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Distribution of Calretinin in the Superficial Layers of the Mouse Superior Colliculus: Effect of Monocular Enuclection

        양혜원,전창진,Yang, Hye-Won,Jeon-Jeon, Chang-Jin The Korean Society for Integrative Biology 1998 Korean journal of biological sciences Vol.2 No.3

        We localized a calcium-binding protein, calretinin, in the superior colliculus of the mouse and studied the distribution and effect of eye enucleation on the distribution of this protein. Calretinin was localized with immunocyto-chemistry. A dense plexus of anti-calretinin-labeled fibers was found within the superficial layers. The highest density was found in the deep superficial gray layer. Monocular enucleation produced an almost complete reduction of calretinin-immunoreactive fibers in the superficial layers of the superior colliculus contralateral to the enucleation. Furthermore, many calretinin-labeled cells appeared in the contralateral superior colliculus. These newly appeared neurons had small oval or round cell bodies.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calretinin identify unique neuronal sublaminar organizations in the superior colliculus of the mouse. They also suggest that the retinal projection may control in part the content of calretinin in some neurons in the superficial layers of the mouse superior colliculus.

      • 아내폭력 노출이 자녀의 행동 문제에 미치는 영향

        양혜원(Yang Hae won),전명희(Jun Myung hee)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01 연세사회복지연구 Vol.7 No.-

        이 연구는 가정에서 남편의 아내폭력에 노출된 자녀들이 어떠한 행동문제를 보이는가에 대하여, 특히 부부갈등에 대한 아동의 인지적 평가가 그 과정을 내재하는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아내폭력은 남편이 아내에게 행하는 신체적 폭력으로 규정하였으며, 아동의 행동문제는 대표적인 내재화 문제인 우울ㆍ불안과 대표적인 외현화 문제인 공격성에 초점을 맞추었다. 부부갈등에 대한 인지적 평가는 부부갈등에 대한 아동의 대처효용성, 자기비난, 지각된 위협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조사대상 아동의 23.3%가 신체적 폭력에 노출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내폭력에 노출된 아동은 그렇지 않은 아동에 비해 심각한 행동문제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아내폭력에 노출된 아동은 그렇지 아동은 아동에 비해 부부갈등을 보다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부갈등에 대한 아동의 인지적 평가가 부정적일수록 아동의 행동문제는 더욱 심각하였다. 특히, 아동의 부부갈등에 대한 인지적 평가는 신체적 폭력 노출이 아동의 행동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완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나서, 아내폭력 노출이 아동의 행동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인지적 평가의 중요성이 확인되었다. 이 연구결과는 가정폭력에 노출된 자녀들이 “숨겨진 피해자”라는 사실을 재차 확인하였으며, 따라서 아내폭력에 대한 연구와 개입 대상에 이들 아동을 반드시 포함시킬 필요가 있음이 분명히 밝혀졌다. 또한, 자녀를 위한 개입에 있어서 아동의 인지적 평가의 역할 및 중요성이 적극적으로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assesses the influence of exposure to violence toward their mother from father on children’s behavior problems. It also examines whether the children’s cognitive appraisal intermediates in the process. Among 266 children in this study, 35% are exposed to verbal violence and 23.3% are exposed to physical violence. Children who are exposed to violence exhibit more serious behavior problems and they also make more negative appraisal to parental conflict than children who are not exposed. Especially, the children’s cognitive appraisal perfectly intermediates between the exposure to physical violence and children’s behavior problems. As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fact of children as “hidden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is confirmed. Therefore, children should be included in the research and intervention of domestic violence. Various agencies for battered women or male perpetrators could be the first place to provide necessary assistance to victimized children and the importance of children’s cognitive appraisal should be emphasized in the intervention process.

