병증이며, 특히 동종 조혈모세포이식 후 면역 억제제를 복용하고 있는 환자에서 지질 저하제를 투여할 필요가 있을 때 지질저하제의 신중한 선택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들은 만성골수성백혈병의 비혈연간 조혈모세포이식 후 지질 저하제와 면역억제제의 병용에 의한 횡문근 융해증을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Rhabdomyolysis denotes an acute or subacute event that leads to necrosis of striated muscles. The clinical features may vary widely from moderate muscular symptoms to life threatening complications. The etiology of rhabdomyolysis has diversified. The causes include polymyositis, heat stroke, prolonged convulsion, vigorous exercise, trauma, hypokalemia, viral illness, and various kinds of drugs. Myalgia, myoglobinuria and elevated level of serum creatinine kinase are the common features. Fulminant rhabdomyolysis may be associated with severe metabolic disturbances and involvement of the other organ systems. The extent of the life- threatening complications of rhabdomyolysis strongly depends on early diagnosis and adequate therapy. Rhabdomyolysis is a rare complication in patients who underwent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and the patients usually follow a fulminant course. We describe a case of acute rhadomyolysis developed after allogene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from unrelated donor in a patient with chronic myelogenous leukemia. It was postulated that the cause was concurrent administration of lovastatin to treat hypercholesterolemia and cyclosporine for graft versus host disease prophylaxis. The patient was managed with the maintenance of adequate circulating volume and sufficient diuresis to prevent further renal complications. Rhabdomyolytic acute renal failure was treated with continuous arteriovenous hemodialysis and plasmapheresis. The patient recovered completely from rhabdomyolysis without any sequelae and maintains normal life in remission state of underlying disease.

      • 비혈연간 또는 HLA 부분 일치 혈연간 동종골수이식에서 급성 이식편대 숙주 질환 예방

        민창기,엄기성,김동욱,이종욱,민우성,김춘추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1999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지 Vol.4 No.2

