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은 음식물과 녹차 부산물의 첨가가 육계의 성장과 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양철주,박일철,조미란,Yang, Chul-Ju,Uuganbayar, D.,Park, ll-Chul,Cho, Mi-Ran 유기성자원학회 2003 유기물자원화 Vol.11 No.1

        본 시험에서는 무첨가구인 대조구와 대조구에 남은 음식물을 수준별로 첨가하고 단백질의 수준을 높여준 leftover food 10%와 leftover food 20% 및 leftover food 30%의 4처리구와 각 처리구에 녹차 부산물을 1%씩 첨가한 4처리로 총 8처리 5반복으로 반복 당 6수씩 총 240수를 임의 배치하여 사양 시험을 실시하고, 증체량 과 사료섭취량 및 사료효율, 폐사율과 체조성 및 혈중 콜레스테롤 및 도체 콜레스테등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사육후기의 증체량은 대조구가 1,364g으로 가장 높은 증체를 보였으며 (P<0.05), 남은 음식물 10%, 20% 및 30% 그리고 이 4처리구에 녹차 부산물을 첨가한 처리구에서는 모두 대조구 보다 낮은 증체를 보였다. 개시체중과 사료 섭취량에서는 통계적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P>0.05). 2. 폐사는 남은 음식물 10% + GTB 1%첨가구 에서만 나타났다. 남은 음식물 첨가가 육계의 폐사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3. 조섬유 (16.70)와 조단백질 (20.09)의 함량은 유사한 결과를 보였으나 조지방 (10.55)함량은 다소 낮게 나타났다. 4. 혈중 cholesterol 함량은 남은 음식물 20% + GTB 1%와 남은 음식물 30% + GTB 1%에서 각각 146.96mg/100ml와 172.03mg/100ml로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통계적 유의차를 보였다 (P<0.05). 5. 도체 cholesterol은 대조구에서 98.57mg/100g으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남은 음식물 30% + GTB 1%가 72.10mg/100g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통계적 유의차를 보였다 (P<0.05).

      • KCI등재

        남은 음식물과 녹차 부산물의 산란계의 생산성 및 난 성분에 미치는 영향

        양철주,박일철,조미란,Yang, Chul-Ju,Uuganbayar, D.,Park, ll-Chul,Cho, Mi-Ran 유기성자원학회 2003 유기물자원화 Vol.11 No.1

        시험은 대조구 0%와 남은 음식물에 Protein의 요구량 수준을 각각 높인 10%, 20%, 30%, 40%, 대조구에 녹차 부산물(GTB) 첨가구 1.0%, 남은 음식물 30% + 녹차 부산물 (GTB) 1.0%로 총 7처리 4반복으로 하였으며, 반복당 6수씩 개체별로 사양 실험을 실시하고, 산란율, 난중, 난각두께, 난황색, Thiobarbituric acid (TBA) 및 관능검사 등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산란율은 남은 음식물 10%, 20% 및 40% 첨가구에서 각각 82.65%, 81.54% 및 82.27%로 높게 나타났으나 남은 음식물 30%첨가구는 75.34%로 낮게 나타났으며 통계적 유의차를 보였다 (P<0.05). 대조구가 72.87%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P<0.05), 주령별로는 주령이 증가할수록 산란율이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2. 난중은 전 처리구중 가장 높은 경향을 보인 것은 남은 음식물 30% + GTB 1%처리구가 63.78로 높은 경향을 보였다. 가장 낮은 난중은 남은 음식물 10%처리구가 60.02로 나타났다 (P<0.05). 3. 산란량은 전 처리구에서 남은 음식물 30% + GTB 1%가 52.53g으로 높게 나타났고, 가장 낮은 산란량을 보인 것은 대조구가 45.32g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통계적 유의차를 보였다 (P<0.05). 4. 사료 요구율은 남은 음식물 20%첨가구가 2.86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낮은 요구율은 남은 음식물 10%첨가구가 2.47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통계적 유의차를 보였다 (P<0.05). 전 처리구간에서 사료 요구율은 주령이 증가할수록 요구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5. 콜레스테롤은 대조구 + GTB 1.0%첨가구가 13.923으로 높게 나타났다. 가장 낮은 콜레스테롤은 남은 음식물 40%처리구가 12.003으로 낮게 나타났다. 남은 음식물을 첨가한 처리구가 난황 내 콜레스테롤 함량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남은 음식물 30%첨가구가 12.835로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통계적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P>0.05). 6. TBA가 가장 높은 처리구간은 1주에는 남은 음식물 40%첨가구가 3.205로 높게 나타났으며 2주에는 남은 음식물30%첨가구가 3.275로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 주에는 3.947로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로 볼 때 남은 음식물을 첨가한 처리구가 대체적으로 산패도가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으며 통계적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P>0.05).