      • KCI등재

        소닉파이를 활용한 음악 코딩 교육 프로그램 개발

        양혜원 ( Yang Hyewon ),양유정 ( Yang Youjung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8 중등교육연구 Vol.66 No.1

        본 연구는 컴퓨터 코딩 교육을 음악교과에 활용하여 음악적 성장과 더불어 컴퓨터 프로그래밍의 개념을 습득할 수 있는 음악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사운드 프로그래밍 언어인 소닉파이(Sonic-Pi)의 교육적 활용을 제안하고, 2015 개정 음악교육과정과 SW교육 운영지침을 기반으로 중학생용 음악 코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 교육 프로그램은 음악의 선율과 리듬, 주제, 악곡의 형식 등 음악적 지식을 습득하고 기초적인 컴퓨터 프로그래밍 개념을 쉽게 익힐 수 있도록 설계함으로써, 폭넓은 음악적 사고와 창작이 가능하며 미래 사회의 필수 역량인 SW활용 능력을 갖추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In this study, we propose an education program combining music composition and computer coding education. The expected educational effects are as follows. During the integrated course, students will be able to learn melody, rhythm, harmony, and musical form through listening to music and compose music based on the musical knowledge. In addition, students will be able to learn basic concepts computer programming. Futhermore, this coding music integrated education which helps students to develope abilities of convergence thinking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has possibility to be expanded as edutech such as digital media art and physical computing in the near future.

      • KCI등재

        『경제육전』 도승·도첩 규정으로 본 조선초 도승제의 의미

        양혜원 ( Yang Hye Won ) 한국사상사학회 2017 韓國思想史學 Vol.0 No.57

        본고는 조선초 도승(度僧)·도첩(度牒) 규정을 파악하기 위해 조선최초의 공식법전 『경제육전(經濟六典)』 도승의 조문을 추출·분석하였다. 『경제육전』은 실물이 현전하지 않아 조문의 원형을 알기 어려운데, 본문에서는 조선초 실록의 도승제 인용 기사만을 집중 검토하여 기존 『경제육전』 복원 성과의 도승 관련 조문들을 전면적으로 수정·보완하였다. 『경제육전』 체제하에서 변함없이 지속된 도승 규정을 추출한 결과 두 가지 내용으로 구분할 수 있었는데, 하나는 도승 대상 및 절차관련 규정이고(도승 3-1, 3-2), 다른 하나는 도승 금지 및 위반자 처벌에 대한 규정(도승 3-3)이다. 도승 절차와 그 위반자 처벌이 한 조항내에 들어있는 까닭은 『경제육전』이 수교모음집 형태이기 때문이다. 도승 규정을 종합적으로 살폈을 때 이 시기 도승제는 소수의 관인층 자제인 ‘양반 자제’라는 높은 신분 기준과 까다로운 신고 절차, 정전을 납부할 재력, 재행(才行) 등을 복합적으로 요구하여 도첩승의 자격을 제한하는데 주안점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도승제 위반자의 처벌은 『대명률』의 규정을 전제했을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조선초 도승제하에서 승(僧)은 도첩을 소지하여 제도적 출세간으로 간주되는 ‘도첩승’과 그렇지 못한 ‘무도첩승’으로 구분된다. 도첩은 면역(免役)의 법적 증빙이 되었으므로, 국가는 과다한 승이 존재하는 현실에서 특히 도첩승을 제한하고자 한 것이다. The main object of this paper is to make sense of the legal provisions related to doseung(度僧) and dochup(度牒) in Gyongjeyukjeon (經濟六典) of early Joseon Korea. Gyongjeyukjeon is the code established in 1397 shortly after the birth of Joseon Dynasty. The early Joseon on this paper refers to the period from the end of the 14th century to the middle 15th century when enforced Gyongjeyukjeon. Buddhist monks who existed on a large scal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we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those who received dochup from the government and those who did not. The key difference between the two depends on whether or not they are legally exempted from the forced labor of the state. The early Joseon government tried to regard them as Buddhist monks excluded from the forced labor only if they received dochup under legal procedures of doseung. The most important qualification requirement for receiving a dochup in the system of Gyongjeyukjeon was the superiority of ‘a son of yangban(兩班)’ and the economic ability to pay jeongjeon(丁錢). Finally, Joseon tried to strictly control the qualification of dochup by doseung law.