        연구배경: 동종골수이식 후 합병증으로 인한 사망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이식편대 숙주 질환(graft-versus-host diseases; GvHD)의 예방 및 치료가 주요하다. 특히 비혈연간 또는 HLA 부분 일치 혈연간 동종골수이식에서는 GvHD의 발생빈도가 더 높으므로 기저질환의 상태와 함께 환자의 예후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GvHD 발생 고위험 환자들에서 기존의 cyclosporin (CsA)=methotrexate (MTX) 예방요법만으로는 불충분하며 새로운 GvHD 예방요법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저자들은 FK506의 GvHD 예방효과, 생착에 미치는 영향, 약제의 부작용 그리고 골수 이식의 합병증 등을 CsA와 비교하였다. 방법: 1997년 4월부터 1999년 3월까지 가톨릭조혈모세포이식 센터에서 HLA 적합 비혈연간(n=27) 및 HLA 부분일치 혈연간(n=3) 동종골수이식을 받은 모든 성인 환자 중 평가 가능한 30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HLA 부분일치 혈연가 공여자는 환자와 각각 HLA-A,B, 그리고 DR 부위에서 1-locus가 불일치하였고, 비혈연간 골수이식 공여자는 혈청학적으로 HLA-A,B 그리고 DR 부위가 일치하였다. 1997년 4월부터 1998년 10월까지 기간에 연속적으로 골수이식을 받은 환자 15예는 CsA+MTX를 사용하였는데 초기 용량은 CsA 3mg/kg를 24시간 정주하였고 MTX는 10 3mg/m²의 용량으로 1,3,6,11일에 투여하였다(CsA군). 1998년 11월 이후의 환자들은 FK506+MTX를 사용하였는데 FK-506은 0.05mg/kg로 24시간 정주하였으며 MTX의 투여 용량은 동일하였다.(FK506군). 결과: 1) 이식 후 모든 환자에서 골수 생착이 이루어졌으며 절대 중성구수가 0.5×10^(9)/L 이상 회복하는데 소요된 시간은 CsA군에서 19일 (10-39) 이었고 FK506군에서 15일(12-24) 이었다.(p=0.288). 2) Ⅱ도 이상 급성 GvHD의 누적발생률(cumulative incidence rate)은 CaA군과 FK506군에서 각각 66.7%와 26.7%로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p=0.0423), FK506의 예방효과가 CsA보다 의의 있게 높았다. 3) 두 약제 모두 가장 흔한 합병증은 신독성 이었다. 골수 이식 후 6개월 내에 누적 신독성 발생률은 FK506군에서 26.67%로서 CsA군(13.33%)보다 많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3865). 4) 골수이식 관련 합병증 및 감염은 CsA군에서 특발성 폐렴증후군(idiopathic pneumonia syndrome; IPS)으로 3예가 사망하였고 두 군에서 각각 pneumocystis carini 폐렴이 1예 있었으며 치료에 반응하였다. 재발은 CsA군에서 1예, FK506군에서 2예가 있었고 모두 골수 이식 당시 기저질환이 재발된 상태의 환자였다. 5) CsA군에서 9예가 사망하였고 원인으로서 급성 GvHD가 5예, IPS 3예, 그리고 재발 1예가 있었다. FK506군에서는 6예가 사망하였다. 원인은 재발이 2예, cytomegalovirus(CMV)폐렴 1예, IPS 1예 CMV에 의한 거부반응 1예 그리고 급성 GvHD가 1예 있었다. 두 군의 무병생존율은 FK506군의 추적기간이 짧아서 정확한 비교를 할수 없었다. 결론: 비혈연간 또는 HLA 부분 일치 혈연간 동종 골수이식을 받은 환자에서 FK-506은 CsA에 비해서 급성 GvHD를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었으며 골수이식후 생착에는 영향이 없었고 신독성 등 약제 부작용의 발생은 CsA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FK506은 GvHD의 발생가능성이 높은 동종골수이식에서 CsA 보다 효과적인 예방약제로 사료된다. Background: Allogoneic bone marrow transplantation (BMT) is an effective therapy for a variety of lymphopematopoietic malignancies of bone marrow failure syndromes. For patients who lack a HLA-matched related donor, HLA-matched unrelated of partially mismatched related donors are an alternative. However, high risk of developing graft-versus-host disease(GvHD) have reduced by disparities in major histocompatibility loci or by a greater degree of disparity in minor histocompatibility loci. The prophylactic effect for acute GvHD and safety of FK506 were investigated in these high-risk patients who received a BMT, comparing with cyclosporin (CsA). Methods: Thirty patients who underwent BMT from a HLA-matched unrelated of partially mismatched related donor consecutively between April 1997 and March 1999 at the Cathol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Center were enrolled. The prophylactic GvHD immuno-suppressive regimen in patients between April 1997 and October 1998 was CaA (3 mg/ kg/ day)/methotrexate and after November 1998, FK506 (0.05 mg/ kg/ day)/methotrexate . The incidence of acute GvHD was calculated by summing up the occurrence of GvHD up to day 100. Results: 1) In CsA group (n=15), 14(93%) patients achieved a sustained granulocyte count >0.5× 10^(9)/L at a median of 19(range, 10-39) days after BMT. All patients in FK506 GROUP (n=15) achieved a sustained granulocyte count>0.5× 10^(9)/L at median of 15 (range, 12-24) days after BMT (P=0.228) 2) In FK506 group, the cumulative incidence of acute GvHD as grade Ⅱ-Ⅳ was 26.7%, which was significantly lower (P=0.0423), compared to 66.7% in CsA group. 3) Neprotoxicity was the most common adverse effect observed in both groups. The cumulative incidence rate was 26.7% and 13.3% in the cases of the FK506 and the CsA group, respectively (p=0.3865). Dosage was reduced in 5 of 15 patients in FK506 group and 3 of 15 patients in CsA group due to the occurrence of adverse events. 4) Three patients had recurrent malignancy after transplant. They hah advanced leukemia at the time of the transplant. I n CsA group, 9 patients dided and cause of death were 5 acute GvHD , 3 idiopathic pneumonia syndrome (IPS), and I relapse. In FK506 group, 6 patients died and 4 died of complications related to transplant incluluding 1 GvHD , 1 cytomegalovirus(CMV) pnemonia, 1 IPS, and 1 rejection associated with CMV.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FK506 is more useful for the prophylaxis of acute GvHD after BMT from a matched unrelated of partially mismatched related donor.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adverse effects between CsA and FK506, although nephrotoxicity of FK506 was more than CsA. FK506 was warranted for the prevention of acute GvHD in high-risk BMT recipients.