      • 과실주를 첨가한 가우다 치즈의 품질 특성

        최희영 ( Hee Young Choi ),양철주 ( Chul Ju Yang ),최갑성 ( Kap Seong Choi ),배인휴 ( In Hyu Bae ) 한국동물자원과학회(구 한국축산학회) 2015 축산기술과 산업 Vol.6 No.2

        본 연구는 과실주(매실과 산수유)를 이용하여 가우다 치즈의 품질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과실 주(매실과 산수유)를 적정량을 준비하여 가우다 치즈 제조 시 첨가하였다 치즈가 숙성하는 동안 일반성분 분석, 유산균, pH, WSN, 관능검사, 단백질 분해, TBA 등을 관찰하였고, 과실주의 기능성 지표 성분의 농도 및 플라 보노이드 함량 등을 측정하였다. 과실주의 첨가가 치즈의 관능과 외관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p>0.05) 대조구 치즈보다 과실주를 첨가한 치즈에서 조회분, 미네랄, 플라보노이드(p< 0.05)의 함량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수분과 조단백질에서는 유의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단백질 분해도는 과실주를 첨가한 치즈에서 대조구 치즈보다 다소 높은 분해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과실주의 첨가가 가우다 치 즈의 맛과 품질을 유지하면서 영양분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졌다.

      • KCI등재

        연구논문 : 제올라이트 급여가 돈육 목살의 조리 전후 품질에 미치는 영향

        김정빈 ( Cheong Bin Kim ),양철주 ( Chul Ju Yang ),최옥자 ( Ok Ja Choi ),정희남 ( Hee Nam Jung ),심기훈 ( Ki Hoon Shim ) 한국식품조리과학회(구 한국조리과학회) 2014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30 No.2

        본 연구는 제올라이트가 비육돈의 품질 및 관능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제올라이트를 급여하지 않은 돼지고기 목살부위와 제올라이트를 0~2.0% 급여한 목살부위를 대상으로 조리 전후의 품질을 분석하였다. 돼지고기 목살 생육의 pH는 제올라이트 급여구가 대조구보다 높았고, 0.5% 급여구가 6.14로 가장 높았다. 가열감량은 제올라이트 급여구가 대조구보다 낮았고, 제올라이트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가열감량은 증가하였으며, 제올라이트 0.5% 급여구가 22.47%로 가장 낮았다. 조리 시 용출되는 지방량은 제올라이트 0.5% 급여구가 가장 낮았으나, 시료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돼지고기 목살 생육의 색도를 측정한 결과, 제올라이트 0.5% 급여구가 L값과 a값에서 가장 높았고, 제올라이트 2.0% 급여구는 b값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시료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돼지고기 목살을 삶은 후 측정한 색도에서는 제올라이트 0.5% 급여구가 L값과 b값에서 가장 높았고, 시료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엇다. 대조구는 a값에서 가장 높았으나 시료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돼지고기 목살 생육의 물성 측정 결과, 제올라이트 첨가량이 증가할수록경도, 탄력성, 응집성, 점착성 및 씹힘성 모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료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돼지고기 목살을 삶은 후 물성을 측정한 결과에서도 제올라이트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물성 모든 항목에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탄력성만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삶은 돼지고기 목살의 관능검사 결과, 색에 대한 선호도는 제올라이트 0.5% 급여구가 11.71로 가장 높았고, 제올라이트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맛, 향미 외형에 대한 선호도 결과도 색에대한 선호도와 마찬가지로 제올라이트 0.5% 급여구가 가장 높았다. 질감에 대한 선호도에서는 대조구에서 11.07로 가장 높았고, 제올라이트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질감에대한 선호도는 낮아졌다. 전체적인 선호도는 제올라이트0.5% 급여구가 11.72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1.0%급여구, 대조구 그리고 2.0% 급여구 순으로 나타났다. 수육용으로 많이 사용하는 돼지고기 목살부위는 제올라이트를 0.5% 급여하였을 때 고기의 품질 및 관능적 특성이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ensory properties of fresh and boiling pork shoulder at different feed ration of zeolite (0, 0.5, 1.0 and 2.0%). All of the dietary zeolite groups had significantly higher pH than the control; 0.5% zeolite (6.14) had the highest pH. Cooking los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ontrol compared to other treatments; further, the loss, increased as the feed ratio of zeolite addition increased. The cooking loss of fresh pork shoulder fed with 0.5% zeolite (22.47%)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other treatments. The dissolution crude lipid of 0.5% zeolite was the lowest, but was not significant. In the Hunter’s color value of fresh pork shoulder, the L and a valu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0.5% zeolite compared to other treatments, whereas the b valu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2.0% zeolite. In the Hunter’s color value of boiling pork shoulder, the L and b values with 0.5% zeolite were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other treatments; however, the a valu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oups. The hardness, springiness, cohesiveness, gumminess and chewiness of fresh pork shoulder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s the feed ration of zeolite increased. These properties, except for springiness in boiling pork shoulder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s the feed ration of zeolite increased. Furthermore, sensory characteristics of color, taste, flavor, appearance and overall preferenc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boiling pork shoulder with 0.5% zeolite compared to other treatments. Also, texture preference, which was decreased as the feed ratio of zeolite increased, was higher in the control compared to other treatments. In conclusi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ensory properties of pork shoulder meat were enhanced with the dietary supplementation of zeolite.