      • KCI등재

        고려후기~조선전기 免役僧(면역승)의 증가와 度牒制(도첩제) 시행의 성격

        양혜원 ( Hye Won Yang ) 한국사상사학회 2013 韓國思想史學 Vol.0 No.44

        고려 이래 승려들은 免役 특권을 누리고 있었으므로, 면역집단과 국가체제라는 구도에서 보면 국가의 崇佛여부와 상관없이 승려수의 규제는 필연적일 수밖에 없었다. 일ㄹ 염두에 두고 고려후기 官壇체제가 무너진 이후부터 조선전기 成宗代 度牒體가 『經國大典』度僧條에 오르기까지 승려의 수와 도첩제 개정 논의에 대해 살펴보았다. 고려전기의 승려집단은 면역의 일반승려와 비면역의 하급승려로 구성되어 명확했다. 그러나 고려후기에 관단체제가 무너지면서 면역승과 비면역승 간의 경계가 불분명해 진다. 이들 모두는 단순히 僧, 僧徒로 인식되고, 여기에 기존에 출가가 재한되던 부류의 출가까지 더해지면서 면역 수혜 범위가 크게 획대된다. (<그림 1><그럼 2>) 참조) 이를 개선하기 위해 국가는 도첩제를 실시하여 출가자에게 많은 丁錢을 물리고 출가 신분과 직역을 제한하였으나, 규제는 전 지켜지지 않았다 이러한 상황은 조선전기까지 이어진다. 막대한 승려 수에 대한 『朝鮮王朝實錄』의 기록은 2개의 층위로 구분된다. 몇 십만 단위로 표현된 과다한 승려 수치는 고려후기 이래 승려집단에 대거 유입된 하급승려와 資質未達僧, 避役者가 포함된 것이다. 십 몇 만 단위로 표현된 수치는 국가가 남기고자 한 일반승려, 즉 면역 대상인 도첩승의 규모이다. 조선은 도첩제에 대한 논의 끝에 출가자의 신분과 직역을 제한하지 않고 정전량을 현실화 하는 대신, 승려의 자질을 검증하기 위한 텍스트를 규정하여 誦經시험을 치르도록 결론 내렸다. 이것이 바로 조선전기 도승 규제의 완결판인 『經國大典j』度僧 條이다. 조선전기 도첩제 개정 과정은 고려후기와의 연장선상에 있으며, 일방적인 축가 규정 강화가 아니라 현실을 기반으로 면역 대상이 될 수 없는 승려들을 걸러낼수 있도록 기존 도첩제의 허점을 메워가는 과정이었다. Because the monk-group had enjoyed the privilege of corvee exemption since Koryo dynasty, the government regulation to limit the population number of monks was inevitable, Bearing such conflict of interests between the monk-group and government in mind, this article scrutinized the population number of monks and the evolution of the debates on the issues of Dochubje (度牒制) revision between the period of the late Koryo and the early Chosun dynasty, The monk-group in the early Koryo dynasty was composed of the normal monks who were exempted from corvee and the low-ranking monks who were not. However, in the late Koryo dynasty the distinction between the two sub-groups became obscure, They started to be simply regarded as corvee-exempted monks altogether, which led to the great increase of the number of corvee-exempted population, (See table L 2) In order to cope with such problems the government of Koryo dynasty enforced Dochubje, but failed to make it obeyed well Such trends emerging in the late Karyo dynasty persisted uniil the early Chosun dynasty. After all. Chosun dynasty enforced Gyeonggukdaejeon (經國大典) Doseungjo(度僧條). the revised version of Dochubje. that repealed the clause which restricted the social status and occupational classification for the Buddhist priesthood. levied reasonable amount af money on those who left home for monks. and added a new clause that all the candidates far monks should pass the test of reciting the Buddhist sutras to be qualified as monks. The revision process of Dochubje in the early Chosun dynasty can be regarded as an extension of the policy debates in the late Koryo dynasty. and should be seen as efforts to fix the loophole of Dochubje in order to sieve out the monks who should not have belonged to a corvee-exempted group.