      • 조직적합항원 부분 일치 혈연간 동종 골수이식

        민창기,엄기성,박수정,서정곤,김희제,엄현석,김동욱,이종욱,최일봉,민우성,김춘추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1999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지 Vol.4 No.1

        연구배경: 백혈병에서 동종 골수이식은 관해 후 치료요법 및 불응성 또는 재발성 질환에서 장기 무병생존을 기대할 수 있는 치료 방법이지만 HLA가 일치하는 공여자를 못 찾는 경우가 많다. 형제자매, 부모, 자식 등 혈연간 HLA 부분 일치 공여자는 거의 모든 환자에서 찾을 수 있기 때문에 이들을 조혈모세포 공여자로 이용하면 동종 골수이식의 기회를 많은 환자에게로 확대할수 있다. 저자들은 본 센터에서 시행한 혈연간 HLA 부분 일치 동종 골수이식의 성적을 알아보고 향후 해결해야할 문제점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환자는 모두 9예로서 1예를 제외하고 불응성 또는 재발성 급성 백혈병(n=5) 이거나 만성 골수성 백혈병 급성기(n=3) 상태였다. 공여자는 아버지가 2예, 형제자매 4예, 그리고 딸 3예 이었다. 전처치는 9예중 7예에서 전신방사선 조사(total body irradiation, TBI) 가 포함 되었으며 2예에서는 TBI 없이 알킬화 제제를 병합하였고 5예에서 ATG를 사용하였다. 8예의 환자에서 rhG-CSF로 가동된 혈액 조혈모세포와 골수를 이용하여 평균 11.31(4.46-16.8)×106/kg의 CD34 양성 세포를 주입하였고, T 세포는 부분 제거를 하여 평균 5.05(0.9-5.9.66)×106/kg의 CD3 양성 세포를 주입하였다. 전 예에서 GvHD 예방 목적으로 면역억제제를 투여하였다. 결과: 한 환자에서 중성구가 500/uL 이상 회복한 후 다시 감소하여 거부반응을 보였으며 나머지 8예의 환자에서는 10일에서 22일 사이에 중성구가 500uL 이상 회복하였고 혈소판수가 20.000/ul 이상 회복한 환자는 4예였다. grade Ⅱ 이상의 급성 이식편대 숙주병은 3예에서 발생하였다. 9예 중 2예가 생존해 있으며 각각 이식 후 100일, 60일째 합병증 또는 재발 없이 생존해 있다. 7예에서 사망하였는데 1예는 급성 GvHD, 1예는 만성 GvHD로 사망하였다. 기타 사인으로는 재발, 거부반응, 혈전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 간질성 폐렴, 및 폐렴(원인균 미상)이 각각 1예씩 있었다. 결론: 혈연간 HLA 부분 일치 동종 골수 이식에서 이식편의 생착은 표준 동종 골수이식과 유사하며 GvHD 발생이 많지 않았고 강력한 전처치로 인한 심각한 골수 외 독성도 적어서 HLA가 일치하는 공여자가 없는 경우 선택할 수 있는 치료 방법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The application of allogeneic bone marrow transplantation (BMT)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hematological malignancies is hampered by the lack of availability of HLA-matched donors. By contrast, nearly all patients have HLA -haploidentical relatives who would serve as a donor. In this study we tried to achieve successful transplantation in adult patients with leukemia with hematopoietic stem cells from partially mismatched related donors. Methods: Nine patients, 17-44 years old, underwent the partially mismatched related donor-BMT. All patients but one were in advanced disease; five patients with acute myelogenous leukmia (n=4) and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n=1) were in relapse or refractory state; three patients with chronic myelogenous leukemia were in lymphoid blastic crisis. GvHD prophylaxsis consisted of partial T cell depletion followed by the systemic immunosuppression. Results: All patients but one, whose graft was rejected, established sustained engraftment by a median day of 15. Severe regimen-related toxicity was not evident in the gastrointestinal of hepatic systems. Acute GvHD, grade≥Ⅱ occurred 3/9 patients and two patients are alive and disease-free for 100 and 60 days respectively Conclusion: The early mortality was high in this study in high risk patients. But the high engraftment rate, virtual elimination of acute GvHD greater than grad Ⅱ, and acceptable conditioning-related toxicity suggest that this approach should be applied in leukemia patients who do not have an HLA-matched don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