      • KCI등재

        제올라이트 급여가 돼지고기 등심 품질에 미치는 영향

        김정빈(Cheong-Bin Kim),양철주(Chul-Ju Yang),심기훈(Ki-Hoon Shim),정현숙(Hyun-Sook Jung),최옥자(Ok-Ja Choi)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2 No.12

        The effect of zeolite on the quality properties of fresh and broiled pork loin was investigated using 84 pigs that were fed with different feed ration of zeolite (0, 0.5, 1.0 and 2.0% zeolite) for 3 months. The pH of fresh pork loin fed with 0% and 2.0% zeolite was 5.95, which was higher than those of others (P<0.05). The cooking loss of fresh pork loin fed with 0.5% and 1.0% zeolite were 26.24% and 26.42%, respectively, which was higher than those of others (P<0.05). The dissolution crude lipid of 1.0% zeolite (3.11%) was highest, but that of 0% zeolite was lowest (P<0.05). L and a values were highest in fresh pork fed with 1.0% zeolite, however, b value was highest in fresh pork fed with 2.0% zeolite (P<0.05). In the results of L value of the broiled pork loin, the feed ration with 0% zeolite was highest (75.49) and decreased as the feed ration of zeolite increased (P<0.05). The a and b values were highest in broiled pork fed with 0.5% zeolite (P<0.05). The hardness, springiness, gumminess and chewiness of fresh and broiled pork loin fed with 2.0% zeolite were highest and increased as the feed ration of zeolite increased (P<0.05). In the result of sensory evaluation in broiled pork loin, color preference was increased as the feed ration of zeolite increased (P<0.05). Taste preference was highest in the 1.0% zeolite (10.70), followed by 2.0% (8.72), 0.5% (7.64), and 0% zeolite (6.44) (P<0.05). Flavor and appearance preferenc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Texture preference was decreased as the feed ration of zeolite increased. The overall preference was highest in the 1.0% with zeolite (10.80), followed by 0.5% (10.04), 0% (8.41), and 2.0% (7.92) with zeolite (P<0.05). In conclusion, the optimal feed ration of zeolite for broiled pork loin was between 0.5 and 1.0% zeolite.

      • KCI등재

        가축 질병 예찰 시스템 설계 및 구현

        김현기(Hyun-gi Kim),양철주(Chul-ju Yang),여현(Hyun Yoe) 한국통신학회 2012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37 No.12(융합기술)

        가축 질병은 축산농가에 생산성 및 소득 감소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가져올 뿐만 아니라 전염병 확산으로 인한 국가적 손실로 이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가축의 활동량 정보 및 체온 정보를 기반으로 가축 질병상태를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가축 질병예찰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가속도센서 및 열화상 카메라 장비로부터 수집된 데이터와 가축의 질병별 활동량 및 체온 정보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가축 질병상태를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가축 질병예찰 시스템이다. 본 시스템을 통해 가축 질병을 미연에 정확히 판단하고 질병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함으로써 축산농가의 생산성 향상 및 수익률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Livestock disease that decreases the farm productivity and income leads to not only financial loss but also national loss from the spread of contagious diseas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 livestock disease forecasting system that can diagnose disease of livestock at an early stage based on the livestock activity and body temperature. The proposed livestock disease forecasting system collect data on livestock activity and body temperature using a acceleration sensor and thermal imaging camera and comparing the data with control according to disease. It is expected that, this system can be accurately identify and prevent spread of livestock disease beforehand to minimize damages caused by disease to improve the productivity and the rate of return of livestock farms.