      • KCI등재

        한국 대형교회 복지사역의 현황 및 발전적 역할 모색

        양혜원 ( Hae Won Yang ),김희수 ( Hee Soo Kim ) 기독교학문연구회 2011 신앙과 학문 Vol.1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urrent status of social work services in Korean churches and to grope the roles of megachurches to develop Korean churches` social work services. The current status of social work services in Korean churches were examined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 features of megachurches` social work services were explored through previous literature and websites of ten representative megachurches. A focus group interview with 7 professionals was conducted and analysed. As the result, 7 concepts from 3 categories such as ``context``, ``perception``, and ``level`` in the area of ``the reality of social work services in Korean churches``, 6 concepts from 3 categories such as ``foundation building``, ``contributions to churches``, and ``contributions to society`` in the area of ``the role of megachurches in social work services``. Based on the results, discussions regarding megachurches` future role to develop Korean Churches` social work services were made. 본 연구는 한국교회 복지사역의 현실을 진단하고, 향후 대형교회가 한국교회 복지사역 발전을 위해 해야 할 바람직한 역할을 모색하고자 이루어졌다. 이를 위하여 한국교회 복지사역의 전반적 현황 및 대형교회 복자사역의 특성을 살펴보고, 대표적인 10개 대형교회의 홈페이지를 통하여 대형교회 복지사역의 현황을 파악하였으며, 관련 전문가 7명과 초점집단면접을 실시하여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초점집단면접의 결과, ``한국교회 복지사역의 현실`` 영역에서 ``맥락``, ``인식``, ``수준``의 3개 범주, 총 7개 개념이 도출되었고, ``대형교회 복지사역의 역할`` 영역에서 ``토대 구축``. ``교회에 대한 기여``. ``사회에 대한 기여``의 3개 범주, 총 6개 개념이 도출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국 교회 복지사역 발전을 위하여 대형교회가 앞으로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고, 어떻게 기여해야 할 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15세기 승과(僧科) 연구

        양혜원 ( Yang Hye Won ) 한국사상사학회 2019 韓國思想史學 Vol.0 No.62

        본 연구에서는 실록에 흩어져 있는 기록들을 통해 15세기 승과(僧科), 즉 선시(選試)에 대한 규정을 시간 순으로 추출하고, 그에 따라 승과 선발의 규모 및 운영의 실제 양상을 구체적으로 추적하였다. 승과는 조선이 개창된 후에도 식년마다 꾸준히 치러졌으며, 개국초 제도를 일신하며 과거제(科擧制)와 유사하게 다듬어져 갔다. 승과 운영에 대한 규정은 조선 최초의 공식 법전인 『경제육전』부터 수록되었는데, 종(宗)별로 초선(抄選)과 입선(入選)의 2단계 시험을 보이며 최종 선발은 초선의 1/3만 뽑는다는 정수(定數) 규정이 그것이다. 이 틀은 『경국대전』에까지 원칙의 큰 변동 없이 유지되었으나, 그 사이 불교 종파 통폐합의 결과로 최종 합격자 수가 감소하는 것은 필연적 결과였다. 『경국대전』에는 승과 시험 과목이, 선종은 『경덕전등록(景德傳燈錄)』과 『선문염송(禪門拈頌)』, 교종은 『화엄경(華嚴經)』과 『십지론(十地論)』으로 명시되어 있다. 법전에 수록된 이 과목들은 선종과 교학 이해의 최고봉으로 꼽히는 핵심 문헌들로, 불교계 내부의 수행 전통과 난이도를 충분히 고려한 위에서 지정된 것이다. 또한 이들 과목의 지정은 당시 불교계 내부의 변화를 반영하여 법으로 고정하려는 새로운 시도였다. 승과는 도승(度僧) 단계와 연결되어 최종 선발되는 승직자의 자질을 거듭 시험하여 걸러내는 방식으로 짜여 있었다. 즉, 승(僧)이라면 갖추어야 할 기본 자격을 점검하여 도첩을 발급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난이도 높은 과목으로 승과를 치렀으며, 시험 방식에 있어서도 도승은 송경(誦經), 승과는 강경(講經)으로 점차 어려워져, 최종 합격자는 불교적 소양을 십분 갖춘 엘리트 승이었다고 볼 수 있다. 조선 건국 이래 연산군 10년까지 승과는 체계적이고 안정적으로 시행되고 있었다. 이 시기 조선에서는 고려 이래의 승과가 계속 치러지고 승직(僧職)이 제수되어 승정(僧政)의 요체가 유지되고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사실은, 출가하여 선시를 보고 합격하는 것이 국가로부터 작질(爵秩)을 받는 하나의 수단이었음을 의미한다. Seungkwa(僧科) refers to the national examination to select Buddhist monk bureaucracy during Goryeo and Joseon Korea. Seungkwa was implemented in a systematic and stabilized way until 1504, Yeonsangun's reign. It was held every three years and refined similarly to Imperial Examination. The provisions of seungkwa were recorded in Gyongjeyukjeon(經濟六典), Joseon's first Code. It was continued in Gyeongkukdaejeon(經國大典), Joseon's second Code, without any major change in principle. It is noteworthy that the Buddhist scriptures, Kyeongdeogjeondeunglok(景德傳燈錄), Seonmunyeomsong(禪門拈頌) in Seonjong(禪宗) and Hwaeomgyeong(華嚴經) and Sipjiron(十地論) in Gyojong(敎宗) were specified in Gyeongkukdaejeon as examination subjects.

      • 전주역사박물관 소장 《금강산·칠보산도》 연구

        양혜원(Yang Hye?won) 한국민화학회 2021 한국민화 Vol.- No.14

        본 글은 전주역사박물관 소장 《금강산·칠보산도》의 화면 구성을 분석하고, 양식 특징에서 흐름의 변화가 두드러지는 작품들과의 비교·검토를 통해 이 작품의 위치를 조명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 작품은 소호 김철순(小好 金哲淳, 1931-2004)이 기증하여 현재 전주역사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현재 김철순 기증 민화 중에서 실재(實在)하는 명산(名山)을 소재로 그린 산수화는 이 글에서 다루는 작품 한 점 뿐이다. 또한 금강산·칠보산도는 현재까지 발견된 작례가 많지 않아 이러한 유형의 작품을 소개하고, 고찰하는 작업은 의미가 있다. 전주역사박물관 소장 《금강산·칠보산도》는 당시 뛰어난 승경으로 읊어졌던 금강산과 칠보산의 명소들이 한 폭에 조합되어 있는 독특한 구성을 보인다. 이러한 조합 양상은 서로 유사하거나 상이한 제재를 결합하는 민화의 특성과 일맥상통하는 것으로, 보다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지리적으로 함께 위치할 수 없는 두 명산의 명소들을 한 화면에 중첩함으로써 이상향의 장소로 탈바꿈한 것이다. 이러한 양상은 작품의 양식 특징과도 맞물린다. 경물의 세부 표현에서 전형적으로 그려지던 도상이 해체되고, 작가의 취향과 개성을 발휘해 상상 속의 신비로운 이상향의 모습으로 새롭게 그려지는 모습을 보인다. 한편, 이러한 양식적 특징은 전주역사박물관 소장 《금강산·칠보산도》의 제작 시기를 대략적으로나마 추정해볼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한다. 산발적이고 다양한 양상으로 제작된 민화는 대부분 작자미상의 작품들로 제작 시기가 분명치 않은 한계를 가지고 있다. 그러한 점에서 드물게 작자와 화제가 남아있는 전주역사박물관 소장 《금강산·칠보산도》는 이 시기 민화 금강산·칠보산도의 양식을 살필 수 있는 하나의 기준작으로 놓을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전주역사박물관 소장 《금강산·칠보산도》는 기존에 그려지던 금강산도 또는 칠보산도의 전통에서 탈피한 또 하나의 새로운 형식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현재까지 다루어진 민화 금강산도, 민화 칠보산도의 구성과도 차별성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더 나아가 민화에 나타난 제재의 조합 양상의 또 다른 일면을 살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creen composition of 《Geumgangsan‐Chilbosan Painting》 housed by Jeonju Museum of History, and to illuminate the location of this work through comparison and review with works that show prominent changes in the flow in style characteristics. This work was donated by Soho Kim Cheol‐sun (小好 金哲淳, 1931‐2004) and is currently in the collection of the Jeonju Museum of History. Currently, the work in this study is the only one landscape painting that depicts the noted mountains (名山), which exist in real life, among the works of Minhwa donated by Kim Cheol‐sun. In addition, there are not many examples of Geumgangsan‐Chilbosan Painting discovered so far, so it is meaningful to introduce and examine this type of work. 《Geumgangsan‐Chilbosan Painting》 housed by Jeonju Museum of History shows a unique composition in which Geumgangsan, which was said to be outstanding scenic spots at the time, and the noted places of Chilbosan are combined in one screen. This combination pattern is consistent with Minhwas characteristic of combining similar or different themes, which seems to satisfy a wider variety of needs. It is transformed into a place of Utopia by superimposing the noted places of the two noted mountains that cannot be geographically located together on one screen. This aspect also coincides with the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the work. The image that was typically drawn in the detailed expression of scenery features is dismantled, and the artists taste and personality are revealed to show a new picture of the mysterious Utopia in the imagination. On the other hand, this stylistic feature provides a clue to roughly estimate the production period of 《Geumgangsan‐Chilbosan Painting》 housed by Jeonju Museum of History. Minhwa, which is produced in a sporadic and varied form, is mostly works of unknown artists, and has an unclear limitation of the production period. In that respect, 《Geumgangsan‐Chilbosan Painting》 housed by Jeonju Museum of History, which rarely remains the artist name and painting title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be used as a reference work to examine the style of Minhwa Geumgangsan‐Chilbosan Painting during this period. 《Geumgangsan‐Chilbosan Painting》 housed by Jeonju Museum of History shows a new style that breaks away from the tradition of those of Geumgangsan paintings and Chilbosan paintings that were typically drawn. It is also meaningful in that its composition shows differentiation from taht of Minhwa Geumgangsan paintings and that of Minhwa Chilbosan paintings.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see another aspect of the combination of themes appearing in Minhwa.