      • KCI등재후보

        녹차 첨가 아펜젤러 치즈의 품질 특성

        최희영 ( Hee Young Choi ),최효주 ( Hyo Ju Choi ),양철주 ( Chul Ju Yang ),이상석 ( Sang Suk Lee ),최갑성 ( Gap Sung Choi ),박정로 ( Jeong Ro Park ),전순실 ( Sun Sil Chun ),신현정 ( Hyon Jung Shin ),정석근 ( Seok Geun Jeong ),배인휴 한국유가공기술과학회 2009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JMSB) Vol.27 No.2

        본 연구는 소비자가 추구하는 친환경 기능성 자연 치즈제품의 다양한 아이템 개발을 위해 녹차를 자연 치즈에 접목시킴으로써 녹차의 약리 효과가 부여된 기능성 치즈의 개발 가능성 검토를 위해 실시되었다. 이 녹차 첨가 자연 치즈는 약 4개월간 숙성하면서 유산균의 생육과 pH, 질소화합물의 변화 및 단백질의 분해도 측정 및 카테킨 함량과 관능평가를 통하여 제품의 품질 평가를 실시하였다. 유산균 수는 숙성 12주까지 녹차 1.0% 이상을 첨가한 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다소 낮은 유산균 수를 보였으나, 숙성 16주에는 대조구와 녹차 첨가구의 유산균 수 차이가 없었다. pH 5.0~5.3이던 것이 숙성 15주에는 pH 5.9~6.3 범위를 나타냄으로써 숙성이 진행됨으로 점차 상승하였다. 치즈의 숙성 기간 중 질소화합물의 변화는 비단백태 질소화합물(NPN)의 경우 숙성 시작보다 단백질 함량이 증가하였고, WSN과 NCN에 비해 다소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전기영동 결과, 치즈의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α□-casein, β-casein 및 □-casein 등 모든 종류의 casein이 점진적으로 분해되었고, 특히 α□-casein은 숙성 8주 후부터는 거의 분해되어 다른 casein에 비해 더 빠른 속도로 분해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카테킨 화합물의 종류로는 epigallocatechin(EGC), catechin(+catechin), epicatechin(EC), epigallocatechin gallate(EGCG), epicatechin gallate(ECG)등 5종이 동정되었으며, 이 중 EGC 함량이 12.39 mg%로 나타났다. 치즈에 함유된 총 카테킨 함량은 녹차 첨가량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치즈의 총 카테킨 함량은 각각 24.1, 46.0 및 103.9 mg%이었다. 녹차 첨가구 중 가장 선호도가 높은 구는 녹차 1.0% 첨가구로 맛 2.61, 외형은 2.28, 향미는 2.44, 조직은 2.33의 평가를 받았으나, 첨가구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치즈의 향미는 대조구 및 첨가구간에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녹차를 첨가한 아펜젤러 치즈에서 치즈로 이행된 카테킨 성분이 숙성 종료 후에까지도 치즈 내에 일정량 보전됨이 확인되었고, 녹차 첨가는 아펜젤러 치즈의 숙성 과정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맛과 외관, 물성 등 관능적 기호도를 떨어뜨리는 결과를 가져와 향후 자연 치즈 제조 시 첨가 수준 및 가공 방법을 달리하는 등 관능적 특성 향상을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이루어 진다면 녹차 함유 기능성 자연 치즈의 제품 개발이 가능할것으로 기대되었다. Appenzeller cheese samples were prepared by addition of 0.5, 1.0, and 2.0% green tea (Camellia sinensis, CS) powder and control cheese. We examined various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novel cheese, such as viable-cell counts, pH, water-soluble nitrogen (WSN), non-casein nitrogen (NCN), non-protein nitrogen (NPN), and catechin level during maturation for 16 weeks at 14 ℃. To develop a Korean natural cheese containing green tea powder, we also analyzed the changes in the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pattern, chemical composition, and sensory qualities. The viable cell counts of the sampl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Until the 3rdweek, the pH of the CS cheese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the maturation time. However, the pH gradually increased by the 12th week, while WSN, NCN, NPN also increased. The WSN, NCN, NPN, and catechin values for the CS cheese sampl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values for the control cheese. The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tic pattern of caseins for the CS cheese indicated that this cheese degraded more rapidly than the control cheese did. In the sensory evaluation, cheese with 1.0% CS powder showed the highest scores in taste and appearance and good scores in flavor and textur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1.0% CS is the optimal value for addition to cheese, and cheese containing 1.0% CS shows good physiological properties and reasonably high overall sensory accept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