      • KCI등재

        고학력 전문직 기혼 여성의 일: 그 분투와 의미에 대한 협력적 자문화기술지

        양혜원 ( Yang¸ Haewon ),박소정 ( Park¸ Sojung ),박윤조 ( Park¸ Yunjo ) 한국교육인류학회 2020 교육인류학연구 Vol.23 No.4

        본 협력적 자문화기술지는 고학력 전문직 기혼 여성의 일의 의미에 관한 연구이다. 2000년대로 들어서며 여성의 일과 돌봄의 사회화 그리고 일-가정 양립 논의가 확대되면서 여러 정책이 시행되었다. 그러나 그 실효성이 낮아 일부 연구에서는 여전히 견고한 성별분업 이데올로기의 문제를 지적하고 있다. 이처럼 교착 상태에 빠진 듯한 여성과 일을 둘러싼 현실을 보며 대학의 교원이자 동시에 미술치료사, 미술사가, 번역가/저자라는 전문직을 가진 세 명의 연구자는 일하는 기혼 여성이 안고 있는 문제를 다른 각도에서 접근하기 위해 협력적 자문화기술지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 세 명의 연구자는 네 가지 공통된 경험을 하였는데, 모두가 학부 전공과는 다른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받으면서 전문성을 쌓았고, 자신의 직업 안에서 성별 분리 혹은 성별 직무 분리를 경험하였으며, 일-가정 양립에서 상당한 고충을 겪었고, 그런데도 저항과 분리보다는 상생과 통합을 지향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고학력 전문직 여성들이 제 일을 찾아가는 과정과 자기 일에 부여하는 의미가 어떻게 갈등을 넘어 통합을 지향하게 하는지를 보여주었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s a collaborative autoethnography on the meaning of work for professional married women with PhD degrees. Studies on women and work abound, and since the 2000s, discussions on socialization of care and work-family compatibility took the center stage leading to various policies. However, its efficiency has been questioned leading to some studies pointing to the tenacity of the ideology of gender division of labor. Thus, three researchers of this study worked on this collaborative autoethnography in order to take a different approach to the study of women and work. The three researchers of this study all work in academia but have professional backgrounds as art therapist, art historian, and translator/author. The findings show that all three changed their major in their career building, have experienced gender segregation or gender division of labor in their profession, have struggled with work-family compatibility, and finally, despite such experiences all three embraced an attitude of integration rather than resistanc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shows how the journey toward meaningful work can work toward conflict resolution and integ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